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상의 영역분할과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원랭스 커트와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 혼합의 형태변화

Changes in Shape of the Combination of a One-Length Cut and a Medium-Graduation Cut according to Segmentation of Head Regions and Slice Lines

根据头部区域和切片线的分割长切和中切切组合的形状变化

Article information

Asian J Beauty Cosmetol. 2020;18(2):221-233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0 June 30
doi : https://doi.org/10.20402/ajbc.2020.0027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en's University, Kwangju, Korea
장선미, 정원지,
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과, 광주, 한국
*Corresponding author: Won-Ji Jung,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en's University, 201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Tel.: +82 62 950 3798 Fax: +82 62 950 3797 Email: jwj65@hanmail.net
Received 2020 May 2; Revised 2020 May 26; Accepted 2020 May 28.

Abstract

목적

두상의 영역분할과 슬라이스 라인에 따라 원랭스 커트와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혼합하여 커트한 후 변화되는 커트의 형태와 길이 변화를 실증하여 커트스타일의 변화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두상을 front side point-golden point (F-G), side point-golden back medium point (S-GBMP), ear point-back point (E-B)로 분할하고 슬라이스 라인은 A 라인, 평행, V 라인으로 하여 상단은 두상시술각도의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하단은 자연시술각도의 원랭스 커트를 적용하여 헤어 커트 하였다.

결과

두상의 분할에 원랭스 커트와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적용하여 커트한 결과 새로운 커트스타일이 되는 변화가 나타났으며 분할 위치의 높낮이에 따라서 커트의 형태변화와 길이변화가 나타났다.

결론

두상 영역분할의 위치에 따라서 커트디자인이 변화한다는 것과 기초 커트를 조합하여 전혀 다른 형태의 커트스타일을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같은 형태의 커트에서도 슬라이스 라인을 이용하여 또 다른 커트디자인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Trans Abstract

Purpose

To provide basic data about haircut variations that demonstrate the shape and length of the haircut transformations after a combination haircut of a one-length cut and a medium-graduation cut depending on head region segmentation and slice lines.

Method

Head regions were segmented into F-G (front-side point-golden point), S-GBMP (side point-golden-back medium point), and E-B (ear point-back point) with the slice line being A-line, parallel, and V-line. A mediumgraduation cut from the head angles for the upper part and a one-length cut from the celestial axis for the lower part was applied for the haircut.

Result

As a result of applying the aforementioned methods, a new style of haircut was developed with changes in shape and length of haircuts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segmented positions.

Conclusion

It is found that haircut designs change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s of head region segmentation and a novel hairstyle can be achieved with combinations of basic cutting styles. Additionally,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same type of a haircutting style can bring about different haircut designs by employing slice lines.

Trans Abstract

目的

提供有关发型变化的基本数据,以证明根据头部区域分割和切片线对单长度发型和中等渐变发型进行组合发型后的发型变换的形状和长度。

方法

将头部区域分为 正面点-黄金点 (front side point-golden point, F-G), 侧面点-黄金背的中点(side point-golden back medium point, S-GBMP),耳朵点-背面点(ear point-back point, E-B),且切片线为A线,平行和V线。从上部的头部角度中等切割,从下部的天体轴纵向切割用于理发。

结果

根据分段位置的高度,随着发型的形状和长度的变化,开发了一种新型的发型。

结论

发现发型设计根据头部区域分割的位置而改变,并且通过结合基本的发型样式可以实现新颖的发型。另外,已经证实,通过使用切片线,相同类型的理发样式可以带来不同的理发设计。

Introduction

헤어 미용은 실용적 동기와 예술이 융합된 실용예술이며,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인체에 형태를 디자인하는 조형예술이다(Jeong & So, 2008). 또한 헤어 미용은 아름다움과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써 하나의 문화이자 산업이 되었다(Cha et al., 2010). 헤어스타일은 개인의 자기이미지 형성과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타인에게 긍정적인 호감을 준다(Han & Kim, 2019). 헤어 미용의 한 분야인 헤어 커트는 두상의 골격과 개인이 가지고 있는 모발의 특성을 구조적으로 파악하고 트랜드와 기능적인 면을 고려한 후 디자인을 설계해야 한다(Yang & Park, 2009). 헤어 커트는 헤어스타일의 기초가 되는 단계로써 연구의 중요성을 인정받아 많은 연구자들이 헤어 커트의 체계화와 수치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Seo & Song, 2019).

헤어 커트는 시술각도에 따라 원랭스 커트(one-length cut), 그래주에이션 커트(graduation cut), 레이어 커트(layer cut)의 세 가지 기초커트로 나눌 수 있다(Kim et al., 2018). 원랭스 커트(one-length cut)는 모발 전체를 층이 없이 같은 선상에 떨어지는 길이가 되도록 커트하는 것으로 슬라이스 라인에 따라 평행보브, 이사도라, 스파니엘로 나뉜다(Lee & Jin, 2010).

