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Asian J Beauty Cosmetol > Volume 23(1); 2025 > Article
엘라스토마 실리콘을 이용한 모공커버 프라이머 제조 및 효능 평가

요약

목적

모공 커버 메이크업의 적용은 얼굴 피부의 확장된 모공을 메우고 피부의 결을 매끄럽게 커버하여 매우 빠르고 즉각적인 피부 보완 효과를 줄 수 있는 적용이다. 모공 커버 효능에 해당하는 화장품 원료들은 대부분 디메치콘과 기타 실리콘 폴리머를 기반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모공 커버에 우수한 효능이 예상되는 엘라스토마 실리콘을 이용하여 메이크업 프라이머 화장품(ESPCC)을 제조하였다.

방법

제조한 프라이머 화장품에 대한 안정성과 안전성, 모공 커버 효능을 평가하였다. 안정성은 원심분리 테스트, 사이클링 테스트, 점도 및 pH 변화를 평가하였다. 안전성은 20-30대 여성을 30명을 대상으로 피부자극반복패치테스트(Human Repeat Insult Patch Test)을 실시하였다. 모공 커버 효능은 디지털 이미징(Visio Face1000D)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ESPCC 화장품의 원심분리 및 사이클링 테스트 결과 제형의 분리가 나타나지 않아 안정성이 확인하였고, 4주간의 점도 및 pH 변화를 평가한 결과가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안전성 평가 결과 연구 지원자 30명 전원이 음성(-) 반응으로 나타나 ESPCC의 인체 적용 시 안전성을 확보하였다. 모공 커버 효능평가 결과, base-line 대비 ESPCC 제품을 적용한 후 모공 개수가 전체적으로 현저히 감소하여 모공 커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

향후 모공 프라이머의 제품 개발은 단순히 모공을 감추는 기능만을 가진 제품이 아닌 피부 및 모공축소 개선에 효능이 있는 코스메슈티컬 개념을 탑재한 제품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Purpose

Pore-concealing makeup offers an immediate solution for filling enlarged pores and smoothing skin texture. The cosmetic ingredients responsible for pore-concealing efficacy are primarily based on dimethicone and other silicone polymers. A makeup primer formulation, termed elastomer silicone-based pore-concealing cosmetics (ESPCC), was developed using elastomer silicone, which is expected to excel in pore coverage.

Methods

The ESPCC’s stability, safety, and pore-covering efficacy were evaluated. Stability was tested through centrifugation, cycling tests, and changes in viscosity and pH. Safety was evaluated through a human repeat insult patch test involving women in their 20s and 30s. The pore-concealing efficacy was assessed using digital imaging.

Results

The ESPCC formulation demonstrated stability by exhibiting no separation in centrifugation and cycling tests. The 4-week evaluation of viscosity and pH changes met cosmetic evaluation standards, confirming the stability of the ESPCC formulation. Additionally, the safety evaluation revealed that all 30 study participants had negative (−) reactions, confirming the absence of allergic reactions upon human application of ESPCC. The pore-concealing efficacy test reveal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pore count after applying ESPCC compared to the baseline, demonstrating its effectiveness.

Conclusions

Future development of pore primers should go beyond merely concealing pores, aiming to create cosmeceutical products that improve skin texture and reduce pore size.

中文摘要

目的

毛孔遮盖化妆品为填充粗大毛孔和平滑肌肤纹理提供即时解决方案。负责毛孔遮盖功效的化妆品成分主要基于聚二甲基硅氧烷和其他有机硅聚合物。一种名为“弹性体硅基毛孔遮盖化妆品”(ESPCC)的底妆配方是使用弹性体硅酮开发的,预计其在毛孔覆盖方面表现出色。

方法

评估ESPCC的稳定性、安全性和毛孔覆盖功效。通过离心、循环测试以及粘度和pH值的变化来测试稳定性。通过对20多岁和30多岁女性进行的人体重复侮辱斑贴试验(HRIPT)评估安全性。使用数字成像评估毛孔覆盖功效。

