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Asian J Beauty Cosmetol > Volume 21(4); 2023 > Article
20-50대 여성의 공간유형이 화장품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완전자율주행자동차를 중심으로

요약

목적

본 연구 목적은 20-50대 여성의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유형이 화장품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20-50대 여성을 표본 집단으로 하여 2023년 3월 31일부터 4월 13일까지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총 306명 설문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선호도는 '휴식 및 수면을 위한 공간'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개인업무를 위한 공간', '음악 및 동영상 감상을 위한 공간' 이었다. 둘째,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 화장품 사용의도는 4개의 문항에서 각각 평균이 4.02, 3.93, 3.88, 3.91로 나타나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유형 중 뷰티 및 의료 공간과 음악 및 동영상 감상 공간은 화장품 사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결론

자동차 제조사 및 화장품 기업은 여성의 공간선호가 높은 '휴식, 개인업무, 음악 및 동영상 감상'과 관련된 경험이 충족되는 공간을 최우선적으로 제공해야 한다. 동시에 화장품을 보다 빠르고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실내 구성 및 공간 환경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즉, 목적지로 이동하면서 소비되는 시간적, 경제적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멀티태스킹이 가능한 공간을 제공하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fully autonomous vehicle space the intention to use cosmetics for women in their 20s and 50s.

Methods

A sample of women in their 20s and 50s responded to a survey conducted from March 31 to April 13, 2023, and a total of 306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nalysis data.

Results

First, regarding spatial preferences in fully autonomous vehicles, respondents favored “space for rest and sleep” the most, closely followed by “space for personal work” and “space for listening to music and videos”. Second, the intention to use cosmetics in the fully autonomous vehicle were notably elevated, with mean scores of 4.02, 3.93, 3.88, and 3.91 for each of the four distinct inquiries. Third, “beauty and medical spaces” and “space for listening to music and video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the intention to use cosmetics.

Conclusion

Car manufacturers and cosmetic companies should prioritize providing women spaces that satisfy their experiences associated with “relaxation, personal work, music and video viewing”, in which women's preference for space is high. Also, the interior composition and environment should be conducive to the faster and easier use of cosmetics. Simply put, efforts should be made to provide efficient multitasking spaces that can reduce time and economic costs while moving to a destination.

中文摘要

目的

实证分析全自动驾驶汽车空间对20-50多岁女性使用化妆品意愿的影响。

方法

以20-50多岁的女性为样本,于2023年3月31日至4月13日进行调查,共306份问卷作为分析数据。

结果

首先,对于全自动驾驶汽车的空间偏好,受访者最喜欢“休息和睡眠的空间”,紧随其后的是“个人工作的空间”和“听音乐和视频的空间”。其次,在全自动驾驶汽车中使用化妆品的意愿显着提高,四个不同问题的平均得分分别为 4.02、3.93、3.88 和 3.91。第三,“美容医疗空间”和“听音乐、看视频的空间”对化妆品使用意愿有统计显着的正向影响。

结论

汽车制造商和化妆品公司应优先为女性提供满足其“放松、个人工作、音乐和视频观看”体验的空间,其中女性对空间的偏好较高。此外,室内布局和环境应有利于更快、更轻松地使用化妆品。简而言之,应努力提供高效的多任务空间,以减少到达目的地时的时间和经济成本。

