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Asian J Beauty Cosmetol > Volume 16(2); 2018 > Article
반영구화장 선호도가 시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약

목적

최근 뷰티분야에 실용테크닉으로 부각되고 있는 반영구화장 선호도가 시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검증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서울, 경기에 거주하는 20-50대 여성을 연구대상으로 설문하여 총 262부를 통계분석에 활용하였고, 자료수집기간은 2017년 2월 20일부터 2017년 4월 5일까지이다. 자료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i>t</i>-test 및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분석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고, 상관관계분석과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반영구화장 선호도가 시술설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독립변수별로 테크닉 선호와 트렌드 선호가 높아지면 시술설명 만족도가 높아진다. 둘째, 반영구화장 선호도가 테크닉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독립변수별로 테크닉 선호와 트렌드 선호가 높아지면 테크닉 만족도가 높아진다. 셋째, 반영구화장 선호도가 시술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독립변수별로 테크닉 선호와 트렌드 선호가 높아지면 시술환경 만족도가 높아진다.

결론

반영구화장은 미적 감각과 뷰티트렌드에 민감한 분야이기에, 시술설명, 테크닉, 시술환경에 대한 방법이 개선 및 향상된다면 반영구화장에 대한 고객만족도는 더욱더 높아질 것이다.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preference for semi-permanent makeup, a recent practical technique in the beauty industry, on procedure satisfaction.

Methods

The study included 262 women in their 20s and 50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February 20, 2017 to April 5, 2017. Data analysis methods includ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Duncan test was performed for post-analysis; correlation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also performed.

Results

The effects of preference for semi-permanent makeup on the satisfaction with procedure description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e., the higher the technique and trend preference per independent variabl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procedure description. The effects of this preference on technique satisfaction were also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e., the higher the technique and trend preference per independent variable, the higher technique satisfaction. Lastly, the effects of this preference on the satisfaction with procedure environment, were also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e., the higher the technique and trend preference per independent variabl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procedure environment.

Conclusion

Therefore, preference for semi-permanent makeup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for the satisfaction with procedure environment. Thus, because semi-permanent makeup is a field that is sensitive to esthetic sense and beauty trends, customer satisfaction with semi-permanent makeup will increase if methods of procedure explanation, technique, and procedure environment are improved.

中文摘要

目的

这项研究旨在验证半永久性化妆术的偏好效果,这是美容行业近期的一项实用技术,探讨其对美容术满意度的影响。

方法

这项研究的对象是分别居住在首尔和京畿道的20到50岁的女性,共262份问卷进行分析。资料收集期为2017年2月20日至2017年4月5日。数据分析方法包括频率分析,可靠性分析,独立样本t 检验和单因素方差分析(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Duncan测试用于后期分析;相关和线性回归分析也被利用分析。

结果

第一,发现半永久性化妆偏好度对美容术描述满意度的影响具有统计显着性,即每个自变量的技术和趋势偏好越高,对美容术描述的满意程度越高。第二,这种偏好对技术满意度的影响也被发现具有统计显着性,即每个自变量的技术和趋势偏好越高,技术满意度越高。最后,这种半永久性化妆偏好度对美容术环境满意度的影响也被发现具有统计意义,即每个自变量的技术和趋势偏好越高,美容术环境的满意度越高。

