|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Asian J Beauty Cosmetol > Volume 15(4); 2017 > Article
미용사(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 필기시험의 메이크업 전문용어 분석

요약

목적

본 연구는 미용사(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 필기시험에서 메이크업과 관련된 전문용어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미용 관련 전문교육기관과 미용산업현장에서의 원활한 용어 표기로, 미용사(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 전문용어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미용사(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 필기시험 중, 주요항목에서 메이크업 개론 중 세부항목의 메이크업의 이해, 메이크업의 기초이론, 메이크업 기기·도구 및 제품, 메이크업 시술 등에서 메이크업과 관련된 전문용어를 분석하고,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용어와 교과서 편수 자료(Ⅲ) 응용 과학 편, Ⅶ. 가사·실업에서 한글 표기가 다른 경우, 같은 의미의 용어가 한글 표기가 다르게 된 경우, 같은 의미의 용어가 한글 표기 띄어쓰기가 다르게 된 경우, 전문용어의 띄어쓰기 오류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메이크업 전문용어를 분석한 결과 212개의 용어가 추출되었으며,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용어와 교과서 편수 자료(Ⅲ) 응용 과학 편에서 한글 표기가 다르게 표기된 용어는 212개 중 29개로 나타났고, 같은 의미의 용어가 한글 표기가 다르게 표기된 용어는 212개 중 37개로 나타났다. 그리고 같은 의미의 용어가 한글 표기 띄어쓰기가 다르게 표기된 용어는 212개 중 6개로 나타났고, 전문용어의 띄어쓰기 오류는 21개로 나타났다.

결론

미용사(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 필기시험에 사용되는 메이크업 전문용어 등 관련해서 다양한 분석 연구로, 추후 체계화된 용어 정리의 표준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akeup terminology used in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for makeup artist for improving the orthography of the terminology used makeup-related training institutes and industrial filed. The study analyzed loanwords used as makeup terminology and identified problems in Introduction to makeup and the makeup skills, which are major written examinations undertaken by students pursuing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for makeup artist.

Methods

Makeup Artist loanwords that appeared in the Introduction to makeup and makeup skills written examinations were analyzed, which involved examination of different Korean orthographies of terminology with the same meaning and different spacing in Korean terminology with the same meaning. In addition terminology used in the written examinations for makeup artist and material for editing of textbooks (III) was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212 loanwords were extracted. Of those, 29 extracted from the written examination were relevant to the material for editing of textbooks (III). Thirty-seven loanwords had the same meaning but different Korean orthographies, and six had the same meaning but different spacing in Korean. Twenty-one loanwords had spacing errors in Korean.

Conclusion

Furth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the makeup terminology used in written examinations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for makeup artist to analyze different orthographies of terminologies with the same meaning, spacing, and loanword orthography in various ways for the systematic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中文摘要

目的

分析美容师国家技术资格书面考试中与化妆相关的专业术语,查明问题,为了在美容相关专门教育机关和美容行 业领域中,灵活运用其化妆术语,探索美容师国家技术资格专业用语的改善方向。

方法

在美容师国家技术考试中,主 要项目化妆概论中的具体项目,即,化妆的理解、化妆基础理论、化妆设备和工具以及产品、化妆实施等中分析与化妆 相关的专业术语。并且在美容师国家技术资格书面考试中出现的术语和教科书编辑的材料应用科学(III)家事·实务中出 现的化妆术语中,分析相同意义的术语不同的韩国语表示,相同意义的术语不同的韩国语间距以及专业用语的韩国语间 距误差等。

结果

化妆术语分析结果,提取了212个术语,在美容师国家技术资格书面考试中出现的术语和教科书编辑的 材料应用科学(III)家事·实务中,韩国语表示不同的术语出现29个,相同意义不同韩国语表示出现37个,相同意义韩国 语间距不同的术语出现6个,专业术语的间距误差出现21个。