슬라이스 라인은 원하는 커트디자인을 편리하고 빠르게 진행하기 위해 블로킹(blocking)을 더 작게 나누는 선을 말하는 것으로 A 라인(concave line), 평행라인(parallel line), V 라인(convex line)이 있다(Kim & Lee, 2017). A 라인은 전경사선으로 나눠 뒤쪽이 짧고 얼굴 쪽으로 갈수로 길어지는A 라인의 형태선과 실루엣을 만든다. 평행라인은 직선형의 스타일을 만들 때 사용되는 선이며, V 라인(convex line)은 후경사선으로 나눠 뒤에서 얼굴 쪽으로 갈수록 짧아지며 V 라인의 형태선과 실루엣을 만든다.

슬라이스 라인에 관한 선행연구를 보면 Jung (2011)이 A 라인의 슬라이스 라인에서 모발길이와 베이스, 시술각도에 따라 변화되는 헤어스타일을 연구하여 발표하였으며, Jung & Youn (2015)은 V 라인에서 모발길이와 베이스,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커트스타일의 변화에 관한 연구를 하여 보고하였다. 또한 Moon & Jung (2018)은 슬라이스 라인의 기울기에 따라 달라지는 원랭스 커트의 형태선 변화를 실증하여 커트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Jung & Youn (2014)은 다양한 길이의 헤어스타일에서 동일하게 평행선(parallel line)을 적용하더라도 시술각도, 베이스와 모발길이에 따라 커트스타일에 변화를 줄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기초 헤어 커트 중 그래주에이션 커트는 비교적 적은 층을 주어 커트하는 방법으로 top point (T.P)로 올라 갈수록 점차적으로 모발이 길어지며 질감은 매끄러움과 거친 느낌이 혼합형으로 나타난다(Park & Yang, 2008). 또한 미세한 층으로 볼륨을 조절할 수 있어 납작한 두상의 단점을 보완하기에 효과적이며 롱, 미디엄, 숏 헤어에 다양하게 응용된다(Kim, 2015). Jung (2016)은 그래주에이션 커트가 시술각도에 따라 구분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을 실증하였는데,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시술각도에 따라 1°-40°이하의 로우 그래주에이션(low graduation), 45±5°의 미디엄 그래주에이션(medium graduation), 50°-90°미만인 하이 그래주에이션(high graduation)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는데, 이것은 두상시술각도를 적용한 것이다.

Jang & Jung (2019a)은 전경사 슬라이스 라인의 기울기에 따라 달라지는 그래주에이션 커트의 형태변화를 실증하여 커트스타일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발표하였으며, 또한 그래주에이션 커트에서 전경사 슬라이스 라인과 후경사 슬라이스 라인의 혼합만으로도 다양한 커트디자인이 가능하다는 것을 실증한 연구도 보고하였다.

커트디자인은 슬라이스 라인 뿐만 아니라 기초 헤어 커트의 혼합으로도 다양한 디자인을 형성할 수 있는데 Jung & Kim (2017)은 이사도라 커트와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혼합하여 제시함으로써 다양한 커트디자인이 가능하다는 것을 실증하였고, Kim (2016)은 원랭스 커트와 인크리스 레이어 커트를 중심으로 헤어스타일의 형태 변화에 관한 연구를 하여 블록의 량과 모발의 길이, 섹션 라인을 변화시켰을 때 다른 헤어스타일이 창출될 수 있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또한 그래주에이션 커트와 인크리스 레이어 커트를 중심으로 섹션 라인과 혼합 위치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헤어스타일을 연구하여 같은 방법의 커트라도 커트 종류의 혼합 위치에 따라 다른 헤어스타일이 창작될 수 있다는 것을 실증하여 보고하였다(Kim, 2015). Park & Yang (2007)은 레이어와 그래주에이션의 형태 컨트롤을 중심으로 헤어디자인을 연구하여 보고함으로써 헤어디자인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을 보면 헤어 미용에 있어서 헤어 커트의 과학적 입증에 관한 연구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헤어 디자이너의 전문성과 기술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Jung & Youn, 2008).

헤어 커트는 디자이너의 감각과 고객의 커트 스타일 요구사항에 따라 두상의 영역을 분할한 뒤 커트 형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커트디자인에 적용한다. 커트디자인을 위해서는 두상의 영역을 분할하여 커트 형태를 혼합하거나 슬라이스 라인을 혼합한 것 등의 커트에 관한 연구와 분석은 꼭 필요하다. 하지만 그 중요성에 비해 실증이나 객관화 또는 수치화 된 연구가 많지 않고 교육에 필요한 체계화 된 자료가 미흡하여 현장실무 종사자와 커트를 배우는 학습자는 아직도 감각에 의지하여 커트디자인 시술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두상의 영역분할과 슬라이스 라인에 따라서 원랭스 커트와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혼합하여 커트한 후 변화되는 커트의 형태와 길이의 변화를 실증하여 커트스타일의 변화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Methods