结果

ESPCC配方在离心和循环测试中没有分离,证明了稳定性。4周的粘度和pH变化评估符合化妆品评估标准,保证了ESPCC配方的稳定性。此外,安全性评估显示,所有30名研究参与者均出现阴性(-)反应,证实人体应用ESPCC时,不存在过敏反应。毛孔覆盖功效测试显示,与基线相比,应用ESPCC后毛孔数量显着减少,证明了其有效性。

结论

未来毛孔打底产品的发展不应仅仅局限于遮盖毛孔,而是要打造能够改善肤质、缩小毛孔的药妆产品。

Introduction

모공은 조직학적으로 털 피지샘 단위 혹은 아포크린샘의 개구부를 뜻하며 임상적으로는 개구부가 확대되어 육안으로 확인되는 경우를 주로 일컫는다(Uhoda et al., 2005). 모공은 정상적으로 피부에 존재하는 구조물로 그 자체는 문제가 되지 않지만, 모공의 크기가 증가해 눈에 보이는 정도로 그 크기가 커지면 미용상 문제가 될 수 있다. 모공의 크기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으로는 성별, 유전적 영향, 나이, 피지 분비량, 여드름의 동반 여부 등이 있는 것으로 여러 연구에서 확인되었다(Kim et al., 2013; Roh et al., 2006).
한국 여성의 모공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한 선행연구에서도 응답자의 대부분(88%)이 확장된 모공을 가지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미용상의 모공 관리 욕구도 매우 높게 조사되었다(Lee et al., 2012). 이처럼 확대된 모공은 치료가 필수적인 병변은 아니지만, 외향적, 심리적 불편함을 호소하는 불만족 요인이다. 즉, 확대된 모공을 완화, 호전시키고자 하는 욕구가 크며 실제 미용 목적을 위해 모공을 관리하는 전문적인 치료는 레이저 시술, 레티노이드 복용, 약용 크림, 기능성 화장품 사용 등으로 다양한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모공 관리에 대한 가장 근본적인 여러 가지 관리 및 치료의 적용은 효과가 나타나기까지의 시간과 비용이 요구된다. 또한, 자가 치료, 관리의 경우에는 호전 효과가 만족스럽지 않은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Lee et al., 2012).
위의 모공 관리 치료법 이외에 확장된 모공을 미용상 보완시키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으로는 색조 메이크업 적용이 있다. 이는 카모플라쥬 개념으로서, 모공커버 메이크업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다. 즉, 피부 모공 커버 효과가 있는 메이크업 제품을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확장된 모공을 커버하고 매끄러운 피부표현을 연출하는 베이스메이크업의 적용이다. 얼굴 피부에 모공이 확장되어 확연하게 보이는 것은 미용상 좋지 못한 이미지를 주는 주요 원인이 된다. 매끄럽고 결이 좋은 피부를 만들기 위해서는 의학적, 피부미용 측면의 치료와 관리 방법이 근본적이지만, 현실적으로 가장 빠르게 시각적 보완 효과를 나타내는 방법은 베이스 메이크업이다(Kim et al., 2014). 베이스 메이크업은 피부톤을 보정하고 피부 결점을 보완해 주어 적용과 동시에 모공 커버 효과를 줄 수 있다(Kim et al., 2016). 또한, 자신이 원하는 결점 없는 피부를 메이크업으로 표현함으로써 피부에 대한 스트레스와 콤플렉스에 대한 자신감을 얻게 도와준다(Park, 2013).
얼굴 피부 모공에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주로 모공축소 및 개선 효과에 관련한 연구가 대부분이다(Im & Koo, 2023; Kim et al., 2023; Jung et al., 2014; Park & Ahn, 2011). 그러나 즉각적으로 색조 메이크업 제품을 적용하여 모공 커버 효능을 평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따라서 색조 메이크업 과정에서, 모공 커버 프라이머의 적용은 얼굴 피부의 모공을 메우고 피부의 결을 매끄럽게 커버하여 매우 빠르고 즉각적인 효과를 줄 수 있는 효율적인 메이크업 방법으로 이에 관련한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피부 모공 커버 효능이 우수할 것으로 예상되는 원료로서 엘라스토마 실리콘(INCI; dodecamethylpentasiloxane)을 이용하여 새로운 프라이머 제형을 제조,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조한 피부 모공 커버 메이크업 제품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해 디지털 이미징(Vsio face 1000D;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을 이용하였다.