结论

将来对国家技术资格书面考试术语中使用的化妆相关 的专业术语需进行各种分析,并对术语进行系统化和标准化整理。

Introduction

현대사회는 지식정보 및 기술의 생성·소멸이 빠르고 이에 따라 직종 및 산업구조가 급속하게 변화되면서 직업 세계도 다양화·전문화되어 가고 있다. 그 중 미용산업은 경제적 성장으로 인해 미적 관심이 고조되고, 기능 위주에서 탈피하여 전문화된 학문으로 대두되면서 미용 전문교육기관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Kim & Park, 2007; Yim et al., 2013).
미용은 기술과 과학을 바탕으로 한 실용학문으로서, 신체를 심미적, 의학적, 문화적, 사회학적으로 아름답게 표현하고 있다. ‘미용업’이란 손님의 얼굴·머리·피부 등을 손질하여 손님의 외모를 아름답게 꾸미는 영업을 말하며, 미용업에 종사하는 자는 반드시 국가기술자격 미용사(일반), 미용사(피부), 미용사(네일), 미용사(메이크업) 중, 자격증을 취득하여 면허증으로 발급받아야 한다(Cho, 2017).
국가기술자격법(2016. 12. 27.)에 의하면 ‘국가기술자격’은 자격기본법에 따른 국가자격 중 산업과 관련이 있는 기술·기능 및 서비스 분야의 자격을 말한다. ‘국가기술자격제도’는 국가가 산업현장에서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기술의 습득 정도를 평가·인정하는 제도로, 국가기술자격제도를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산업현장의 수요에 적합한 자격제도를 확립함으로써 기술인력의 직업능력을 개발하고 사회적 지위 향상과 국가의 경제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현재 미용사 국가기술자격제도는 2007년 보건복지부에서 공중위생관리법을 시행규칙으로 개정함으로써, 국가기술자격 미용사(일반)와 국가기술자격 미용사(피부)를 신설하여 시행령을 실시하였고, 2014년 7월에 국가기술자격 미용사(네일)을 신설하여 시행령을 실시하였으며, 2016년 7월에 국가기술자격 미용사(메이크업)을 신설하여 시행령을 실시하고 있다.
미용사는 국민의 건강과 직결되어 있는 공중위생분야에서 미용을 수행하는 사람으로서, 국가의 산업구조가 제조업에서 서비스업 중심으로 전환되는 차원에서 수요가 증대하고 있다. 분야별로 세분화 및 전문화되고 있는 세계적인 추세에 발맞추어, 미용의 업무 중 헤어, 피부, 네일, 메이크업 등의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미용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국민의 보건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자격제도를 제정하였다(Cho, 2017).
2017년 한국산업인력공단 자격검정통계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국가기술자격은 총 527종목(2016년 기준)이며, 2016년에 필기 813,396명, 실기 647,641명, 2015년에 필기 781,598명, 실기 624,184명이 합격하여 국가기술자격 취득자가 배출되었다. 이 중 미용사(일반)은 2016년에 필기 18,576명, 실기 12,678명, 2015년에 필기 17,651명, 실기 12,945명이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하였고, 미용사(피부)는 2016년에 필기 22,156명, 실기 15,021명, 2015년에 필기 19,801명, 실기 13,752명이, 미용사(네일)은 2016년에 필기 22,547명, 실기 16,663명, 2015년에 필기 26,872명, 실기 20,236명이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하였으며, 그리고 미용사(메이크업)은 2016년에 필기 13,876명, 실기 4,943명이 합격하여 국가기술자격을 취득하였다(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2017). 이러한 미용사는 헤어, 피부, 네일, 메이크업 등의 분야에서 지식과 기능을 발휘하여 각각의 역할과 작용으로 영역별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Oh (2011)의 연구에 의하면 미용사는 신체에 물리적·화학적인 작용을 가함으로써, 외모의 변화를 꾀하고 내면과 정신적 변화 등을 동반하므로, 미용업은 청결한 위생관리규정과 엄격한 자격기준을 기초로 한 국가기술자격 취득을 통해 전문성을 갖춰야 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이에 미용산업이 요구하는 전문적인 미용사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미용관련 기능사의 자격증이 실질적으로 국가경제의 발전과 개인의 지식향상에 도움이 되는 지를 고찰해야 할 것이며, 국가기술자격 미용사(일반), 미용사(피부), 미용사(네일), 미용사(메이크업)의 자격내용과 방법 등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이러한 국가기술자격 중 미용사(메이크업)은 국가기술자격법시행규칙 일부 개정령으로 고용노동부령 제123호(2015.1.21.)로 개정되어, 국가기술자격법 시행령 제15조(국가기술자격 검정의 시행 등) 및 동법 시행규칙 제12조(수시검정의 시행)의 규정에 따라 2015년 미용사(메이크업) 검정 시행계획을 공고(제2015-154호)하였으며, 2016년 7월 10일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이 최초로 시행되었다. 국가기술자격명은 미용사(메이크업)로 영문명은 Makeup Artist이며, 미용사(메이크업)의 관련부처는 보건복지부이고 시행기관은 한국산업인력공단이다.
미용사(메이크업)은 메이크업에 관한 숙련기능을 가지고 현장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전문기능인력을 양성하고자 자격제도를 제정하고, 수행직무는 얼굴·신체를 아름답게하거나 특정한 상황과 목적에 맞는 이미지분석, 디자인, 메이크업, 뷰티코디네이션, 후속관리 등을 실행하기 위해 적절한 관리법과 도구, 기기 및 제품을 사용하여 메이크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미용사(메이크업)의 필기시험 출제기준의 직무분야는 ‘이용·숙박·여행·오락·스포츠’ 이며, 중직무분야는 ‘이용·미용’ 으로, 필기과목명은 메이크업 개론, 공중위생관리학, 화장품학 등이며, 출제기준 적용기간은 2016년 7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시행한다. 그리고 검정방법은 객관식 4지 택일형, 합격기준은 100점 만점에 60점 이상일 경우 합격이며, 문제 수는 60문항, 소요시간은 1시간으로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없다(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2017).
이러한 국가기술자격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은 문제은행식 출제방법으로 노출되는 문제가 많아짐에 따라 큰 어려움 없이 합격할 수 있으나, 사용되는 많은 메이크업 전문용어의 올바른 사용과 한글과 외래어 표기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이에 대한 연구 또한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메이크업에 관한 용어들은 미국, 유럽 등에서 유입되어 점차 외래어화 또는 외국어를 발음하는 대로 한글화하여 사용하고 있다.
Kim et al. (2010)은 이러한 미용 전문용어들은 일반인들도 이해하기 쉽고, 외래어의 한글 표기 문제는 학문의 발전과 교육을 위해서 시급하다고 하였으며, Cho (2017)는 미용사 자격의 내용과 방법이 미용산업현장의 직무와 괴리되지 않아야 한다고 하였다.
이와 연관된 미용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전문용어 분석 및 용어표기, 교과서에 대한 분석, 국가기술자격에 대한 연구로, Cha & Ahn (2011), Cho et al. (1999), Cho (2017), Choi & Kim (2010), Huh et al. (2013), Jeong (2012), Lee & Youn (2010), Lee et al. (2012), Lee et al. (2001), Lim et al. (2013), Moon et al. (2013) 등이 있으나, 전문적인 미용분야의 학습을 위해서 정확한 용어 사용이 중요하지만, 실제 국가기술자격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의 전문용어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으로, 메이크업의 전문화된 교육을 위해서는 국가기술자격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전문용어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2016년에 시행되는 국가기술자격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주요항목에서 메이크업 개론 중 세부항목의 메이크업의 이해, 메이크업의 기초이론, 메이크업 기기·도구 및 제품, 메이크업 시술 등에서 메이크업과 관련된 전문용어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메이크업 관련 전문교육기관과 산업현장에서의 원활한 메이크업 용어 사용으로, 미용사(메이크업) 국가기술자격 필기시험 전문용어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Methods

