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Asian J Beauty Cosmetol > Volume 20(3); 2022 > Article
큰 눈과 작은 눈에 5가지 아이라이너를 적용한 뇌파와 감성반응

요약

목적

큰눈과 작은 눈에 5가지 아이라이너의 형태를 변화시킨 자극물을 제시하여 뇌파와 감성평가 결과를 도출하여 여성 이미지구축을 위한 과학적 데이터를 획득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20대 남녀 60명을 대상으로 큰눈과 작은 눈에 다섯 가지 아이라이너 형태에 의한 뇌파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for the brainwave, CVB)와 평균선호도 지수(API) 파악하여 비교하였다. 뇌파와 감성 평가에 대한 통계 분석은 SPSS를 사용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을 실시하였고, 95% 신뢰수준에서 Tukey's test를 통해 사후검증을 하였다.

결과

큰 눈과 작은 눈에 5가지 아이라이너를 적용하여 도출된 뇌파 반응 중 남녀 모두 PU의 자극에서 전반적으로 γ파의 활성정도가 높았으며, α파는 감소정도가 다른 주파수대역보다 적었다. 눈의 형태보다 아이라이너형태에 의한 자극이 뇌파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파악할 수 있었다. 각 자극물에 대하여 남녀의 뇌의 활성부위는 전두엽 특히 전전두엽(Fp1, Fp2, Fpz)의 활성정도가 두드러졌다. 남녀모두 자극물에 의한 반응은 활성부위와 활성정도의 차이만 있었고 남녀의 반응추이는 비슷하게 작용하였다. 다양한 형태의 아이라이너에 의한 API 반응결과는 PU 자극에 의한 반응만 음(-)의 감성이었고 나머지 아이라이너의 의한 API 반응은 양(+)의 감성반응이었다.

결론

큰 눈과 작은 눈에 다양한 아이라이너를 적용하여 도출된 뇌파와 감성반응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들은 얼굴 이미지 표현을 위한 기본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다양한 눈모양에 아이라이너를 적용하여 생리적•감성적 반응의 상관관계를 도출한다면 여성 이미지구축을 위한 과학적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s to obtain scientific data for establishing female images based on results from an evaluation of brainwaves and emotions, after applying five different forms of eyeliners on big and small eyes.

Methods

We comparatively analyzed coefficients of variations for the brainwaves and average preference indexes (API) of 60 males and females (age 21–29), after applying five different kinds of eyeliners on big and small eyes.

Results

The brainwave responses in males and females were examined by applying five kinds of eyeliners to their big and small eyes. This showed that the activity of the γ-wave was entirely higher in people when they were stimulated by pin-up eyeliner (PU) and the α-wave was less reduced than other frequency bands. The stimulation by the forms of eyeliners, rather than by those of the eyes of the people, could be a factor influencing the brainwave responses. The active sites of the brains of the males and females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each stimulus caused prominent activity in the brain, especially in the prefrontal lobe (Fp1, Fp2, Fpz). Differences were found only in the active sites and the degree of activity among their responses to each stimulus, but their response trends were similar. The API responses by various forms of eyeliners indicated negative emotional responses only when the eyes of the people were stimulated by PU, while the other API responses indicated positive emotional respons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comparative analysis on differences in brainwave and emotional responses, by applying different forms of eyeliners to people with big and small eyes, are thought to suggest a basic direction for expressing facial images. Therefore, it would be possible to collect huge scientific data for establishing female images, if the correlation among physiological and emotional responses can be drawn by applying eyeliners to people with big and small eyes.

中文摘要

目的

根据利用五种不同形式眼线的大小眼睛的刺激物来推导脑电波和情绪评估结果,以获得构建女性形象的科学数据。

方法

对20多岁的男性和女性60名为对象,根据大眼和小眼的五种眼线形态比较分析脑波变异系数(CVB)和平均偏好指数(API)。对于脑电图和情绪评估的统计分析,使用SPSS进行重复测量方差分析,并通过Tukey检验在95%置信水平下进行事后检验。

结果

在大眼和小眼使用五种眼线笔得出的脑电图反应中,男性和女性在PU刺激中均表现出高度的γ波活动,并且α波的降低程度小于其他频段。影响脑电图反应的因素确定为眼线形状的刺激而不是眼睛形状的刺激。对于每种刺激,男性和女性大脑的活跃区域在额叶中都很突出,尤其是前额叶(Fp1、Fp2、Fpz)。男性和女性仅在对刺激反应的活动部位和活动程度方面存在差异,且男女反应趋势相似。各类眼线笔的API反应结果,只有PU刺激的反应为负(-),其他眼线笔的API反应为正(+)情绪反应。

结论

脑电图的比较分析结果和通过将各种眼线笔应用于大小眼睛而得出的情绪反应差异的结果被判断为能够建议面部图像表达的基本方向。未来,如果将眼线笔应用于各种眼型,并得出生理和情绪反应之间的相关性,则判断可以收集到构建女性形象的科学大数据。

