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용교사의 메이크업과 의복 유형에 따른 호감도 및 능력평가

Preference and Capability Assessment of Beauty Teachers by the Types of Make-up and Clothing

根据美容教师的化妆和服装类型进行评价偏好和能力评价

Article information

Asian J Beauty Cosmetol. 2019;17(2):257-265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19 June 30
doi : https://doi.org/10.20402/ajbc.2019.0287
Department of Beauty art, Ansan University, Ansan-si, Gyeonggi-do, Korea
최승은,
안산대학교 뷰티아트과, 경기도 안산시, 한국
Corresponding author: Seung-eun Choi, Department of Beauty art, Ansan University, 155 Ansandaehak-ro, Sangrok-gu, Ansan-si, Gyeonggi-do 15328, Korea Tel.: +82 33 651 5876 Email: makeyouup223@naver.com
Received 2019 April 30; Revised 2019 May 27; Accepted 2019 June 17.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미용 교사의 메이크업과 의복 유형에 따른 호감도와 능력평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지역 미용고등학교, 2년제 대학,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메이크업 전공자 2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SPSS ver.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분산분석, t-test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미용 교사의 메이크업 및 의복 유형에 따른 호감도는 유형 4 (진한 화장과 모던 의복), 유형2 (진한 화장과 캐주얼 의복), 유형3 (화장은 하지 않은 상태와 모던 의복), 유형1 (화장을 하지 않은 상태와 캐주얼 의복)의 순으로 나타났다. 능력평가 중 성품 요인의 경우 유형4, 유형1, 유형2, 유형3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성 요인의 경우 유형 4, 유형3, 유형2, 유형1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생 지도 요인의 경우 유형1, 유형2, 유형3, 유형4의 순으로 나타났다. 남녀 성별에 따른 미용 교사의 메이크업 및 의복 유형에 따른 호감도는 유형1와 유형2는 차이가 있으나 유형3과 유형4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능력평가의 경우 여학생은 유형2와 유형4의 능력을 더 높이 평가하고, 남학생은 유형1과 유형3의 능력을 더 높이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유형별 미용 교사의 메이크업 및 의복 유형에 따른 호감도는 유형2와 유형4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미용 교사의 메이크업 및 의복 유형에 따른 호감도와 능력평가에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성별과 학교 유형에 따라서 메이크업과 의복 유형에 대한 호감도와 능력평가에 차이가 있었다.

Trans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beauty teachers’ preference and capability assessment on the basis of types of makeup and clothing.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216 students majoring in beauty high schools,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Seoul. Factor analysis, variance analysis, and t -test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sion 24. Results: On the basis of makeup and clothing, preference of beauty teachers was categorized as Type 4 (Heavy Make-up and Modern Clothing), Type 2 (Heavy Make-up and Casual Clothing), Type 3 (No Make-up and Modern Clothing), and Type 1 (No Make-up and Casual Clothing). During the capability assessment, personality factors were placed as Type 4, Type 1, Type 2, and Type 3, and specialty factors were arranged as Type 4, Type 3, Type 2, Type 1. Preference of beauty teachers based on make-up and clothing of men and women differed between Types 1 and 2. However, no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ypes 3 and 4. In the case of capability assessment, female students valued the ability of Types 2 and 4, but male students valued the ability of Types 1 and 3. Preference of beauty teachers belonging to different types of beauty schools on the basis of types of make-up and clothing differed from Type 2 to Type 4. Conclusion: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preference and capability assessment of beauty teachers not only on the basis of types of make-up and clothing but also gender and their school type.