1. 연구대상

본 연구에서는 고용노동부 산하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주관하는 국가기술자격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나, 국내·외의 선행 연구 및 국가기술자격 관련 논문이 미비한 실정이고, 2017년 1월부터는 computer based testing (CBT)접수로 기존 방식과 다르게 변경됨으로써, 2016년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에 진행된 필기 1회(기능사 수시 제2회), 필기 2회(기능사 수시 제3회)에 대해 연구하였다.

2.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첫째, 국가기술자격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과목의 주요항목에서 메이크업 개론 중 세부항목의 메이크업의 이해, 메이크업의 기초이론, 메이크업 기기·도구 및 제품, 메이크업 시술 등에서 메이크업과 관련된 전문용어를 분석하였다. 둘째,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용어와 교과서 편수 자료(Ⅲ) 응용 과학 편, Ⅶ. 가사·실업(Ministry of Education, 2011)에서 한글 표기가 다른 경우를 분석하였고, 셋째,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문제에서 같은 의미의 용어가 한글 표기가 다르게 된 경우를 분석하였으며, 넷째,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문제에서 같은 의미의 용어가 한글 표기 띄어 쓰기가 다르게 된 경우를 분석하였다. 다섯째,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문제에서 전문용어의 띄어쓰기 오류에 대해 분석하였다(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7).

