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의 외재적 단서가 지각된 가치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trinsic Cues of Cosmetics on Perceived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化妆品外在线索对感知价值和购买意愿的影响

Article information

Asian J Beauty Cosmetol. 2023;21(4):629-639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December 28
doi : https://doi.org/10.20402/ajbc.2023.0079
Department of Beauty Design Management, Hansung University, Seoul, Korea
권오혁
한성대학교 뷰티디자인매니지먼트학과, 서울, 한국
Corresponding author: Oh-Hyeok Kwon, Department of Beauty Design Management, Hansung University, 116 Samseongyo-ro 16-gil, Seongbuk-gu, Seoul 02876, Korea Tel.: +82 2 760 4150 Fax: +82 2 760 4150 Email: beauty67@hansung.ac.kr
Received 2023 August 2; Revised 2023 November 7; Accepted 2023 December 7.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화장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와 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인 브랜드와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과 그리고 형성된 지각된 가치가 소비자의 적극적인 행동인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분석방법으로 SPSS Ver.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 분석 그리고 3단계 매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서 화장품 구매 경험이 있는 430명을 대상으로 2022년 10월 1일부터 10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표본으로 활용할 수 없는 8부를 제외한 422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인 브랜드와 패키지 디자인은 화장품의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화장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자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와 구매의도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소비자는 화장품의 브랜드 및 패키지 디자인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관심은 화장품에 대한 주관적 가치를 향상시킴으로써 소비자의 적극적인 태도인 구매의도를 자극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는 소비자가 화장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긍정적 행동을 촉진할 수 있다. 이때 나타나는 화장품에 대한 가치 지각은 소비자의 경제적 활동을 완성시키는데 결정적 계기가 될 수 있기 때문에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는 제품의 이미지 향상과 더불어 매출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마케팅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rans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clues of cosmetics an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This study explores how external clues, such as brands and cosmetics package design,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perceived value, affecting consumers’ active purchase intentions.

Methods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and three-step media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Ver. 24.0. A survey conducted with 430 participants who purchased cosmetic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from October 1 to October 20, 2022, provided the basis for the final analysis, with 422 usable responses.

Results

External clues, such as brand and package design, exhibit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value of cosmetics and on consumers’ intentions to purchase cosmetics. Second, perceived value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clues of cosmetics and purchase intentions.

Conclusion

Consumers demonstrate a significant interest in cosmetics’ brand and package desig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these external clues in stimulating consumers’ activ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by improving the subjective value of cosmetics. External clues to cosmetics can promote positive consumer behavior and encouraging the purchase of cosmetics. Recognizing the pivotal role of the perceived value of cosmetics during consumers’ economic activities, it is suggested that leveraging the external clues of cosmetics can be a marketing tool that can improve sales and enhance product image.

Trans Abstract

目的

研究探讨感知价值在化妆品外部线索与消费者购买意愿关系中的中介作用。本研究探讨了品牌和化妆品包装设计等外部线索如何有助于感知价值的形成,从而影响消费者的主动购买意愿。

方法

使用 SPSS Ver.2 进行频率、因子、可靠性和三步介导的多元回归分析。研究对象为2022年10月1日至10月20日期间对首尔及首都圈430名有购买化妆品经历的人进行的调查。排除不能作为样本的8份,共422份作为最终分析数据。

结果

品牌和包装设计等外部线索对化妆品的感知价值和消费者购买化妆品的意图表现出积极的影响。其次,发现感知价值对化妆品的外部线索与购买意愿之间的关系有部分中介作用。

结论

消费者对化妆品的品牌和包装设计表现出浓厚的兴趣,强调这些外部线索通过提高化妆品的主观价值来激发消费者的主动态度和购买意愿的重要性。化妆品的外部线索可以促进积极的消费者行为并鼓励购买化妆品。认识到化妆品感知价值在消费者经济活动中的关键作用,建议利用化妆品的外部线索作为营销手段,提高销量、提升产品形象。