Introduction

사람의 이미지는 얼굴형, 눈, 코, 입, 옷•헤어 스타일 등에 의하여 타인에게 지각되어지고 평가하게 되며, 특히 얼굴이 주는 이미지가 전체적인 분위기를 좌우하게 되고 얼굴요소들 중 눈에 의하여 느낌이 좌우되는 경우가 많다. 사람들은 상대방의 얼굴만으로도 성격과 신뢰할 만한 인상이라고 판단한다(Secord, 1958; Berry & McArthur, 1985). 이렇듯 얼굴이 주는 영향은 이미지형성에 타인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이미지는 신체적요소와 메이크업, 헤어스타일, 옷차림 등에 영향을 받으며 특히 메이크업 이미지는 형태, 색채, 질감변화에 의하여 이미지 지각에 심리적인 효과를 좌우한다고 한다(Baek & Kim, 2014).
이미지에 관한 선행연구는 얼굴형태와 색채의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얼굴 이미지 연출에 미치는 요소를 체계화하여 이미지 메이킹에 활용하였고(Baek & Kim, 2014), 얼굴 이미지는 눈썹형태와 높이, 두께, 눈썹간 거리차이에 의하여 이미지 변화를 줄 수 있다고 하였다(Jeong, 2019). 대다수의 여성들은 이미지를 좋게 보이기 위하여 메이크업을 활용하였다. 화장품행동과 소비성향에 대한 연구에서 외모 관심도가 높은 여중생들은 BB 크림, 아이라이너, 립스틱순으로 관심도가 높아 색조 화장품에 의해서 이미지 변화를 준다고 평가하였다(Na & Song, 2014). 그리고 여러가지 형태의 아이라이너를 이용하여 얼굴 이미지는 다양한 감성을 도출할 수 있다고 하였다(Kim, 2014). 표준눈과 눈꼬리가 올라간 눈에 다양한 아이라이너를 이용하여 뇌파와 감성반응을 도출한 결과는 뇌파를 활성 또는 감소하였으며, 각각의 아이라이너에 따라 다양한 감성반응이 도출되어 얼굴 이미지 변화에 아이라이너의 활용성을 입증하였다(Kim, 2019: Kim, 2020). 이렇듯 얼굴 이미지에 미치는 요소들에 관한 연구와 얼마 안되는 정량적평가 연구는 있었으나 아이라이너를 이용한 메이크업의 효과를 입증하거나 이미지와 접목하여 도출한 정량적 연구는 아직도 미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큰 눈과 작은 눈에 다양한 아이라이너를 적용하여 도출된 뇌파와 감성반응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정량적 데이터 구축할 뿐만 아니라 얼굴 이미지 표현을 위한 기본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큰눈과 작은 눈에 각각의 아이라이너를 적용하여 생리적•감성적 반응의 결과를 도출하여 여성 이미지구축을 위한 과학적 데이터를 획득을 목적으로 한다.

Methods

1. 실험재료

선행연구(Kim et al., 2018a) 기반으로 표준눈을 기준으로 가로 0.3 cm, 세로 0.2 cm로 늘려 큰 눈으로 제작하였고, 가로 0.3 cm, 세로 0.2 cm로 줄인 눈을 작은 눈으로 변형 제작하였다. 두 눈(큰 눈, 작은 눈)의 형태에 5가지 아이라이너를 적용하여 자극물을 제작하였다. 아이 라이너를 그리지 않은 no liner의 형태를 NL, basic 아이 라이너는 BC, slept-in smudge의 아이 라이너는 SS, dropped flick의 아이 라이너는 DF, pin-up의 아이 라이너는 PU, arabic 형태의 아이라이너는 AA라고 하였다(Table 1). 변형된 두 눈(큰 눈, 작은 눈)에 아이라이너에 의한 반응결과만을 도출하기 위하여 다른 자극인 피부색과 입술을 배제시켰다. 눈과 눈썹 만을 아이라이너를 적용하여 일러스트레이션 하였고 이 자극물들을 스캔하였으며, 스캔 된 12가지의 자극물들은 피험자들에게 모니터로 제시하였다.

2. 실험 대상 및 뇌파 측정방법

서울 경기도 소재의 20대 남녀 대학생, 남성 30명(평균25.2±0.8세), 여성 30명(평균23.2±0.7세)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대상자중 바탕뇌파가 불안정한 남성 3명, 여성 2명은 배제하여 총 55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피험자들은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측정을 통하여 신경학 또는 정신질환 병력이 없으며, 색맹이 아닌 정상적인 시각 기능을 가진 대상을 선발하였다. 본 연구는 헬싱키윤리기준과 임상시험기준을 준수했으며, 보건복지부 지정 공용기관 인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승인번호: P01-201807-11-002).
피험자에게 자극물은 모니터(24MP47HQ; ㈜ LG, KOREA)를 통해 제시하였다. 뇌파측정(electroencephalogram, EEG)은 QEEG 32 system (Laxtha, Korea)을 사용하였고, 뇌파 캡(Electro-capmedium 21ch, ECI, USA)을 이용하여 피험자 머리에 씌어 측정하였다. 뇌파 캡은 21부위에 국제 10-20 전극 배치법의 기준에 의한 센서가 부착되어 있다(Figure 1). 실험 전 대상자가 안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눈을 감은 채 3-5 min 동안 명상을 취하게 하였으며, 편안한 상태에서 컴퓨터 모니터를 20 s 동안 응시하도록 하여 뇌파반응을 수집하였다. 12개의 자극물은 무작위 순서로 제시하였고 자극물을 보고 있는 동안 눈 깜빡임은 데이터 처리과정에서 제거하였으며, 뇌파 측정 후 감성평가를 하였다(Kim, 2017; Kim, 2018; Kim, 2020).