Results and Discussion

1.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문제의 메이크업 전문용어 분석

전문용어는 특정한 전문분야에서 주로 사용되는 학술 용어나 기술 용어 등을 의미한다. 전문분야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일반용어와 달리 그 분야의 특수한 의미를 갖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동일한 표현이 서로 다른 분야들 간에 공통되는 것이 있을 수 있다(Moon et al ., 2013). 따라서 가운, 마스크 등의 용어도 미용 전문분야에서 분석할 경우에 전문용어가 되는 것이다. 2016년도에 진행된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1회(기능사 수시 제2회)와 필기시험 2회(기능사 수시 제3회)에서 메이크업과 관련된 전문용어를 분석한 결과 212개의 용어가 추출되었다. 추출된 전문용어는 자음, 알파벳 순으로 Table 1과 같이 정리하였다.

2.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문제와 교과서 편수 자료(Ⅲ)의 한글 표기가 다르게 된 경우

교과서 편수 자료는 교육부가 검인정교과서(檢認定敎科書)를 기술할 때 사용하도록 정한 용어로, 편수(編修)란 자료를 모아 책을 편집하고 만든다는 뜻이며, 편수용어는 넓게는 교과서를 편집하고 수정하는데 쓰이는 용어를 전부 포함하며, 교육부는 학회, 대학 등과 함께 심의하여 편수 용어를 규정하고 있다.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문제와 교과서 편수 자료(Ⅲ) 응용 과학 편 Ⅶ. 가사·실업(Ministry of Education, 2011)에 한글 표기가 다르게 된 용어는 추출된 212개 중 29개로 나타났다(Table 2). 각진 얼굴형-각진 얼굴, 역삼각형-역삼각형 얼굴, 아이메이크업-눈 화장, 섀딩/셰이딩-명암 등과 같이 용어의 의미는 같지만 한글 표기는 다르게 표기되었고, 의미는 같으나 외래어를 그대로 표기하거나 한글로 표기하느냐에 따라 용어의 표기가 다르게 나타나 용어의 혼동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우리나라 미용은 대부분 미국, 유럽 등 외국에서 유입되어 외래어 사용이 많아 한글과 외래어의 혼동을 주고 있어 학습자에게 학습전달과 이해도를 저하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3.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문제에서 같은 의미의 용어가 한글 표기가 다르게 된 경우

2016년도에 진행된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1회(기능사 수시 제2회)와 필기시험 2회(기능사 수시 제3회) 문제에서 같은 의미이나 한글 표기가 다르게 된 전문용어를 분석한 결과 212개 중 37개로 나타났다(Table 3).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문제에서 같은 의미의 용어가 한글 표기가 다른 경우는 각진 눈썹=각진 눈썹형=각진형 눈썹, 아이브로우 메이크업=아이브로우 화장 등 용어의 의미는 같으나 한글 표기가 다르게 되어 있는 용어들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메이크업 용어가 의미는 같지만 다르게 표기된 경우가 많아 학습자의 메이크업 용어 개념형성에 혼동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4.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문제에서 같은 의미의 용어가 한글 표기 띄어쓰기가 다르게 된 경우

2016년도에 진행된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1회(기능사 수시 제2회)와 필기시험 2회(기능사 수시 제3회) 문제에서 같은 의미 용어가 한글 표기 띄어쓰기가 다르게 된 전문용어를 분석한 결과 212개 중 6개로 나타났다(Table 4).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문제에서 같은 의미의 내용이 한글 표기 띄어쓰기가 다른 경우는 고형스틱 타입=고형 스틱 타입, 눈밑=눈 밑 등 6개로 나타났다.