Methods

1. 재료 및 모공커버 프라이머 제조

피부 모공 커버를 위한 효능 원료로 엘라스토마 실리콘(elastomer silicone)를 이용하였다. 엘라스토마 실리콘은 경화 실리콘 기반의 폴리머로서 기술적으로 부정확하지만, 직관적으로 실리콘 고무로도 명명된다. 고온 및 저온에서의 특성 유지 및 성능이 전체적으로 매우 우수하며, 상온에서 탄성을 나타내는 소재로(Dai et al., 2021), 피부 촉감을 개선시키며, 피부 모공 커버 효과와 발림성, 밀착력이 우수한 장점을 지닌다. 엘라스토마 실리콘은 Serasilk FD 73 (KCC Silicone Corporation, Korea) 구입하여 사용하였다(Figure 1).
엘라스토마 실리콘을 이용하여 모공 커버 메이크업 제품을 제조하였다(Table 1). 수상 용해(정제수)를 위해 A상(phase)의 각 원료를 계량하여 순차적으로 투입하면서 80℃로 아지믹서(agi mixer, Primix, Japanese)로 교반하여 가온 용해하였다. 점증제를 계량하기 위해 B상, C상, D상을 아지믹서로 80℃, 3000 rpm, 3 min 조건으로 혼합하였다. 혼합 후, A 상에 투입하여 아지믹서로 혼합하였다. 유화 과정에서 모공 커버에 효과가 있는 원료 엘라스토마 실리콘 외 원료를 계량하여 아지믹서로 60℃, 3500 rpm, 3 min 조건으로 혼합하였 다(E상). 중화 과정에서 F상과 G상을 아지믹서로 60℃, 3500 rpm, 3 min 조건으로 혼합한다. 이후 30℃ 냉각 및 탈포를 진행하여 피부 모공 커버 효과가 예상되는 프라이머(elastomeric silicone based pore-concealing cosmetic, ESPCC) 를 제조하였다(Figure 2).

2. 연구지원자

연구지원자는 국내 20-30대 여성으로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참여 조건은 피부에 관련한 기저 질환이 없는 자로 하였다. 이 중, (1) 시험참가 시점 3개월 이내 면역억제제 치료를 받은 경우, (2) 시험참가 시점 1개월 이내에 전신 스테로이드 또는 광선치료를 받은 경우, (3) 시험 부위에 병변이나 흉터가 있어 측정이 곤란한 경우, (4) 심한 여드름, 아토피 또는 감염성 피부질환이 있는 자, (5) 화장품, 의약품 또는 일상적인 광 노출에 대한 반응이 심하거나 알러지가 있는 경우, (6) 임신 또는 수유 중인 여성, (7) 기타 책임연구자의 판단으로 인체 시험 수행이 곤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등의 제외 기준으로 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원광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 사전 승인을 받은 후, 연구지원자를 대상으로 연구에 관련된 정보와 목적을 설명하여 진행하였다(WKIRB-202406-HR-033). 연구 기간은 2024년 6월 27일부터 2024년 7월 20일까지 수행하였다.