3. 감성평가

10개의 자극물의 형용사 감성평가는 10 point (-5 to 5) 척도로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감성형용사는image research institute (IRI)의 이미지 형용사 스케일에서 사용한 단어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Kim & Ryu, 2011; Kim, 2017; Kim, 2018; Kim, 2020). 감성형 용사는 깊은-얕은, 정적인-활동적인, 인공적인-자연적인, 멋진-사랑스러운, 남성적인-여성적인, 딱딱한-부드러운, 어두운-밝은, 서양적인-동양적인, 나이든-젊은, 강인한-연약한, 무거운-가벼운, 탁한-맑은, 복잡한-단순한, 시원한-포근한 7쌍으로 구성하였다. 감성 형용사 선호도 지수(preference index, PI) 개념을 도입하여 평가하였다(Kim, 2017; Kim et al., 2018a; Kim, 2018; Kim, 2020).

4. 분석방법

큰 눈과 작은 눈에 5가지 아이라이너(BC, SS, DF, PU, AA)를 적용하여 수집한 뇌파값은 Telesca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정량적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0-50 Hz의 주파수 영역 중에 눈 굴림이나 안면 근육의 움직임에 따라서 영향을 많이 받는 델타파(0-4 Hz) 제거 후 Fast Fourier transform (FFT)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나머지 주파수 대역(4-50 Hz)의 파워 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전체 주파수 대역의 상대 파워값(relative power values, RPVs)인 가수면 상태에서 활성되는 세타파(relative theta power, θ파: 4-8 Hz), 이완 시 활성되는 상대 알파파(relative alpha power, α파: 8-13 Hz), 각성 시 출현하는 상대 베타파(relative beta power, β파: 13-30 Hz), 집중 시 출현하는 상대 감마파(relative gamma power, γ파: 30-50 Hz)로 분석하였다. 자극이 없는 상태의 바탕 뇌파(RPVs) 대비 아이라이너 형태 변화에 의한 상대 뇌파 파워 차이의 비율인 뇌파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for the brainwave, CVB)로 분석하였다. 각 자극에 의한 SEF50 (spectral edge frequency 50%)과 SEF90 (spectral edge frequency 90%) 주파수의 변화는 바탕 뇌파 평균값 대비 각 자극에 대한 주파수 값의 편차(△SEF50, △SEF90)로 도출하여 평가하였다(Chang et al., 2017; Kim et al., 2018a; Kim, 2018). 자극에 의한 각 주파수의 변화현상을 brain map으로 도시하여 자극에 의한 활성정도를 분석하고, 활성정도는 21부위 평균값으로 평가하였다. 뇌파 반응에 따른 통계 분석은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ver.22.0 (IBM, USA)을 사용하여 반복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을 실시하였으며, 95% 신뢰수준에서 Tukey' s test를 통해 사후검증을 하였다(Jung et al., 2015; Kim, 2018; Kim, 2020).

Results

1. 큰 눈과 작은 눈의 뇌파변동계수(CVBs)

1) 큰 눈

Eye-line 없는 형태의 눈은 NL, basic 아이라인은 BC, slept-in smudge의 라인은 SS, dropped flick의 라인은 DF, pin-up의 라인은 PU, arabic 형태의 아이라인은 AA로 명시하였다. 각 자극물을 제시하여 뇌파측정 한 남녀의 뇌파변동계수 결과는 다음과 같다(Figure 2).
남성의 θ파는 AA의 자극 시 55.7%로 가장 높았고 SS 자극 시 40.4%로 가장 낮았다. α파의 반응은 NL의 자극 시 -51.1%, PU는 -50.2%로 가장 많이 감소하였고, SS의 자극 시 -46.6%로 적게 감소하였다. β파는 NL 자극 시 29.7%로 다른 아이라이너의 자극에 의한 반응보다 활성정도가 작았으며, PU 자극 시 42.5%로 가장 크게 반응하였다. γ파는 NL 자극 시 56.9%로 가장 낮았으며 PU 자극 시 84.4%로 가장 크게 반응하였다(Figure 2A). 여성의 θ파 반응은 NL자극 시 48.9%로 가장 작게 활성 되었으며 PU 자극 시 58.2%로 가장 활성 되었다. α파는 NL 자극 시 47.1%, DF 자극 시 -47.6%로 가장 적게 감소되었고, PU 자극에서 -53.1%로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β파는 NL의 자극 시 42.5%로 활성도가 낮았고 DF 자극 시 48.8%로 가장 높았고 PU의 자극에서도 47.9%의 높게 반응하였다. γ파는 SS 자극에서 63.6%로 가장 비활성 되었고, PU자극에서 78.9%로 가장 활성되었고 NL의 자극에서도 78.4%로 높았다(Figure 2B). 남녀의 아이라이너자극에 의한 뇌파반응 추이는 비슷하게 도출되었다. 아이라이너의 형태변화에 의한 남성과 여성의 뇌파변동지수(θ, α, β, γ파)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θ파, α파, β파, γ파, 남: p<0.00, 여: p<0.00).