5.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문제에서 전문용어 띄어쓰기 오류 분석

한글 맞춤법(2017. 3. 28.) 제5장 제4절 제50항에는 전문용어는 단어별로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하되, 붙여 쓸 수 있다고 명시되었다. 전문용어는 일반적으로 둘 이상의 단어가 결합하여 하나의 의미 단위에 대응하는 말로, 합성어의 성격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단어 의미 파악이 쉽도록 띄어쓰기를 원칙으로 하고, 편의상 붙여 쓸 수 있으며, 둘 이상의 전문용어가 접속 조사로 이어지는 경우에는 전문용어 단위로 붙여 쓸 수 있다(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7).
한글 맞춤법 규정에 따라 메이크업 전문용어 띄어쓰기 오류에 대해 분석한 결과, 띄어쓰기 원칙에 맞지 않는 용어와 띄어쓰기 허용에 맞지 않는 용어는 212개 중 21개로 Table 5와 같이 정리하였다. 이와 같이 필기시험 문제에서 두 단어가 결합되어 띄어쓰기 원칙과 띄어쓰기 허용에 맞지 않았고, 둘 이상의 단어가 결합된 용어의 경우 일관성 있게 띄어쓰기 원칙과 띄어쓰기 허용 규정을 적용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하여 Lee et al. (2012)은 미용 분야의 다양한 전문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분석에 대한 연구도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뿐만 아니라, 실제 교육현장에서 제대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도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Moon et al . (2013)은 개념 형성의 기초가 되는 미용 전문용어 사용의 통일성과 적절성 등의 문제에 대해서 논의되고 있지 않는 실정으로, 전문화된 학문으로 발전된 미용교육을 위해서는 정확한 개념과 내용에 충실하기 위해서 활용하는 단어나 용어의 개념이 맥락에서 적절하고 일관성 있게 사용되어 전문용어를 습득하고 접할 수 있도록 전문용어 분석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Conclusion

