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Asian J Beauty Cosmetol > Volume 19(1); 2021 > Article
헤어미용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의 긍정적 스트로크, 자아존중감, 조직유효성, 고객지향성에 관한 연구

요약

목적

본 연구에서는 헤어 미용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들의 긍정적 스트로크가 자아존중감, 고객지향성, 조직유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자아존중감이 고객지향성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긍정적 스트로크와 자아존중감을 갖춘 전문인으로 교육 훈련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헤어 미용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20대 헤어 미용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통해 수집된 자료 300부는 SPSS 2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의 긍정적 스트로크가 자아존중감, 조직유효성, 고객지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이 조직유효성, 고객지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으로는 첫째, 긍정적 스트로크를 높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나 상담 프로그램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둘째, 현장에서는 일방적 지시 업무가 아닌 상호 신뢰적 관계 형성을 위한 수용적, 개방적인 업무운영의 필요가 있다. 또한 학교에서는 주입식 교육이 아닌 학습조직문화를 활성화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훈련 지원정책을 수립하고 실행해야 한다. 셋째, 문화활동을 할 수 있도록 시간과 비용을 지원하여 긍정적 사고를 키울 수 있도록 해야 한다.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how positive strokes toward trainees in the hair beauty work-study system affected their self-esteem, customer orientation,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study provides th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a profess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including positive strokes to improve self-esteem and to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trainees on the work-study parallel system with a hair major.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300 completed questionnaires, made for trainees in their 20s, on a hair beauty work-study parallel system, and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0.

Results

The work-learning parallel system indicated that the positive strokes toward traine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self-esteem,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customer orientation. Moreover,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customer orientation.

Conclusion

First, the introduction of educational or counseling programs that can increase positive strokes is required. Second, receptive and open business operations to form mutually trusting relationships are needed rather than unilaterally directed work. In addition, schools should establish and implement various education and training support policies that can revitalize organizational learning culture rather than infusion education. Third, we need time and money so that we can engage in cultural activities that develop and support positive thinking.

中文摘要

目的

本研究调查了在美发美容工作研究系统中对受训人员的正向stroke如何影响其自尊,客户导向和组织有效性。这项研究为发展职业教育和培训计划提供了必要的基本数据,包括正向stroke以提高自尊心,并提高学员在美发美容专业的勤工俭学平行系统上的竞争力。

方法

从300份完整的调查表中收集数据,这些数据是针对20多岁的受训者在头发美容工作研究并行系统上进行的,并使用SPSS 22.0进行了频率分析,可靠性分析,因子分析和回归分析。

结果

工作学习并行系统表明,对受训人员的积极举动对其自尊,组织效率和客户导向有重大影响。此外,自尊对组织有效性和客户导向有重要影响。

结论

首先,需要引入可以增加积极中风的教育或咨询计划。其次,需要接受性和开放性的业务运营来形成相互信任的关系,而不是单方面指导工作。此外,学校应制定和实施各种教育和培训支持政策,以振兴组织学习文化而不是融合教育。第三,我们需要时间和金钱,以便我们能够参与发展和支持积极思考的文化活动。