1. 측정도구 및 방법

1) 측정도구

본 연구는 V사(Venus, Korea)의 27인치 마네킹을 사용하였으며, 디지털 자(BL-DM; Bluetec, Korea)를 사용하여 길이 변화를 측정하였다. 정확한 시술각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슬라이스 라인을 나눈 후 베이스(base)의 중간접점에서 각도계(Starbox, Korea)를 사용하여 측정한 후 헤어 커트 하였다. 커트 도구는 커트 가위, 커트 빗, 분무기와 클립을 사용하였으며, 헤어 커트 후에는 헤어 드라이기와 롤 빗을 이용하여 가볍게 모발의 결을 정리하였다. 마네킹은 1 m의 일정한 거리에서 디지털 카메라(PL-1; Olympus, China)를 사용하여 앞모습, 뒷모습, 옆모습을 촬영 후 기록하였다.

2) 측정 방법

(1) 두상의 영역분할

마네킹을 삼각 홀더에 고정한 후 center point (C.P)-nape point (N.P)를 연결하는 정중선과 top point (T.P)-ear point (E.P)를 연결하는 측중선을 나누어 4등분으로 블로킹을 한 후 다음과 같이 분할하였다(Figure 1).

Figure 1.

Segmentation of head regions.

1)F-G, front side point-golden point; 2)S-GBMP, side point -golden back medium point; 3)E-B, ear point -back point; 4)F.S.P, front side point; 5)G.P, golden point; 6)S.P, side point; 7)G.B.M.P, golden back medium point; 8)E.P, ear point; 9)B.P, back point; 10)C.P, center point; 11)T.P, top point; 12)N.P, nape point.

첫 번째 가로 분할은 front side point (F.S.P)-golden point (G.P)를 연결하는 선으로 위∙아래를 나눠 영역을 나누고 F-G로 명명하였다.

두 번째 가로 분할은 side point (S.P)와 golden back medium point (G.B.M.P)를 연결하는 선으로 위∙아래를 나눠 영역을 나누고 S-GBMP로 명명하였다.

세 번째 가로 분할은 ear point (E.P)와 back point (B.P)를 연결하는 선으로 위∙아래를 나눠 영역을 나누고 E-B로 명명하였다.

F-G, S-GBMP, E-B의 분할을 하고 위∙아래 각각의 영역 내에서 A 라인, 평행, V 라인으로 나눈 후 헤어 커트 하였다.

(2) 모발 길이

모든 커트의 길이 가이드(guide)는 nape point (N.P)에서 가로, 세로 1 cm를 취하여 0°의 자연시술각도를 적용한 후 5 cm 길이로 커트하였다(Jung, 2011).

(3) 슬라이스 라인

A 라인은 B.N.M.P에서 N.S.P의 2 cm 위 지점을 연결하였다(Jang & Jung, 2019b). 이 슬라이스 라인의 기울기를 기준으로 2 cm 폭의 일정한 슬라이스 라인을 나누어 커트하였다. 분할의 상단부는 하단부에서 나눈 슬라이스 라인을 그대로 연결하여 적용하였다.

평행 라인은 N.P에서 2 cm 위 지점을 평행으로 나누고 2 cm 폭의 일정한 슬라이스 라인을 나누어 커트하였다. 분할의 상단부는 하단부에서 나눈 슬라이스 라인을 그대로 연결하여 적용하였다.

V 라인은 N.P지점과 네이프 사이드 포인트(nape side point, 이하 N.S.P)에서 5cm 위 지점을 연결하여 V 라인으로 나눈 후 2 cm 폭으로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이 슬라이스 라인의 기울기를 시작으로 2 cm 폭의 일정한 슬라이스 라인을 나누어 후두부에서 측두부로 커트하였다. 분할의 상단부는 하단부에서 나눈 슬라이스 라인을 그대로 연결하여 적용하여 커트하였으며, 측두부에서 먼저 커트한 후 후두부로 연결하여 커트하였다.

(4) 시술각도

헤어 커트 시 시술각도는 두상 분할의 하단부에는 자연시술각 0°의 원랭스 커트를 적용하였으며, 상단부는 두상시술각 45°의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적용하였다.

2. 두상의 영역분할과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원랭스 커트와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 혼합의 형태와 길이 변화

두상의 영역분할과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커트 형태와 길이 변화를 실증하기 위해 분할의 하단부는 원랭스 커트를 상단부는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적용하였다. 두상의 분할은 front side point-golden point (F-G), side point-golden back medium point (S-GBMP), ear point-back point (E-B)로 나누었으며, 분할의 상단부는 두상시술각 45°를 적용하였고, 분할의 하단부는 0°의 자연 시술각을 적용하여 헤어 커트 하였다.