Introduction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운전자의 개입없이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운행하는 완전자율주행자동차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2022년 국토교통부 보도자료에 따르면 2025년에는 운전자가 필요 없는(Level 4) 버스가 최초로 상용화되어 심야 시간과 도시 외곽지역에서 운행될 것이며, 2027년에는 운전자 없는 주행이 가능한 완전 자율 승용차가 상용화되어 운전 부담으로부터 자유로운 이동이 실현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22). 특히, 2035년에는 완전자율주행 기술이 대중화되어 교통 안전 및 교통 혼잡 해소가 실현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Park, 2022).
미국자동차공학회(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SAE)는 자율주행수준을 6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0단계는 운전자가 주행의 전체 기능을 제어하는 단계이며, 1-3단계는 시스템이 운전자를 보조하면서 주행하는 조건부 자율주행단계이다. 그리고 4-5단계는 특정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자동차가 스스로 자율주행을 하는 단계이다(Ryu et al., 2021).
이러한 자율주행 단계 중 4단계 이상인 '완전자율주행' 기술은 우리 사회의 많은 영역에서 큰 변화를 가지고 올 것으로 예상된다. 먼저 자동차 산업 자체를 기존의 단순한 제조업에서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하는 첨단 IT 산업으로 변화시킬 것이다. 또한 완전자율주행자동차는 교통 인프라를 시작으로 도시 환경 자체를 크게 바꾸는데도 기여할 것이다(Lee & Jung, 2018). 그리고 전자 제어 시스템을 통한 운전 환경 통제로 교통 사고 예방, 교통 혼잡 문제 해소 등 사회 전반적인 문제들까지도 해소시킴으로써 사회적인 효율성 및 경제적 후생 또한 증대시킬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Park, 2022).
완전자율주행자동차가 가져올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자동차 공간에 대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완전자율주행자동차는 단순한 이동수단의 개념을 뛰어 넘어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생활공간으로 정의되고 있다(Lee & Pan, 2020). 기존 자동차 공간은 운전이 주된 목적인 공간이었다면, 완전자율주행자동차에서 운전자는 운전이라는 행동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기 때문에 자동차 안에서 여러 가지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따라서 미래에 완전한 자율주행 자동차가 보편화되면 탑승자는 차량 안에서 개인업무, 게임, 운동, 쇼핑, 휴식 등의 다양한 활동을 운전에 대한 부담 없이 자유롭게 할 수 있게 될 것이다(Park, 2022).
이처럼 완전자율주행자동차는 운전자가 운전이라는 행위에서 자유로워지기 때문에, 공간활용 측면에서의 변화에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많은 연구자들이 완전자율주행 기술과 공간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활발하게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Lee (2017)는 공간디자인 차별화 개념을 적용하여 자율주행자동차 인테리어 공간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였고, Lee & Park (2023)은 완전자율주행차의 실내공간 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요인과 자동차 실내공간에 대한 사용자 인식을 분석하여 보다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실내 공간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였다.
완전자율주행자동차와 관련된 소비자 중심의 연구는 소비자의 공간인식 및 공간유형을 토대로 실내공간 설계 및 디자인 방안을 제안하는 연구가 주로 진행되고 있다. Kwon & Ju (2018)는 완전자율주행자동차의 실내공간 구성 가이드라인 및 활용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을 실내 행위에 대한 소비자 의식을 중심으로 분류하였으며,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을 '취미 및 오락, 휴식, 개인유지 및 가정관리, 업무 및 자기계발, 감상'으로 유형화하였다. 또한 Yoo et al. (2019)는 완전자율주행자동차의 실내공간을 휴식/편의, 엔터테인먼트, 업무 3 가지로 유형화하였고, 자동차 시트의 유동성을 중심으로 완전자율주행자동차의 공간 활용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Lee & Pan (2020)은 완전자율주행자동차를 주거공간의 개념으로 확장하면서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을 '주거공간 내의 일상 공간, 교제 공간, 관리 공간, 업무 및 교육 공간, 엔터테인먼트 공간'으로 유형화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통해 주거를 위한 완전자율주행자동차의 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한편, 소비자 중심으로 공간유형(space types)을 분류한 연구도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되고 있다(Yoo & Lee, 2016). 주로 주거공간에서 공간유형을 분류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Ryu et al. (2009)는 주거 공간 내에서 발생하는 소비자의 행위를 분석하여 취미/교육/엔터테인먼트, 화장실 위생, 소통, 보안/안전, 개인위생/청결, 음식, 휴식, 관리 총 8가지로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Kim & Oh (2011)는 복합쇼핑몰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을 공간유형에 따라 '내 집 같은 공간'으로 편안함을 중요시하는 유형, '문화공간'으로 쇼핑과 동시에 문화적 체험을 중요하게 여기는 유형, '편리한 공간'으로 한 공간에서 여러가지를 할 수 있는 점을 중요시하는 유형, '서핑공간'으로 호기심을 자극하고 채워주는 점을 중요시하는 유형 총 4가지로 쇼핑몰 공간을 유형화하였다. 그리고 복합쇼핑몰에 대한 소비자의 공간유형을 토대로 각각의 공간유형에 맞는 맞춤형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제시하였다. 또한 Yook & Kim (2016)은 공공도서관의 공간 특성에 따라 도서관 공간을 유형화하였으며, 연구결과를 토대로 공공도서관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형성하는데 적합한 도서관 공간 구성을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그간 진행된 공간유형에 대한 연구들은 소비자의 공간 유형 자체에 중점을 두거나, 이러한 소비자의 공간유형을 바탕으로 구체적인 마케팅 전략이나 실내공간 설계 및 디자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집중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연구들은 소비자의 공간유형을 구체적으로 분석한 점에서는 의미가 있지만, 분석한 공간유형이 소비자의 실제적인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데까지 확장하지는 못하였다. 더욱이 완전자율주행자동차를 사용하는 실제적인 주체는 소비자이기 때문에 소비자의 실제적인 행동을 분석하는 부분은 매우 중요한 영역이라고 할 수 있다(Beck & Lee, 2022). 따라서 본 연구는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을 소비자의 선호도를 기준으로 유형화하여 화장품과 같은 다른 산업 제품의 사용의도와 연관시켜 소비자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용의도(intention to use)란 사용자가 기회가 주어질 때 마다 해당 기술 및 제품을 지속적이고 정기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의도라고 정의할 수 있다(Mathieson, 1991). 화장품과 관련된 사용의도 연구로는 Lee (2022)가 화장품 모바일 앱 인터페이스 디자인 요소가 사용성 평가 및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가 있으며, 연구를 통해 그래픽, 레이아웃, 컬러, 타이포그래피가 소비자의 사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Zhao et al. (2019)는 지각된 화장품 브랜드 앱의 특성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연구를 통해 가격 할인, 상호작용, 사용 편의, 정보 제공, 다양성, 보안성이 사용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를 통해 화장품 관련 사용의도에는 여러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Lee et al., 2013), 완전자율주행자동차와 같은 새로운 공간에서 소비자가 특정한 제품을 사용하려면 사용의도가 중요한 전제조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의 화장품 사용의도가 소비자의 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판단되어 소비자의 공간유형을 독립변수로 정하고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의 화장품 사용의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이에 대한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자율주행자동차와 관련된 사용의도 연구로는 Beck & Lee (2022)가 자율주행 자동차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가치기반수용모델(VAM)을 기반으로 분석한 연구가 있으며 연구 결과, 자율주행 자동차의 특성 요소인 안전성, 편리성 등이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Yoon & Kim (2018)은 자율주행자동차가 대중교통 수단인 택시로 이용될 때, 해석수준과 메시지 프레이밍에 따른 사용의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자율주행 택시의 사용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혜택(Gain)과 왜(Why)를 바탕으로 한 메시지 형태가 높은 사용의도를 일으킨다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해외에서도 Gopinath & Narayanamurthy (2022), Meyer-Waarden & Cloarec (2022)이 완전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한 사용의도를 소비자 관점에서 연구하였지만, 완전자율주행자동차 안에서 특정한 산업의 제품에 대한 사용의도와 같은 소비자 행동까지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 소비자의 공간유형과 화장품 사용의도 간의 상관관계를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소비자의 완전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한 공간선호도를 확인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선호도를 중심으로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을 유형화한 후, 이러한 공간유형이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 화장품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 화장품 사용의도를 분석하고자 하기에, 화장품을 주로 사용하는 20-50대 여성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동차 제조업체 및 화장품 기업이 소비자 중심적으로 실내공간을 설계 및 디자인하고, 조만간 다가올 완전자율주행자동차 시대에서 주도권을 잡을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주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또한, 이제까지 고려되지 않았던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유형과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의 화장품 사용의도 간의 관계를 검증하여,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 다양한 제품의 사용의도를 연구할 방향을 새로운 관점으로 제시한 선도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2. 연구 문제