Introduction

최근 헤어미용 산업에서는 직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무 교육훈련을 받으면서 일과 학습을 동시에 병행하는 현장실무형 인재양성을 위해 일학습병행제를 도입하였다.
일학습병행제는 독일과 스위스 등에서 시행하고 있는 일-학습 듀얼 시스템으로 도제식 교육을 우리나라의 설정에 맞게 도입한 제도로서 일과 학습을 병행하며 삶의 질 향상과 지식에 대한 욕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필요한 교육으로 전문적인 인재양성 방안으로 제시되고 있다(Kang & Kim, 2019).
헤어미용 분야는 2015년 9월에 일학습병행제를 도입하여 운영 초기단계이며, 헤어미용 산업에서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해서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Jeon & Park, 2020).
일학습병행제에 참여한 학습근로자는 기존의 학습자나 근로자와는 달리 학생으로서의 역할과 근로자로서의 역할 두 가지 목적을 동시에 이루고자 하므로 긍정적인 정서와 스스로 노력하는 태도, 원만한 대인관계는 필수이며 세 가지가 함께 공존할 때 시너지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특히 헤어 미용 산업은 인적 중심의 특성을 지니고 있어 고객접점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근로자의 역할이 중요하며, 근로자의 마음가짐이나 태도, 행동과 말투 등이 고객 만족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Kim & Ji, 2017). 따라서 성공적인 학업과 직장생활을 위해서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는 긍정적인 마음가짐, 즉, 긍정적 스트로크가 필수요소라고 할 수 있다.
스트로크란 개인 간의 인정단위로써 몸짓이나 눈짓, 표정 등 신체적 접촉을 포함할 뿐 아니라, 언어적, 정신적 태도 및 존재, 인격을 유지하는 모든 행위를 포괄하며(Shin & Kim, 2013), 긍정적 스트로크란 이러한 스트로크의 긍정적인 행위를 말한다. 긍정적 스트로크와 함께 자아존중감도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자아존중감은 자신의 능력, 중요성, 성공여부 등을 판단하며, 자신에 갖는 확신으로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자아 경멸을 하지 않는다(Kim, 2019a).
Bak & Kim (2017)은 자아존중감과 스트로크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Kim (2019b)도 긍정적 스트로크와 자아존중감은 청소년기 학교교육과 생활교육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 올 것이라 하였다.
일선에서 근무하는 헤어 미용 종사자에게 있어서 조직유효성과 고객지향성 또한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조직이 수행하는 기능과는 별도로 그 조직이 지니고 있는 존속, 순응, 자기유지, 성장의 능력을 조직유효성이라고 정의하며, 조직유효성은 직장 내부 구조의 안정과 유지라고 볼 수 있다(Kim et al., 2012). 고객지향성은 고객의 필요와 욕구를 파악하여 경쟁자보다 더 높게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활동을 말한다(Lee, 2011).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Kang et al., (2010)은 자아존중감과 조직유효성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유의미한 정(+)의 관계임을 확인하였고, Lee & Lee (2007)의 연구에서도 자아존중감이 조직유효성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자아존중감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Choi & Koh (2018)은 자아존중감이 고객지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 분석하여 자아존중감이 경쟁우의의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렇듯 긍정적 스트로크와 자아존중감, 조직유효성, 고객지향성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전문 미용인을 양성하는데 있어 중요하게 다루어 져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헤어 미용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들의 긍정적 스트로크가 자아존중감, 고객지향성, 조직유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자아존중감이 고객지향성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긍정적 스트로크와 자아존중감을 갖춘 전문인으로 교육 훈련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헤어 전공 일학습병행제 학습 근로자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Methods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20대 헤어 미용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를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자료의 수집방법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이 사용되었으며, 설명문 및 동의서 작성 후 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통해 연구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자료가 수집되었다.
2020년 9월 1일부터 9월 10일까지 총 30부의 예비조사를 통해 측정도구인 설문지의 구성과 내용을 수정 및 보완한 후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2020년 9월 11일부터 2020년 10월 10일까지 실시되었고 총 31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거된 306부의 설문지 중 분석에 사용되기 불충분하다고 판단되는 6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300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2. 측정항목 및 내용

본 연구는 자료의 수집을 위해 설문지법이 사용되었다. 설문 문항은 크게 일반적 특성(6), 긍정적스트로크(7), 자아존중감(4), 조직유효성(8), 고객지향성(6)의 31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선행연구의 설문문항 및 구성개념을 인용 및 응용하였다. 또한 2020년 공용기관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연구를 진행하였다(IRB 승인번호:P01-202008-22-001). 본 연구에 사용된 모든 리커트 척도는 '1: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5:매우 그렇다'까지의 5점 리커트 척도가 사용되었다. 설문지의 구체적인 내용은 Table 1과 같다.

