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용전문가의 상고형 커트스타일에 대한 싱글링과 기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ingling and Technology of Sang-go Cut Style by Beauty Experts

美发专家的平头剪发的Singlling及技巧研究

Article information

Asian J Beauty Cosmetol. 2023;21(3):395-404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September 27
doi : https://doi.org/10.20402/ajbc.2023.0033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en's University, Kwangju, Korea
장선미, 정원지,
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과, 광주, 한국
*Corresponding author: Won-Ji Jung,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en's University, 69 Kwangju Yeodae Gil, Gwangsangu, Gwangju Gwang-Yeogsi 62396, Korea Tel.: +82 62 950 3798 Fax: +82 62 950 3797 Email: jwj65@hanmail.net
Received 2023 March 26; Revised 2023 September 3; Accepted 2023 September 12.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헤어 미용 종사자를 대상으로 상고형 커트스타일에 대한 싱글링의 인식과 기술, 싱글링 높이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남자 커트스타일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미용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빈도분석, 요인분석,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교차분석,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싱글링 인식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디자인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필요성, 만족도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술은 '싱글링 부위와 상단부분의 연결성'으로 나타났으며, 싱글링 높이의 결정은 '두상의 형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연구를 통해 상고형 커트스타일에서 싱글링의 중요성을 알 수 있었으며, 헤어 미용 종사자의 상고형 커트스타일에 대한 싱글링과 기술에 관한 연구를 통해 남자 커트 디자인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확립하였다.

Trans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eline data on men's cut style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perceptions, technical, and the height of the singling in the Sang-go cutstyles for hairdressers working in the field.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hairdressers and the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data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α coefficient were calculated, and crossover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 test were performed.

Results

Following the analysis of the reliability in the perception of singling, the design effect was shown to be the highest, followed by necessity, then satisfaction. The technical was found to be "the connection of the singling and the top," and after analyzing the determinants of the singling height, "the shape of the head" was found to be the highest.

Conclusion

Through the study, the importance of singling in the Sang-go cut style was found out, and basic data necessary for men's cut design was established through a study on singles and techniques for the archaic cut style of beauty experts.

Trans Abstract

目的

本研究旨在通过调查分析美发从业人员对平头剪发造型的Singlling意识和技术以及Singlling高度,为男士理发款式提供基础数据。

方法

以美发从业人员为对象进行调查,采用SPSS 25.0使用统计程序进行频率分析、因子分析和Cronbach's α系数,并进行交叉分析、独立样本t检验、单因素方差分析和邓肯检验等数据分析。

结果

对Singlling意识的可靠性进行分析结果,设计效果最高,其次是必要性和满意度。最重要的技术是“单Singlling区域与上部的连接”,而“头部形状”似乎是决定Singlling高度的最重要技术。

结论

通过研究发现 Singlling在平头剪发中的重要性,并通过对美发师平头造型的Singlling及技术的研究,建立男士剪发设计所需的基础数据。

Introduction

산업의 발달과 시장경제의 지속적인 성장 속에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미적 욕구와 외모에 대한 관심은 나날이 증가하였다. 특히 여성의 전유물처럼 여겨졌던 미적 욕구는 여성들에게서 남성들까지 확대되었으며, 헤어 스타일(hair style)은 신체의 외모적 변인 중에서 가장 많은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Sim & Lim, 2020). 헤어 스타일은 길이나 색, 형태를 쉽게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개성을 표현하고 이미지를 변화 시킨다(Choi, 2014). 또한 적은 비용과 시간으로 빠르고 효율적으로 자신을 표현할 수 있다(Park & Yeu, 2013). Kim & Park (2016)의 연구에 의하면 남성이 중점을 두는 외모 관리 행동 중 헤어 관리에 들이는 비중이 97.9%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헤어 커트(hair cut)는 여성 헤어 커트에 비해 유행이 빠르지 않으며 선호하는 헤어스타일을 유지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Kang, 2004). 우리나라의 남자 커트 스타일의 역사는 1910년대부터 1920년대까지 신∙구가 병행하는 과도기에 단발령의 영향으로 시작됐다(Kim, 2010). 단발령 이후에 일본에서 도입된 남성 스타일은 짧은 스포츠 머리인 고부가리와 상고머리를 뜻하는 가쿠가리로 나눌 수 있다(Jang & Park, 2012). 남자 커트 스타일은 여성 커트 스타일과 다르게 모발의 길이가 매우 짧아서 두상의 골격이 그대로 드러나 보이고 얼굴형이 커트 스타일에 따라 다르게 보이는 특징이 있다(Kim & Lee, 2017). 이러한 남자 커트 스타일은 직업이나 연령에 따라 규제를 받아 왔으나 최근에는 다양한 스타일의 변화와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발전되고 있다.