각각의 영역에A 라인, 평행 라인, V 라인의 슬라이스 라인을 적용하여 헤어 커트 하였으며, 커트 시술 시 섹션(section)의 폭은 2 cm로 일정하게 나누어 두상의 아래에서 위로 커트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후두부를 먼저 커트한 후 측두부를 커트 하였고, V 라인의 경우 분할의 상단부는 측두부의 모발을 가이드(guide)로 커트 후에 후두부와 연결하여 커트하였다.

모든 작품은 처음 길이를 5 cm로 동일하게 설정하여 시작하였으며, 커트를 할 때 슬라이스 라인과 직각이 되도록 빗질하며 동시에 시술각도를 적용하고 블런트 커트(blunt cut) 하였다. 커트 후 달라지는 길이 변화를 실증하기 위해 center point (이하C.P), top point (이하T.P), golden point (이하 G.P), golden back medium point (이하 G.B.M.P), back point (이하 B.P), nape point (이하 N.P), nape side point (이하 N.S.P), ear point (이하 E.P), side corner point (이하 S.C.P)의 길이를 측정한 값을 제시하였다.

모든 작품에 커트를 계획하는 과정인 전개표(Jung, 2016)를 제시하였으며 커트 후 마무리는 헤어 드라이기와 롤 빗을 이용하여 모발의 결을 정리한 후 작품의 앞, 옆, 뒷모습을 촬영하여 형태의 변화를 제시하였다.

Results and Discussion

1. 두상의 영역분할과 A 라인에 따른 원랭스 커트와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 혼합의 형태변화

1) 두상의 영역분할과 A 라인에 따른 원랭스 커트와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 혼합의 전개표

헤어 커트 전개표는 시술하고자 하는 커트디자인을 구상하여 설정하는 것으로 모든 작품에 전개표를 작성하여 디자인을 계획하였다(Jung, 2016).

두상을 위∙아래로 분할한 후에 슬라이스 라인을 A 라인으로 하여 상단부에는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하단부에는 원랭스 커트를 혼합한 후 커트할 작품의 전개표는 Table 1과 같다.

A planar diagram of the combination of a one-length cut and a medium-graduation cut according to head region segmentation and an A-line

커트형태는 상단부에는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하단부는 원랭스 커트를 할 것이며, 길이가이드는 5 cm를 설정할 것을 나타낸다. 커트의 방향은 전경사선이며 슬라이스 라인은 A 라인을 사용할 것을 나타낸다. 베이스는 슬라이스 라인과 직각으로 빗으며 시술각도를 적용할 것이므로 해당사항이 없다. 분할의 상단부는 45°의 두상시술각, 하단부는 0°의 자연시술각을 적용하여 헤어 커트할 것임을 계획한 것이다.

2) 두상의 영역분할과 A 라인에 따른 원랭스 커트와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 혼합의 형태변화

두상을 위∙아래로 분할한 후에 슬라이스 라인을 A 라인으로 하여 상단부에는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하단부에는 원랭스 커트를 혼합한 후 커트한 작품의 시술결과는 Table 2와 같다.

Changes in shape of the combination of a one-length cut and a medium-graduation cut according to head region segmentation and an A-line

Table 2의 앞모습 사진을 보면 두상분할의 위치가 바뀜에 따라 커트형태의 실루엣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분할의 위치가 F-G에서 E-B로 갈수록 헤어스타일 끝단부분에 원랭스 커트의 무거움은 사라지고 날렵한 형태의 실루엣이 관찰되었다.

옆모습을 보면 F-G, S-GBMP, E-B 모두 형태선의 경사도와 같은 기울기의 무게선이 나타났다. 또한 분할의 하단부에 적용한 원랭스 커트에 의한 무게감이 관찰되었으며 전체적으로 층이 낮게 나타났다. S-GBMP와 E-B에서는 층이 분명하게 나타났으며, 하단부 원랭스 커트의 매끄러움과 상단부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의 거친 질감이 무게선을 중심으로 교차되어 나타났다.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로 인해 후두부 쪽에 자연스런 볼륨과 입체감이 나타났고, 원랭스 커트의 느낌은 잘 부각되지 않았다. 이것은 커트디자인에서 두상의 입체감을 표현하고자 할 때 미디엄 그래주에이션의 A 라인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Jang & Jung (2019b)의 연구와 유사한 결과이다.

시술사진에 뒷모습을 보면 F-G의 경우 후두부에 층은 거의 보이지 않으나 단독 커트와 비교했을 때 실루엣의 변화가 나타났다. S-GBMP는 A 라인의 형태선이 무게선에도 그대로 나타났으며,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의 층으로 인해 실루엣이 날렵하게 변화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원랭스 커트의 무게감이 잘 나타났으며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의 층은 영역분할의 지점에 거친 질감을 형성했다. E-B는 네이프 부분에 무게감이 나타나긴 하였으나 크게 눈에 띄지 않았다.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같은 길이의 커트에서 두 가지 커트의 혼합 위치만으로도 헤어스타일이 다르게 표현될 수 있다는 Kim (2015)의 연구와도 유사한 결과이다.