2) 작은 눈

남성의 θ파는 BC의 자극 시 55.5%로 가장 높게 활성되었고, PU 자극 시 49.6%로 가장 낮게 출현하였다. α파는 BC의 자극 시 -47.3%, PU 자극 시 47.0%로 많이 감소하였고, NL의 자극 시 -45.1%로 가장 적게 감소하였다. β파는 NL 자극 시 33.7%로 활성도가 작았고 PU 자극 시 39.3%로 가장 활성되었다. γ파는 AA 자극 시 58.8%로 가장 낮았으며 PU 자극 시 67.9%로 가장 높게 반응하였다(Figure 3A). 여성의 θ파는 NL 자극 시 43.1%로 도출되었고 PU 자극에서 51.9%로 가장 활성되었다. α파는 DF 자극 시 -45.3%로 가장 적게 감소되었고, PU 자극에서 가장 -50.5%로 가장 많이 감소하였다. β파는 DF의 자극 시 40.8%로 낮았고, NL 자극 시 50.1%, PU의 자극 시 48.7%로 높게 도출되었다. γ파는 AA 자극에서 71.8%로 가장 활성 정도가 적었으며 PU 자극에서 78.1%으로 가장 활성되었다(Figure 3B). 남녀의 아이라이너자극에 의한 뇌파반응 추이는 비슷하게 도출되었다. 아이라이너의 변화에 의한 남성과 여성의 뇌파변동지수(θ, α, β, γ파)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θ파, α파, β파, γ파, 남: p<0.00, 여: p<0.00).

2. 아이라이너 변화에 의한 △SEF50, △SEF90의 brain map 남녀의 반응

1) 큰 눈과 작은 눈의 △SEF50 남녀의 반응

큰 눈에 적용한 각 아이라이너의 자극에 대한 남녀의 △SEF50의 반응을 brain map으로 도시하였다(Figure 4). 남성은 BC의 자극에서 2.12 Hz로 가장 높게 활성 된 반면 AA 자극 반응은 1.05 Hz로 가장 낮게 도출되었다. AA 자극의 반응은 전전두엽(Fp1, Fp2, Fpz)에서 3.6-4.1 Hz로 가장 많이 활성되었으며 측두엽(T3, T4)에서도 3.6-4.4 Hz로 높게 활성 된 반면 후두엽(O1, O2, Oz)부분에서는 0.7-0.8 Hz로 낮게 활성 되었다. PU 자극의 전전두엽의 반응은 4.16-4.89 Hz로 높게 도출되었다. 전전두엽의 반응으로 보면 PU 자극이 가장 활성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Figure 4A). 여성의 반응은 DF의 자극에서 1.29 Hz로 높게 도출되었고, SS의 자극에서는 0.77 Hz로 다른 자극물에 비하여 활성정도가 낮았다. 모든 형태의 아이라이너 자극에 의한 남녀의 반응은 전전두엽에서 가장 활성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아이라이너 형태변화에 의한 뇌파 지표(△SEF50, △SEF90)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남: p<0.00, 여: p<0.00).
작은 눈에 적용한 △SEF50의 반응을 Figure 4B에 도시하였다. 남성은 BC의 자극에서 1.53 Hz로 도출되었고 특히 Fp1, Fp2, Fpz에서 2.37-2.61 Hz, 측두엽에서도 3.32 Hz로 반응하였다. BC의 자극에서는 Fp1, Fp2, Fpz에서 2.82-3.12 Hz, 측두엽에서 2.4-3.7 Hz로 활성되었다. 여성은 BC의 자극에서 1.20 Hz로 높게 활성 되었고 PU의 자극에서도 1.17 Hz로 도출되었다. 반면 DF의 자극에서 1.00 Hz로 낮게 활성되었다(Figure 4B). 여성도 역시 남성과 비슷한 결과로 BC의 자극에서 활성이 크게 도출되었다. 자극물에 의한 반응은 Fp1, Fp2, Fpz에서 3.9-4.1 Hz, T3, T4에서 1.9-3.5 Hz로 도출되었다. AA 자극물에 의한 반응은 Fp1, Fp2, Fpz에서 3.9-4.1 Hz, T3, T4에서 1.9-3.5 Hz로 활성 되었다. 남녀 모두 자극물에 의한 반응은 전전두엽(Fp1, Fp2, Fpz)에서 가장 활성되었다. 작은 눈은 NL, BC의 자극에서 △SEF50의 활성도가 높게 도출되었다. Fp1, Fp2, Fpz에서 3.63-3.90 Hz으로 도출되었으며 T3, T4에서 2.68 Hz로 활성 되었다. 모든 자극에서 남녀모두 측정부위 중 전전두엽(Fp1, Fp2, Fpz)과 측두엽(T3, F7, Fp1, Fpz, Fp2, F8, T4)에서 활성반응이 높았다. 아이라이너 형태변화에 의한 뇌파 지표(△SEF50)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남: p<0.00, 여: p<0.00).