본 연구에서는 2016년도에 진행된 국가기술자격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1회(기능사 수시 제2회)와 필기시험 2회(기능사 수시 제3회)에 사용되는 메이크업 전문용어를 분석하고,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에서 용어와 교과서 편수 자료(Ⅲ) 응용 과학 편 Ⅶ. 가사·실업의 한글 표기가 다르게 된 경우,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문제에서 같은 의미의 용어가 한글 표기가 다르게 된 경우,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문제에서 같은 의미의 용어가 한글 표기 띄어쓰기가 다르게된 경우,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문제에서 전문용어 띄어쓰기 오류 분석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문제에서 메이크업과 관련된 전문용어를 분석한 결과 212개의 용어가 추출되었다. 추출된 212개의 전문용어 중에 교과서 편수 자료(Ⅲ) Ⅶ. 가사·실업의 한글 표기가 다른 경우는 29개로 다르게 분석되었으며,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문제에서 같은 의미의 용어가 한글 표기가 다르게 표기된 용어는 37개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같은 의미의 용어가 한글 표기 띄어쓰기가 다르게 표기된 용어는 6개로 분석되었고, 한글 맞춤법의 전문용어 띄어쓰기 규정에 따른 전문용어 띄어쓰기 오류는 21개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외에 한글과 외래어를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었고, 외래어 표기 사용시에 영문 표기가 되어 있지 않았다. 메이크업 전문용어의 통일성 및 적절성의 문제점과 메이크업 용어 중 외래어 사용 비중이 높음에 따라 외래어 메이크업 용어에 대한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방안으로 국가기술자격 메이크업 전문용어 정리를 위해 문헌고찰과 미용고등학교, 대학·학회, 그리고 미용산업체의 실무전문가 등과 함께 심의하고, 국가기술자격 미용사(메이크업) 자격내용을 수정·보완하여, 메이크업 전문용어에 대한 올바른 표기로 학습자와 미용산업현장에서의 혼돈이 없도록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기술자격 미용사(메이크업) 필기시험 문제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나 선행연구가 미비한 실정이고, 2017년에는 CBT응시로 문제 수집에 어려움이 있어 내용의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다양한 분석 연구로 전문용어를 재정립하고 추후 체계화된 용어정리의 표준화가 이루어져 메이크업의 전문용어 기틀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able 1.
Analysis of makeup terminology in the written examinations for makeup artist
Division Makeup terminology
ㄱ (27) 가루, 가을 메이크업, 가을 이미지 메이크업, 가운, 각진 눈썹, 각진 눈썹형, 각진 아치형, 각진 얼굴형, 각진형 눈썹, 겨울 메이크업, 결점, 고름색상, 고형스틱 타입, 고형 스틱 타입, 곡선, 곡선형, 공중위생, 구각, 구릿빛 피부, 귀 앞머리 부분, 그라데이션, 기미, 기생신분, 긴 눈썹, 긴 얼굴형, 긴형, 긴형 얼굴
ㄴ (17) 노란피부, 노즈섀도, 노즈 새도 브러시, 눈두덩이 중앙, 눈매, 눈밑, 눈 밑, 눈앞머리, 눈 앞머리 부분 눈썹, 눈언더라인, 눈중앙, 눈 중앙, 눈꼬리 부분, 눈썹 메이크업, 눈썹 산, 눈꼬리, 눈썹 형태
ㄷ (3) 더마 왁스, 둥근형, 둥근형 얼굴
ㄹ (8) 라텍스 스펀지, 라텍스 스펀지(Latex Sponge), 레트로 메이크업, 로맨틱 메이크업, 리퀴드 타입, 리퀴드 파운데이션, 립 브러시, 립 브러시(Lip Brush)
ㅁ (10) 마스카라, 마스크, 매트, 메이크업, 메이크업 미용사, 메이크업 베이스, 면봉, 명도, 명암, 밀착력
ㅂ (15) 발색, 발색도, 방수, 베이스 메이크업, 베이지 컬러, 베이스 컬러, 보습력, 봄 메이크업, 부은 눈, 분장, 뷰티메이크업, 브러시, 브러시 클리너, 블러셔, 블러셔 브러시
ㅅ (31) 사각형, 사각형 얼굴, 사선 방향, 사선 형태, 삼각형, 상승형, 상승형 눈썹, 색, 색조, 색조화장, 색상, 생사, 선, 선명도, 색소 침착, 섀딩, 셰이딩, 속눈썹, 쇠 브러시, 사극 수염분장, 수정 메이크업, 수평형, 수평형 눈썹, 스킨 커버(Skin cover), 스크루 브러시, 스크루 브러시(Screw brush), 스타일, 스틱 파운데이션(Stick foundation), 스펀지 퍼프, 스프리트 검(Spirit gum), 슬라이딩 기법
ㅇ (37) 아웃커버, 아이메이크업, 아이라이너 브러시, 아이라인, 아이래시 컬, 아이래시 컬(Eyelash curler), 아이브로우 메이크업, 아이브로우 섀도, 아이브로우 펜슬, 아이브로우 화장, 아이섀도, 아이섀도 브러시(Eye-shadow Brush), 아이섀도 포인트, 아이 홀, 아치형, 아치형 눈썹, 언더부분, 언더컬러, 얼굴모양, 얼굴형, 에보니 펜슬, 엘레강스 메이크업, 여름 메이크업, 여름철 메이크업, 역삼각형, 역삼각형 얼굴, 올라간 눈, 원 포인트 메이크업, 이미지, 입술 메이크업, 입술 모양, 윤각수정, 윤각 수정, 얼굴길이, 입체감, 위생, 일자형 눈썹
ㅈ (10) 작은 눈, 잡티, 장방형, 저고리 깃, 저채도, 전용 클리너, 주근깨, 직선형, 지속력, 지속성
ㅊ (2) 처진 눈, 채도
ㅋ (14) 커버, 커버력, 컨실러(Concealer), 컨투어링 메이크업, 컬, 컬러, 컬러 파우더, 케이크 타입, 케익 타입, 콘트라스트, 크림 타입, 크림 파운데이션, 클렌징 오일, 클렌징 크림
ㅌ (3) 투웨이 케이크(Two way cake), 트렌드, 트윈케이크 타입
ㅍ (19) 파우더, 파우더 브러시, 파우더 타입, 파우더 퍼프, 파운데이션, 패팅기법, 팬 브러시, 팬 브러시(Fan Brush), 팬 브러시(Fan brush), 펄, 펄 감, 펜슬 타입, 포인트, 포인트 메이크업, 포인트 컬러, 블러셔 브러시, 피부결점, 피부톤, 피부 톤