Kim & Park (2016)은 남성들의 87% 가 헤어 커트를 하기 위해 월 1회 이상 미용실을 찾는 다는 연구 결과를 보고 하였다. 남성 헤어 커트는 다른 시술에 비해 단가가 저렴한 편에 속하지만 회전율이 빠르고 다양한 스타일(style)을 추구하는 남성들에 의해 남성 커트의 매출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Ryu et al., 2014). 이처럼 남성들의 헤어 스타일 관심도의 증가는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증가시켰으며, 그에 따른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m & Kim, 2014). Kang (2004)은 남자들의 헤어 시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커트 스타일에 관한 연구가 시급함을 언급하고 남자 커트스타일의 시술 각도 조사 분석과 개선에 관한 연구를 발표하였다. Lee & Park (2016)은 커트 요소들을 분석한 커트 방법과 디자인 방법을 제안하고 그에 따른 작품을 제작하여 남성의 투블럭 헤어스타일을 제안하였으며, Kim & Lee (2017)는 남성 헤어 커트를 섹션의 3분할에 따른 작품을 제작하고 설문을 통해서 활용성을 증명하여 남성 헤어커트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Park & Yeu (2013)는 전 연령대 별로 조사한 결과 남성이 헤어 커트를 하기 위해 미용실을 방문하는 횟수는 40-50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40-50대가 가장 선호하는 커트 스타일은 깔끔하고 단정한 상고형 커트 스타일이라는 연구결과를 보고하였다. 상고형 커트 스타일이란 '상고 머리'라고도 하며, 밑머리를 가위나 클리퍼(clipper)로 올려 잘라(singling) 두피를 노출시키는 형태로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모발의 길이가 점점 길어지는 스타일을 말한다. Kim & Lee (2015)의 연구 결과를 보면 남성 커트 스타일 중 상고형 커트 스타일은 깔끔하고 단정한 스타일이며, 미용실에서 가장 많이 다뤄지고 있는 스타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고형 커트 스타일은 거친 질감과 매끈한 질감이 혼합된 형태로 상고 높이에 따라서 상고의 형태가 결정되는데 두피가 노출 되는 높이에 따라서 낮은 상고(low graduation form), 중간 상고(medium graduation form), 높은 상고(high graduation form)로 분류한다(Jang, 2015). 상고형 커트 스타일은 싱글링 라인(singling line)과 상단부가 만나는 지점에 무게선이 형성되며 무게선을 변화시킴으로써 커트의 전체적인 형태의 모양도 변화시킬 수 있다(Jang, 2015). 남자 상고형 커트 스타일에 관한 선행 연구를 보면 Jang (2015)은 남성 상고형 커트 스타일을 중심으로 이용 테크닉과 미용 테크닉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조형적 특징을 분석했다. 하지만 상고형 커트 스타일의 테크닉이라는 것이 주관적이며, 내용의 타당성을 입증할 근거자료의 부재로 테크닉의 차이점을 논하기에는 한계점이 있다. Song & Cho (2012)는 상고형 남성커트에서 연결각도의 관계를 연구하여 남자 커트 스타일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으며, Song et al. (2018)은 상고형 남성커트의 선호각도와 만족도를 연구하여 보고하였다.

이처럼 남자 커트 스타일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지만 미용의 다른 분야에 비해 남자 커트 스타일에 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고객의 요구도가 높은 상고형 커트 스타일은 현장에서 많이 시행되는 스타일임에도 불구하고 상고형 커트 스타일에 관한 기초적인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며, 이러한 기초적인 연구의 부재는 남성 커트 스타일을 배우는 미용인들에게 커트 교육의 문제점을 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헤어 미용 종사자에게 상고형 커트스타일에 대한 싱글링과 기술에 관해 설문조사를 하고 분석하여 남자 커트 스타일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Methods