3. 분석방법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연구문제를 검정하기 위해 SPSS 22.0 (IBM, USA), analysis of moment structure (AMOS) 21.0 (IBM)이 사용되었고, 자료의 분석방법은 가설에 맞게 순차적으로 적용되었으며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하였다. 둘째, 긍정적 스트로크, 자아존중감, 조직유효성, 고객지향성의 타당성 및 신뢰성 평가를 위해 요인분석을 시행하였고(주성분분석, 베리멕스 사용), Cronbach's α을 이용한 신뢰도 분석을 시행하였다. 셋째, 긍정적 스트로크가 자아존중감, 조직유효성,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자아존중감이 조직유효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의 변수 투입 방법은 입력 방식을 사용하였다.

4.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Kim (2019)의 연구에서 모의 긍정적 스트로크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한 상관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청소년기 긍정적 스트로크는 자아존중감의 학업 및 전반적인 자아, 친구 자아, 가정적 자아, 신체적 자아, 성격적 자아 간 유의미한 영향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긍정적 스트로크와 자아존중감을 학교교육과 생활교육에 반영하여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Shin & Kim (2013)은 교사의 긍정적 스트로크가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교사의 긍정적 스트로크 집단의 유아들의 자아존중감 평균점수가 비교집단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긍정적 스트로크가 유아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Kang et al., (2010)은 자아존중감과 조직유효성의 정(+)적 상관관계를 검증하여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조직유효성도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Lee & Lee (2007)는 스포츠센터 지도자의 자아존중감과 조직유효성의 관계를 연구하여 자아존중감이 조직유효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Choi & Koh (2018)은 고객지향성의 하위요인을 자발적 고객지향성과 업무적 고객지향성으로 구성하여, 자아존중감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자아존중감이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적 고객지향성이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Park & Lee (2019)는 자아존중감과 고객지향성 간에 유의적인 인과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구성원들은 서비스 접점에서 자신이 가치 있고 유능한 사람이라고 인식하여 고객에서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Jo & Yang (2016)은 조직유효성과 고객지향성의 영향관계를 실증 분석하여 조직유효성이 고객지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근거로 본 연구의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에 따른 연구모형은 다음 Figure 1과 같다.
가설 1. 학습 근로자의 긍정적 스트로크가 자아존중감, 조직유효성,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1. 학습 근로자의 긍정적 스트로크가 자아존중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2. 학습 근로자의 긍정적 스트로크가 조직유효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1-3. 학습 근로자의 긍정적 스트로크가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학습 근로자의 자아존중감이 조직유효성,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1. 학습 근로자의 자아존중감이 조직유효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2. 학습 근로자의 자아존중감이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Results and Discussion

1.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의 일반적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 Table 2와 같다.
연령의 경우 모두 20대로 나타났고, 성별은 여성 76.0%, 남성 24.0%로 여성이 높게 나타났다. 결혼여부의 경우 미혼 84.0%, 기혼 16.0%로 미혼이 높게 나타났다. 직원 수는 7명에서 9명이 35.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은 4명에서 6명 24.3%, 10명에서 12명 18.0%, 1명에서 3명 11.7%, 13명에서 15명 5.7%, 19명 이상 3.3%, 16명에서 18명 2.0% 순으로 나타났다. 직책은 인턴(스텝, 보조)이 54.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은 디자이너(실무자) 32.7%, 기타 4.3%, 실장(점장) 4.0%, 매니저 3.7%, 원장(대표) 1.3% 순으로 나타났다. 미용경력은 1년 미만이 50.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은 1년에서 3년 미만 20.3%, 3년에서 5년 미만 16.3%, 5년 이상 13.4% 순으로 나타났다.