3. 모공커버 프라이머의 안정성 평가

엘라스토마 실리콘을 이용하여 제조한 모공 커버 프라이머의 안정성 평가를 위해 원심분리 테스트, 온도 변화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위해 사이클링 테스트, 그리고 주 1회, 총 4주간 점도와 pH 변화를 측정하여 제형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원심분리 테스트는 제조 시료를 conical tube에 6 mL씩 담아 원심분리기(Benchtop centrifuge HA-1000-3; Hanil Science Medical, Korea)에 넣어 상온에서 1 h, 3,000 rpm으로 원심분리를 하였다. 사이클링 테스트는 온도 변화에 따른 제형의 분리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각 시료를 6 mL씩 유리병에 담아 4실 온·습도 배양기(Multi-Room Temp. Humidity Incubator DS -114; Dawon Science, Korea)에 24 h 동안 각각 5℃, 25℃, 50℃로 온도 변화를 주었으며, 온도 변화 사이클을 5회로 반복하였다. 점도 측정기(DV-E Viscometer; Brookfield, USA)를 사용하여 제조된 프라이머 점도를 측정하였다. 점도 측정은 상온에 해당하는 25℃의 온도 환경에서 평가하였다. 측정 조건은 2,400-3,600 cps 범위에서 s64, 2 min, LV 100 rpm 조건으로 4주 동안 3회 반복하여 측정하였다. pH 측정기기 HI 4222 (Hanna instruments, USA)를 사용하였다. 측정 환경의 온도는 상온에 해당하는 25℃에서 pH를 측정하였다. 측정 전 염기성 완충액에 유리전극을 미리 담가 두고, pH meter는 전원에 연결한 후 10 min 이상 방치하였다가 사용하였다. 검출부를 증류수로 세척하여 닦아낸 후 사용하였다.

4. 피부자극반복패치테스트(human repeat insult patch test, HRIPT)

연구지원자의 오른쪽 팔 상완부 안쪽 부위에 적용하였다. 시험 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은 후 각 시료들을 25 μL씩 IQ ultrapatch test units (Chemotechnique diagnostics, Vellinge, Sweden)에 적하하여 고정시켰다. 48 h 밀폐시킨 후 첩포를 제거하고 45 min 후의 피부 반응을 확인하였다. 첩포검사 기간은 일주일에 1회씩 총 4주 동안 수행하였다. 결과 판독은 국제 접촉 피부염 연구위원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ICDRG)의 판정 기준에 따라 홍반 발생 여부 및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판독하였다(Table 2).

5. 모공 커버 효능 평가

엘라스토마 실리콘을 이용한 모공 커버 메이크업 제품과 대조제품의 효능을 평가를 위하여 디지털 이미징을 이용하였다. 디지털 이미지 분석은 피부 측정에서 객관적이고 정확한 평가 방법으로 주로 화장품 효능평가에 사용한다(Hamer et al., 2015; Akbari et al., 2024). 피부 모공 면적 및 개수 측정(pixel, ea)은 Visio Face 1000D(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실내 조명의 밝기가 일정한 조건에서 제품 사용 전과 사용 후 시점에서 안면 부위를 촬영하였다. 실내온도 20-25℃, 습도 40-60%의 항온항습 조건의 대기실에서 30 min간 안정을 취하여 피부 표면 온도와 습도를 측정 공간의 환경에 적응하게 하였다. 연구지원자의 맨 얼굴에 해당하는 모공 상태, base line을 측정한 후 모공 커버 메이크업 제품을 각각 0.4 g씩 측정 부위에 적하하여 충분히 도포한 후 측정하였다. 각 제품 적용 후 모공 세안을 충분하게 하였으며, 피부 휴식 기간을 30 min 간격으로 하였다. 객관적 측정을 위하여 연구자 1인이 직접 측정하였고, 측정 부위는 얼굴 중안부를 중심으로 양쪽 눈동자 중심을 기준으로 동일 부위를 적용하였다(Figure 3).

6. 자료분석

SPSS Statistics 24.0 for Windows program을 이용하여 실험 결과의 평균과 표준편차, 변화 값 등의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제조 모공 프라이머 제품 적용 전·후 측정 데이터 비교를 위해 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Results & Discussion