1. 연구 대상

본 연구를 위해 2022년 12월 10일부터 2023년 1월 30일까지 온라인(online)과 오프라인(offline)을 통해 헤어 미용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총 196부를 배포하였고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한 19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2. 측정도구 및 내용

설문 내용은 크게 일반적 특성과 상고형 커트스타일에 관한 요인에 관한 설문으로 구성되었으며,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는 성별, 연령, 미용경력, 학력, 기능장 여부, 직위를 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상고형 커트스타일에 관한 요인으로는 싱글링 인식 3문항,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술 5문항, 싱글링 높이의 결정 7문항으로 총 1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상고형 커트스타일의 요인에 관한 문항 선정은 미용경력 15년이상의 현장 전문가 10인에게 사전조사를 실시하여 설문을 구성하였으며 Table 1과 같다.

Questionnaire composition

3. 자료분석 방법

자료 분석은 SPSS 25.0 통계프로그램(IBM, USA)을 이용하였으며, 구체적인 통계분석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남성 헤어커트 관련 특성과 상고형 커트스타일 시 싱글링 관련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 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Results and Discussion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분석결과 성별은 남성 20명(10.5%), 여성 170명(89.5%)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30대 이하 28명(14.7%), 40대 69명(36.3%), 50대 70명(36.8%), 60대 이상 23명(12.1%)으로 나타났다. 미용경력은 10년 미만 27명(14.2%), 10-20년 미만 34명(17.9%), 20-30년 미만 74명(38.9%), 30년 이상 55명(28.9%)으로 나타났고, 학력은 고졸이하 89명(46.8%), 2년제 대학 졸업 38명(20.0%), 4년제 대학 졸업 21명(11.1%), 대학원 재학 이상 42명(22.1%)으로 나타났다. 취득 기능장은 미용사 116명(61.0%), 미용장 48명(25.3%), 이/미용장 모두 26명(13.7%) 순으로 나타났고, 직위는 원장 142명(74.7%), 실장(점장, 디자이너, 매니저 포함) 18명(9.5%), 대학교수 11명(5.8%) 순으로 나타났다.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participants

2. 상고형 커트스타일 시 싱글링 인식

1)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상고형 커트스타일 시 싱글링 인식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KMO값이 0.885, Bartlett 구형성 검정 결과 χ2=1203.258 (df=55, p=0.000)로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의 선정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3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총 분산 설명력은 73.528%로 나타났다. 즉, 요인 1 (27.165%)은 '필요성'으로, 요인 2 (24.422%)는 '디자인 효과'로, 요인 3 (21.941%)은 '만족도'로 명명하였다. 총 3개 요인의 적재치는 0.40 이상으로 나타나 타당성이 검증된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신뢰도는 0.60 이상으로 나타나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Verification of the percep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ingling for Sang-go cut styles

2) 싱글링 인식

상고형 커트스타일 시 싱글링 인식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디자인 효과'(M=4.22)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필요성'(M=4.10), '만족도'(M=3.95)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싱글링 인식은 평균 4.10점으로 나타났다.

Perception of singling for Sang-go cut styles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연구 결과로 볼 때 상고형 커트스타일 시 싱글링의 높낮이 차이는 꼭 필요하며, 싱글링의 높낮이 차이는 커트의 형태에 영향을 주고 고객의 이미지를 변화시킨다. 이것은 커트 디자인과 완성도에 영향을 미치며 싱글링의 높낮이 차이를 적용하였을 때 커트 디자인의 완성도를 높이고 고객의 만족도를 이끌어 낼 수 있음을 나타낸다.

3. 상고형 커트스타일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술

상고형 커트스타일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술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으며 총 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싱글링 부위와 상단부분의 연결성'(M=4.48)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체적인 균형'(M=4.44), '상단부분의 커트 선에서의 매끄러움'(M=4.38), '싱글링의 매끄러움'(M=4.31), '싱글링의 높이'(M=4.20) 순으로 나타났다.