Introduction

화장품산업은 과학의 발달과 다양한 니즈의 수용성이 확대됨으로써 사치품이 아닌 생활필수품 인식의 고취, 여성 경제활동 인구 증가, 미에 대한 소비자 욕구의 다양화와 관심 증대, 소비자 계층의 확대,온/오프라인 공유 플랫폼의 확산, 고령화 시대 진입 등으로 인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는 미래의 새로운 성장 동력산업이며 향후 지속성장이 가능한 산업이다(Sheen, 2023). 이러한 화장품산업의 확장성은 좀 더 세분화되고 개별화된 욕구들을 자극하고 창출하는데, 창출된 소비자 욕구의 충족은 화장품 기업의 생존 가치로 이어진다. 다시 말하면 가치 지향적인 고객관리는 지속적인 고객의 확보 및 유지의 수단으로 이를 정립하여 고객을 관리하는 것은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의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다(Park, 2023). 과거 시장 중심의 거래방식에서 고객 지향적 마케팅 그리고 가치 지향적 마케팅으로의 발전을 거듭하면서 소비자가 지각하는 주관적 가치의 중요성이 부각 되었다. 즉, 소비자들은 화장품 구매 시 제품의 질이나 가격과 같은 단순한 구매요인과 함께 자신이 추구하고자 하는 가치가 투영된 제품과의 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 외재적 단서는 제품의 본질적 속성이 아닌 단서들로써 제품과 관련된 브랜드명, 매장 이미지, 포장, 광고 등을 의미한다(Kim, 2020). 바쁜 일상 속에 제품의 여러 속성을 과학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제품을 평가하기보다는 빠르고 용이한 평가를 위해 외재적 속성을 활용하는 경향이 있다(Lee & Lim, 2001). 특히 제품군이 다양하고 성분이나 제품의 질이 평준화되어 있는 화장품의 경우 이미지가 중요한데 이런 제품의 경우 브랜드나 패키지와 같은 외부적인 단서들이 제품의 질, 성분 등과 같은 내재적인 단서보다 중요하다(Yoon & Kim, 2017). 패키지 디자인은 제품을 나타내고,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최후의 매체이고, 형태, 이미지, 기능이 소비자와 브랜드를 연결하여주는 중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Kim, 2020). 소비자는 가장 마지막의 구매시점에서 구매결정의 70%가 이루어짐으로 패키지 디자인의 역할이 큰 영향을 미친다(Yoon, 2017). 외재적 단서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긍정적인 변인이라 할 수 있는 소비자가 지각하는 가치가 높을수록 브랜드 이미지가 높아진다고 볼 수 있으며 고객 충성도 또한 높일 수 있게 된다(Lee & Hwang, 2014). 소비자가 제품을 선택할 때 브랜드 품질의 지각과 가치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기업의 이익과 이윤을 증가시키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Han, 2023). 고객에게 전달된 가치란,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기술과 서비스의 전반적인 능력에 대한 고객의 평가를 의미하고(Yeo & Park, 2021). 지각된 가치는 지불한 것과 얻은 것의 차이라고 할 수 있으며, 개개인마다 관점이 다르기 때문에 주관적인 가치라고 볼 수 있다(Choi et al., 2019). 이처럼 지각된 가치는 상품에서 고객이 원하는 것이 어떤 것인지 파악하고, 지불하는 가격으로 얻어지는 품질로 소비자와 생산자 사이에 주고받는 상품들의 유용성에 대해 소비자가 인지하는 최종적인 평가라고 할 수 있다(Jeon & Jo, 2023). 한편, 구매의도는 소비자가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매하고자할 때의 구매의사 결정과정 중 중요한 변수로 실제 화장품 구매의도와 기업의 성과 측정에 중요한 변수로 고려된다(Jeong et al., 2017). Whang & Lee (2010)는 구매의도를 소비자의 계획된 미래 행동으로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태도가 행동으로 이행될 가능성을 의미하며, 구매 의도가 화장품 구매 의도와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이렇듯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와 지각된 가치 그리고 구매의도는 화장품 기업과 소비자의 욕구 충족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그린제품을 대상으로 외재적 속성과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검증한 연구(Ryu et al., 2013)와 와인을 구매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외재적 단서와 재구매의사의 관계를 검증한 연구(Lee & Ko, 2014), 친환경 제품을 대상으로 외재적 단서의 중요성을 검증한 연구(Lee et al., 2013), 편의점 도시락을 구매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외재적 단서와 가치 그리고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검증한 연구(Kim, 2020) 등에서 외재적 단서와 관련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화장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외재적 단서와 지각된 가치 그리고 구매의도와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의 중요성을 입증하고 지각된 가치와 구매의도와의 영향관계를 검증하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인 브랜드와 패키지 디자인이 화장품의 가치를 상승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입증하여 화장품의 질과 가격의 만족감을 넘어 소비자에게 특별한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라이프스타일이 투영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 수립과 기업의 관리자들이 선결해야 할 문제점을 제시하는 등 실무적인 차원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Methods