ㅎ (10) 하이라이트, 한복, 한복메이크업, 한복 메이크업, 항상성, 헤어라인, 형태, 화장, 화장법, 화장품
ㄲ (1) 꼬리
ㅆ (1) 썬탠 메이크업
A-Z (4) O존, T존, S존, U존, V존
Table 2.
Differences in Korean orthography between the written examinations for makeup artist and material for editing textbooks (III)
Division Material for editing of textbooks (Ⅲ) : applied science (terminology/original language) Make up terminology in the written examination for makeup artist
ㄱ (7) 가루분/loose powder 파우더, 파우더 타입
각진 눈썹/square eyebrow 각진형 눈썹, 각진 눈썹형, 각진형 눈썹
각진 얼굴/square face 각진 얼굴형
고형분/press power, compact powder 투웨이 케이크(Two way cake), 트윈케이크 타입
공중 위생법/public hygien 공중위생
그러데이션/gradation 그라데이션
긴 얼굴형/oblong face 긴형, 긴형 얼굴
ㄴ (1) 눈 화장/eye make-up 아이메이크업
ㄹ (1) 리퀴드 파운데이션/liquid foundation 리퀴드 타입, 리퀴드 파운데이션
ㅁ (3) 매트 타입/mat type 매트
메이크업 아티스트/make-up artist 메이크업 미용사
명암/shading 섀딩, 셰이딩
셰이딩 컬러/shading color
ㅂ (5) 보습/moisturizing 보습력
볼연지/blusher, cheek rouge 블러셔
블러셔/blusher 뷰티메이크업
뷰티 메이크업/beauty make-up 가루
분말, 가루/podwer 브러시 클리너, 전용 클리너
브러시 클리너/ brush cleaner
ㅅ (5) 색조 화장/tone make-up 색조화장
수염 분장/beard make up 사극 수염분장
수정 화장법/corrective make-up 수정 메이크업
스킨 커버/skin cover 스킨 커버(Skin cover)
스틱 파운데이션/stick foundation 스틱 파운데이션(Stick foundation), 고형스틱 타입, 고형 스틱 타입
ㅇ (3) 아이래시 컬러/eyelash curler 아이래시 컬, 아이래시 컬(Eyelash curler), 컬
아이브로우 메이크업/eyebrow make-up 아이브로우 화장
역삼각형 얼굴/inverted triangular face 역삼각형
ㅋ (3) 컨실러/concealer 컨실러(Concealer)
클렌징 클렌징 오일, 클렌징 크림
퍼프(분첩)/powder puff 파우더 퍼프
분첩/puff
ㅎ (1) 하이라이트 컬러/highlight color 하이라이트
Table 3.
Terminology with the same meaning but different Korean orthographies in the written examinations for makeup artist
No. Written examination terminology No. Written examination terminology
1 파우더=파우더타입 20 발색=발색도
2 가을 메이크업=가을 이미지 메이크업 21 사각형=사각형 얼굴
3 각진 눈썹=각진 눈썹형=각진형 눈썹 22 사선 방향=사선 형태
4 결점=피부결점 23 상승형=상승형 눈썹
5 고형스틱 타입=고형 스틱 타입=스틱 파운데이션(Stick foundation) 24 색=색조=색상=컬러
6 곡선=곡선형 25 수평형=수형형 눈썹
7 긴 얼굴형=긴형=긴형 얼굴 26 스크루 브러시=스크루 브러시(Screw brush)
8 눈두덩이 중앙=눈중앙=눈 중앙 27 아이래시 컬=아이래시 컬(Eyelash curler)=컬
9 눈밑=눈 밑=눈 언더라인=언더부분 28 아이브로우 메이크업=아이브로우 화장
10 눈앞머리=눈 앞머리 부분 눈썹 29 아치형=아치형 눈썹
11 눈썹 메이크업=아이브로우 화장 30 얼굴모양=얼굴형
12 눈꼬리 부분=눈꼬리=꼬리 31 여름 메이크업=여름철 메이크업
13 둥근형=둥근형 얼굴 32 역삼각형=역삼각형 얼굴
14 라텍스 스펀지=라텍스 스펀지(Latex Sponge)=스펀지 퍼프 33 지속력=지속성
15 리퀴드 타입=리퀴드 파운데이션=파운데이션 34 케이크 타입=케익 타입
16 립 브러시=립 브러시(Lip Brush) 35 투웨이 케이크(Two way cake)=트윈케이크 타입
17 메이크업=화장 36 팬 브러시=팬 브러시(Fan Brush)=팬 브러시(Fan brush)
18 베이스 메이크업=베이스 컬러 37 펄=펄 감
19 명암=섀딩=셰이딩
Table 4.
Terminology with the same meaning but different spacing in Korean in the written examinations for makeup artist
No. Written examination terminology
1 고형스틱 타입=고형 스틱 타입
2 눈밑=눈 밑
3 눈중앙=눈 중앙
4 윤각수정=윤각 수정
5 피부톤=피부 톤
6 한복메이크업=한복 메이크업
Table 5.
Terminology with spacing errors in Korean in the written examinations for makeup artist
No. Written examination terminology Spacing words Spacing permission
1 각진 눈썹형 각진 눈썹 형 각진눈썹형
2 각진 아치형 각진 아치 형 각진아치형
3 각진 얼굴형 각진 얼굴 형 각진얼굴형
4 각진형 눈썹 각진 형 눈썹 각진형눈썹
5 고형스틱 타입 고형 스틱 타입 고형스틱타입
6 긴 얼굴형 긴 얼굴 형 긴얼굴형
7 긴형 얼굴 긴 형 얼굴 긴형얼굴
8 눈꼬리 부분 눈 꼬리 부분 눈꼬리부분
9 둥근형 얼굴 둥근 형 얼굴 둥근형얼굴
10 사각형 얼굴 사각 형 얼굴 사각형얼굴
11 상승형 눈썹 상승 형 눈썹 상승형눈썹
12 사극 수염분장 사극 수염 분장 사극수염분장
13 수평형 눈썹 수평 형 눈썹 수평형눈썹
14 아이라이너 브러시 아이 라이너 브러시 아이라이너브러시
15 아이섀도 브러시 아이 섀도 브러시 아이섀도브러시
16 아이섀도 포인트 아이 섀도 포인트 아이섀도포인트
17 아치형 눈썹 아치 형 눈썹 아치형눈썹
18 여름철 메이크업 여름 철 메이크업 여름철메이크업
19 역삼각형 얼굴 역 삼각형 얼굴 역삼각형얼굴
20 일자형 눈썹 일자 형 눈썹 일자형눈썹
21 트윈케이크 타입 트윈 케이크 타입 트윈케이크타입