2) 큰 눈과 작은 눈의 △SEF90 남녀의 반응

큰눈의 자극에 의한 남성의 △SEF90 반응은 PU의 자극에서 6.95 Hz로 가장 높게 활성되었고 21부위중 전영역에서 반응이 높게 도출되었다(Figure 5A). 전반적으로 다른 부위보다 후두엽(O1, O2, Oz)에서 활성도가 낮았다. 여성은 DF는 6.61 Hz, AA는 6.26 Hz로 도출되었다(Figure 5A). 반면 PU의 자극에서는 5.22 Hz로 다른 자극에 비하여 활성도가 낮았다. 그러나 전두엽에서의 활성도는 8.72로 자극에 대한 반응은 높게 도출되었다.
작은 눈은 DF의 자극에서 남성은 6.41 Hz 로 가장 활성 되었고 특히 전전두엽을 제외한 전 영역에서 반응이 높게 도출되었다(Figure 5B). 여성은 NL (6.29 Hz), BC (6.37 Hz), PU (6.23 Hz)의 자극에서 활성도가 높았고 전두엽 부위가 활성정도가 두드러졌다. 모든 자극에서 △SEF90의 반응부위는 남녀모두 전두엽(F7, F3, F2, F4, F8)에서 활성반응이 높았다. 아이라이너 형태변화에 의한 뇌파 지표(△SEF90)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남: p<0.00, 여: p<0.00).

3. 아이라이너 변화에 의한 API반응

큰 눈과 작은 눈에 아이라이너 변화에 의한 감성반응을 API지수로 평가하여 얼굴이미지 평가에 기반으로 할 수 있는 감성반응을 분석하였다.

1) 큰 눈의 API

남성의 반응은 NL의 자극에서 2.2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Figure 6A). 반면 PU의 자극에서는 0.6으로 가장 낮았다. AA의 자극에서도 2.0으로 높은 반면 여성은 NL은 1.5, AA 자극은 1.4로 평가되었고, 다른 자극과 달리 PU의 자극에서는 음의 방향으로 0.3으로 평가되었다(Figure 6B). 남성은 각 아이라이너 자극에 의한 API 반응이 양으로 모두 도출되었으나 여성은 PU 자극에 의한 반응은 음으로 도출되어 남성과 여성의 감성은 다르게 평가되었다. 남성에 비하여 여성은 각 아이라이너 형태에 따른 호감도 지수의 편차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Figure 6).

2) 작은 눈의 API

남성은 AA 자극에 의한 API지수가 1.1로 가장 높게 평가된 반면 PU에 의한 자극은 음의 방향으로 0.2었다(Figure 7A). 양의 방향으로 도출된 API반응중 SS, DF의 자극에서 0.4로 가장 낮았다. 여성의 API는 NL과 AA의 자극에서 1.1로 가장 높게 도출되었으며 PU의 자극 시 음의 방향으로 0.1로 도출되었다(Figure 7B). 남녀 모두 PU의 의한 자극에 대한 API는 음으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남녀의 API는 AA 자극에서 양의 방향으로 가장 높게 도출되었다(Figure 7).