2. 각 변수들의 타당성 및 신뢰도

학습근로자의 긍정적 스트로크, 자아존중감, 조직유효성, 고객지향성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 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 결과 χ2=8408.847 (df=300, Sig=0.000), KMO값 0.908로 나타났으며, 공통성은 0.489이상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 요인은 '조직유효성'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574-0.790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4.198, 분산설명비율은 16.7%로 나타났다. 두 번째 요인은 '고객지향성'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702-0.810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4.013, 분산설명비율은 16.0%로 나타났다. 세번째 요인은 '긍정적 스트로크'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646-0.738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3.774, 분산설명비율은 15.0%로 나타났다. 네 번째 요인은 '자아존중감'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754-0.812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3.130, 분산설명비율은 12.5%로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 도출된 네 개의 요인이 전체 분산의 60.4%이상 설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검증 결과, 신뢰도 계수인 Cronbach's 는 0.850-0.888로 높게 나타나, 신뢰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가설의 검증

1) 가설 1. 학습근로자의 긍정적 스트로크가 자아존중감, 조직유효성,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근로자의 긍정적 스트로크가 자아존중감, 조직유효성,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자아존중감은 긍정적 스트로크 요인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긍정적 스트로크 변수가 자아존중감 요인을 예측하는데 16.6%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긍정적 스트로크(β=0.409)로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긍정적 스트로크가 높아질수록 자아존중감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조직유효성은 긍정적 스트로크 요인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긍정적 스트로크 변수가 조직유효성 요인을 예측하는데 20.6%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긍정적 스트로크(β=0.455)로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긍정적 스트로크가 높아질수록 조직유효성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고객지향성은 긍정적 스트로크 요인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긍정적 스트로크 변수가 고객지향성 요인을 예측하는데 10.4%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긍정적 스트로크(β=0.324)로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긍정적 스트로크가 높아질수록 고객지향성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Kim (2019b), Shin & Kim (2013)의 연구에서 스트로크와 자아존중감이 서로 정(+)의 영향관계에 있음을 확인하였고, Kang et al. (2010), Lee & Lee (2007)의 연구에서는 스트로크와 조직유효성의 긍정적 영향관계임을 확인하여 본 연구를 뒷받침 해주고 있다. 따라서 가설 1은 채택되었다.

2) 가설 2. 학습근로자의 자아존중감이 조직유효성,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근로자의 자아존중감이 조직유효성,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조직유효성은 자아존중감 요인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 변수가 조직유효성 요인을 예측하는데 21.4%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자아존중감(β=0.464)로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아존중감이 높아질수록 조직유효성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고객지향성은 자아존중감 요인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 변수가 고객지향성 요인을 예측하는데 17.0%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자아존중감(β=0.413)로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아존중감이 높아질수록 고객지향성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Choi & Koh (2018), Park & Lee (2019)의 자아존중감이 조직유효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와 같은 결과로 본 연구를 뒷받침 해주고 있다. 따라서 가설 2는 채택되었다.