Trans Abstract

目的

根据化妆和服装的类型探讨美容教师的偏好和能力评估。

方法

对首尔美容中学,大专院校的216名学生进行调查。使用 SPSS ver. 24.0进行因子分析,方差分析和t检验。

结果

化妆和服装类型的美容教师的偏好按照类型4(重型化妆和现代服装),类型2(重型化妆和休闲服装),类型3 (无化妆和现代服装),类型1(无化妆和休闲服装)的顺序显示。在能力评估期间,个性因素按照类型4,类型1,类型2和类型3的顺序显示,特殊因素按类型4,类型3,类型3,类型2,类型1的顺序显示。根据男女化妆和服装类型,美容教师的偏好在类型1和类型2之间有所差异,但类型3和类型4之间没有区别。在能力评估的情况下,女生重视类型2和类型4的能力,但男性学生重视类型1和类型3的能力。根据从学校类型看美容教师的化妆和服装类型的偏好在类型2型类型4有所差异。

结论

根据美教师的化妆和服装类型,在偏好度和能力评价方面存在差异。此外,根据性别和学校类型,化妆和服装类型的偏好度和能力评估存在差异。

Introduction

학생들은 교사의 말과 행동, 이미지로부터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교사는 행동, 인성은 물론 외모에서도 올바른 이미지를 보여주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Yeo et al., 2015). 이 중 외모 이미지는 교사의 이미지와 첫인상에 큰 영향을 주는 요소 중 하나이다. 미용을 전공하는 학생들은 외모에 대한 관심도가 보통 이상이며 일반 학생들과 비교하여 외모나 신체 관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미용전공자들의 외모에 대한 관심은 이를 가르치는 교사의 외모에 대한 관심으로도 연결된다(Na & Yoo, 2013). 따라서 미용 전공 분야의 교사는 단순한 기술 전달자가 아닌 전문성과 지식을 갖추며 그들의 외모 이미지 또한 큰 역할을 한다(Jung & Park, 2017).

그러므로 미용 교사로서의 훌륭한 역할 수행을 위해서는 의복, 메이크업 등이 학생들이 선호하는 의복, 메이크업과 일치해야 할 필요가 있다(Min et al., 2006). 특히 미용 교사는 다른 교과목과 달리 외모를 아름답게 만들어주는 직업을 가진 미용분야 종사자로서 그들의 외모는 학생들에게 영향력을 미치고 신뢰도를 높이는 요소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교육자의 외모에 관한 선행연구로는 Lee & Lim (1991), Min et al., (2006)등이 있으나 연구대상을 일반 교사로 한정하고 있다. 분야별 교사 이미지에 대한 연구로는 체육, 과학, 영어교사, 유치원교사 등 다양한 분야가 있으나 외모 이미지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미용 교사의 외모를 바탕으로 한 관련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미용 분야 교육자의 이미지에 대한 연구로는 Na & Yoo (2013), Tae (2013), Hong (2014)의 연구가 있으나 미용 분야 중에서도 전체 미용 전공 대학생이나 헤어 교사만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메이크업 전공자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는 미용고등학교, 2년제,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메이크업 전공자를 대상으로 미용 교사의 메이크업과 의복유형에 따른 호감도와 능력평가를 규명하였다. 메이크업과 의복을 선정한 이유는 대인지각 시 외모의 요소 중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이 의복이며, 교사의 외모가 모범이 되어야 할 때 이 때 말하는 외모란 의복이 주된 요소이며(Lee & Lim, 1991), 학생들은 교사의 의복 스타일을 가장 중요시 하고 있기 때문이다(Min et al., 2006). 또한 메이크업은 외모 중 가장 중요한 얼굴과 직접적 연관이 있으며 메이크업을 전공하는 학생들의 경우 메이크업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관심이 교사의 메이크업으로 연결될 것으로 판단되며, 미용 교육자의 첫 이미지를 판단 시 의복보다 메이크업과 같은 뷰티 스타일이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Hong, 2014).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미용 교사의 메이크업과 의복 유형에 따른 호감도와 능력평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미용 교사에게 유용한 메이크업 및 의복 유형을 제시하여 메이크업 전공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Methods

1. 연구문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 교사 능력평가 요인을 알아본다. 둘째, 미용 교사의 메이크업 및 의복 유형별 호감도 및 능력평가를 알아본다. 셋째, 인구통계학 특성별 미용교사의 메이크업 및 의복 유형에 따른 호감도 및 능력평가를 알아본다.