Technical considered most important for Sang-go cut styles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학력에 따라서는 하위문항별 '전체적인 균형'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5), 고졸이하에 비해 4년제 대학 졸업의 경우 상대적으로 전체적인 균형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득 기능장에 따라서는 하위 문항별 '싱글링의 매끄러움', '상단부분의 커트 선에서의 매끄러움', '전체적인 균형', '싱글링의 높이'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5), 이/미용장 모두 취득한 경우 미용장만 취득했거나 미용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싱글링의 매끄러움, 상단부분의 커트 선에서의 매끄러움, 전체적인 균형, 싱글링의 높이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성별, 연령, 미용경력, 직위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연구결과를 보면 상고형 커트스타일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술이 싱글링 부위와 상단부분의 연결성으로 나타났다. 상고형 커트스타일을 하게 되면 싱글링 부위와 상단부분 사이에 무게선이 형성되는데 이부분을 제거하고 적당히 남겼을 때 실루엣은 변하며 그에 따라 고객의 만족도가 달라진다. 미용전문가들이 상고형 커트스타일에서 고객의 만족도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무게선을 제거하기 위해 트리밍 또는 클리퍼 기술 등을 연마해야 할 것이다.

4. 상고형 커트스타일 시 싱글링 높이의 결정

상고형 커트스타일 시 싱글링 높이의 결정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6과 같으며 총 7개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두상의 형태'(M=4.32)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체 모발길이에 따른 균형'(M=4.19), '얼굴 형태'(M=4.16), '고객의 취향'(M=4.13), '두상의 크기'(M=3.97), '고객 목의 두께'(M=3.59), '고객의 체격'(M=3.51) 순으로 나타났다.

Singling height for Sang-go cut styles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연령에 따라서는 하위문항별 '두상의 크기', '전체 모발길이에 따른 균형', '고객의 체격'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5), 30대 이하 또는 60대 이상에 비해 40-50대의 경우 상대적으로 두상의 크기, 전체 모발길이에 따른 균형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30대 이하에 비해 40-60대 이상의 경우 고객의 체격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미용경력에 따라서는 하위문항별 '고객의 체격'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5), 10년 미만이나 10-20년 미만에 비해 30년 이상의 경우 상대적으로 고객의 체격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득 기능장에 따라서는 하위문항별 '두상의 크기', '얼굴 형태', '고객의 체격', '고객 목의 두께'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5), 이∙미용장 모두 취득한 경우 미용장만 취득했거나 미용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상의 크기, 얼굴 형태, 고객 목의 두께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미용장 모두 취득하거나 미용장만 취득한 경우 미용사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객의 체격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직위에 따라서는 하위문항별 '얼굴 형태', '고객의 체격', '고객 목의 두께'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05), 대학 교수의 경우 상대적으로 얼굴 형태, 고객의 체격, 고객 목의 두께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성별, 학력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연구 결과를 볼때 상고형 커트스타일 시 싱글링 높이의 결정은 두상의 형태나 얼굴 형태, 고객의 체격과 같은 신체 조건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객의 요구사항 뿐만 아니라 이러한 고객의 신체 조건을 고려하고 디자인할 때 고객 만족을 이끌어 내고 재방문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Conclusion

본 연구는 현업에 종사하는 헤어 미용 종사자를 대상으로 상고형 커트스타일에 대한 싱글링과 기술에 관한 설문조사를 하고 이를 분석하여 남자 커트스타일의 기초 자료를 마련하여 제공하고자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상고형 커트스타일 시 싱글링 인식에 대한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디자인 효과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필요성, 만족도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통계결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 결과로 볼 때 상고형 커트스타일 시 싱글링의 높낮이 차이는 꼭 필요하며, 커트 디자인과 완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싱글링의 높낮이 차이는 커트디자인에 따라 결정되고 달라져야 하며, 싱글링의 높낮이 차이를 적용하였을 때 커트 디자인의 완성도를 높이고 고객의 만족도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상고형 커트스타일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술은 '싱글링 부위와 상단부분의 연결성'>'전체적인 균형'>'상단부분의 커트 선에서의 매끄러움'>'싱글링의 매끄러움'>'싱글링의 높이'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싱글링의 경계를 기준으로 상단부와 하단부의 연결 부분에 무게선이 형성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이것은 상고형 커트스타일의 특성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무게선이 형성된 부위를 디자인에 맞게 연결하여 자연스러운 실루엣을 형성해야 커트스타일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셋째, 상고형 커트스타일 시 싱글링 높이의 결정은 분석 결과 '두상의 형태'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모발길이에 따른 균형', '얼굴 형태', '고객의 취향' 등의 순위로 나타났다. 이것은 상고형 커트스타일 시 싱글링의 높낮이는 두상의 형태와 같은 고객의 신체적 조건을 적극적으로 반영해서 결정해야 할 것이며, 커트의 완성도를 위해 상단부의 모발 길이를 고려한 후 조화로운 싱글링의 높이를 선정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것으로 상고형 커트스타일에서 싱글링의 중요성을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으며, 상고형 커트스타일에 대한 싱글링과 기술에 관해 헤어 미용 종사자에게 설문조사를 하고 이를 분석하여 남자 커트디자인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여 제공하였다. 현재 남자 커트스타일에 관한 연구는 그 비중과 중요도에 비해 기초적인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상고형 커트스타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남자 커트스타일을 체계화 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며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Notes