References

Cha EJ, Ahn HS. Comparison of beautician national licensing system in Germany, United Kingdom, and South Korea.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9: 141-151. 2011.

Cho JY, Park JS, Kim HS. The Korean technology qualification system: new directions towards the 21st century. The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6: 91-120. 1999.

Cho MJ. Analysis of the nail art terminology used in the written examination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for nail technician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5: 65-73. 2017.
crossref pdf
Choi SM, Kim EH. The current beauty national qualifications system and test for the estheticians satisfaction.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8: 289-299. 2010.

Huh EO, Whang WK, Jung YS. A study on required hours of education to reinforce the eligibility for the national certificate for esthetician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1: 547-554. 2013.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statistical yearbook 2017.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Ulsan. pp212-213. 2017.

Jeong SH. A comparative study and improvement devices on the national and international beauty therapy qualification.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8: 67-73. 2012.
crossref
Kim JH, Lee SD, Cho SY, Do SH. A study on the adoption and translation of foreign aesthetic terms into Korean. The Journal of Korea Beauty Design Society 6: 23-29. 2010.

Kim YK, Park EJ. Analysis of curriculum on types of beauty-related high school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9: 89-95. 2007.

Lee JH, Youn CS. A study of improvements on skin (beauty) national qualification certificates system and its problems. Journal of Beauty Industry 4: 5-28. 2010.

Lee JY, Jeun YS, Lee SY. Analysis of skin care textbooks for high school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0: 163-171. 2012.

Lee JY, Kim MS, Kim YT. The study to improve the licence system of Korean hairdresser.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7: 23-30. 2001.

Lim EH, Hwang JY, Kim HJ. Legislation improvement measures for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s for cosmetology.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1: 1033-1041. 2013.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angul orthography. Notification No. 2017-12. 2017.

Ministry of Education. Material for editing of textbooks (Ⅱ): applied science. Ministry of Education. Sejong. pp709-798. 2011.

Moon HJ, Yoo YJ, Kim MK, Jang HH. Analysis on the status of using technical terms in specialized high schools’ hair care textbook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1: 459-463. 2013.

Oh GS. The activation plan of beauty managers-centered beauty touris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7: 319-335. 2011.

Yim HY, Park CR, Kim SH. Suggested measures to improve operation of curricula of beauty specialized high school teachers.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9: 1094-1102. 2013.

Editorial Office
No. 1505, 1506, 3rd Ace High-End Tower, 145, Gasan digital 1-ro, Geumcheon-gu, Seoul 08506, Korea
TEL: +82-2-6957-8155   FAX: +82-502-770-2278   E-mail: ajbc.edit@e-ajbc.org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