2. 자극물 선정

이 연구는 메이크업과 의복을 자극물 분야로 선정하여 메이크업과 의복 유형에 따른 호감도와 능력평가를 알아보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메이크업 유형에서는 Workman & Johnson (1991)의 메이크업의 3유형 중 2가지 유형(화장을 하지 않은 상태, 진한 메이크업)을 선택하여 이를 메이크업 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하여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화장을 하지 않은 상태(기초화장만 한 상태), 진한 메이크업(얼굴의 윤곽을 뚜렷이 표현하고 중간 정도의 메이크업에 인조속눈썹 등을 사용)의 2가지 메이크업 유형이 선정 되었다.

또한 미용 교사는 개인 취향에 따라 근무하기 편한 의복을 착용하지만 긍정적 인상 형성을 위해 의복 유형 또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따라 미용 교사의 의복 이미지 중 가장 '미용 교사다운 이미지, 미용 교사답지 않은 이미지'를 선정하기 위해 미용학 박사 이상, 10년 이상 미용 종사자 전문가 4명을 선정하여 2019년 1월 예비조사를 실시한 결과, 가장 미용 교사다운 의복 유형으로 모던 이미지, 가장 미용 교사답지 않은 의복 유형으로 캐주얼 이미지가 선정 되었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Figure 1과 같이 총 4가지 유형이 도출되었다. 화장을 하지 않은 상태와 캐주얼 의복(유형 1), 진한 메이크업과 캐주얼 의복(유형 2), 화장을 하지 않은 상태와 모던 의복(유형 3), 진한 메이크업과 모던 의복(유형 4)의 총 4개의 자극물을 제작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선정한 모델은 30대 미용 교사 중 가장 이상적인 현직 미용 교사 1명을 선정하였다.

Figure 1.

Stimulant examples to make-up and clothing types of beauty teacher.

Type 1, no make-up and casual clothing; Type 2, heavy make-up and casual clothing; Type3, no make-up and modern clothing; Type4, heavy make-up and modern clothing.

2. 연구대상 및 자료분석

설문조사를 위한 설문지는 2019년 3월 6일부터 4월 16일 동안 서울 지역 미용고등학교, 2년제 대학,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메이크업 전공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총 2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내용이 불성실하거나 정확하지 않은 설문지 34부를 제외한 216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지의 구성은 Yeo et al., (2015), Na & Yoo (2013), Hwang & Chang (2013)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수정 및 보완 하였으며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였다. 각 유형에 따른 미용 교사의 호감도를 측정하는 3문항, 능력평가를 측정하는 12문항,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측정하는 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SPSS for Windows 24.0을 이용하였고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분산분석, t-test 등을 이용하였다.

Results and Discussion

1. 연구대상자 특성

연구대상자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성별은 여학생(87%), 남학생(13%), 학교 구분은 고등학교(53.7%), 4년제 대학(24.1%), 2년제 대학(22.2%)의 순으로 나타났다.

Feature of subject

2. 능력평가 요인 분석

능력평가의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주성분 분석 Varimax를 이용하여 고유값이 1이상인 것과 요인 부하량이 0.6 이상인 것을 선택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유형별 능력평가 요인 분석 결과는 Table 2-5와 같다.

Factors influencing type1 capability assessment

Factors of type 2 capability assessment

Factors of type3 capability assessment

Factors of type4 capability assessment

그 결과 각 유형별 능력평가의 요인1은 학생들에 대한 존중, 도움, 대우 등을 묻는 문항으로 구성되어 '성품' 요인이라 명명하였고, 능력평가 요인2는 미용 기술에 대한 자신감, 실무경력, 이론지식, 자신감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전문성' 요인이라 명명하였고, 능력평가 요인3은 학생들에 대한 열정, 지도, 가르치는 것을 즐기는가 등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학생지도'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따라서 각 유형별로 3가지, 총 12개의 요인이 나타났다.