结论

由于半永久性化妆是一种对美感和美容趋势敏感的领域。若美容术的说明,技术和环境得到改善,顾客对半永久化妆术的满意度将会增加。

Introduction

최근 뷰티 분야에 편리함과 미적인 부분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반영구화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메이크업의 일환으로 개인의 외적 이미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인상 형성 및 신체적 매력 연출을 위한 중요한 표현수단이다(Choi 2017; Cho & Yang, 2017). 국내 반영구 시장은 창업과 취업은 물론이고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최신기법, 특화된 테크닉을 개발하고 있으며, 교육분야에서는 실습과 이론이 수록된 체계적이고 전문성 있는 교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국내시장은 물론이고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해외시장의 수요를 감안한다면 보다 차별화되고 전문적인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을 의미한다.
반영구화장에 대해서 Hill (2006)은 매일 하는 외모관리의 수단으로 피부에 반영구적인 색소를 주입하는 방법이며, 메이크업 시간을 단축시켜 줌과 동시에 단점을 커버하는 특성과 화장품 사용을 제한할 수 있는 새로운 미용방법이라고 하였다(Baek & Park, 2017) 또한 반영구화장은 자신의 신체에 예술적인 표현과 미적인 관점에서 미용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Deter-Wolf et al ., 2016),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과 콤플렉스 해소, 편의성 등의 다양한 원인에서 시작한다(Shelton & Peters, 2006). 반영구화장에 대한 개념은 얼굴의 윤곽을 수정한다는 의미로 컨투어 메이크업(contour makeup), 오랜 시간을 유지한다고 하여 롱 타임 메이크업(long time makeup), 얼굴에 예술적인 감각을 표현한다는 뜻으로 아트 메이크업(art makeup)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의학계에서는 미세 색소침착술(micro pigmentation)이라고도 한다(Cho & Lee, 2013). 반영구는 문신처럼 영구적이지 않아 시간이 경과되면서 지워지거나 흐려지는 경향이 많고, 이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레이저를 활용하여 피부의 색소를 없애야 한다(Chung et al ., 2016). 반영구화장의 표현기법은 다양한 테크닉 개발로 인해 엠보, 수지, 자연눈썹, 화장눈썹, 3D, 4D 등 그 명칭과 기법이 혼용되어 쓰여지고 있으며, 기기사용 유무 및 종류에 따라 머신기법과 수지기법으로 분류한다(Cho & Lee, 2013). 최근 관련된 교육분야에서는 다양한 반영구화장 기법은 물론이고 제품 및 염료 개발, 고객 서비스, 마케팅 노하우, 서비스 정신 등 단순히 기술적인 테크닉만 교육하는 것이 아닌 아이템과 콘텐츠까지 수출하고 있어, 이에 대한 수요는 점진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한다.
반영구화장에 대해서 진행된 선행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실제 경험자는 이를 전문적으로 시술하는 전문가보다 메이크업과 이미지 메이킹을 배운 전문가의 시술이 테크닉적인 부분과 시술설명 등에 있어서 효과적이라고 하였고, 시술장소로는 반영구화장 전문숍을 선호한다고 하였다(Park, 2016; Seo, 2013). 또한 반영구화장의 시술기법에 대해서는 시술경험 한국인의 경우 54.7%가 기법 자체를 잘 모른다고 응답하였고, 일본인은 그라데이션, 미국인은 페더링 기법의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컬러는 한국인과 일본인은 갈색, 미국인은 검정색을 가장 선호한다고 하였다(Kim & Choi, 2014). 시술만족도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선택하고 비교 및 평가하는 것으로 구매 후 성과에 대해 소비자가 느끼는 감정의 만족도이며, 이에 대한 구분은 소비경험과 서비스를 통한 경험결과와 평가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사용 전 기대와 사용 후 소감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Bloemer & De Ruyter, 1998). Anderson et al . (1994)은 누적되는 만족은 장기적인 소비경험을 통해 고객이 얻게 되는 전반적 경험에 대한 평가로 제시되고, 이는 모든 분야에 마찬가지로 적용이 되며, 고객이 제품 구매 및 경험에 참여하여 만족하게 되면 재이용 의도가 높아지고, 고객만족도는 고객충성도를 높이고 긍정적인 구전효과와 관련이 깊다고 하였다.
반영구화장의 시술만족도의 요인은 연구자마다 달리 정의하고 있는데 대부분 시술환경, 시술효과 및 관리, 시술 시 고려요인 등으로 정의하였고(Park, 2016), Hong (2017)에서는 고객의 피부타입, 얼굴형, 이미지, 선호도, 사전 디자인 작업 등을 고려하여 고객과의 충분한 상담이 이루어진 후 진행하는 것이 좋다고 하였다. 앞서 진행되었던 선행연구에서는 반영구화장에 대해서 단순한 선호도와 시술만족도만을 조사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반영구화장에 대한 선호도와 그에 따른 시술만족도를 조사하여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반영구화장의 시술설명, 테크닉, 시술환경을 포함하여 시술만족도라고 통칭하며, 이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추가구매 및 구전 의도 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 이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반영구화장 선호도가 시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며, 이를 통해 반영구 분야의 전문가는 고객의 니즈를 반영한 시술테크닉을 개발하고 반영구화장이 뷰티 분야의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콘텐츠 및 실용 메이크업 활용도움 자료로 사용되고자 한다.

Methods

1. 연구모형 및 가설

본 연구는 반영구화장 선호도가 시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반영구화장 선호도를 테크닉 선호, 트렌드 선호로 설정하고, 시술만족도인 시술설명, 테크닉, 시술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다(Figure 1).
H1. 반영구화장 선호도가 시술설명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1. 테크닉 선호가 시술설명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2. 트렌드 선호가 시술설명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반영구화장 선호도가 테크닉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1. 테크닉 선호가 테크닉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2. 트렌드 선호가 테크닉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 반영구화장 선호도가 시술환경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1. 테크닉 선호가 시술환경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2. 트렌드 선호가 시술환경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측정도구의 구성

일반적 특성 6문항, 선호도 6문항은 Kim & Choi (2014), Seo & Lee (2013)의 문항을, 시술만족도 10문항은 Park (2016), Hong (2017)의 설문문항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였다.