본 연구는 20-50대 여성의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유형이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 화장품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문제 1. 20-50대 여성의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선호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20-50대 여성의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 화장품 사용의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20-50대 여성의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유형은 화장품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Methods

1. 연구대상 선정 및 자료 수집 기간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는 20-50대의 여성으로 선정하였다. 이에 20-50대의 여성 소비자를 중심으로 구글 온라인 설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방식은 자기평가기입식(self-administration-method)을 사용하여 응답자가 직접 설문내용을 읽고 기입하는 방식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는 2023년 3월 31일부터 4월 13일까지 시행하였으며 총 338개의 데이터에서 결측 치 및 정규성 입증이 어려운 설문문항을 제거하여 총 306개의 데이터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2. 분석방법

본 연구의 설문자료 통계분석은 PASW Statistics by SPSS 25.0 (IBM, US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빈도분석을 통해 빈도와 백분율을 확인하여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연구의 주요 변수인 공간유형과 화장품 사용의도 항목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EFA)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 Cronbach's α값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공간선호도 및 화장품 사용의도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여 빈도 및 평균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구의 주요 변인 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중회귀분석(Multi-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주요 변수인 공간유형과 화장품 사용의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모든 분석은 유의수준 0.05 수준으로 검증하였다.

3. 설문 구성

본 연구의 설문은 인구통계학적인 특성 6항목,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선호도 1 항목,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유형 20 항목,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의 화장품 사용의도 4항목으로 총 32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1점 '전혀 그렇지 않다'와 5점 '매우 그렇다'의 범주로 구성하였다.

1) 인구통계학적 특성

본 연구에서는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성별, 연령, 최종학력, 결혼여부, 월 소득, 직업으로 총 6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측정방법은 명목척도를 사용하였다.

2)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유형

본 연구에서 독립변수로 사용한 소비자의 공간유형과 관련한 설문지 작성을 위해 Kwon & Ju (2018), Lee & Pan (2020)의 연구모형 및 설문지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설문문항을 작성하였다. 먼저 Lee & Pan (2020)이 요인분석을 통해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유형을 엔터테인먼트 공간, 관리 공간, 업무 및 교육 공간, 일상 공간, 교제 공간으로 유형화한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소비자 공간유형을 5개의 하위요인(음악 및 동영상 감상 공간, 뷰티 및 의료 공간, 개인 업무 및 공부 공간, 휴식 및 명상 공간, 대면교제 공간)으로 분류하였으며 총 20개의 설문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Kwon & Ju (2018)가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을 실내 행위를 기준으로 분류하면서 '개인, 가정 관리 공간'의 하위요인으로 외모관리(화장)와 의료서비스 받기를 포함한 결과를 바탕으로 뷰티 및 의료 공간을 하나의 유형으로 도출하였다.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구성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공간유형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하도록 하였다.

3) 화장품 사용의도

본 연구에서 종속변수로 사용한 화장품 사용의도 설문을 위해 Hong & Nam (2021), Oh et al. (2009), Lee (2012)의 연구 모형 및 설문지를 참고하여 연구자가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하였다. 문항 내용은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의 화장품 사용의도에 관한 4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각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구성하였으며 점수가 높을수록 화장품 사용의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하도록 하였다.

Results

1.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인 특성

본 연구의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전체 응답자는 306명이었고, 인구통계학적 분포는 다음과 같다. 성별은 여성 소비자만 대상으로 하여 여성만 306명(100%)이었다. 연령별로는 20대는 18명(5.9%), 30대는 121명(39.5%), 40대는 153명(50.0%), 50대 이상은 14명(4.6%)이었다. 학력별로는 고등학교 졸업이 43명(14.1%), 대학교 재학이 9명(2.9%), 대학교 졸업이 222명(72.5%), 대학원 이상이 32명(10.5%)이었다. 결혼상태는 미혼이 60명(19.6%), 기혼이 246명(80.4%)였다. 월 소득은 100-199만원이 56명(18.3%), 200-299만원이 67명(21.9%), 300-399만원이 72명(23.5%), 400-499만원이 44명(14.4%), 500만원 이상이 67명(21.9%)이었다. 직업별로는 회사원 112명(36.6%), 전문직 26명(8.5%), 공무원 6명(2.0%), 자영업 17명(5.6%), 학생 4명(1.3%), 전업주부 99명(32.4%), 기타 42명(13.7%)이었다.