2. 두상의 영역분할과 평행 라인에 따른 원랭스 커트와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 혼합의 형태변화

1) 두상의 영역분할과 평행 라인에 따른 원랭스 커트와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 혼합의 전개표

두상을 위∙아래로 분할한 후에 슬라이스 라인을 평행 라인으로 하여 상단부에는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하단부에는 원랭스 커트를 혼합한 후 커트할 작품의 전개표는 Table 3과 같다.

A planar diagram of the combination of a one-length cut and a medium-graduation cut according to head region segmentation and a parallel

커트의 형태는 분할의 상단부에는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하단부에는 원랭스 커트를 할 것이며, 길이가이드는 5 cm를 설정할 것을 나타낸다. 커트의 방향은 평행이며 슬라이스 라인은 천체축을 기준으로 N.P에서 2 cm 위 지점을 평행으로 나누어 커트할 것임을 나타낸다. 베이스는 슬라이스 라인과 직각으로 빗으면서 동시에 시술각도를 적용할 것이므로 해당사항이 없다. 분할의 상단부는 두상 시술각 45°, 하단부는 0°의 자연시술각을 적용하여 헤어 커트할 것임을 계획한 것이다.

2) 두상의 영역분할과 평행 라인에 따른 원랭스 커트와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 혼합의 형태변화

두상을 위∙아래로 분할한 후에 슬라이스 라인을 평행 라인으로 하여 상단부에는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하단부에는 원랭스 커트를 혼합한 후 커트한 작품의 시술결과는 Table 4와 같다.

Changes in shape of the combination of a one-length cut and a medium-graduation cut according to head region segmentation and a parallel

시술결과를 나타낸 Table 4의 앞모습 사진을 보면 F-G의 경우 단독 원랭스 커트에 비해 부드러워진 실루엣이 관찰됐다. S-GBMP는 둥근 느낌의 실루엣이 나타났으며 E-B에서는 날렵한 실루엣이 형성됐다.

옆모습을 보면 F-G, S-GBMP, E-B 모두 평행의 형태선과 동일한 무게선이 관찰됐다. 또한 단독 커트 에서 E-B 로 갈수록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의 층으로 인해 실루엣이 점점 둥글어 지는 것이 확인됐다. S-GBMP에서는 무거움과 가벼움, 매끄러운 질감과 거친 질감이 분할을 중심으로 차이를 보였다. E-B에서는 햄 라인(hem line)의 형태가 커트 형태선에 그대로 반영되어 나타났으며, 상단부에 적용된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에 의해 측두부의 형태선이 후두부에 비해 가벼워 보였다.

Table 4의 뒷모습을 보면 F-G는 아래쪽에 미세한 층의 의한 부드러운 실루엣이 형성되며 나타났다. S-GBMP에서는 원랭스 커트의 무게감과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의 비교적 가벼운 느낌이 함께 나타났으며, E-B는 하단부에 적용된 원랭스 커트의 비중은 줄어 들고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의 비중이 증가하면서 그로 인해 커트의 형태가 무거운 듯 하면서도 입체적인 형태를 나타낸다. 영역비중에 의한 매끄러운 질감과 거친 질감이 대비되었다.

3. 두상의 영역분할과 V 라인에 따른 원랭스 커트와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 혼합의 형태변화

1) 두상의 영역분할과 V 라인에 따른 원랭스 커트와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 혼합의 전개표

두상을 위∙아래로 분할한 후에 슬라이스 라인을 V라인으로 하여 상단부에는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하단부에는 원랭스 커트를 혼합한 후 커트할 작품의 전개표는 Table 5와 같다.

A planar diagram of the combination of a one-length cut and a medium-graduation cut according to head region segmentation and a V-line

커트의 형태는 상단부에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하단부에는 원랭스 커트를 적용할 것임을 나타낸다. 길이는 N.P 5 cm를 기준으로 커트할 것이며 시술의 방향은 후경사선을 적용하고 슬라이스 라인은 V 라인을 사용할 것임을 나타낸다. 베이스는 해당사항이 없으며 분할의 상단부는 45°의 두상시술각을 하단부에는 0°의 자연시술각을 적용하여 커트할 것임을 계획한 것이다.

2) 두상의 영역분할과V 라인에 따른 원랭스 커트와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 혼합의 형태변화

두상을 위∙아래로 분할한 후에 슬라이스 라인을 V 라인으로 하여 상단부에는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하단부에는 원랭스 커트를 혼합한 후 커트한 작품의 시술결과는 Table 6과 같다.

Changes in shape of the combination of a one-length cut and a medium-graduation cut according to head region segmentation and a V-line

시술결과 Table 6의 앞모습 사진을 보면 F-G는 원랭스 커트의 무게감을 보이며 얼굴 쪽으로 밀착되어 보이는 층이 나타났다. S-GBM와 E-B는 V 라인과 영역비중의 영향으로 층이 얼굴 쪽으로 밀착되며 둥글게 형성되었다.