3. 조사대상 및 방법

조사대상자는 서울, 경기도에 거주하는 20-50대 여성 280명으로, 타 연령대에 비해 외모와 자기관리 및 사회적인 활동이 많은 20-40대와 최근 삶의 질이 높아짐에 따라 외모에 대한 투자와 자기관리 성향이 높아진 50대까지로 선정하였다.
설문과정에서 불성실한 설문지 18부를 제외한 262부를 통계분석에 활용하였고, 자료수집 기간은 2017년 2월 20일부터 2017년 4월 5일까지이다.

4. 자료분석 방법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coding)과 데이터 클리닝(cleaning) 과정을 거쳐,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v. 21.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IBM, USA)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반영구화장 선호도와 시술만족도를 알아보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 one-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 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넷째, 각 변수 간에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사용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Results and Discussion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분석결과 성별은 여자 232명(88.5%), 남자 30명(11.5%)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20대 59명(22.5%), 30대 62명(23.7%), 40대 93명(35.5%), 50대 48명(18.3%)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는 미혼 73명(27.9%), 기혼 189명(72.1%)으로 나타났고,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 이하 148명(56.5%), 2년제 졸업 39명(14.9%), 4년제 졸업 63명(24.0%), 대학원 졸업 12명(4.6%)으로 나타났다. 직업은 주부 63명(24.0%), 학생 46명(17.6%), 교육직 38명(14.5%), 전문직 37명(14.1%), 자영업 23명(8.8%), 서비스업 21명(8.0%) 순으로 나타났고, 월평균 소득은 100만원 미만 103명(39.3%), 100-200만원 미만 67명(25.6%), 200-300만원 미만 45명(17.2%), 300만원 이상 47명(17.9%)으로 나타났다.

2. 측정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변수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성개념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사용하였다. 특히, 요인의 수를 최소화하여 정보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성분 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방식을 이용하였고, 회전방식은 직각회전인 베리맥스(varimax) 방식을 사용하여 고유 값이 1.0 이상인 요인에 한하여 요인적재량이 0.4 이상인 항목들을 유의한 것으로 설정하여 요인 수를 2개로 결정하였다.
요인분석은 분석방법의 특성상 각 항목들 간의 상관관계가 높아야 하는데 Kaiser-Meyer-Olkin (KMO) 측도와 Bartlett의 구형성 검정은 각 항목들 간의 상관행렬을 확인함으로써 사용 항목들이 요인분석에 적합한지를 구분하는 방법이다. KMO는 변수 쌍들 간의 상관관계가 다른 변수에 의해 잘 설명되는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이 측도의 값이 작으면 요인분석을 위한 변수 선정이 좋지 않음을 나타낸다. 보통 KMO 값이 0.90 이상이면 아주 좋은 것이고 0.50 이하이면 변수로서 받아들일 수 없는 것으로 본다. 또한 본 연구에서 다 문항 척도로 측정된 문항이 동질적인 문항들로 구성되었는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문항간의 내적 일치도를 보는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일반적으로 신뢰도의 척도인 Cronbach's α 값은 정해진 기준이 없지만 0.60 이상이면 신뢰도가 있다고 보며 0.50 이상이면 분석하는데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본다.

1) 반영구화장 선호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반영구화장 선호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먼저 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 결과 χ2=601.537 (p =0.000)이므로 변수들 사이에 요인을 이룰만한 상관관계가 충분하고, KMO의 표본적합도 점검결과 KMO 값이 0.670으로 나타났으며, 공통성 등을 점검한 결과에서도 측정 자료의 요인분석 가정을 만족시키므로 다음과 같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2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각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들의 중심개념을 바탕으로 요인 명을 부여하였다. 요인 1 (36.896%)은 '테크닉 선호'로 명명하였고, 요인 2 (36.493%)는 '트렌드 선호'로 명명하였다. 이 2개의 요인 적재 값이 ±0.4 이상으로 나타나 추출된 요인은 타당성이 확보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신뢰도 또한 0.60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할만한 수준인 것으로 볼 수 있다.

2) 반영구화장 시술만족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반영구화장 시술만족도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 결과는 Table 3과 같다. 먼저 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 결과 χ2=1794.149 (p =0.000)이므로 변수들 사이에 요인을 이룰만한 상관관계가 충분하고, KMO의 표본적합도 점검결과 KMO 값이 0.867로 나타났으며, 공통성 등을 점검한 결과에서도 측정 자료의 요인분석 가정을 만족시키므로 다음과 같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3개의 요인이 도출되었고 각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들의 중심개념을 바탕으로 요인 명을 부여하였다. 요인 1 (30.015%)은 '테크닉'으로 명명하였고, 요인 2 (27.270%)는 '시술환경'으로 명명하였으며, 요인 3 (22.648%)은 '시술설명'으로 명명하였다. 이 3개의 요인 적재 값이 ±0.4 이상으로 나타나 추출된 요인은 타당성이 확보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신뢰도 또한 0.60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할만한 수준인 것으로 볼 수 있다.