2.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

본 연구에서는 연구문제 검증을 위한 예비분석으로 탐색적 요인분석(EFA)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탐색적 요인분석을 위해 주성분 분석과 Varimax 회전법을 사용하였다. 요인추출의 기준은 초기 고유값(Eigenvalue)은 1.0 이상, 요인 적재치는 0.5 이상으로 정하였다. 요인 적재치가 0.5 이하인 항목은 제거하면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요인별 Cronbach's α계수를 측정하여 내적일관성과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유형의 20개 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요인분석을 하는 과정에서 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 적재치 0.5 이하인 6번 문항은 제거하였다. 분석 결과, 표본적합도를 나타내는 Kaiser-Meyer-Olkin (KMO)값이 0.839, 요인분석의 적합도를 나타내는 Bartlett의 구형성 검증결과 χ2=3220.600, df=171, p<0.001로 요인분석을 실시하기에 적합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5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모든 항목의 요인적재량이 0.5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요인 1은 '음악 및 동영상 감상 공간'에 관한 4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Cronbach's α=0.878로 나타났다. 요인 2는 '뷰티 및 의료 공간'에 관한 5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Cronbach's α=0.827로 확인되었다. 요인 3은 '개인업무 및 공부 공간'에 관한 4개의 문항이었으며 Cronbach's α=0.783으로 확인되었다. 요인 4는 '휴식 및 명상 공간'에 관한 문항 4개로 이뤄졌으며 Cronbach's α=0.785로 나타났다. 요인 5는 '대면교제 공간'에 관한 문항 2개로 이뤄졌으며 Cronbach's α=0.866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내적일관성과 신뢰도가 모두 확보된 것을 확인하였다.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 화장품 사용의도 4개 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분석 결과, 표본적합도를 나타내는 Kaiser-Meyer-Olkin (KMO)값이 0.841, 요인분석의 적합도를 나타내는 Bartlett의 구형성 검증결과 χ2=3220.600, df=171, p<0.001로 요인분석을 실시하기에 적합하였다.
요인분석 결과, 5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모든 항목의 요인적재량이 0.5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이 확보되었다. 요인 1은 '음악 및 동영상 감상 공간'에 관한 4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Cronbach's α=0.878로 나타났다. 요인 2는 '뷰티 및 의료 공간'에 관한 5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Cronbach's α=0.827로 확인되었다. 요인 3은 '개인업무 및 공부 공간'에 관한 4개의 문항이었으며 Cronbach's α=0.783으로 확인되었다. 요인 4는 '휴식 및 명상 공간'에 관한 문항 4개로 이뤄졌으며 Cronbach's α=0.785로 나타났다. 요인 5는 '대면교제 공간'에 관한 문항 2개로 이뤄졌으며 Cronbach's α=0.866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내적일관성과 신뢰도가 모두 확보된 것을 확인하였다.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 화장품 사용의도 4개 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분석 결과, 표본적합도를 나타내는 Kaiser-Meyer-Olkin (KMO)값이 0.841, 요인분석의 적합도를 나타내는 Bartlett의 구형성 검증결과 χ2 =1255.7769, df=6, p<0.001로 요인분석을 실시하기에 적합하였다.
요인분석 결과에 의해 1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모든 항목의 요인적재량이 0.5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이 확보된 것을 확인하였다. 요인 1은 '화장품 사용의도'에 관한 4개의 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Cronbach's α=0. 950로 나타나 내적일관성과 신뢰도 역시 확보되었다.

3. 상관 분석

본 연구의 모든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Table 4와 같다. 공간유형의 하위 요인인 뷰티 및 의료 공간(r=0.739, p<0.01), 휴식 및 명상 공간(r=0.258, p<0.01), 대면교제 공간(r=0.246, p<0.01), 개인업무 및 공부 공간(r=0.376, p<0.01), 음악 및 동영상 감상 공간(r=0.334, p<0.01) 모두 화장품 사용의도와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연구문제 검증

1)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선호도

20-50대 여성의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 화장품 사용의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 변화에 따른 여성 소비자의 공간선호도를 먼저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 대상자의 완전자율주행자동차의 공간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완전자율주행자동차가 상용화되었다는 가정하에 7개의 대표적인 공간선호도를 중복응답이 가능하도록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여성 소비자의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Table 5 와 같다.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선호도에 대해 설문대상자 30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휴식 및 수면을 위한 공간' 222명(28.5%), '개인업무를 위한 공간' 170명(21.8%), '음악 및 동영상 감상을 위한 공간' 145명(18.6%), '사람을 만나는 대면교제의 공간' 68명(8.7%), '명상과 사색을 위한 공간' 66명(8.5%), '뷰티 및 의료를 위한 공간' 47명(6.0%)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완전자율주행자동차에서 20-50대 여성의 공간 선호도는 '휴식 및 수면을 위한 공간' 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완전자율주행자동차의 실내행위 필요도를 조사한 Kwon & Ju (2018)의 연구 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수면 및 휴식이 5점 만점 중에 평균 4.14로 가장 높게 나타난 결과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는 '개인업무를 위한 공간', '음악 및 동영상 감상을 위한 공간', '사람을 만나는 대면교제의 공간', '명상과 사색을 위한 공간', '뷰티 및 의료를 위한 공간'의 순서로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한 공간선호도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2)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 화장품 사용의도