Discussion

큰 눈에 아이라이너형태의 뇌파반응 결과는 남성은 PU의 자극에서 γ파가 가장 활성 되었으며 NL의 자극에서는 활성도가 낮았다. 여성도 NL과 PU의 자극에서 가장 크게 도출되었다(Figure 2). 작은 눈에 아이라이너를 적용하여 도출된 남성의 뇌파반응은 β파, γ파는 PU의 자극에서 가장 높게 도출되었다. 여성의 뇌파반응은 β파와 γ파는 PU와 NL의 자극에서 가장 활성되었고 BC의 자극에서도 큰 반응이었다(Figure 3). 큰 눈과 작은 눈에 의한 도출된 주파수 대역별 뇌파값은 남녀모두 큰 차이 없이 비슷한 반응이었다(Figure 2, Figure 3). 남녀 모두 △SEF50의 반응은 모든 아이라이너 자극물에 대하여 전전두엽과 측두엽에서 활성되었다(Figure 4). △SEF90의 반응은 전두엽에서 활성정도가 컸다(Figure 5). 큰눈과 작은 눈에 적용한 아이라이너 형태들 중 남녀의 API반응은 NL, AA 자극에서 양(+)의 감성으로 가장 높게 도출되었으며 PU의 자극에서 음(-)의 감성으로 API값이 도출되었다(Figure 6, Figure 7). 두 눈에 적용한 아이라이너 뇌파반응은 활성부위와 활성정도의 차이만 있었고 남녀의 반응추이는 비슷하였다.
눈꼬리가 올라간 눈에 PU를 적용하여 도출된 뇌파반응은 β파와 γ파의 활성정도가 가장 높게 남녀모두 도출되었다(Kim, 2020). 표준눈에 PU를 적용하여 도출된 뇌파반응은 β파와 γ파의 활성정도가 가장 높게 남녀모두 도출되었다(Kim, 2019). 이 결과들은 본 연구에서 큰눈과 작은 눈에서 PU를 적용하여 도출된 뇌파반응은 β파와 γ파의 활성정도가 높게 도출된 결과를(Figure 2, Figure 3) 지지하였다. 그리고 눈의 모양에 의한 영향보다 아이 라이너의 형태에 의한 반응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남녀의 반응차이보다는 아이라이너 형태에 의한 자극반응이 더 크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PU의 아이라이너는 눈꼬리가 상승형의 모양으로 날카로운 이미지를 준다. 이렇듯 PU의 날카로운 이미지는 β파와 γ파의 활성정도를 높게 하는 것은 집중과 각성을 유발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반면 큰눈과 작은 눈에 DF를 적용시 남녀모두 α파가 덜 감소되었다(Figure 2, Figure 3). 즉 다른 아이라이너보다 눈꼬리가 처진 형태의 아이라이너는 각성되는 것 보다 편안한 감성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앞서 표준눈에 적용한 DF 아이라이너의 자극에서도 역시 α파가 덜 감소되었다(Kim, 2019). 눈꼬리가 처진 형태의 이미지는 온순한 이미지를 중심으로 순진하며 미숙하고 모자라 어리숙해 보이는 이미지가 대표적이다(Park, 2017). 온순한 이미지를 유발하는 형태에서는 α파의 활성정도가 다른 주파수 대역보다 높게 반응되는 본 연구결과를 지지하였다.
영상물 감성반응을 네 개의 감성 요인(매력, 역동, 역정, 정감)별 영상물의 점수를 매겼을 때, 점수 가 높은 고감도 영상물에서 우뇌 두정엽의 알파파를 감소시키고 베타파를 증가시키는 경향을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Kim, 2006). 선행연구(Kim, 2006)에서도 역시 자극적인 영상물에서는 알파파의 감소 현상은 본 연구에서 눈꼬리가 올라간 형태의 아이라이너의 자극에서 알파파의 감소현상과 배타파의 증가현상을(Figure 2, Figure 3) 지지할 수 있었다.
시각자극물에 나타난 관심영역(Original, Polishing, Wood)에 대하여 각각의 영역을 비교 주시하며 전전두엽(Fp1, Fp2)과 전두엽(F3, Fz, F4) 영역의 활성으로 대뇌 전체영역에서의 보내는 시각자극물의 정보를 토대로 사고•판단하는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관심 및 선호대상에 뇌파의 집중도가 높게 도출되었다(Choi & Kim, 2019). 본 연구에서도 각각의 아이라이너 자극에 의한 반응은 △SEF50의 결과는 전전두엽의 활성 결과가 도출되었고, △SEF90의 활성은 전두엽의 활정도가 높게 도출되었다(Figure 4, Figure 5). 본 연구에서 집중과 각성지표가 높게 활성 된 결과는 시각적 자극이 많은 형태인 PU에서 γ파가 활성 된 결과를 지지하였다. 그리고 이 결과는 시각자극에 의한 강한 반응은 전전두엽과 전두엽에서 활성 되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선행연구에서 집중을 유발시켜 자극물을 제시한 결과 SMR파와 중간 베타파의 경우가 시각자극에 의한 피험자의 집중과 보다 관련성이 높다고 하였다(Jang & Han, 2014). 이 결과는 본 연구에서 PU의 아이라이너가 다른 아이라이너의 형태보다 집중감을 주는 형태임을 입증할 수 있었고 눈의 형태보다는 아이라이너의 형태에 의한 뇌파의 자극이 더 민감하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눈꼬리가 올라간 아이라이너가 시각적으로 좀더 자극적인 형태로 인지됨으로 뇌파의 각성정도가 더 활성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눈매를 보정하기 위하여 아이메이크업을 활용한다고 한다(Choi et al., 2010). 눈썹, 아이라인, 마스카라를 이용하여 비대칭 눈과 눈썹의 단점을 보완하고 수정하는 기능을 확인했다고 한다. 이 결과는 본 연구에서 여러 형태의 아이라이너를 적용했을 시 감성형용사 선호도 지수 (API)의 변화가 확연히 있음을 지지한다.
아이라이너 형태에 의해서 따라 얼굴의 이미지를 다르게 보일 수 있다고 한다(Kim, 2014). 본 연구 결과에서는 눈 모양에 적용한 아이라이너는 감성형용사 선호도 지수(API)가 양과 음으로 결과가 도출됨을 지지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극물에 의한 남녀의 뇌파반응 값은 차이가 있었으나, 반응추이는 차이가 없었다. 6가지 자극물에 의한 뇌파반응은 PU의 자극에서 γ파의 활성정도가 모두 크게 증가하였다. API 반응은 다른 형태의 자극에서는 양(+)의 반응이었으나 PU의 자극에서는 음(-)의 반응으로 도출되었다. 이는 얼굴 이미지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아이라이너 형태만으로도 가능하다고 유추할 수 있다.