Conclusion

본 연구는 헤어 미용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들의 긍정적 스트로크가 자아존중감, 고객지향성, 조직유효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자아존중감이 고객지향성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긍정적 스트로크와 자아존중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긍정적 스트로크와 자아존중감을 갖춘 헤어 미용 전문인으로 교육 훈련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헤어 전공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헤어 미용 일학습 병행제 학습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통해 수집된 자료 300부는 SPSS 2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령은 모두 20대로 나타났고, 성별은 '여성', 결혼여부는 '미혼'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재직중인 직장의 직원 수는 '7명에서 9명', 직책은 '인턴(스텝, 보조)', 미용 경력은 '1년 미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설문 문항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조직유효성, 고객지향성, 긍정적 스트로크, 자아존중감의 네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고 전체 설명력은 60% 이상, 신뢰도계수는 0.850 이상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설검증 결과 긍정적 스트로크는 자아존중감, 조직유효성, 고객지향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존중감은 조직유효성, 고객지향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은 채택 되었다. 이렇듯 긍정적 스트로크와 자아존중감, 조직유효성, 고객지향성은 유의한 영향관계임을 확인하였으며,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스트로크가 높을수록 자아존중감, 조직유효성, 고객지향성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를 대상으로 긍정적 스트로크를 높일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나 상담 프로그램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학습과 일을 병행하는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들은 학생이면서 사회인이므로 미용 교육만큼이나 인성과 자아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은 필수적이며 긍정적 스트로크의 효과는 현장에서 더욱 빛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긍정적 스트로크가 조직 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현장에서 가장 필요한 사항으로 자신과 조직의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요소이다. 둘째, 자아존중감이 조직유효성과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근로자의 자아존중감은 조직유효성 향상과 고객유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학습근로자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현장에서는 일방적 지시 업무가 아닌 상호 신뢰적 관계 형성을 위한 수용적, 개방적인 업무운영의 필요성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학교에서는 주입식 교육이 아닌 학습조직문화를 활성화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훈련 지원정책을 수립하고 실행에 대한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셋째, 긍정적 스트로크와 긍정적 자아를 기를 수 있는 문화활동을 할 수 있도록 시간과 비용을 지원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학업과 일을 병행하다 보면 시간이 부족하여 긍정적 문화활동에 매진하기 힘들어진다. 때문에 학교와 기업에서는 독서, 영화, 공연 등의 지원정책을 추진하여 소소한 문화활동을 즐기며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긍정적 사고를 키울 수 있도록 도움을 줄 필요가 있다.
최근 현장경력과 학교 교육을 모두 충족시키기 위해 미용교육 방식이 다양화 되면서 교육기관과 현장경험의 조화가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의 긍정적 스트로크, 자아존중감, 조직유효성, 고객지향성에 대해 연구하여, 미용교육과 미용산업의 발전에 기여하는 연구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일부 지역의 일학습병행제 학습근로자를 대상으로 표본구성을 했으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 시키는데 제한점을 가질 수 있다. 더욱 광범위한 지역을 대상으로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Acknowledgement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Seokyeong University in 2020.

NOTES

Author's contribution
YJY and EJP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YJY and EJP all surveys were designed and surveyed. The collected questionnaire was written by YJY, and EJP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YJY wrote the manuscript with assistance from EJP.
Author details
Yi-Ju Yeo (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Design, Shin Ansan University, 135, Shin Ansan Deahak-ro, Danwon-gu, Ansan-si, Gyeonggi-do, 15435, Korea; Eun-Jun Park (Professor), Department of Hair and Makeup Design, College of Beauty Art, Seokyeong University, 124 Seogyeong-ro, Seongbuk-gu, Seoul 02713, Korea.