20-50대 여성의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 화장품 사용의도를 분석하기 위해 완전자율주행자동차가 상용화된다는 가정을 하고,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 화장품을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내용을 가진 4개 문항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응답 방법은 Likert 5점 척도로 하였으며, 빈도분석과 평균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Table 6과 같다.
화장품 사용의도 첫번째 문항인 '나는 앞으로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 화장품을 사용할 의향이 있다.'의 빈도분석 결과, '전혀 그렇지 않다'는 5명(1.6%), '그렇지 않다'는 21명(6.9%), '보통이다'는 56명(18.3%), '그렇다'는 105명(34.3%), '매우 그렇다'는 119명(38.9%)로 나타났다. 평균분석 결과는 5점 만점에 4.02로 상당히 높은 값을 보였다. 특히 전체 응답자 중 73.2%에 해당하는 224명이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 화장품을 사용하겠다고 응답한 것으로 볼 때, 여성 소비자들의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 화장품 사용의도는 상당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화장품 사용의도 두번째 문항인 '나는 기회가 생길 때 마다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 화장품을 사용할 것이다.'의 빈도분석 결과, 전혀 그렇지 않다'는 6명(2.0%), '그렇지 않다'는 25명(8.2%), '보통이다'는 68명(22.2%), '그렇다'는 93명(30.4%), '매우 그렇다'는 114명(37.3%)으로 나타났다. 평균분석 결과는 5점 만점에 3.93으로 두번째 문항 역시 높은 값을 나타냈다.
화장품 사용의도 세번째 문항인 '나는 앞으로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 화장품 사용 횟수를 점차 늘릴 계획이다.'의 빈도분석 결과, '전혀 그렇지 않다'는 9명(2.9%), '그렇지 않다'는 26명(8.5%), '보통이다'는 64명(20.9%), '그렇다'는 102명(33.3%), '매우 그렇다'는 105명(34.3%)으로 나타났다. 평균분석 결과는 5점 만점에 3.88로 세번째 문항 역시 높게 나타났다.
화장품 사용의도 네번째 문항인 '나는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 화장품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것이다.'의 빈도분석 결과, '전혀 그렇지 않다'는 6명(2.0%), '그렇지 않다'는 28명(9.2%), '보통이다'는 65명(21.2%), '그렇다'는 95명(31.0%), '매우 그렇다'는 112명(36.6%)으로 나타났다. 평균분석 결과는 5점 만점에 3.91로 네번째 문항 역시 높은 값이 나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Kwon & Ju (2018)가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의 실내 행위 필요도를 연구하면서 외모관리의 필요성을 분석한 것과 비슷한 맥락으로, 분석 결과 5점 만점에서 평균 3.14로 확인된 것에 비해 많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20-50대 여성 소비자들이 완전자율주행자동차가 상용화되면 운전으로 자유로워지기 때문에 차량 안에서 자신의 외모를 가꾸거나 화장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욕구가 점차적으로 증가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 소비자들이 바쁜 일상 생활로 인해 시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원하며, 자동차에서 소비되는 시간도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고 있기에 나타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3)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유형이 화장품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20-50대 여성의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유형이 화장품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먼저 독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에 문제가 있는지 검증한 결과 VIF는 1.291-1.767로 10보다 작게 나타나 독립변수들 간의 다중공선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D/W값은 1.958로 2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나 잔차들 간의 상관관계도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20-50대 여성의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유형이 화장품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설명력인 R2=0.557, F값은 75.498로 나타나 유의수준 α=0.001에서 회귀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유형 중 뷰티 및 의료 공간(β=0.705, p<0.001)과 음악 및 영상 감상 공간(β=0.052, p<0.01)은 화장품 사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유형 중 상대적 영향력은 뷰티 및 의료 공간이 음악 및 동영상 감상 공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20-50대 여성 소비자가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을 뷰티 및 의료 공간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을수록 화장품 사용의도도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20-50대 여성이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을 음악 및 동영상 감상 공간으로 인식하는 성향이 높으면 완전자율주행자동차에서 화장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향도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Conclusion