유형1의 전체 누적 분산율은 52.86%로 나타났으며 신뢰도는 0.88%-0.93%이며, 유형2의 전체 누적 분산율은 50.80%로 나타났으며 신뢰도는 0.89%-0.90%로 나타났다. 유형3의 전체 누적 분산율은 40.59%로 나타났으며 신뢰도는 0.88%-0.92%이며, 유형4의 전체 누적 분산율은 51.30%로 나타났으며 신뢰도는 0.86%-0.93%으로 나타나 모든 유형에서 내적 일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미용 교사의 메이크업 및 의복 유형별 호감도 및 능력평가

미용 교사의 메이크업과 의복 유형별 호감도와 능력평가를 비교한 결과는 Table 6와 같다. 호감도의 경우 유형 4 (M=4.37), 유형2 (M=3.68), 유형3 (M=2.90), 유형1 (M=1.90)의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형3보다 유형2가 더 높게 나타나 의복보다 메이크업이 호감도에 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메이크업 전공 학생들의 경우 타 전공보다 얼굴에 가장 관심을 가지며, 미용교육자의 경우 패션 스타일 보다 메이크업과 같은 뷰티 스타일이 이미지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Hong (2014)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고 있었다.

Preference and capability assessment of beauty teachers by the types of make-up and clothing

능력평가의 3가지 요인(성품, 전문성, 학생지도) 중 성품 요인의 경우 유형4 (M=4.06), 유형1 (M=3.89), 유형2 (M=3.78), 유형3 (M=2.93)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능력평가 중 전문성의 경우 유형4 (M=4.50), 유형3 (M=4.12), 유형2 (M=3.02), 유형1 (M=1.75)의 순으로 나타났다. 능력평가 중 성품, 전문성 요인의 경우 유형4가 가장 높게 나타나 이는 미용 교사 대부분이 미용 관련 업종에 종사한 실무 경험이 있고 미용에 대한 전문성과 실력이 교사의 외모관리로 표출되기 때문이라는 Hong (2014)의 연구와 같은 맥락이다. 또한 미용 전공 특성상 잘 연출된 교사의 이미지가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신뢰를 높인다는 Tae (2013)의 연구와 같은 맥락이다.

그러나 능력평가 중 학생 지도 요인의 경우 유형1 (M=4.17), 유형2 (M=4.08), 유형3 (M=2.79), 유형4 (M=2.70)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캐주얼 의복을 착용한 교사는 재미있고 소탈하고 수수한 이미지로 접근이 쉬운 것으로 기대하지만, 정장 의복을 착용한 교사는 접근이 어렵고 권위 있는 교사의 외모로 인지된다는 Butler & Roesel (1989)의 연구와 같은 맥락이다.

4. 인구통계학 특성별 미용교사의 메이크업 및 의복 유형에 따른 호감도 및 능력평가

성별 및 학년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미용교사의 메이크업 및 의복의 호감도와 능력평가는 Table 7과 같다.

Preference and capability assessment of beauty teachers by gender

호감도에서 유형1와 유형2는 차이가 있으나 유형3과 유형4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메이크업의 경우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진한 메이크업을 한 상태인 유형2와 유형4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이는 Min et al., (2006)의 연구에서 여학생이 미용교사의 메이크업에 더 관심이 많고, 남학생은 메이크업을 하지 않은 상태를 선호한다는 결과와 같은 맥락이다. 그러나 의복이 경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복을 더 중요시 한다는 결과와는 차이를 보였다.