Table 6의 옆모습 사진을 보면 F-G, S-GBMP, E-B 모두 형태선의 경사도와 같은 기울기의 무게선이 확인되었다. 또한 원랭스 커트의 매끈한 질감 위에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의 미세한 층이 극명하게 나타나 상하의 길이가 연결되지 않은 디스커넥션 커트(disconnection cut)가 되었다. F-G는 V 라인의 경사도와 하단부에 적용된 원랭스 커트로 인해 헤어스타일에 전반적으로 무게감이 나타났다. S-GBMP, E-B는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에 의한 거친 질감이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E-B는 헴 라인이 헤어스타일의 형태선 끝단에 그대로 반영되어 나타났으며 하단부에 적용된 원랭스 커트로 인해 네이프 부분에 무게감이 관찰되었다.

뒷모습을 보면 F-G, S-GBMP, E-B 모두 전체적인 실루엣에 변화가 나타났으며 S-GBMP, E-B는 상대적으로 실루엣이 둥글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E-B는 비교적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 영역비중이 높아서 거친 질감이 많이 나타나며 네이프에 원랭스 커트의 무게감은 줄어 들었다.

V 라인과 분할영역의 상단부에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적용한 커트스타일에서 안말음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것은 Jang & Jung (2019b)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며, 45°의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와 V 라인의 경사도가 안말음 현상을 증가시킨 것으로 사료된다.

4. 두상의 영역분할과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원랭스 커트와 그래주에이션 커트 혼합의 길이변화

두상의 영역분할 F-G, S-GBMP, E-B를 나누고, A 라인, 평행, V 라인의 슬라이스 라인을 대입하여, 하단부에는 원랭스 커트를 상단부에는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적용하여 커트한 후 각 지점의 길이를 측정한 결과값은 Table 7과 같다.

Changes in length of the combination of a one-length cut and a medium-graduation cut according to segmentation of head regions and slice lines

Table 7을 보면 B.P의 길이가 14.0 cm로 동일하게 측정된 것을 볼 수 있다. 가이드라인 길이가 5 cm 이고 N.P에서 B.P까지의 폭이 10 cm로 합이 15 cm 인데 B.P의 길이가 14.0 cm로 측정된 것은 모발이 B.P에서 N.P까지 내려오는 두상의 곡면을 따라 흐르지 않고 중력에 의한 자연시술각 0°로 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A 라인과 평행의 단독과 F-G, 그리고 V 라인의 단독을 보면 B.P 14.0 cm, G.B.M.P 19.0 cm, G.P 24.0 cm로 실측되었다. 각 포인트 지점의 폭은 5 cm로 동일 했으므로, 이것은 자연시술각이 그대로 반영되어 모발의 길이 또한 5 cm씩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 라인과 평행에서 두상을 E-B로 분할한 작품의 길이를 보면 B.P에서 G.B.M.P까지, G.B.M.P에서 G.P까지 각 지점의 길이가 2.5 cm씩 증가한 것으로 실측되었다. 이는 각 지점의 폭이 5 cm 였고 45°의 두상시술각도로 커트하였기 때문에 2.5 cm씩 길이가 증가한 것으로 사료된다.

A 라인을 사용하여 커트한 결과 T.P의 길이는 F-G는 26.0 cm, S-GBMP는 24.0 cm, E-B 는 21.0 cm 이며 C.P의 길이는 F-G는 26.0 cm, S-GBMP는 24.0 cm, E-B는 21.0 cm로 같은 길이로 측정되었다. 이는 T.P와 C.P 지점이 A 라인으로 연결된 한 패널임을 나타낸다.

평행 라인으로 커트한 결과 E-B를 제외하고 B.P와 E.P의 길이가 동일하게 14 cm로 측정되었는데 이는 B.P와 E.P가 평행으로 동일한 지점에 위치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G.B.M.P의 길이가 F-G는 19.0 cm, S-GBMP은 19.0 cm, E-B는 16.5 cm 이며 C.P의 길이는 F-G 19.5 cm, S-GBMP는 18.5 cm, E-B는 16.5 cm로 ±0.5 cm의 길이차이로 측정되었다. 이는 G.B.M.P와 C.P 지점이 평행 라인으로 연결된 한 패널임을 나타낸다.

V 라인을 사용하여 단독커트로 커트한 결과 B.P와 C.P의 길이가 동일하게 14.0 cm로 측정된 것은 B.P와 C.P 지점이 V 라인으로 연결된 한 패널임을 나타낸다. 단 V 라인의 경우 F-G, S-GBMP, E-B는 가이드지점이 측두부에서 시작되기 때문에 후두부로 갈수록 길이가 길게 측정되었다.