Author's contribution

SMJ performed experiments, and wrote the manuscript. JWJ has contributed greatly to the review and writing of the manuscript.

Author details

Seon-Mi Jang (Adjunct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en's University, 69 Gwangju Yeodae 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Won-Ji Jung (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en's University, 69 Gwangju Yeodae-gil, Gwangsan-gu, Gwangju 62396, Korea.

References

Choi SK. A study on clothing image, hair-style image, and hair-style behavior for men’s total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0:633–642. 2014;
Im EJ, Kim MW. The Correlation between recognition of hair style and body image of men in his twen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0:523–533. 2014;
Jang YS. Men cut due to the difference in technique formative research: men's graduation as a center of style. Korean Society of Cosmetics and Cosmetology 5:271–278. 2015;
Jang YS, Park OR. Since the 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of Korea by Japan, the impact of men’s hair in the form. The Japanese Modern Association of Korea 38:219–240. 2012;
Kim KH, Park EJ. Awareness on hair style according to men s general characteristics. Journal of Beauty Industry 10:71–86. 2016;
Kang NS.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that analyse out on operation angle of man’s short cut. Korean Beauty Society 10:154–161. 2004;
Kim HM, Lee JS. A study on the male hair cut section divi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3:811–823. 2017;
Kim HJ, Lee HS. Preferrence of 20’s men hair style (mostly about two block style.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9:15–24. 2015;
Kim HJ. Periods of Korea men hairstyles change analysis.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4:49–57. 2010;
Lee SH, Park EJ. A study on design for man s two block haircut model used. Journal of Beauty Industry 10:87–108. 2016;
Park JM, Yeu KJ. A study of men’s preference in hair style depending on age type:focusing on the Ulsan Cit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14:61–78. 2013;
Ryu HL, Cha WJ, Jin YM. Study on the man using behavior of beauty salon and preference in hair style.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8:21–29. 2014;
Sim EH, Lim SN. Current 2-block haircut styles and preferences in men.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18:111–123. 2020;
Song YN, Cho JH. A study on angles connecting the side head and the back head in man’s crew cu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8:305–309. 2012;
Song YN, Kim AR, Cho JH. A study on the formed: angle and satisfaction of man’s crew style haircu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4:357–366. 2012;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Questionnaire composition

Item Source Scale Number of questions
General characteristics Researchers Nominal scale 6 questions
Verification of the perception of singling 10 experts with 15+ years of experience in the field 5-point Likert scale 3 questions
Technical factors 5 questions
Determinants of the singling height 7 questions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participants

Components Frequency (N) Percentage (%)
Gender Male 20 10.5
Female 170 89.5
Age 30 or younger 28 14.7
40 69 36.3
50 70 36.8
60 or older 23 12.1
Experience in hairdressing Less than 10 years 27 14.2
Less than 10-20 years 34 17.9
Less than 20-30 years 74 38.9
More than 30 years 55 28.9
Educational background High school diploma or less 89 46.8
Graduated from a two-year college 38 20.0
Graduated from four-year college 21 11.1
Enrolled in a graduate school or higher 42 22.1
Acquired master craftsman Master hairdresser 48 25.3
Both master barber/Hairdresser 26 13.7
Hairdresser 116 61.0
Position Chief (including store owners, designers, and managers) 18 9.5
Director 142 74.7
University professor 11 5.8
Other 19 10.0
All 190 100.0

Table 3.