능력평가에서는 대부분의 능력평가 요인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능력평가를 더 높이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습지도 요인에서 여학생은 남학생과 비교하여 학습지도를 할 때 여교사의 외모가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Na & Yoo (2013)의 연구와 같은 맥락이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남학생과 여학생이 미용 교사의 외모를 바라보는 인식의 차이가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학교 유형에 따른 미용 교사의 메이크업 및 의복 유형별 호감도와 능력평가는 Table 8과 같다. 유형2와 유형4는 차이가 있으나 유형1과 유형3은 호감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2의 경우 4년제 대학(M=3.94), 2년제 대학(M=3.77), 고등학교(M=3.52)의 순으로, 유형4의 경우 4년제 대학(M=4.74), 2년제 대학(M=4.58), 고등학교(M=4.12)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4년제 대학의 호감도와 능력평가가 높게 나타나 대학생들이 고등학생에 비해 교수의 외적 이미지보다 전문성과 인성을 더 중요 시 한다는 Tae (2013)의 연구와 차이를 보였다.

Preference and capability assessment of beauty teachers by school types

Conclusion

이 연구는 미용 교사의 메이크업과 의복 유형에 따른 호감도와 능력평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메이크업과 의복을 자극물 분야로 선정하여 화장을 하지 않은 상태와 캐주얼한 의복(유형 1), 진한 메이크업과 캐주얼한 의복(유형 2), 화장을 하지 않은 상태와 모던한 의복(유형 3), 진한 메이크업과 모던한 의복(유형 4)의 총 4개의 자극물을 제작하였다. 미용고등학교, 2년제 대학,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메이크업 전공자를 대상으로 호감도와 능력평가에 관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이 연구를 통하여 미용 교사에게 유용한 메이크업 및 의복 유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결과를 요약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 교사의 메이크업 및 의복 유형에 따른 호감도는 유형 4, 유형2, 유형3, 유형1의 순으로 나타나 의복보다 메이크업이 호감도에 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능력평가 중 성품 요인의 경우 유형4, 유형1, 유형2, 유형3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문성 요인의 경우 유형4, 유형3, 유형2, 유형1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생 지도 요인의 경우 유형1, 유형2, 유형3, 유형4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녀 성별에 따른 미용 교사의 메이크업 및 의복 유형에 따른 호감도와 능력평가중 호감도의 경우 유형1와 유형2는 차이가 있으나 유형3과 유형4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능력평가의 경우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유형2와 유형4의 능력을 더 높이 평가하고,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유형1과 유형3의 능력을 더 높이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용교사의 메이크업과 의복 유형에 따라 남학생과 여학생의 호감도와 능력평가에 차이가 있었다.

셋째, 학교 유형별 미용 교사의 메이크업 및 의복 유형에 따른 호감도와 능력평가 중 호감도의 경우 유형2와 유형4는 차이가 있으나 유형1과 유형3은 호감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능력평가에서는 유형3을 제외한 모든 유형에서 능력평가 요인에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용교사는 메이크업 전공 학생들의 호감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의복보다 메이크업에 더 신경 써야 하며, 미용교사로서 전문성과 성품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진한 화장과 모던 의복과 같이 잘 연출된 이미지가 전문성과 성품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생지도를 하는 상황에서는 캐주얼 의복과 같은 수수한 이미지를 연출할 필요가 있어 상황에 따라 각기 다른 메이크업과 의복을 연출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자극물에 사용된 미용교사를 여성으로 한정하여 남성 미용 교사의 경우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미용 교사의 연령을 30대로 한정하여 미용 교사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References