3. 기술통계적 분석

1) 반영구화장 선호도

반영구화장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테크닉 선호' (M=3.81), '트렌드 선호' (M=3.14)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반영구화장 선호도는 평균 3.47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 반영구화장 선호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먼저 성별에 따라서는 선호도의 하위요인별 테크닉 선호(p <0.001), 트렌드 선호(p <0.01)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여자의 경우 남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테크닉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남자의 경우 여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트렌드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연령에 따라서는 선호도의 하위요인별 테크닉 선호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 <0.01), 20대에 비해 30대 이상의 경우 상대적으로 테크닉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여부에 따라서는 선호도의 하위요인별 테크닉 선호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 <0.01), 미혼에 비해 기혼의 경우 상대적으로 테크닉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학력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선호도(p <0.01)와 하위요인별 테크닉 선호(p <0.001)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4년제 졸업 이하에 비해 대학원 졸업의 경우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선호도와 하위요인별 테크닉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선호도와 하위요인별 테크닉 선호 및 트렌드 선호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 <0.001), 전문직의 경우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선호도와 하위요인별 테크닉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직이나 서비스업의 경우 상대적으로 테크닉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월평균 소득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선호도와 하위요인별 테크닉 선호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 <0.05), 200만원 미만에 비해 200만원 이상의 경우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선호도와 하위요인별 테크닉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반영구화장 시술만족도

반영구화장 시술만족도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볼 때, '시술환경' (M=3.45)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테크닉' (M=3.37), '시술설명' (M=3.13) 순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반영구화장 시술만족도는 평균 3.32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 반영구화장 시술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먼저 연령대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시술만족도와 하위요인별 테크닉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 <0.05), 20대나 40대에 비해 30대에서 상대적으로 전반적인 시술만족도와 하위요인별 테크닉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여부에 따라서는 시술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시술환경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 <0.05), 기혼의 경우 미혼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술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학력에 따라서는 시술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시술설명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 <0.05), 4년제 졸업 이하에 비해 대학원 졸업의 경우 상대적으로 시술설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에 따라서는 전반적인 시술만족도(p <0.01)와 하위요인별 시술설명(p <0.001), 테크닉(p <0.01)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주부는 전반적인 시술만족도와 하위요인별 테크닉, 시술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고, 서비스업의 경우는 전반적인 시술만족도와 하위요인별 시술설명, 시술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소득에 따라서는 시술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시술설명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 <0.05), 200-300만원 미만의 경우는 그 외 모든 소득층보다 상대적으로 시술설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성별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 >0.05).

4. 가설의 검증

1) 각 변수 간 상관관계 검증

각 변수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6과 같다. 분석결과 반영구화장 선호도의 하위요인별 테크닉 선호(r=0.408; p <0.001), 트렌드 선호(r=0.174; p <0.01)는 시술설명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영구화장 선호도의 하위요인별 테크닉 선호(r=0.316; p <0.001), 트렌드 선호(r=0.186; p <0.01)는 테크닉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영구화장 선호도의 하위요인별 테크닉 선호(r=0.365; p <0.001), 트렌드 선호(r=0.276; p <0.001)는 시술환경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가설 1의 검증

H1. 반영구화장 선호도가 시술설명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1. 테크닉 선호는 시술설명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2. 트렌드 선호는 시술설명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반영구화장 선호도가 시술설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9.6%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 =31.498; p <0.001). 독립변수별로는 테크닉 선호(p <0.001), 트렌드 선호(p <0.01)가 시술설명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테크닉 선호가 높아지면 시술설명 만족도는 0.407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트렌드 선호가 높아지면 시술설명 만족도는 0.172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반영구화장 시술 경험자의 시술설명 만족도에 있어서는 테크닉 선호, 트렌드 선호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시술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시술 전 고객과의 충분한 상담을 통해 사전 디자인 작업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때 고객이 선호하는 디자인에 전문가의 견해가 상호 절충되어 디자인이 결정되는 것이 시술 및 고객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Hong, 2017; Park, 2016). 또한 Kim & Park (2016)의 연구에서도 전문가의 시술 전 충분한 설명이 만족도가 높아진다고 하였다. 이는 뷰티 분야가 트렌드에 민감하기 때문에 최신 트렌드가 적용되고 고객이 원하는 테크닉이 시술된다면 고객이 체감하는 시술만족도가 향상될 것으로 판단되어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 해준다.