Conclusion

두상의 영역분할과 슬라이스 라인에 따라서 원랭스 커트와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혼합하여 커트한 후 변화되는 커트의 형태와 길이 변화를 실증하여 커트스타일의 변화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영역분할의 높낮이 위치에 따라서 커트스타일의 전체적인 실루엣의 변화가 나타났다. 이것은 두상을 분할할 때 디자인하고자 하는 커트스타일에 따라서 두상의 영역분할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실증하는 것이다.

둘째, 영역분할에 하단부에 원랭스 커트를 적용하고 상단부에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적용한 결과, 분할의 높낮이 위치에 따라서 상단부의 커트스타일의 가벼움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적당한 가벼움을 부여하면서 하단부에 무게감을 유지하는 커트스타일을 만들고자 할 때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며, 더불어 너무 가벼운 층으로 인해 모발이 밖으로 뻗치는 현상을 줄여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영역분할에 따라서 원랭스와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혼합 적용한 결과 분할 위치의 높낮이에 따른 원랭스 커트의 무게감과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의 매끄러운 질감과 거친 질감이 나타났다. 이것은 기초 커트의 서로 다른 형태의 커트를 조합함으로써 새로운 커트스타일이 창출될 수 있다는 것을 실증한 것으로, 이는 다양한 커트디자인의 가능성을 나타낸다고 사료된다.

넷째, 분할의 상단부에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적용한 결과 분할 위치의 높낮이에 따라서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의 입체적인 단차는 커트 형태에 볼륨의 실루엣을 만들며 커트스타일의 변화를 나타냈다. 분할의 위치에 따라서 볼륨의 위치가 변화하는 실루엣은 두상과 얼굴형의 단점을 보완하기에 효과적이며, 이는 고객의 요구사항을 반영하는 동시에 시술자의 디자인감각에 따른 다양한 커트스타일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것으로 두상의 영역분할과 슬라이스 라인에 따라서 원랭스 커트와 미듐 그래주에이션 커트를 혼합하여 적용하고 커트한 후 변화되는 커트의 형태와 길이의 변화를 실증하여 커트스타일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로 두상의 영역분할의 높낮이 위치에 따라서 커트디자인이 변화한다는 것과 서로 다른 형태의 기초 커트를 조합하여 전혀 다른 커트스타일을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 A 라인, 평행, V 라인을 이용하여 같은 형태의 커트에서도 또 다른 커트디자인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객의 외적 특성과 요구사항에 따라서 시술자가 그에 맞는 커트디자인을 표현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다른 형태의 기초 커트를 혼합 적용함으로써 트랜드를 이끄는 창의적인 커트디자인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2020학년도 광주여자대학교 교내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연구되었음(KWUI20-011).

Notes

Author's contribution

SMJ designed, performed experiments, and wrote the manuscript. WJJ has contributed greatly to the review and writing of the manuscript.

Author details

Seon-Mi Jang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en's University, 69 Yeodae Gil, Gwangsangu, Gwangju Gwang-Yeogsi 62396, Korea; Won-Ji Jung (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en's University, 69 Yeodae 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References

Cha WJ, JOO YJ, Jin YM. The study on hair designs by applying design principles: with the production of hair cut art as the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Beauty Art Society 4:107–119. 2010;
Han MS, Kim YS. Awareness of images of women aged 20-50 years and sense of self-effectiveness through production of hair image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7:511–520. 2019;
Jang SM, Jung WJ. Shape changes duo to the slope of the forward slope slice line in graduation haircut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7:211–221. 2019a;
Jang SM, Jung WJ. Shape change according to the mixing of forward and rear slope slice lines in graduation haircut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7:375–385. 2019b;
Jung WJ. Form change of hair style in relation with hair length, base, and angle in A-line hair-cut.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7:197–205. 2011;
Jung WJ, Youn CS. Factors of form change by hair-cu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4:893–899. 2008;
Jung WJ, Youn CS. Form change in parallel line hair cut: focusing on the hair length, angle, base. Journal of Beauty Industry 8:65–78. 2014;
Jung CS, Youn CS. Form change of cult style in relation with hair length, angle and base. Journal of Beauty Industry 9:53–68. 2015;
Jung WJ. An empirical study of the graduation cut on the basic haircut. Journal of Beauty Industry 10:47–61. 2016;
Jung WJ, Kim CI. An empirical study on the mixed style of isadora bob cut and graduation cut. Journal of Beauty Industry 11:37–53. 2017;
Kim SH. A study on form changes of hair styles after adjustment in hair cut section line and combination position: focusing on graduation haircut and increase layer haircu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1:1173–1181. 2015;
Kim SH. A study on hair style changes by changes in the volume of hair cut blocks, hair length and section line in hair cut: focusing on one length cut and increase layered cu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2:1341–1351. 2016;
Kim JS, Kang JA, Goh SH, Gwak HS, Kwon EJ, Kim MJ, Kim SW, Kim OG, Kim TY, Kim HT, et al. Basic haircut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Sejong: p. 64–109. 2018.
Kim HM, Lee JS. A study on the male hair cut section divi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3:811–823. 2017;
Lee OH, Jin YM. A study of one-length cut by the Korean's face types.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4:81–90. 2010;
Moon SJ, Jung WJ. Changes in form line and length in accordance with inclination of slice line in one-length cu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4:743–751. 2018;
Park SK, Yang MS. A study hair design focus on layer, graduation's form control.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1:19–26. 2007;
Park SK, Yang MS. The study on the formativity of graduation’s method.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2:13–19. 2008;
Seo SA, Song YS. A study on satisfaction according to techniques creation and application of hair cut using hair strea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Cultural Arts 8:18–36. 2019;
Yang MY, Park SK. The study on the hair design avail of round head-shape and area.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3:5–12. 2009;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Segmentation of head regions.