Butler S, Roesel K. The influence of dress on students’ perceptions of teacher characteristic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7:57–59. 1989;
Hong SN. Effect of image preference and types of beauty trainers on their satisfaction with a major and stress from a major.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6:101–115. 2014;
Hwang MA, Chang MS. Type of leadership and appearance image of female professor preferred by college students.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9:289–305. 2013;
Jung EY, Park MY. Work experience and satisfaction among beauty graduates in foreign countrie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5:33–43. 2017;
Lee SH, Lim SJ. A study on the ideal appearance of the female teach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5:89–102. 1991;
Min YS, Kweon SA, Park Y, Lee SK. The preference for attitude of appearence the female teacher’s hair and make-up styles focus on the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5:1091–1097. 2006;
Na SY, Yoo TS. Influence of beauty teachers’ image on high school students′ class attitude.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41:261–270. 2013;
Tae DS. The effect of professor images on the satisfaction of major and the course decision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ed in beauty treatment.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 y 9:143–148. 2013;
Workman JE, Johnson KKP. The role of cosmetics in impression formation.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10:63–67. 1991;
Yeo YJ, Park JH, Prak EJ. Effect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or and the educational awareness of the beauty department satisfaction of the major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3:797–804. 2015;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Stimulant examples to make-up and clothing types of beauty teacher.

Type 1, no make-up and casual clothing; Type 2, heavy make-up and casual clothing; Type3, no make-up and modern clothing; Type4, heavy make-up and modern clothing.

Table 1.

Feature of subject

Variables Item Frequency (N) %
Gender Male 28 13.0
Female 188 87.0
School type High school 116 53.7
College 48 22.2
University 52 24.1
Total 216 100

Table 2.

Factors influencing type1 capability assessment

Factors Items Factor loading Eigen value Variance explained (Cumulative variance) Reliability (Cronbach’s α)
Personality Respect for students' feelings 0.88 6.34 52.86 (52.86) 0.93
Always care about the students' needs 0.85
Helps students find what they want 0.83
Treat students in a humane manner 0.83
Specialty Always confident in my class 0.89 1.95 16.30 (69.16) 0.88
Possess excellent beauty skills 0.88
Possess a lot of experience in the field of beauty 0.84
Possess a lot of knowledge about beauty theory 0.81
Instruction Will be enthusiastic toward students 0.89 1.32 11.01 (80.18) 0.91
Will ensure that no students is lagging 0.83
Will not discriminate 0.77
Will enjoy teaching 0.72

Type 1, no make-up and casual clothing.

Table 3.

Factors of type 2 capability assessment

Factors Items Factor loading Eigen value Variance explained (Cumulative variance) Reliability (Cronbach’s α)
Personality Respect for students' feelings 0.89 6.09 50.80 (50.80) 0.90
Always care about the students' needs 0.86
Helps students find what they want 0.79
Treat students in a humane manner 0.73
Specialty Always confident in my class 0.88 2.27 18.99 (69.80) 0.89
Possess excellent beauty skills 0.87
Possess a lot of experience in the field of beauty 0.84
Possess a lot of knowledge about beauty theory 0.82
Instruction Will be enthusiastic toward students 0.87 1.09 9.08 (78.88) 0.89
Will ensure that no students is lagging 0.77
Will not discriminate 0.73
Will enjoy teaching 0.72

Type 2, heavy make-up and casual clothing.

Table 4.

Factors of type3 capability assessment

Factors Items Factor loading Eigen value Variance explained (Cumulative variance) Reliability (Cronbach’s α)
Specialty Possess a lot of experience in the field of beauty 0.91 4.87 40.59 (40.59) 0.92
Possess a lot of knowledge about beauty theory 0.91
Possess excellent beauty skills 0.90
Always confident in my class 0.86
Personality Treat students in a humane manner 0.92 2.94 24.51 (65.10) 0.91
Always care about the students' needs 0.90
Helps students find what they want 0.83
Respect students' feelings 0.82
Instruction Will be enthusiastic toward students 0.93 1.93 16.11 (81.22) 0.88
Will not discriminate 0.91
Will ensure that no students is lagging 0.87
Will enjoy teaching 0.74

Type3, no make-up and modern clothing.

Table 5.