3) 가설 2의 검증

H2. 반영구화장 선호도가 테크닉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1. 테크닉 선호는 테크닉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2. 트렌드 선호는 테크닉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반영구화장 선호도가 테크닉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8과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13.4%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 =20.056; p <0.001). 독립변수별로는 테크닉 선호(p <0.001), 트렌드 선호(p <0.01)가 테크닉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테크닉 선호가 높아지면 테크닉 만족도는 0.315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트렌드 선호가 높아지면 테크닉 만족도는 0.184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반영구화장 시술 경험자의 테크닉 만족도에 있어서는 테크닉 선호, 트렌드 선호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Park (2016)Seo & Lee (2013)는 좋은 테크닉이 시술의 재작업, 클레임, 고객 불만족의 원인 등으로 인한 비용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치열한 경쟁업소와 차별화시키는 전략이라고 하여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해준다.

4) 가설 3의 검증

H3. 반영구화장 선호도가 시술환경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1. 테크닉 선호는 시술환경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2. 트렌드 선호는 시술환경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반영구화장 선호도가 시술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9와 같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20.9%이고, 회귀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F=34.171; p<0.001). 독립변수별로는 테크닉 선호, 트렌드 선호가 시술환경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즉, 테크닉 선호가 높아지면 시술환경 만족도는 0.364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트렌드 선호가 높아지면 시술환경 만족도는 0.275의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반영구화장 시술 경험자의 시술환경 만족도에 있어서는 테크닉 선호, 트렌드 선호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반영구화장의 감염과 예방은 시술환경과 관련이 깊은데 시술장소의 바닥위생관리와 폐기물 처리의 실천도가 낮으면 고객의 클레임으로 연결되고, 시술장소는 뷰티숍보다는 의료기관에서 시술 시 만족도가 높았다(Seo & Kang, 2015). 또한 시술환경은 시술자가 작업할 수 있는 쾌적하고 효율적인 공간과 편의성, 디자인 방법과 자세에 따라 테크닉이 달라질 수 있고, 트렌드를 적용한 최신 기법과 장기 등은 시술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에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 해준다.

Conclusion

본 연구는 최근 뷰티분야에 실용 테크닉으로 부각되고 있는 반영구화장 선호도가 시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검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반영구화장 선호도가 시술설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본 결과, 독립변수별로 테크닉 선호와 트렌드 선호가 높아지면 시술설명 만족도가 높아진다. 이는 뷰티분야가 시각적으로 보이는 부분이 크고 트렌드에 민감한 산업이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둘째, 반영구화장 선호도가 테크닉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본 결과, 독립변수별로 테크닉 선호와 트렌드 선호가 높아지면 테크닉 만족도가 높아진다. 이는 반영구화장도 메이크업의 한 부분이기에 트렌드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고, 눈썹형태 및 피부타입에 따른 적합하고 새롭고 다양한 기법이 적용된다면 테크닉에 대한 만족도가 향상될 것으로 유추한다.
셋째, 반영구화장 선호도가 시술환경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본 결과, 독립변수별로 테크닉 선호와 트렌드 선호가 높아지면 시술환경 만족도가 높아진다. 이는 반영구화장의 시술환경은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 작업자세 등에 따라 테크닉이 달라질 수 있고, 최신 트렌드의 기기를 활용한 반영구기법이 적용된다면 전반적인 시술환경의 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반영구화장은 미적 감각과 뷰티 트렌드에 민감한 분야이기에, 시술설명, 테크닉, 시술환경에 대한 다양하고 효율적인 방법이 개선 및 향상된다면 반영구화장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는 더욱더 높아질 것이다. 또한 이를 통해 반영구산업은 물론이고 뷰티와 관련된 염료 및 화장품, 기기산업까지 동반 성장하여 실용메이크업의 한 분야에 활용도 높게 자리매김 할 것을 기대한다.
본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연구대상자의 연령을 20-50대로 한정하였고, 시술경험자를 토대로 조사하다 보니 주로 여성의 분포가 높았다. 하지만 차후 진행되는 연구에서는 반영구화장에 대한 인식조사를 여성과 남성의 동일비율로 조사하는 것, 또한 연구대상자의 연령을 좀 더 폭넓게 산정하여 다양한 의견을 연구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고 판단되어 이를 후속 연구로 제안한다.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Item Frequency (N) Percentage (%)
Gender Female 232 88.5
Male 30 11.5
Age 20–29 years old 59 22.5
30–39 years old 62 23.7
40–49 years old 93 35.5
50–59 years old 48 18.3
Marital status Single 73 27.9
Married 189 72.1
Final education High school graduate or below 148 56.5
College graduate 39 14.9
University graduate 63 24.0
Graduate school 12 4.6
Job Student 46 17.3
Self-employment 23 8.8
Service business 21 8.0
Profession 37 14.1
Education 38 14.5
Housewife 63 24.0
Others 34 13.0
Monthly average income <1 million won 103 39.3
1–2 million won 67 25.6
2–3 million won 45 17.2
≥3 million won 47 17.9
Total 262 100.0
Table 2.
Validation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emi-permanent makeup preferences
Item Factors
Technique preference Trend preference
I prefer a natural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0.801 0.036
I prefer my own eyebrow design 0.888 -0.080
I prefer a more natural semi-permanent shape than a clear semi-permanent shape 0.847 0.052
I prefer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with a trendy design 0.220 0.768
I prefer an eyebrow shape that is more popular than my eyebrow shape -0.100 0.883
I prefer an eyebrow color that is more popular than my eyebrow color -0.093 0.900
Eigen value 2.214 2.190
Distributed description (%) 36.896 36.493
Cumulative distributed description (%) 36.896 73.389
Reliability 0.804 0.812
KMO=0.670; Bartlett’s test χ2=601.537 (df=15, p=0.000)