Conclusion

20대 남녀 60명을 대상으로 큰 눈과 작은 눈에 아이라이너의 형태 변화에 의한 뇌파와 감성반응은 다음과 같았다. 큰 눈과 작은 눈에 5가지 아이라이너를 적용하여 도출된 뇌파 반응 중 남녀모두PU의 자극에서 전반적으로 γ파의 활성정도가 높았으며, α파는 감소정도가 다른 주파수대역보다 적었다. 눈의 형태에 의한 뇌파반응보다 아이라이너의 형태에 의한 자극이 더 두드러짐을 파악할 수 있었다. 각 자극물에 대하여 남녀의 뇌의 활성부위는 전두엽 특히 전전두엽(Fp1, Fp2, Fpz)의 활성정도가 두드러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남녀모두 자극물에 의한 반응은 활성부위와 활성정도의 차이만 있었고 남녀의 반응추이는 비슷하였다. 다양한 형태의 아이라이너에 의한 API 반응 결과는 PU 자극에 의한 반응만 음(-)의 감성이었고, 나머지 아이라이너의 의한 API 반응은 양(+)의 반응이었다. 이 결과는 얼굴 이미지를 변화하기 위해서는 아이라이너 형태변형만으로도 가능하다고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큰 눈과 작은 눈에 다양한 아이라이너를 적용하여 도출된 뇌파와 감성반응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들은 얼굴 이미지 표현을 위한 기본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다양한 눈모양에 여러 형태의 아이라이너를 적용하여 생리적•감성적 반응 결과를 도출한다면 여성 이미지구축을 위한 과학적 빅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22년도 장안대학교 연구비 지원으로 수행된 것으로 이에 감사드립니다.

NOTES

Author's contribution
MKK designed all experimental investigations, and collected EEG data. MKK oversaw the project, and contributed to all aspects of analysis and experimental design. MKK wrote the manuscript.
Author details
Min-Kyung Kim (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Care, Jangan University, 1182 Samcheonbyeongma-ro, Bongdam-eup, Hwaseong-si, Gyeonggi-do 18331, Korea.

Figure 1.

International 10-20 system electrode placement.

Location and nomenclature of the intermediate 10% electrodes, as standardized by the American Electroencephalographic Society.
ajbc-20-3-361f1.jpg
Figure 2.

Coefficient of variation for brain waves in males and females, derived from changes in forms of five eyeliners applied to big eyes.

Brain waves were extracted by changing standard eyes to big eyes and applying eyeliners to stimulants. (A) Male; (B) Female. NL, no eyeliner; BC, basic eyeliner; SS, slept in smudge eyeliner; DF, dropped flick eyeliner; PU, pin-up eyeliner; AA, arabic eyeliner; CVB, coefficient of variation for the brainwave; θ, relative theta power (■) ; α, relative alpha power (ajbc-20-3-361i2.jpg); β, relative beta power (ajbc-20-3-361i3.jpg); γ, relative gamma power (ajbc-20-3-361i4.jpg); **p<0.00.
ajbc-20-3-361f2.jpg
Figure 3.

Coefficient of variation for brain waves in males and females, derived from changes in forms of five eyeliners applied to small eyes.

Brain waves were extracted by changing small eyes to standard eyes and applying eyeliners to stimulants. (A) Male; (B) Female. NL, no eyeliner; BC, basic eyeliner; SS, slept in smudge eyeliner; DF, dropped flick eyeliner; PU, pin-up eyeliner; AA, arabic eyeliner; CVB, coefficient of variation for the brainwave; θ, relative theta power (■) ; α, relative alpha power (ajbc-20-3-361i2.jpg); β, relative beta power (ajbc-20-3-361i3.jpg); γ, relative gamma power (ajbc-20-3-361i4.jpg); **p<0.00.
ajbc-20-3-361f3.jpg
Figure 4.

Response of △SEF50 afterfive kinds of eyeliners are applied on big and small eyes.

SEF50 is specific frequency value accounting for 50% of the whole frequency domain. (A) Big eyes; (B) Small eyes. NL, no eyeliner; BC, basic eyeliner; SS, slept in smudge eyeliner; DF, dropped flick eyeliner; PU, pin-up eyeliner; AA, arabic eyeliner.
ajbc-20-3-361f4.jpg
Figure 5.

Response of △SEF90 afterfive kinds of eyeliners are applied to people with big and small eyes.