Factors of type4 capability assessment

Factors Items Factor loading Eigen value Variance explained (Cumulative variance) Reliability (Cronbach’s α)
Specialty Possess a lot of experience in the field of beauty 0.89 6.15 51.30 (51.30) 0.93
Possess excellent beauty skills 0.87
Possess a lot of knowledge about beauty theory 0.84
Always confident in my class 0.83
Instruction Will be enthusiastic toward students 0.86 2.42 20.18 (71.48) 0.92
Will enjoy teaching 0.79
Will ensure that no students is lagging 0.78
Will not discriminate 0.74
Personality Respect for students' feelings 0.86 1.06 8.83 (80.31) 0.86
Always care about the students' needs 0.83
Treat students in a humane manner 0.79
Helps students find what they want 0.78

Type4, heavy make-up and modern clothing.

Table 6.

Preference and capability assessment of beauty teachers by the types of make-up and clothing

Preference Capability assessment
Personality Specialty Instruction
Type 1 1.90 3.89 1.75 4.17
Type 2 3.68 3.78 3.02 4.08
Type 3 2.90 2.93 4.12 2.79
Type 4 4.37 4.06 4.50 2.70

Type 1, no make-up and casual clothing; Type 2, heavy make-up and casual clothing; Type 3, no make-up and modern clothing; Type 4, heavy make-up and modern clothing.

Table 7.

Preference and capability assessment of beauty teachers by gender

Factor Variables Male (N=28) Female (N=188) t
Type 1 Preference 2.28 1.85 2.97**
Capability assessment Instruction 3.60 3.93 -2.48*
Specialty 2.32 1.67 4.48***
Personality 3.57 4.26 -4.14***
Type 2 Preference 3.33 3.73 -3.03**
Capability assessment Instruction 3.60 3.80 -1.52
Specialty 2.78 3.05 -2.21*
Personality 4.07 4.08 -0.09
Type 3 Preference 3.04 2.87 1.36
Capability assessment Instruction 3.53 2.85 6.78***
Specialty 3.78 4.18 -2.39*
Personality 3.10 2.75 2.44*
Type 4 Preference 4.28 4.39 -0.63
Capability assessment Instruction 3.85 4.10 -1.60
Specialty 4.42 4.51 -0.53
Personality 3.07 2.65 2.87*
*

p <0.05;

**

p <0.01;

***

p <0.001;

Type 1, no make-up and casual clothing; Type 2, heavy make-up and casual clothing; Type3, no make-up and modern clothing; Type4, heavy make-up and modern clothing.

Table 8.

Preference and capability assessment of beauty teachers by school types

Factor Variables High school (N=116) College (N=48) University (N=52) F
Type 1 Preference 1.98 1.72 1.89 2.26
Capability assessment Instruction 3.80 4.02 3.98 2.48
Specialty 1.91 A 1.66 AB 1.50 B 6.36**
Personality 3.97 B 4.22 B 4.57 A 9.70***
Type 2 Preference 3.52 B 3.77 A 3.94 A 8.16**
Capability assessment Instruction 3.75 AB 3.62 B 3.98 A 3.96*
Specialty 2.87 B 3.45 A 2.96 B 18.45***
Personality 3.91 B 3.97 B 4.55 A 17. 44***
Type 3 Preference 2.85 3.00 2.92 1.06
Capability assessment Instruction 2.91 3.00 2.94 0.41
Specialty 4.04 4.18 4.26 1.50
Personality 2.74 B 2.70 B 3.00 A 2.74
Type 4 Preference 4.12 B 4.58 A 4.74 A 14.09***
Capability assessment Instruction 4.05 3.95 4.21 1.49
Specialty 4.18 B 4.85 A 4.90 A 24.36***
Personality 2.62 B 3.04 A 2.59 B 6.81**
*

p <0.05;

**

p <0.01;

***

p <0.001;

Type 1, no make-up and casual clothing; Type 2, heavy make-up and casual clothing; Type3, no make-up and modern clothing; Type4, heavy make-up and modern clot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