1)F-G, front side point-golden point; 2)S-GBMP, side point -golden back medium point; 3)E-B, ear point -back point; 4)F.S.P, front side point; 5)G.P, golden point; 6)S.P, side point; 7)G.B.M.P, golden back medium point; 8)E.P, ear point; 9)B.P, back point; 10)C.P, center point; 11)T.P, top point; 12)N.P, nape point.

Table 1.

A planar diagram of the combination of a one-length cut and a medium-graduation cut according to head region segmentation and an A-line

Division Under
One-length cut
Over Medium graduation cut
Length N.P 5 cm
Direction Forward slope
Slice line A line
Base Not applicable
Angle Under Natural angle 0°
Over Head angle about 45˚

N.P, nape point.

Table 2.

Changes in shape of the combination of a one-length cut and a medium-graduation cut according to head region segmentation and an A-line

One-length cut & Medium graduation cut
A Line Front Side Back
One
F-G
S-GBMP
E-B

F-G, front side point-golden point; S-GBMP, side point-golden back medium point; E-B, ear point-back point.

Table 3.

A planar diagram of the combination of a one-length cut and a medium-graduation cut according to head region segmentation and a parallel

Division Under
One-length cut
Over Medium graduation cut
Length N.P 5 cm
Direction Parallel
Slice line Parallel line
Base Not applicable
Angle Under Natural angle 0°
Over Head angle about 45˚

N.P, nape point.

Table 4.

Changes in shape of the combination of a one-length cut and a medium-graduation cut according to head region segmentation and a parallel

One-length cut & Medium graduation cut
Parallel Front Side Back
One
F-G
S-GBMP
E-B

F-G, front side point-golden point; S-GBMP, side point-golden back medium point; E-B, ear point-back point.

Table 5.

A planar diagram of the combination of a one-length cut and a medium-graduation cut according to head region segmentation and a V-line

Division Under
One-length cut
Over Medium graduation cut
Length N.P 5 cm
Direction Rear slope
Slice line V line
Base Not applicable
Angle Under Natural angle 0°
Over Head angle about 45˚

N.P, nape point.

Table 6.

Changes in shape of the combination of a one-length cut and a medium-graduation cut according to head region segmentation and a V-line

One-length cut & Medium graduation cut
A Line Front Side Back
One
F-G
S-GBMP
E-B

F-G, front side point-golden point; S-GBMP, side point-golden back medium point; E-B, ear point-back point.

Table 7.

Changes in length of the combination of a one-length cut and a medium-graduation cut according to segmentation of head regions and slice lines

Direction N.P N.S.P E.P S.C.P B.P G.B.M.P G.P T.P C.P
A line ONE 5.0 7.5 18.0 20.0 14.0 19.0 24.0 31.0 31.0
F-G 5.0 7.5 18.0 20.0 14.0 19.0 24.0 26.0 26.0
S-GBMP 5.0 7.5 18.0 20.0 14.0 19.0 21.5 24.0 24.0
E-B 5.0 7.5 18.0 17.0 14.0 16.5 19.0 21.0 21.0
Parallel ONE 5.0 5.0 14.0 13.0 14.0 19.0 24.0 28.0 19.5
F-G 5.0 5.0 14.0 13.0 14.0 19.0 24.0 26.0 19.5
S-GBMP 5.0 5.0 14.0 13.0 14.0 19.0 22.0 24.0 18.5
E-B 5.0 5.0 13.0 12.5 14.0 16.5 19.0 22.5 16.5
V line ONE 5.0 4.5 10.0 8.0 14.0 19.0 24.0 25.5 14.0
F-G 5.0 4.5 10.0 8.0 14.0 19.0 23.5 20.0 13.5
S-GBMP 5.0 4.5 10.0 8.0 14.0 17.0 17.0 16.0 12.5
E-B 5.0 4.5 9.5 7.5 14.0 16.0 16.0 15.5 11.5

N.P, nape point; N.S.P, nape side point; E.P, ear point; S.C.P, side corner point; B.P, back point; T.P, top point; C.P, center point; G.P, golden point; G.B.M.P, golden back medium point; F-G, front side point-golden point; S-GBMP, side point-golden back medium point; E-B, ear point-back po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