Figure 1.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Hypothesis 1. Positive strokes toward trainees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self-esteem,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customer orientation.
Hypothesis 1-1. Positive strokes toward trainees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self-esteem
Hypothesis 1-2. Positive strokes toward trainees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ypothesis 1-3. Positive strokes toward trainees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Hypothesis 2. The self-esteem of trainees has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customer orientation.
Hypothesis 2-1. The self-esteem of trainees has a positive (+)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Hypothesis 2-2. The self-esteem of trainees wi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ajbc-19-1-109f1.jpg
Table 1.
Configuration of a questionnaire
Research variables Scale (No. of questions) Quotation & applied data
General characteristics Nominal scale (6) Organization of researchers
Positive stroke 5-point Likert scale (7) Song & Kim (2020), Cho (2018)
Self-esteem 5-point Likert scale (4) Kwon & Heo (2019), Park & Cho (2016), Lee (2014), You (2014)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5-point Likert scale (8) Jo & Yang (2016), Kim (2019a), Kim et al., (2012)
Customer orientation 5-point Likert scale (6) Yeo & Park (2019), Park & Lee (2019), Cha et al., (2018), Lee (2011)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N=300, %)
Item Sum
N %
Age 20's 300 100.0
Gender Man 72 24.0
Woman 228 76.0
Marital status Single 252 84.0
Married 48 16.0
Number of employees 1-3 people 35 11.7
4-6 people 73 24.3
7-9 people 105 35.0
10-12 people 54 18.0
13-15 people 17 5.7
16-18 people 6 2.0
19 or more 10 3.3
Position CEO 4 1.3
Mounting 12 4.0
Manager 11 3.7
Designer (practitioner) 98 32.7
Intern (step, assistant) 162 54.0
Etc. 13 4.3
Beauty career Less than 1 year 150 50.0
1 to 3 years 61 20.3
3 to 5 years 49 16.3
More than 5 years 40 13.4
Sum 300 100.0
Table 3.
Emotional intelligence validity and reliability
Questionnaire Factor1
Factor2
Factor3
Factor4
Cocommonality
Group effectiveness Customer directivity Positive stroke Self respect
I think the respectful service industry is the best job in reality. 0.790 0.030 0.097 0.009 0.635
I am satisfied with the wages I am currently receiving. 0.742 -0.038 0.108 -0.102 0.574
I think my current job is stable. 0.712 0.053 0.108 0.205 0.563
I am enjoying what I am doing. 0.675 0.175 0.156 0.274 0.585
I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in what I do. 0.665 0.203 0.154 0.275 0.583
I am happy with the relationship with my current boss. 0.657 0.179 0.222 0.146 0.535
I think that I have personally grown and developed while doing my current job. 0.600 0.220 0.181 0.257 0.508
I am satisfied with my current relationship with my colleagues. 0.574 0.220 0.223 0.237 0.484
I try to answer customer inquiries sincerely. 0.003 0.810 0.112 0.164 0.696
I speak kindly to customers. 0.055 0.794 0.159 0.125 0.675
I try to accurately answer customer inquiries. 0.176 0.785 0.138 0.094 0.676
I try to provide the best service to customers. 0.129 0.772 0.034 0.137 0.633
I try to provide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r needs of the customer. 0.101 0.767 0.120 0.235 0.667
I am interested in the customer's problem and try to solve it. 0.261 0.702 0.087 0.032 0.570
A lot of my acquaintances and colleagues say thank you 0.098 -0.003 0.738 0.094 0.563
Many people acknowledge and encourage my efforts regardless of my performance. 0.246 0.153 0.725 0.167 0.638
I tend to greet the other person first at school or work. -0.016 0.107 0.704 0.143 0.528
I remember the birthdays of friends, co-workers, and family members, and congratulate them. 0.115 0.052 0.699 -0.029 0.505
I tend to be recognized by acquaintances and colleagues. 0.212 0.128 0.691 0.219 0.587
I have someone to talk to when a difficult problem arises. 0.206 0.173 0.646 0.179 0.522
I have been surprised by unexpected gifts many times. 0.232 0.115 0.646 0.072 0.489
I have a positive attitude toward myself. 0.208 0.179 0.192 0.812 0.771
I think I am a person of value like everyone else. 0.163 0.222 0.144 0.803 0.741
I can do my job just as well as others. 0.180 0.181 0.128 0.801 0.722
I am generally satisfied with myself. 0.204 0.120 0.199 0.754 0.664
Eigenvalue 4.198 4.013 3.774 3.130
Description Variable (%) 16.794 16.051 15.095 12.518
Cumulative variance (%) 16.794 32.845 47.940 60.458
Cronbach's α 0.869 0.888 0.850 0.881
Table 4.
The effect of positive strokes on self-esteem,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customer orientation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positive stroke) B SE B β t p
Self-esteem (Constant) 2.244 0.160 14.048*** 0.000
Positive stroke 0.476 0.042 0.409 11.404*** 0.000
adj R²=0.166; F =130.049; p =0.000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nstant) 1.942 0.140 13.862*** 0.000
Positive stroke 0.476 0.037 0.455 13.004*** 0.000
adj R²=0.206; F =169.101; p =0.000
Customer orientation (Constant) 3.046 0.134 22.748*** 0.000
Positive stroke 0.305 0.035 0.324 8.721*** 0.000
adj R²=0.104; F =76.053; p =0.000

B, unstandardized coefficient; β, standardized coefficient; t, t-value; R², correlation coefficient;

*** p <0.001.

Table 5.
The effect of self-esteem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customer orientation
Dependent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 (positive stroke) B SE B β t p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nstant) 2.057 0.128 16.047*** 0.000
Self-esteem 0.417 0.031 0.464 13.334*** 0.000
adj R²=0.214; F =177.786; p =0.000
Customer orientation (Constant) 2.849 0.119 24.034*** 0.000
Self-esteeme 0.334 0.029 0.413 11.550*** 0.000
adj R²=0.170; F =133.401; p =0.000

*** p <0.001; B, unstandardized coefficient; β, standardized coefficient; t, t-value; R², correlation coefficient; ***p <0.001.