본 연구는 완전자율주행자동차를 단순히 여러가지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이동공간 뿐 아니라, 다양한 제품까지 사용할 수 있는 또다른 개인적인 공간이라는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았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미가 있다. 또한 이제까지 고려되지 않았던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유형과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의 화장품 사용의도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 다양한 제품의 사용의도를 연구할 방향을 제시한 선도적인 연구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50대 여성의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선호도는 '휴식 및 수면을 위한 공간'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개인업무를 위한 공간', '음악 및 동영상 감상을 위한 공간', '사람을 만나는 대면교제의 공간', '명상과 사색을 위한 공간', '뷰티 및 의료를 위한 공간' 순으로 공간선호도가 확인되었다. 이는 완전자율주행자동차라는 자신만의 공간에서 '휴식 및 수면'에 대한 여성 소비자의 욕구가 가장 높은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완전자율주행자동차로 인해 운전자가 운전으로부터 자유로워진다면 여성 소비자들은 평소 부족했던 휴식과 수면을 보충하는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욕구가 가장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완전자율주행자동차를 생산하는 자동차 제조사는 여성 소비자의 휴식과 수면에 대한 욕구가 최우선적으로 충족될 수 있도록 실내 공간을 디자인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여성 소비자들이 휴식과 수면을 취하기에 적합한 안락하고 편안한 공간을 제공하는데 우선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또한 개인업무, 음악 및 동영상 감상과 관련된 욕구도 높게 나타난 결과를 고려하여,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 여성 소비자들이 개인업무, 음악 및 동영상 감상의 경험이 충족될 수 있도록 집중력을 높일 수 있는 방음 기능을 강화하거나, 동영상을 감상하기에 충분한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노력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완전자율주행자동차를 주거공간의 확장으로 연결하여 공간유형의 유용성을 분석한 Lee & Pan (2020)의 연구 결과와는 다소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Lee & Pan (2020)의 연구에서는 의료공간의 유용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행정업무 공간, 운동 공간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Lee & Pan (2020)의 연구는 설문대상자의 남성과 여성 비율을 49.5%와 50.5%로 비슷하게 구성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20-50대 여성만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기에 이러한 차이점이 나타났다고 사료된다.
둘째, 20-50대 여성의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 화장품 사용의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사용의도에 대한 총 4개의 문항에서 각각 평균이 4.02, 3.93, 3.88, 3.91로 나타나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의 화장품 사용의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 전체적으로는 '뷰티 및 의료공간'에 대한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짧은 시간이라 하더라도 화장품을 사용하려는 욕구는 높은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완전자율주행자동차로 인해 자신만의 공간이 생겼을 때, 그 공간을 온전히 뷰티 및 의료를 위한 공간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휴식 및 수면을 보충하거나, 개인업무를 하면서 일정 시간을 할애하여 화장품을 사용하려는 의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제조사 및 완전자율주행 시대를 대비하는 화장품 업체들은 여성 소비자들이 휴식을 취하거나, 개인 업무를 처리함과 동시에 화장품을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공간 환경을 제공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즉, 여성 소비자들이 원하는 목적지까지 이동하면서 소비되는 시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공간 요소들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완전자율주행자동차가 첨단 인프라와 다양한 IT 제품의 결합이라는 측면에서 여성 운전자의 화장에 대한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외출의 목적과 심리상태, 날씨에 따라 사용하는 화장품과 향기, 컬러에 변화를 주면서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화장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면, 여성 소비자의 완전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한 화장품 사용의도 및 만족도는 훨씬 높아질 것이다.
셋째,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유형 중 뷰티 및 의료 공간과 음악 및 동영상 감상 공간은 화장품 사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대적 영향력은 뷰티 및 의료 공간이 음악 및 동영상 감상 공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 소비자가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을 뷰티 및 의료공간으로 인식할수록 화장품을 사용하려는 경향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을 뷰티 및 의료를 위한 공간으로 인식하는 여성 소비자들의 화장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자신만의 화장대와 같은 전문적인 공간이 제공되야 함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자동차 제조사와 화장품 기업이 함께 협력하여, 오직 화장을 위한 특화된 완전자율주행자동차를 생산하여 구독 또는 렌트 개념으로 차량이 제공되는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도 중요한 부분이라고 사료된다.
또한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을 음악 및 동영상 감상 공간으로 인식할수록 화장품 사용의도 역시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완전자율주행자동차를 감상을 위한 공간으로 인식하는 여성 소비자들이 음악 및 동영상을 감상하면서 화장품을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공간활용도를 높이는 실내 공간 및 환경이 제공되야 함을 알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여성 운전자들이 완전자율주행자동차 안에서 음악 및 동영상을 감상하는 동안 방해받지 않으면서,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구조를 변경하거나, 시트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된 완전자율주행자동차가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이 하나의 활동만 할 수 있는 제한적인 공간이 아니라, 동시간에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멀티태스킹(Multi-Tasking) 공간임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자동차 제조사 및 화장품 기업은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을 하나의 유형으로만 한정하지 않고, 휴식 및 수면, 개인 업무, 음악 및 동영상 감상 등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화장품을 비롯한 다양한 제품을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 실내 공간이 제공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목적지로 이동하면서 소비되는 시간적, 경제적 비용 등을 절감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공간을 제공하는 노력에 집중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완전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가 가까워진 시점에서 20-50대 여성의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선호도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유형을 분류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그리고 여성 소비자들의 공간유형이 화장품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의 공간변화에 초점을 두고 그 안에서 화장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를 파악하고 분석하여,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 다양한 제품의 사용의도와 같은 소비자 행동까지 연구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상당히 중요한 의미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의 대상을 20-50대 여성으로만 한정했기에 이러한 결과를 확대하여 해석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구 대상자를 여성 소비자로만 한정하기 보다는 남성과 여성을 함께 연구하여 표본의 구성을 더욱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남성과 여성을 비교하여 완전자율주행자동차 안에서의 공간선호도와 화장품 사용의도를 분석하는 후속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불어 완전자율주행자동차 공간에서 화장품에 대한 사용의도 외에도 다양한 산업과 제품군에 대한 사용의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탐색하는 후속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NOTES