(SEF90 is specific frequency value accounting for 90% of the whole frequency domain. (A) Big eyes; (B) Small eyes. NL, no eyeliner; BC, basic eyeliner; SS, slept in smudge eyeliner; DF, dropped flick eyeliner; PU, pin-up eyeliner; AA, arabic eyeliner.
ajbc-20-3-361f5.jpg
Figure 6.

API response after five kinds of eyeliners are applied to big eyes.

Emotional changes by different forms of eyeliners were analyzed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emotional adjective PI (preference index). (A) Male; (B) Female. API, average preference index; NL, no eyeliner; BC, basic eyeliner; SS, slept in smudge eyeliner; DF, dropped flick eyeliner; PU, pin-up eyeliner; AA, arabic eyeliner.
ajbc-20-3-361f6.jpg
Figure 7.

API response after five kinds of eyeliners are applied to small eyes.

Emotional changes by different forms of eyeliners were analyzed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emotional adjective PI (preference index). (A) Male; (B) Female. API, average preference index; NL, no eyeliner; BC, basic eyeliner; SS, slept in smudge eyeliner; DF, dropped flick eyeliner; PU, pin-up eyeliner; AA, arabic eyeliner.
ajbc-20-3-361f7.jpg
Table 1.
Stimulants applying five kinds of eyeliners to big eyes and small eyes
ajbc-20-3-361i1.jpg

References

Baek KJ, Kim YI. Formative elements of the facial image of Korean women and the effects of makeup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 1-20. 2014.
crossref
Berry DS, McArthur LZ. Some components and consequences of a baby fa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8: 312-323. 1985.
crossref
Chang YJ, Kim MK, Ryu HW. Effects of inhalation of oxides (caryophyllene oxide, eucalyptol, and linalool oxide), the major ingredient of essential oils, on human emotions and EEG responses.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6: 410-422. 2017.
crossref
Choi EM, Kim SH, Lee YJ, Yang JS, Kim KY. Correctional effects of unsymmetric eyes by makeup.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Beauty and Art 11: 43-53. 2010.

Choi J, Kim J. Differences activation areas using EEG (Electroencephalogram) and eye-tracking experiments according to time series data in psychophysiology response for spatial preference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8: 527-540. 2019.
crossref
Jung SM, Kim MK, Ryu HW. Influence of the concentration of jasmine oil on brain activity and emotions.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4: 270-278. 2015.
crossref
Jang YS, Han JW. Analysis of EEG generated from concentration by visual stimulus task.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9: 589-594. 2014.
crossref
Jeong EY. A study of facial image differences based on eyebrow shape and position. Culture and Convergence 41: 423-452. 2019.
crossref
Kim EY, Kim MK, Kim ST, Ryu HW. Comparison of relaxation and calming effect of foot bath and lavender foot bath by EEG and emotional responses analysis. Journal of Odor and Indoor Environment 17: 122-131. 2018a.

Kim MK. The study of emotional reaction affecting the face image according to illustration various form of eyeliner.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2: 217-223. 2014.

Kim MK.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of personal color diagnosis guide and brain wave analysi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4: 407-416. 2016.
crossref pdf
Kim MK. Brain recognition and sensibility response according to the shape of eyes and eyeshadow tone.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5: 421-434. 2017.
crossref pdf
Kim MK. Brain waves and emotional responses, according to color stimulation of eye shadows using contrast and similar color arrangement.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6: 509-512. 2018.
crossref pdf
Kim MK, Kwak JE, Koo JE, Kim SH, Kim EH, Lee JM, Cheon JY, Hong SK. Make up pattern design book. Medisieon Publisher, Paju, pp52-54, 2018b.

Kim MK. Males’ and females’ EEG responses and image maps for emotional evaluation depending on variation in forms of eyeliner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7: 307-318. 2019.
crossref pdf
Kim MK. Brain waves and emotional responses in males and females derived from the application of various eyeliners to sloe eye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8: 309-319. 2020.
crossref pdf
Kim MK, Ryu HW. Analysis of emotional images according to eyes shapes and smoky makeup ton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14: 321-330. 2011.

Kim YH. A study on the lateral specification of human brain activity, using brain-wave measurement (EEG). Korean Journal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 Studies 20: 7-49. 2006.

Na YY, Song SY. The influence on make-up behavior and cosmetics consumption tendency to interest in appearence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Gwangju area.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18: 221-233. 2014.
crossref
Park JS. A study on the image changes of an eye shape according to eyelash desig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1: 58-73. 2017.
crossref
Secord PF. Facial features and inferential processes in interpersonal perception. In Person perception and interpersonal behavior. In: Taguiri R, Petrullo L, eds. Stanford University Press. Stanford, CA. pp300-316. 1958.

Editorial Office
No. 1505, 1506, 3rd Ace High-End Tower, 145, Gasan digital 1-ro, Geumcheon-gu, Seoul 08506, Korea
TEL: +82-2-6957-8155   FAX: +82-502-770-2278   E-mail: ajbc.edit@e-ajbc.org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