KMO, Kaiser-Meyer-Olkin; df, degree of freedom.

Table 3.
Verification of validity and reliability of semi-permanent makeup procedure satisfaction
Item Factors
Technique Procedure environment Procedure description
I am satisfied with the semi-permanent makeup design 0.893 0.131 0.213
I am satisfied with the semi-permanent cosmetic color 0.807 0.258 0.230
I am satisfied with the expertise of the practitioner in semi-permanent cosmetics 0.780 0.334 0.143
I am satisfied with the natural technique 0.771 0.343 0.200
I was relaxed in the treatment environment’s atmosphere 0.218 0.891 0.112
The appearance of the practitioner is clean and hygiene is maintained 0.320 0.868 0.134
The treatment tools and the treatment environment are clean 0.289 0.864 0.141
I am satisfied with the procedure time and the first half 0.184 0.135 0.878
The pain is fine when I do the procedure 0.169 -0.019 0.834
I am satisfied with the full explanation of the semi-permanent makeup procedure before surgery 0.229 0.321 0.768
Eigenvalue 3.001 2.729 2.265
Distributed description (%) 30.015 27.270 22.648
Cumulative distributed description (%) 30.015 57.305 79.953
Reliability 0.901 0.921 0.822
KMO=0.867; Bartlett’s test χ2=1794.149 (df=45, p=0.000)

KMO, Kaiser-Meyer-Olkin; df, degree of freedom.

Table 4.
Difference in semi-permanent makeup prefer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tem Semi-permanent makeup preference
Total
Technique preference Trend preference
M SD M SD M SD
Gender Female 3.87 0.674 3.08 0.778 3.48 0.521
Male 3.29 0.508 3.56 0.697 3.42 0.525
t-value (p) 4.582*** (0.000) -3.162** (0.002) 0.556 (0.579)
Ages 20–29 years old 3.53a 0.764 3.30 0.750 3.41 0.533
30–39 years old 3.91b 0.597 3.19 0.807 3.55 0.540
40–49 years old 3.86b 0.604 3.05 0.709 3.46 0.434
50–59 years old 3.90b 0.747 3.03 0.905 3.47 0.629
F-value (p) 4.566** (0.004) 1.569 (0.197) 0.753 (0.522)
Marital status Single 3.61 0.762 3.22 0.722 3.42 0.518
Married 3.88 0.634 3.10 0.804 3.49 0.522
t-value (p) -2.750** (0.007) 1.110 (0.268) -1.092 (0.276)
Final education High school graduate or below 3.68a 0.722 3.13 0.779 3.41a 0.533
College graduate 3.85a 0.592 3.03 0.700 3.44a 0.391
University graduate 3.94a 0.560 3.20 0.809 3.57a 0.508
Graduate school 4.56b 0.410 3.19 0.989 3.88b 0.599
F-value (p) 8.043*** (0.000) 0.385 (0.784) 4.165** (0.007)
Job Student 3.29a 0.643 3.30bc 0.740 3.30a 0.499
Self-employment 3.80b 0.423 2.83a 0.643 3.31a 0.400
Service business 4.00b 0.888 3.35bc 0.833 3.67bc 0.651
Profession 3.91b 0.697 3.56c 0.729 3.73c 0.528
Education 4.07b 0.626 3.10ab 0.820 3.58bc 0.473
Housewife 3.84b 0.604 2.93ab 0.817 3.38ab 0.522
Others 3.92b 0.603 2.97ab 0.605 3.45ab 0.426
F-value (p) 6.738*** (0.000) 4.348*** (0.000) 4.221*** (0.000)
Monthly average income <1 million won 3.65a 0.689 3.14 0.761 3.39a 0.453
1–2 million won 3.84ab 0.629 2.98 0.808 3.41a 0.574
2–3 million won 3.98b 0.637 3.33 0.765 3.66b 0.530
≥3 million won 3.95b 0.726 3.16 0.789 3.56ab 0.532
F-value (p) 3.661* (0.013) 1.879 (0.134) 3.468* (0.017)
Total 3.81 0.682 3.14 0.783 3.47 0.521

* p<0.05;

** p<0.01;

*** p<0.001;

Duncan (a<b<c), a group with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s denoted by a<b<c, with c being the largest group, and a being the smallest group.