1. 연구모형 및 가설

앞에서 제시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가 지각된 고객가치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와 지속사용의도 간의 관계에서 고객가치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모형(Figure 1)과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Figure 1.

Research model.

Effects of salespersons’ communication in beauty-service encounters on store loyalty with brand image as a mediator.

연구가설 1: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는 지각된 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2: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는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가설 3: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와 구매의도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는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2. 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서울 및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며 화장품 구매 경험이 있는 430명을 대상으로 2022년 10월 1일부터 10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방법으로는 직접 설문지를 작성하는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사용하였고 표본으로 활용할 수 없는 8부를 제외한 422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3. 측정도구 및 자료 분석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총 22문항을 5점 Likert척도로 측정하였다. 먼저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는 Kim (2020) 검증한 8개 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지각된 가치는 Yeo & Park (2021)이 검증한 11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구매의도는 Oh (2020)의 연구에서 검증된 3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6개 문항으로 구성하고 선다형으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하였고, 측정의 구성 타당도 확인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 변수들의 내적 일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Cronbach's α 검증을 통해 신뢰성을 분석하였다(Kwon & Sheen, 2018). 가설검증을 위해 Baron & Kenny (1986)가 제시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에 따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Results and Discussion

1. 인구통계학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먼저 성별을 보면 여성이 88.2%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연령은 20대 이하가 68.2%, 40대 이상이 23%, 30대가 8.8%, 순으로 나타났다. 최종학력은 2년제 대학교 재학/졸업 이상이 87.2%로 고학력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직업으로는 학생이 58.5%, 서비스업 13.3, 전문직 9.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혼 56.9%, 미혼 43.1 순으로 나타났으며, 월 평균 소득으로는 200만원 미만 46.9%, 200-400만원 미만 27.5%, 400-600만원 미만 16.1%, 600만원 이상 9.5% 순으로 나타났다.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2.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요인추출모델로는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이며, 요인적재치의 단순화를 위해 회전방법은 직각회전인 배리맥스(varimax) 방식을 사용하였으며(Choi et al., 2020), 연구의 신뢰도 평가는 Cronbach's α 계수를 이용한 내적일관성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1) 외재적 단서

외재적 단서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KMO 표준적합도는 0.902로 나타났으며, Bartlett 구형성 검정결과 χ2=1626.317, p<0.001로 나타났으며, 전체 요인값은 모두 0.638이상으로 보여 각 요인의 타당성이 보장되고 있으며,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α는 0.888로 나타나 높은 수준의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extrinsic cue

2) 지각된 가치

지각된 가치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KMO 표준적합도는 0.920로 나타났으며, Bartlett 구형성 검정결과 χ2=3419.284, p<0.001로 나타났으며, 전체 요인값은 모두 0.616이상으로 보여 각 요인의 타당성이 보장되고 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지각된 가치의 하위요인을 쾌락적 가치, 사회적 가치, 기능적 가치 등으로 명명하였다. 이들 요인의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α는 쾌락적 가치 0.901, 사회적 가치 0.898, 기능적 가치 0.890로 나타나 높은 수준의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perceived value

3) 구매의도

구매의도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KMO 표준적합도는 0.793으로 나타났으며, Bartlett 구형성 검정결과 χ2=1321.335, p<0.001로 나타났으며, 전체 요인값은 모두 0.812이상으로 보여 각 요인의 타당성이 보장되고 있으며,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α는 0.762로 나타나 적정 수준의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purchase intention

3. 연구가설의 검증결과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가 지각된 가치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와 구매의도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Baron & Kenny (1986)가 제안한 3단계 매개회귀분석을 통하여 가설 검증을 실시하였다.