References

Bak SH, Kim JH. A study on life script, ego state and stroke of adults with visual impairments. The Korean Journal of Visual Impairment 33: 59-77. 2017.
crossref
Cha JB, Kim DH, Park CW.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alesperson's customer empathy, job satisfaction, emotional commitment, and customer orientation. The Academy of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20: 23-43. 2018.
crossref
Cho B. A study on relation of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bility on temperament and mother’s stroke.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25: 239-261. 2018.
crossref
Choi SY, Koh JY. The effect of hotel employee self-esteem on service orientation and customer orientation.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30: 479-500. 2018.
crossref
Jeon GO, Park EJ. The mediating effect of customer orient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of hair beauty works and congruent learning work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6: 495-506. 2020.

Jo AR, Yang GS. The mediating effects on organization effective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training and customer orientation of airlines cabin crew.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30: 33-49. 2016.
crossref
Kang W, Kim W.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education and training satisfaction at work and learning dual system apprenticeships in Korea, work engagement, and turnover intention. Journal of Competency Development & Learning 14: 53-86. 2019.
crossref
Kang YS, Choi YJ, Park DL, Kim IJ. A study on nurses` self-leadership,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 143-151. 2010.
crossref
Kim ES.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stroke and self-esteem.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 483-491. 2019b.

Kim KC, Ji JH. A study of the influence of self-leadership on service flexibility, expression of positive emotions, and job performance and its mediating effects on hair cosmetology job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18: 81-97. 2017.
crossref
Kim MJ. A study on the effect of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ing on the regulating role of HR management effectiveness.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38: 139-163. 2019a.

Kim YS, Lee HS, Shin HY.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NGO leaders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focused on the mediated effects of organization trust. Korean Public Management Review 26: 1-31. 2012.
crossref
Kwon TI, Heo HS. Appearanc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according to the actual situation of eyelash beauty.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7: 295-306. 2019.
crossref
Lee BE, Lee SY. A effect of self-esteem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sports centers instructor.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9: 441-450. 2007.

Lee BH. The effects of the rearing attitudes of mothers, family strength, and self-esteem on the school life adjustment perceived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ring attitudes of mothers and their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Journal of the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32: 57-74. 2014.
crossref
Lee BY. A study on the influence of internal marketing of travel agency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customer orientation. Academy of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13: 19-38. 2011.

Park JC, Lee M.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lf monitoring, self presentation, self esteem, customer orientation and service commitment of hotel enterprise employees. Journal of Hotel & Resort 18: 39-61. 2019.

Park SM, Cho SW. The effect of golf majors’ awareness on harmfulness of UV and skin & health care behavior on self-esteeml.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4: 42-56. 2016.
crossref
Shin SK, Kim HJ. The effects of teachers positive stroke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 theory on young children self-esteem and selfcontrol. Journal of Chidren's Media & Education 12: 111-133. 2013.

Song YS, Kim Jm. The effectiveness of ego states and stroke on human relationship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ory of transactional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6: 265-286. 2020.

Yeo YJ, Park EJ. Emotional intelligence, customer orientation, and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hair salon worker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7: 199-209. 2019.
crossref
You DR. A study on the eco-friendly attitude of disposal behavior according to personal and collective self-esteem. Journal of Consumer Policy Studies 45: 183-206. 2014.
crossref
Editorial Office
No. 1505, 1506, 3rd Ace High-End Tower, 145, Gasan digital 1-ro, Geumcheon-gu, Seoul 08506, Korea
TEL: +82-2-6957-8155   FAX: +82-502-770-2278   E-mail: ajbc.edit@e-ajbc.org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