Verification of the percep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ingling for Sang-go cut styles

Question Component
Necessity Design effect Satisfaction
The difference in the height of singling is applied 0.859 0.253 0.076
It is essential for singling to have a different height 0.824 0.295 0.164
Singling is convenient for applying a different height 0.761 0.171 0.314
It is important to use singling with a different height 0.751 0.308 0.220
The height difference in the singling is efficient for design 0.235 0.808 0.162
The height difference in the singling should depend on the design 0.189 0.754 0.284
The height difference in the singling affects the design outcome 0.356 0.740 0.173
The height difference in the singling affects the position of the weight line in the design 0.257 0.686 0.289
I would recommend applying different singling heights to fellow hairdressers 0.084 0.213 0.856
Applying different singling heights will result in a more finished look 0.248 0.270 0.825
I’m satisfied with the weight line made by applying different singling heights 0.274 0.231 0.775
Eigenvalue 2.988 2.686 2.414
Variance explanation (%) 27.165 24.422 21.941
Cumulative explanation (%) 27.165 51.587 73.528
Reliability 0 .884 0.842 0.850

KMO=0.885; Bartlett's test χ2=1203.258 (df=55, p=0.000).

Table 4.

Perception of singling for Sang-go cut styles

Item Perception of singling
All
Necessity
Design effect
Satisfaction

M SD M SD M SD M SD
Gender Male 3.99 0.732 4.14 0.671 3.85 0.834 4.00 0.676
Female 4.12 0.662 4.23 0.547 3.96 0.666 4.11 0.516
t-value (p) -0.813 (0.417) -0.693 (0.489) -0.660 (0.510) -0.866 (0.388)
Age 30 or younger 3.89 0.843 4.19 0.503 3.93 0.597 4.01 0.546
40 4.09 0.650 4.24 0.568 3.86 0.699 4.08 0.528
50 4.25 0.565 4.27 0.518 4.10 0.661 4.22 0.468
60 or older 3.95 0.719 4.05 0.711 3.74 0.745 3.93 0.671
t-value (p) 2.539 (0.058) 0.898 (0.443) 2.379 (0.071) 2.241 (0.085)
Experience in hairdressing Less than 10 years 4.01 0.825 4.13 0.556 3.86 0.525 4.01 0.533
Less than 10-20 years 4.03 0.590 4.26 0.488 3.81 0.702 4.06 0.441
Less than 20-30 years 4.14 0.656 4.25 0.556 4.00 0.688 4.14 0.532
More than 30 years 4.14 0.659 4.20 0.615 3.99 0.737 4.12 0.593
t-value (p) 0.452 (0.716) 0.382 (0.766) 0.799 (0.496) 0.491 (0.689)
Educational background High school diploma or less 4.19 0.573 4.22 0.508 3.94 0.668 4.13 0.491
Graduated from a two-year college 4.11 0.499 4.26 0.518 3.86 0.670 4.09 0.424
Graduated from four-year college 4.15 0.827 4.37 0.546 4.06 0.814 4.21 0.621
Enrolled in a graduate school or higher 3.88 0.856 4.11 0.692 3.98 0.676 3.99 0.653
t-value (p) 2.170 (0.093) 1.121 (0.342) 0 .434 (0.729) 1.015 (0.387)
Acquired master craftsman Master hairdresser 4.15 0.644 4.27 0.618 4.05 0.674 4.17 0.598
Both master barber/Hairdresser 3.88 1.030 4.20 0.714 3.97 0.827 4.02 0.707
Hairdresser 4.13 0.569 4.20 0.497 3.90 0.654 4.09 0.459
F-value (p) 1.624 (0.200) 0.265 (0.767) 0.864 (0.423) 0.639 (0.529)
Position Chief (including store owners, designers, and managers) 4.00 0.514 4.15 0.344 3.89 0.396 4.03 0.346
Director 4.15 0.642 4.25 0.559 3.97 0.711 4.14 0.527
University professor 4.32 0.571 4.32 0.653 4.27 0.574 4.31 0.568
Other 3.75 0.928 3.97 0.645 3.61 0.660 3.79 0.624
F-value (p) 2.541 (0.058) 1.610 (0.189) 2.495 (0.061) 3.069 (0.029)
All 4.10 0.669 4.22 0.560 3.95 0.684 4.10 0.534

Table 5.