Author's contribution
Won-Ki Hong designed all research questions and models, conducted all surveys, and planned and wrote all areas of the study.
Author details
Won-Ki Hong (Professor), Department of K-Beauty Industry Fusion, Konkuk University, 120 Neungdong-ro, Gwangjin-gu, Seoul 05029 Korea.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N=306)
Variables N %
Gender Male - -
Female 306 100.0
Age 20s 18 5.9
30s 121 39.5
40s 153 50.0
over 50 14 4.6
Education High school graduate 43 14.1
Attending University 9 2.9
University graduation 222 72.5
Postgraduate or above 32 10.5
Marriage Single 60 19.6
Married 246 80.4
Monthly household income Over 1.00-1.99 Under Million Won 56 18.3
Over 2.00-2.99 Under Million Won 67 21.9
Over 3.00-3.99 Under Million Won 72 23.5
Over 4.00-4.99 Under Million Won 44 14.4
Over 5.00 Million Won 67 21.9
Career in current job Company staff 112 36.6
Profession 26 8.5
Public official 6 2.0
Self-employment 17 5.6
Student 4 1.3
Housewife 99 32.4
Others 42 13.7
Table 2.
Space type reliability and validity
Questionnaire SMV SBM SPS SRM SFI
19. I will watch drama in a fully autonomous vehicle space 0.822 0.081 0.087 0.101 0.289
18. I will watch a movie in a fully autonomous car space 0.811 0.074 0.177 0.152 0.300
20. I will be watching online streaming in a fully self-driving car space 0.793 0.116 0.214 0.045 0.186
17. I will listen to music in the space of fully autonomous vehicles 0.676 0.142 0.150 0.108 0.015
1. I will take care of my appearance in a fully autonomous vehicle space 0.181 0.830 0.045 0.010 -0.068
2. I will do skin care in a fully autonomous vehicle space 0.068 0.805 0.146 0.108 0.147
3. I will do color makeup in a fully autonomous vehicle space 0.212 0.784 0.032 0.012 -0.048
5. I will receive a beauty service in a fully autonomous vehicle space 0.080 0.629 0.201 0.101 0.273
4. I will do health care in the space of a fully autonomous vehicle -0.024 0.625 0.270 0.101 0.310
14. I will enjoy reading in a fully autonomous vehicle space 0.070 0.081 0.760 0.293 0.103
13.I will do the learning I always wanted to do in a fully autonomous vehicle space 0.144 0.173 0.759 0.191 0.295
15. I will do personal work in a fully autonomous vehicle space 0.483 0.194 0.620 0.048 -0.089
16. I will be watching an online course in a fully autonomous vehicle space. 0.263 0.215 0.619 0.110 0.154
9. I will meditate in the space of a fully autonomous vehicle 0.074 0.058 0.256 0.813 0.198
10. I will contemplate in the space of fully autonomous vehicles 0.119 0.028 0.250 0.794 0.257
8. I will take sufficient rest in a fully autonomous vehicle space 0.573 0.221 0.056 0.578 -0.121
7. I will make up for the lack of sleep in the fully autonomous vehicle space 0.522 0.149 0.079 0.545 -0.084
12. I will enjoy communicating with people in a fully autonomous vehicle space 0.215 0.155 0.182 0.100 0.825
11. I will socialize with people in a fully autonomous vehicle space 0.225 0.148 0.148 0.185 0.796
Eigenvalues 3.556 3.023 2.359 2.181 1.978
Dispersion explanatory power (%) 18.717 15.913 12.417 11.481 10.409
Cronbach's α 0.878 0.827 0.783 0.785 0.866

Note: KMO=0.839; Bartlett's test=3220.600 (p=0.001), df=171. SMV, space to enjoy music and video; SBM, space for beauty and medical care; SPS, space for personal work and study; SRM, space for relaxation and meditation; SFI, space for face-to-face interaction; IUC, intention to use cosmetics.

Table 3.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tention to use cosmetics
Questionnaire Intention to use cosmetics
4. I will continue to use cosmetics in a fully autonomous vehicle space 0.945
3. I plan to gradually increase the number of times I use cosmetics in the space of fully autonomous vehicles 0.935
2. Whenever I get a chance, I will use cosmetics in a fully autonomous vehicle space 0.932
1. I am willing to use cosmetics in a fully autonomous vehicle space in the future 0.919
Eigenvalues 3.481
Dispersion explanatory power (%) 87.016
Cronbach's α 0.950

Note: KMO=0.841, Bartlett's test=1255.7769 (p=0.001), df=6.

Table 4.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Variable Space types
IUC
SBM SRM SFI SPS SMV
Space types SBM 1
SRM 0.307** 1
SFI 0.339** 0.380** 1
SPS 0.435** 0.536** 0.453** 1
SMV 0.334** 0.513** 0.419** 0.494** 1
Intention to use cosmetics 0.739** 0.258** 0.246** 0.376** 0.334** 1

Note:

** p=0.01;

SBM, space for beauty and medical care; SRM, space for relaxation and meditation; SFI, space for face-to-face interaction; SPS, space for personal work and study; SMV, space to enjoy music and video; IUC, intention to use cosmetics.