M, mean; SD, standard deviation.

Table 5.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semi-permanent makeup procedur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tem Satisfaction with semi-permanent makeup
Total
Procedure description Technique Procedure environment
M SD M SD M SD M SD
Gender Female 3.13 0.769 3.37 0.778 3.46 0.818 3.33 0.653
Male 3.08 0.688 3.38 0.642 3.36 0.737 3.28 0.397
t-value (p) 0.379 (0.705) -0.090 (0.928) 0.682 (0.496) 0.525 (0.602)
Ages 20–29 years old 3.10 0.766 3.20a 0.674 3.27 0.818 3.19 0.530
30–39 years old 3.27 0.743 3.68b 0.755 3.51 0.929 3.51b 0.671
40–49 years old 3.11 0.702 3.23a 0.801 3.43 0.706 3.25a 0.649
50–59 years old 3.01 0.866 3.47ab 0.681 3.63 0.794 3.38ab 0.602
F-value (p) 1.222 (0.302) 6.037** (0.001) 1.928 (0.125) 3.221* (0.023)
Marital status Single 3.22 0.778 3.28 0.638 3.29 0.828 3.27 0.497
Married 3.09 0.751 3.41 0.805 3.51 0.794 3.34 0.673
t-value (p) 1.280 (0.202) -1.298 (0.196) -2.037* (0.043) -1.010 (0.314)
Final education High school graduate or below 3.09a 0.820 3.37 0.771 3.37 0.868 3.29 0.659
College graduate 3.31ab 0.632 3.25 0.664 3.36 0.548 3.30 0.436
University graduate 3.01a 0.671 3.38 0.785 3.63 0.723 3.34 0.619
Graduate school 3.58b 0.571 3.79 0.782 3.78 1.018 3.73 0.756
F-value (p) 2.872* (0.037) 1.554 (0.201) 2.451 (0.064) 1.850 (0.139)
Job Student 2.95ab 0.652 3.15a 0.636 3.20 0.746 3.10a 0.392
Self-employment 2.81a 0.915 3.49ab 0.680 3.64 0.559 3.33abc 0.506
Service business 3.63c 0.557 3.36ab 1.036 3.75 0.906 3.56c 0.785
Profession 3.25bc 0.907 3.49ab 0.818 3.57 0.769 3.44bc 0.742
Education 2.86a 0.608 3.17a 0.834 3.30 0.705 3.12a 0.589
Housewife 3.38bc 0.713 3.63b 0.676 3.54 0.881 3.53c 0.639
Others 2.96ab 0.660 3.21a 0.652 3.36 0.900 3.18ab 0.592
F-value (p) 5.580*** (0.000) 2.943** (0.009) 2.030 (0.062) 4.005** (0.001)
Monthly average income <1 million won 3.09a 0.669 3.38 0.783 3.34 0.864 3.28 0.593
1–2 million won 3.08a 0.925 3.35 0.694 2.55 0.767 3.33 0.671
2–3 million won 3.42b 0.808 3.49 0.765 3.56 0.725 3.49 0.637
≥3 million won 2.99a 0.560 3.27 0.815 3.45 0.808 3.24 0.626
F-value (p) 3.028* (0.030) 0.672 (0.570) 1.254 (0.291) 1.498 (0.216)
Total 3.13 0.759 3.37 0.763 3.45 0.809 3.32 0.629

* p<0.05;

** p<0.01;

*** p<0.001;

Duncan (a<b<c), a group with a significant mean difference is denoted by a<b<c, with c being the largest group, and a being the smallest group.

M, mean; SD, standard deviation.