Technical considered most important for Sang-go cut styles

Item Technical considered most important
Smoothness of the singling
Connection of the singling and the top
Smoothness at the top of the cut line
Overall balance
Height of the singling
M SD M SD M SD M SD M SD
Gender Male 4.10 0 .912 4.45 0.826 4.35 0 .671 4.30 0 .733 4.10 0.788
Female 4.34 0.729 4.49 0.618 4.39 0.645 4.45 0.662 4.21 0.755
F-value (p) -1.328 (0.186) -0.201 (0.843) -0.250 (0.803) -0.966 (0.335) -0.623 (0.534)
Age 30 or younger 4.21 0.686 4.50 0.638 4.29 0.600 4.36 0.731 4.11 0.629
40 4.35 0.660 4.48 0.655 4.39 0.669 4.51 0.609 4.36 0.685
50 4.27 0.900 4.49 0.631 4.41 0.648 4.44 0.673 4.17 0.798
60 or older 4.43 0.590 4.48 0.665 4.39 0.656 4.30 0.765 3.91 0.900
F-value (p) 0.479 (0.697) 0.008 (0.999) 0.268 (0.849) 0.685 (0.562) 2.382 (0.071)
Experience in hairdressing Less than 10 years 4.37 0.742 4.56 0.698 4.33 0.734 4.52 0.700 4.33 0.679
Less than 10-20 years 4.32 0.638 4.29 0.629 4.26 0.666 4.26 0.710 4.12 0.686
Less than 20-30 years 4.23 0.837 4.57 0.575 4.45 0.600 4.47 0.624 4.19 0.805
More than 30 years 4.38 0.707 4.45 0.689 4.40 0.655 4.45 0.689 4.20 0.779
F-value (p) 0.507 (0.678) 1.583 (0.195) 0.676 (0.568) 0.967 (0.409) 0.414 (0.743)
Educational background High school diploma or less 4.29 0.855 4.47 0.659 4.34 0.656 4.30a 0.697 4.08 0.842
Graduated from a two-year college 4.21 0.664 4.45 0.602 4.37 0.589 4.50ab 0.604 4.32 0.574
Graduated from four-year college 4.48 0.602 4.71 0.561 4.57 0.746 4.71b 0.561 4.33 0.730
Enrolled in a graduate school or higher 4.36 0.656 4.43 0.668 4.40 0.627 4.52ab 0.671 4.29 0.708
F-value (p) 0.633 (0.595) 1.064 (0.366) 0.764 (0.516) 2.808*(0.041) 1.465 (0.226)
Acquired master craftsman Master hairdresser 4.38ab 0.570 4.48 0.618 4.40a 0.574 4.44a 0.649 4.23a 0.751
Both master barber/Hairdresser 4.62b 0.571 4.65 0.618 4.69b 0.471 4.77b 0.430 4.62b 0.637
Hairdresser 4.22a 0.832 4.45 0.629 4.31a 0.690 4.36a 0.703 4.09a 0.757
F-value (p) 3.325*(0.038) 1.098 (0.336) 3.831*(0.023) 4.053*(0.019) 5.295**(0.006)
Position Chief (including store owners, designers, and managers) 4.22 0.732 4.44 0.705 4.28 0.575 4.56 0.705 4.17 0.707
Director 4.35 0.763 4.51 0.627 4.42 0.656 4.43 0.646 4.20 0.765
University professor 4.27 0.786 4.55 0.688 4.45 0.688 4.64 0.674 4.36 0.674
Other 4.16 0.688 4.26 0.653 4.16 0.602 4.26 0.806 4.16 0.834
F-value (p) 0.450 (0.718) 0.914 (0.435) 1.152 (0.330) 0.945 (0.420) 0.200 (0.896)
All 4.31 0.751 4.48 0.640 4.38 0.646 4.44 0.670 4.20 0.757
*

p <0.05;

**

p <0.01;

Duncan: a < b.

Table 6.