Table 5.
Space preferences in fully autonomous vehicles
Division N %
Space preference in fully autonomous vehicles Space for rest and sleep 222 28.5%
Space for personal work 170 21.8%
Space to enjoy music and video 145 18.6%
Space for face-to-face interaction 68 8.7%
Space for meditation and contemplation 66 8.5%
Space for reading and online learning 62 7.9%
Space for beauty and medical care 47 6.0%
Total 780 100.0%
Table 6.
Intention to use cosmetics while in fully autonomous vehicles
Questionnaire Strongly disagree Disagree Neutral Agree Strongly agree Average
1. I am willing to use cosmetics in a fully autonomous vehicle space in the future 5 (1.6%) 21 (6.9%) 56 (18.3%) 105 (34.3%) 119 (38.9%) 4.02
2. Whenever I get a chance, I will use cosmetics in a fully autonomous vehicle space 6 (2.0%) 25 (8.2%) 68 (22.2%) 93 (30.4%) 114 (37.3%) 3.93
3. I plan to gradually increase the number of times I use cosmetics in the space of fully autonomous vehicles 9 (2.9%) 26 (8.5%) 64 (20.9%) 102 (33.3%) 105 (34.3%) 3.88
4. I will continue to use cosmetics in a fully autonomous vehicle space 6 (2.0%) 28 (9.2%) 65 (21.2%) 95 (31.0%) 112 (36.6%) 3.91
Table 7.
The effect of the space type of fully autonomous vehicles on the intention to use cosmetics
Variable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factor
t p VIF
B SE β
(A constant) 0.587 0.251 2.340 0.020
SBM 0.770 0.048 0.705 16.147*** 0.000 1.291
SRM -0.024 0.059 -0.020 -0.403 0.687 1.604
SFI -0.048 0.041 -0.053 -1.169 0.243 1.386
SPS 0.060 0.058 0.052 1.025 0.306 1.767
SMV 0.135 0.062 0.105 2.171* 0.031 1.574
Dependent variable: Intention to use cosmetics
R2=0.557, Adjusted R2=0.550, F=75.498, ***p=0.000, D/W=1.9585

SBM, space for beauty and medical care; SRM, space for relaxation and meditation; SFI, space for face-to-face interaction; SPS, space for personal work and study; SMV, space to enjoy music and video; IUC, intention to use cosmetics.

References

Beck SY, Lee SY. Factors affecting adoption intention of autonomous vehicle. Journal of Venture Innovation 5: 91-108. 2022.

Gopinath K, Narayanamurthy G. Early bird catches the worm! Meta-analysis of autonomous vehicles adoption: moderating role of automation level, ownership, and cul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66: 102516. 2022.
crossref
Hong WK, Nam KD. The influence of organic cosmetic’s marketing characteristics of YouTube, Instagram, Kakao SNS on consumer credibility and purchasing intention. The Journal of International Trade & Commerce 17: 421-438. 2021.
crossref
Kim HK, Oh SJ. An attitudinal factors of malling at the multiplex shopping mal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cientific Study of Subjectivity 23: 221-237. 2011.

Kwon JY, Ju DY. Interior design of fully autonomous vehicle for emotional experience: focused on consumer’s consciousness toward in-vehicle activity.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21: 17-34. 2018.
crossref
Lee BM, Kwon SB, An SK, Ahn KJ, An IS. The guideline of cosmetics labels and advertisements and regulations for verification in Korea.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1: 11-15. 2013.

Lee HR, Jung HY. A study on the factor of individual preference for share-based fully autonomous vehicle.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36: 429-439. 2018.
crossref
Lee HW, Pan YH. A study on the expansion of fully autonomous vehicles into residential spac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 71-79. 2020.

Lee JG. Study on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design differentiation in spatial design: focusing on interior space of self-driving car. Journal of Korea Intitute of Spatial Design 12: 121-132. 2017.
crossref
Lee JH, Park TW. Perception of non-driving related tasks and sociocultural factors for fully autonomous vehicle interior. Journal of Basic Design and Art 24: 259-276. 2023.
crossref
Lee JM. Role of perceived enjoyment and perceived usefulness in intention to use e-learning: differences of use experience degree and age. Korean of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5: 211-225. 2012.

Lee JM. The Evaluation of cosmetic mobile apps’ interface design elements and their impact on continued use.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18: 213-220. 2022.

Mathieson K. Predicting user intention: compar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ith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 173-191. 1991.
crossref
Meyer-Waarden L, Cloarec J. “Baby, you can drive my car”: Psychological antecedents that drive consumers’ adoption of AI-powered autonomous vehicles. Technovation 109: 102348. 2022.
crossref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ustainable innovation for the future ‘Mobility innovation roadmap’. 2022. 09.19.

Oh EH, Kim CS, Jung JJ.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contents on the usage intention: focusing on the customer types. Korean of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2: 329-367. 2009.

Park HC. Sustainable innovation for the future ‘mobility innovation roadmap’. Transportation Technology and Policy 19: 7-13. 2022.

Ryu JM, Kwon JY, Ju DY. Design of interior space for psychological safety of passengers according to in-vehicle activity of fully autonomous vehicl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24: 13-24. 2021.
crossref
Yoo CM, Pan YH, Yoo HS. A classification of autonomous car’s seat type and an analysis of driver’s requirement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38: 403-418. 2019.
crossref
Yook JH, Kim GY. A study on influence of spatial types based on public library spati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3: 111-137. 2016.
crossref
Yoo SE, Lee SY. Evaluation of smart office by workspace types & its effects on workplace satisfaction. Design Convergence Study 15: 227-242. 2016.

Yoon SJ, Kim MY. A study on the construal level and intention of autonomous driving taxi according to message framing.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24: 135-155. 2018.

Zhao J, Kim YG, Kim YS. A study on the impact of perceived cosmetic brand app on continuous usage intention: meditating effect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moderating effect of involve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47: 237-254. 2019.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E-Mail
  Print
Share:      
METRICS
0
Crossref
914
View
9
Download
Related article
Editorial Office
No. 1505, 1506, 3rd Ace High-End Tower, 145, Gasan digital 1-ro, Geumcheon-gu, Seoul 08506, Korea
TEL: +82-2-6957-8155   FAX: +82-502-770-2278   E-mail: ajbc.edit@e-ajbc.org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