1) 가설 1의 검증결과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1단계 분석은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가 지각된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단순회귀분석이며, 실시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회귀식에서의 결정계수가 13% (R2=0.130) 이상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기에(Traub, 1971), 회귀식은 R2=0.409, F=289.519, p<0.001로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적합하다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는 지각된 가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639, p<0.001). 이는 와인을 구매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Lee & Ko (2014)의 연구에서 외재적 단서와 지각된 품질 및 태도 그리고 만족감과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연구결과와 유사한 것으로 제품의 아이덴티티(identity)라 할 수 있는 브랜드와 패키지 디자인은 소비자에게 즐거움과 제품을 구매한 타인과의 사회적 유대감을 강화시킴으로써 라이프스타일의 긍정적인 변화를 촉진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s of extrinsic cue on perceived value

2) 가설 2의 검증결과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2단계 분석은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단순회귀분석이며,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회귀식은 R2=0.334, F=210.580, p<0.001로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적합하다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는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0.578, p<0.001). 이는 편의점 도시락을 구매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Kim (2020)의 연구에서 외재적 단서와 구매의도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제품이 가지고 있는 차별화된 외재적 단서는 기업의 궁극적인 목표인 소비자의 긍정적인 태도 즉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s of extrinsic cue on purchase intention

3) 가설 3의 검증결과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3단계 분석은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와 구매의도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이며,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회귀식은 adj. R2=0.449, F=171.806, p<0.001로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적합하다 해석할 수 있다. 독립변수별로 보면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β=0.300, p<0.001)와 지각된 가치(β=0.439, p<0.001)가 각각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effects of extrinsic cue and purchase intention on perceived value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와 구매의도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3단계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Table 8과 같다. 분석결과를 보면, 1단계, 2단계, 3단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2단계에서의 외재적 단서의 효과(β=0.578)가 3단계 외재적 단서의 효과(β=0.300)보다 크게 나타났고, 지각된 가치를 통제한 상황에서 외재적 단서의 회귀계수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외재적 단서와 구매의도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가 유의미한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수행한 결과, Z=8.3070, p<0.001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따라서 소비자가 지각한 가치는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를 부분 매개하여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유도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그린제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외재적 단서와 구매의도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Ryu et al. (2013)의 연구와 일치하는 것으로 특정 화장품이 가지고 있는 차별화된 상품성 및 이미지 또는 정체성이라 할 수 있는 브랜드와 패키지 디자인은 소비자들에게 감정적인 가치와 사회적 유대감을 형성시킬 수 있는 가치 그리고 라이프 스타일을 변화시킬 수 있는 기능적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그 의미를 부여하게 되는데 이를 바탕으로 소비자는 구매행동에서 즐거움과 행복감등 만족된 감정을 경험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valu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insic cue and purchase intention

Conclusion

본 연구는 화장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화장품 구매의도에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가 중요한 요인이라 판단하여,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가 소비자 지각하는 가치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고, 아울러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와 구매의도의 관계에서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매개효과 검증 절차에 따라 3단계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장품을 구매한 고객이 인지하는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는 단순한 브랜드와 패키지 디자인이 아닌 소비자의 개인의 정체성이 투영된 주체로써 소비자의 감정적, 사회적, 기능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소비자의 미래행동이라 할 수 있는 구매의사 결정에 중요한 변인인 구매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화장품의 정체성과 차별성 그리고 소비자의 긍정적인 태도를 유도할 수 있는 결정적인 요인인 외재적 단서와 구매의도의 관계에서 소비자가 지각한 긍정적인 가치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화장품의 정체성을 가장 뚜렷하게 표현할 수 있는 브랜드와 패키지 디자인은 불확실한 경영환경 속에서 소비자들에게 신뢰감을 제공할 수 있는 추가적인 요인으로, 이러한 요인은 소비자들이 자발적으로 화장품의 주관적 가치를 향상시켜 기업의 궁극적인 목표인 구매결정에 대한 만족도를 자극하여 긍정적 소비자 행동이 형성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는 화장품의 외재적 단서로서 브랜드와 패키지 디자인의 역할을 확인하였고, 제품에 대한 신뢰감과 가치를 평가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차별화된 브랜드와 패키지 디자인으로 형성된 긍정적 이미지를 적극 홍보함으로써 소비자들의 감정을 자극하여 제품에 대한 가치를 향상시켜 구매를 촉진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화장품의 본원의 특성인 성능과 질, 공정한 가격 등 기본적인 요인들이 뒷받침되지 못한다면 외재적 단서로 확립된 긍정적 이미지는 허상에 불과할 것이다. 즉 화장품의 기능적 측면과 공정한 가격 등이 다른 제품들보다 우수한 수준을 확보해야만 이미지는 실체화되어 소비자의 구매결정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체계화된 외재적 단서를 기반으로 소비자가 지각하는 가치를 높게 평가한다면 최종 구매결정까지 연결되는 긍정적 소비자 행동을 촉진할 것이며, 더 나아가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는 기업의 선도적이며 역동적인 이미지를 강화할 수 있는 전략적 마케팅 수단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그러나 제한적인 표본만으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기에 차후 후속연 구에서는 이 점을 착안하여 보다 심층적이고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한성대학교 교내학술연구비 지원과제임.