Singling height for Sang-go cut styles

Item Singling height
Shape of the head
Size of the head
Shape of the face
Balance across the entire hair length
Customer’s physique
Thickness of the customer's neck
Customer’s preference
M SD M SD M SD M SD M SD M SD M SD
Gender Male 4.10 0.788 3.90 0.852 4.00 0.649 4.30 0.657 3.25 0.639 3.35 0.745 4.15 0.813
Female 4.35 0.716 3.98 0.796 4.18 0.751 4.18 0.756 3.54 0.864 3.62 0.917 4.12 0.793
F-value (p) -1.445(0 .150) -0.435(0.664) -1.168(0.254) 0.700(0.485) -1.849(0.075) -1.256(0.211) 0.141(0.888)
Age 30 or younger 4.36 0.621 3.64a 0.826 4.04 0.744 4.07ab 0.716 3.07a 0.716 3.32 0.819 4.14 0.891
40 4.43 0.630 4.06b 0.838 4.20 0.815 4.29b 0.730 3.54b 0.850 3.55 0.948 4.17 0.747
50 4.27 0.833 4.13b 0.679 4.27 0.635 4.29b 0.663 3.59b 0.825 3.71 0.887 4.14 0.822
60 or older 4.09 0.733 3.65a 0.832 3.87 0.757 3.74a 0.915 3.74b 0.915 3.65 0.885 3.91 0.733
F-value (p) 1.509(0 .214) 4.167**(0.007) 2.076 (0.105) 4.016**(0.008) 3.399*(0.019) 1.356 (0.258) 0.647(0.586)
Experience in hairdressing Less than 10 years 4.37 0.629 3.85 0.907 4.04 0.759 4.15 0.818 3.33a 0.832 3.48 0.935 4.19 0.834
Less than 10-20 years 4.44 0.613 3.74 0.828 4.12 0.844 4.06 0.649 3.32a 0.806 3.41 0.857 4.24 0.654
Less than 20-30 years 4.32 0.796 4.08 0.772 4.26 0.703 4.31 0.720 3.46ab 0.924 3.54 0.954 4.15 0.839
More than 30 years 4.22 0.738 4.04 0.744 4.13 0.721 4.13 0.795 3.78b 0.712 3.82 0.819 4.00 0.793
F-value (p) 0.719 (0.542) 1.796 (0.149) 0.736 (0.532) 1.158 (0.327) 3.012* (0.031) 1.842 (0.141) 0.745 (0.527)
Experience in hairdressing Less than 10 years 4.28 0.826 3.98 0.825 4.19 0.752 4.13 0.772 3.46 0.893 3.48 0.967 4.01 0.761
Less than 10-20 years 4.39 0.638 3.87 0.777 3.95 0.804 4.03 0.788 3.39 0.823 3.47 0.797 4.16 0.823
Less than 20-30 years 4.43 0.507 3.95 0.669 4.29 0.561 4.38 0.740 3.67 0.796 3.95 0.669 4.48 0.680
More than 30 years 4.29 0.673 4.07 0.838 4.24 0.726 4.36 0.618 3.64 0.791 3.74 0.912 4.17 0.853
F-value (p) 0.405 (0.750) 0.430 (0.732) 1.459 (0.227) 1.963 (0.121) 0.919 (0.433) 2.171 (0.093) 2.077 (0.105)
Acquired master craftsman Master hairdresser 4.27 0.707 3.96a 0.771 4.10a 0.778 4.17 0.753 3.79b 0.771 3.73ab 0.869 4.17 0.753
Both master barber/Hairdresser 4.54 0.582 4.46b 0.647 4.54b 0.582 4.46 0.508 3.85b 0.732 4.04b 0.824 4.42 0.758
Hairdresser 4.29 0.758 3.87a 0.808 4.10a 0.739 4.14 0.779 3.32a 0.851 3.43a 0.897 4.04 0.806
F-value (p) 1.375(0.255) 6.124**(0.003) 3.979*(0.020) 2.051(0.131) 8.246***(0.000) 5.866**(0.003) 2.561(0.080)
Position Chief (including store owners, designers, and managers) 4.56 0 .511 3.83 0.985 4.11ab 0 .676 4.11 0.758 3.00 a 0 .594 3.28 a 0.826 4.28 0.958
Director 4.33 0.731 4.00 0.763 4.19ab 0.734 4.24 0.753 3.58bc 0.836 3.62ab 0.913 4.16 0.721
University professor 4.36 0.674 4.27 0.647 4.55b 0.688 4.18 0.603 4.00c 0.775 4.18b 0.751 4.18 1.079
Other 4.00 0.816 3.74 0.933 3.79a 0.787 3.89 0.737 3.16ab 0.898 3.32a 0.820 3.68 0.885
F-value (p) 1.917(0.128) 1.311(0.272) 2.74*(0.044) 1.273(0.285) 5.191**(0.002) 3.024*(0.031) 2.348(0.074)
All 4.32 0.725 3.97 0.800 4.16 0.742 4.19 0.746 3.51 0.847 3.59 0.903 4.13 0.793
*

p <0.05;

**

p <0.01;

***

p <0.001;

Duncan: a < b < 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