Table 6.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tem Preference
Procedure satisfaction
Technique preference Trend preference Procedure description Technique Procedure environment
Preference Technique preference 1
Trend preference 0.005 1
Procedure satisfaction Procedure description 0.408*** 0.174** 1
Technique 0.316*** 0.186** 0.472*** 1
Procedure environment 0.365*** 0.276*** 0.353*** 0.590*** 1

** p<0.01;

*** p<0.001.

Table 7.
Effects of semi-permanent makeup preference on satisfaction with procedure description
Item Non-standardization factor
Standardization factor
t p
B SE β
Constant 0.882 0.293 3.012 0.003
Technique preference 0.452 0.062 0.407 7.298*** 0.000
Trend preference 0.167 0.054 0.172 3.082** 0.002
R2=0.196; Adj. R2=0.189; F=31.498***; p=0.000

** p<0.01;

*** p<0.001;

SE, standard error; B, unstandardized coefficient; β, standardized coefficient; t, t-value; R2, correlation coefficient; F, F-value; Adj., adjust.

Table 8.
Effects of semi-permanent makeup preference on technique satisfaction
Item Non-standardization factor
Standardization factor
t p
B SE β
Constant 1.467 0.305 4.805 0.000
Technique preference 0.353 0.065 0.315 5.456*** 0.000
Trend preference 0.180 0.056 0.184 3.188** 0.002
R2=0.134; Adj. R2=0.127; F=20.056***; p=0.000

** p<0.01;

*** p<0.001;

SE, standard error; B, unstandardized coefficient; β, standardized coefficient; t, t-value; R2, correlation coefficient; F, F-value; Adj., adjust.

Table 9.
Effects of semi-permanent makeup preference on satisfaction with procedure environment
Item Non-standardization factor
Standardization factor
t p
B SE β
Constant 0.920 0.309 2.973 0.003
Technique preference 0.431 0.065 0.364 6.582*** 0.000
Trend preference 0.284 0.057 0.275 4.967*** 0.000
R2=0.209; Adj. R2=0.203; F=34.171***; p=0.000

** p<0.01;

*** p<0.001;

SE, standard error; B, unstandardized coefficient; β, standardized coefficient; t, t-value; R2, correlation coefficient; F, F-value; Adj., adjust.

References

Anderson EW, Fornell C, Lehmann DR. Customer satisfaction, market share, and profitability: findings from Sweden. Journal of Marketing 58: 53-66. 1994.
crossref
Baek KO, Park DH. Cognition of modern people for tattoo and utilities of tattoo according to the social and cultural propert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3: 73-90. 2017.

Bloemer J, Ruyter K.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e image, store satisfaction and store loyalty.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32: 499-513. 1998.
crossref
Choi SE. Facial image percep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based on female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face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5: 85-95. 2017.
crossref pdf
Cho MH, Yang JH. Image perception according to face shapes and makeup color variation.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5: 122-131. 2017.
crossref pdf
Cho SY, Lee JM. A study on semi-permanent special makeup technique for effective eyebrow corre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9: 822-832. 2013.

Chung EH, Ko BJ, Kwon SB, Kim HJ, Jung GH, Lee SH, Lee SY, Cho MK. Comparison of the degree of semipermanent makeup removal and histological changes using 1064 nm Q-switched ND: YAG laser. Journal of Dermatological Science 84: e88. 2016.
crossref
Deter-Wolf A, Robitaille B, Krutak L, Galliot S. The world’s oldest tattoos.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Reports 5: 19-24. 2016.
crossref
Hill P, Culp J. Permanent makeup: tips and techniques. Thomson Delmar Learning. New York. pp180. 2006.

Hong SN. The effect of semi-permanent makeup treatment satisfaction on positivity or negativity effe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3: 187-197. 2017.

Kim DY, Choi TB. A research in experienced customer’s perception levels on semi-permanent makeup: comparison of Korea, Japan and Americ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0: 1083-1090. 2014.

Kim S, Park DH. Comparison of awareness and purchase satisfaction for semi-permanent make-up between Korean and Chines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2: 781-791. 2016.

Park GH. A study of the effects of semi-permanent makeup, customers’ psychological satisfaction, and customers’ intention to get the treatment again and recommend it to oth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17: 189-205. 2016.
crossref
Seo EK, Kang SW. Awareness and practice on the prevention of bloodborne infection among semipermanent makeup work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16: 147-157. 2015.

Seo RS, Lee JM. A study on the desired cosmetics benefits and semi permanent make-up preference by pursuit image: focusing on women in their 20s~5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9: 621-633. 2013.

Seo RS. A study on male’s semi-permanent preferences by pursued image: focused in the 20s-50s motives of appearance management, preference in semipermanent and re-treatment inten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9: 545-556. 2013.

Shelton JA, Peters CL. Actions speak as loud as products: disposition as a self-perceptive method of identity incorporation. Consumption Markets & Culture 9: 207-233. 2006.
crossref
Editorial Office
No. 1505, 1506, 3rd Ace High-End Tower, 145, Gasan digital 1-ro, Geumcheon-gu, Seoul 08506, Korea
TEL: +82-2-6957-8155   FAX: +82-502-770-2278   E-mail: ajbc.edit@e-ajbc.org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