Notes

Author's contribution

OHK designed all experimental investigations and wrote the manuscript.

Author details

Oh Hyeok Kwon (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Design Management, Hansung University, 116 Samseongyo-ro 16-gil, Seongbuk-gu, Seoul 02876, Korea.

References

Baron RM, Kenny D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1173–1182. 1986;
Choi MS, Jung KB, Lee YJ. The effect of perception of black consumer behavior on the job enthusiasm and self-esteem of beauty service worker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8:183–193. 2020;
Choi YM, Kwon HG. Effects of relationship benefits on trust, flow and customer loyalty of social commerce: focus of self-determination.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Society 24:39–50. 2019;
Han JS. The effect of the of the perceived benefits and perceived risks of convenience store lunch box on re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Journal of Industrial Innovation 39:106–115. 2023;
Jeon DH, Jo MD. The influence of vegetarian choice attributes and perceived value on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26:35–56. 2023;
Jeong MJ, Jin BH, Yang HS. The influences of Korean wave and product image on online purchase intention for Korean cosmetics in Vietnam.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20:163–181. 2017;
Kim YM. The effect of extrinsic cues of convenience store lunch pb products on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34:129–141. 2020;
Kwon OH, Sheen YS. The effects of artistic creativity on job satisfaction and innovative behavior in beauty salon employees.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14:517–524. 2018;
Lee BR, Hwang G. A study on the effect of promotion service quality and perceived value of hair salon on repurchase intention.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8:167–176. 2014;
Lee JW, Ko JY. The impact of intrinsic and extrinsic cue of wine on perceived quality, attitude,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case of hotel and restaurant customers.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Studies 16:329–357. 2014;
Lee MH, Lim SJ. An effect of extrinsic cue on apparel products evaluation (Part 2): focusing the consumer’s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5:1091–1099. 2001;
Lee SH, Moon SJ, Song JH, An SY. The effect of extrinsic cues on consumer’s evalua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eco-friendly product: focusing on dishwashing detergent’s eco-m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6:128–143. 2013;
Oh YJ. Influence of a cosmetic company's eco-friendly activitie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rough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image.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8:149–161. 2020;
Park EY. The effect of relationship benefits on relationship commitment and customer loyalty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21:323–334. 2023;
Ryu MJ, Lee SH, Moon SJ. The effect of extrinsic attributes of green product, perceived values on purchase intention: focused on environmental-friendly laundry detergent. Korean Business Education Review 28:165–191. 2013;
Sheen YS. Effect of customer engagement on customer value cre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21:177–187. 2023;
Traub RE.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New York: Academic Press, 1969. Pp. xv+415. $13.50.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31:303–307. 1971;
Yeo YJ, Park EJ.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image and customer loyalty of hair salon.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9:343–354. 2021;
Yoon HJ. A conceptual and function study on package design by paradigm change: focused on smart package design.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15:81–92. 2017;
Yoon SK, Kim YC. The effects of local food's brand equity on relationship quality, switching barrier and customer loyalty: the moderating effect of origin effect.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Studies 19:83–105. 2017;
Whang WK, Lee YA. A study on the oriental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and attitudes according to middle, elderly women’s lifestyle.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8:53–62. 2010;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Research model.

Effects of salespersons’ communication in beauty-service encounters on store loyalty with brand image as a mediator.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Division Frequency (N) Percent (%)
Gender Male 50 11.8
Female 372 88.2
Total 422 100.0
Age 10s 24 5.7
20s 264 62.6
30s 37 8.8
40s 62 14.7
Over 50s 35 8.3
Total 422 100.0
Academic background High school graduate or lower 54 12.8
College student or graduate 73 17.3
University student or graduate 198 46.9
Graduate school graduate 97 23.0
Total 422 100.0
Job Student 247 58.5
Company staff 28 6.6
Service occupation 56 13.3
Professional 39 9.2
Self-employment 25 5.9
housewife 15 3.6
Others 12 2.8
Total 422 100.0
Marriage status Married 182 43.1
Single 240 56.9
Total 422 100.0
Average monthly income Under 2,000,000 KRW 198 46.9
2,000,000-3,990,000 KRW 116 27.5
Under 4,000,000-5,990.000 KRW 68 16.1
Over 6,000.000 KRW 40 9.5
Total 422 100.0

Table 2.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extrinsic cue

Factor loading
Cosmetics have a reliable reputation 0.818
The brand name has a good reputation 0.809
The brand name is positive 0.794
The brand name is familiar 0.767
The package design is well marked with information 0.743
The package design stands out 0.728
The package design is good 0.713
Package design is related to quality 0.638
Eigenvalue 4.541
Description (variable %) 56.764
Cumulative (variable %) 56.764
Cronbach’s α 0.888

Table 3.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perceived value

Perceived value
Hedonic value Social value Functional value
Be cheerful 0.814
Makes you happy 0.771
It gives pleasure to your lifestyle 0.758
It gives life style excitement 0.724
It amazes me with wonder 0.616
Strengthen the bond with others 0.841
You can make friends with people who have similar interests 0.824
Social networks can also be broadened 0.823
Functionality helps my lifestyle 0.866
Practicality helps my lifestyle 0.810
Cosmetics help my lifestyle 0.800
Eigenvalue 3.248 2.760 2.617
Description (variable %) 29.523 25.095 23.790
Cumulative (variable %) 29.523 54.518 78.408
Cronbach’s α 0.901 0.898 0.890

Table 4.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purchase intention

Factor loading
I'm willing to continue using it 0.846
I will continue to use this cosmetics even if I have other cosmetics 0.817
I want to use this cosmetics as much as possible 0.812
Eigenvalue 2.043
Description (variable %) 68.090
Cumulative (variable %) 68.090
Cronbach’s α 0.762

Table 5.

The effects of extrinsic cue on perceived value

U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t p
B S.E β
(A constant) 0.934 0.166 5.637 0.000
Extrinsic cues 0.718 0.042 0.639 17.015 0.000
R2=0.409, F =289.519, p=0.001

Dependent variable: perceived value.

Table 6.

The effects of extrinsic cue on purchase intention

U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t p
B S.E β
(A constant) 1.104 0.188 5.880 0.000
Extrinsic cues 0.694 0.048 0.578 14.511 0.000
R2=0.334, F =210.580, p=0.001

Dependent variable: perceived value.

Table 7.

The effects of extrinsic cue and purchase intention on perceived value

U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t p
B S.E β
(A constant) 0.648 0.177 3.650 0.000
Extrinsic cues 0.360 0.057 0.300 6.363 0.000
Perceived value 0.470 0.050 0.439 9.321 0.000
adj.R2=0.449, F =171.806, p=0.001

Dependent variable: perceived value.

Table 8.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valu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insic cue and purchase intention

Independent variable Dependent variable U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ed coefficient
R2 F
B S.E β
1 Extrinsic cues Perceived value 0.718 0.042 0.639 0.409 289.519***
2 Extrinsic cues Purchase intention 0.694 0.048 0.578 0.334 210.580***
3 Extrinsic cues Purchase intention 0.360 0.057 0.300 0.449 171.806***
Perceived value 0.470 0.050 0.439
***

p=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