1. 안정성 평가 결과

원심분리 테스트 후 제형의 층 분리 상태를 기준으로 각 시료의 외관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vehicle과 ESPCC 제품 모두 성상 분리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Table 3).
5℃, 25℃, 50℃에서 온도 변화에 대한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사이클링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vehicle과 ESPCC 모두 성상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Figure 4). 따라서 제조된 시료는 외부 환경의 온도 변화에 대하여 제형이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화장품 제형 안정성 평가에서 온도 변화에 대한 사이클링을 5회 반복하여 적용하는 것은 가장 극도의 환경에 대한 실험이다. 이에 vehicle과 ESPCC 모두 저온과 고온의 온도 변화에 대하여 안정성이 우수함을 검증하였다.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4주간 점도를 측정하고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4주 동안 상온에 해당하는 25℃의 환경에서 vehicle과 ESPSS의 점도 변화를 관찰한 결과 두 시료 모두 점도의 변화가 안정적으로 나타나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제조 화장품 시료의 pH를 4주간 측정하고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제조 시료의 pH는 5.3-5.4의 범주 내에서 4주 동안 큰 변화가 없이 안 정적임을 확인하였다.

2. 피부자극반복패치테스트(HRIPT)

화장품은 피부에 접촉하는 빈도가 높고, 장기간 제품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인체 적용 안전성 평가를 위한 HRIPT를 시행하였다. 4주간의 반복적인 패치테스트를 통해 화장품의 안전성에 대한 평가를 가장 확실하게 확인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 Vehicle과 ESPCC 시료에 대한 HRIPT를 실시한 결과, 주 1회 총 4주간 연구 지원자 30명 전원이 음성(-) 반응으로 나타났다. 즉, 두 시료 모두 반복적인 패치테스트를 시행한 결과에서 피부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지 않아 피부 적용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였다(Table 6).
사이클로메치콘에 5.0% w/v 활성 디메치콘이 포함된 용액을 사용하여 103명의 백인 피험자의 팔에 반복자극패치테스트(RIPT)를 실시한 선행연구 결과에서도 시험 종료 후 탈락자 20명을 제외한 피험자 모두 반응이 1 이하(≤1)로 테스트 물질이 피부자극(irritant)이나 sensitizer가 아니라고 보고하였다(Hill Top Research, 1984). 또한 Cosmetic Ingredient Review (CIR) 전문가 패널은 dimethicone, stearyl methicone 및 vinyldimethicone이 화장품 제형에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Nair & Cosmetic Ingredients Review Expert Panel, 2003). 이러한 결과는 이 연구의 HRIPT 결과에 신뢰성을 뒷받침할 수 있는 결과이다.

3. 모공 커버 효능 평가

연구 지원자의 얼굴 중안부에 ESPCC 시료를 일정하게 도포 한 후 디지털 이미징(Visio Face1000D)을 이용하여 모공을 측정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연구 지원자의 맨 얼굴에 해당하는 base-line 모공 개수의 평균은 Fine에 해당 수치가 평균 35.60 (±7.10) 이었고, large에 해당 수치가 7.36 (±1.24) 이었다. ESPCC 제품을 적용한 후 Fine의 모공 개수의 평균은 12.06 (±15.97)로 모공 개수가 현저히 감소하여,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ESPCC 제품을 적용한 후 large의 모공 개수는 또한 평균 4.46 (±8.26)으로 수치가 감소하였으며,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Figure 5). 그러나 vehicle 그룹에서는 base-line을 기준으로 전·후를 비교했을 때, 모공 개수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모공 커버에 효능 원료인 엘라스토마 실리콘이 결여된 일반 제형을 적용한 결과로서 엘라스토마 실리콘 단일 원료 적용에 대한 모공커버 효능을 입증한 결과이다. 또한 디지털 이미지 분석은 피부 측정에서 객관적이고 정확한 평가 방법으로 주로 화장품 효능 평가에 사용한다(Akbari et al., 2023). 이 연구에서도 모공 커버 효능을 디지털 이미지 처리를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이는 객관적 데이터 기반으로 한 신뢰할 만한 결과로 볼 수 있다.
실리콘을 치료 목적으로 피부에 적용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실리콘 겔(silicone gel)은 흉터 및 상처 치유에 이용되고 있다(Borgognoni, 2002). 실제 수술 후 비후성 흉터, 켈로이드 예방을 위해 실리콘 겔을 8주간 적용했을 때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Kwon et al., 2014). 즉, 실리콘계 고분자 원료의 적용은 피부과적 치료 목적에 사용되고 있어 안전성과 상처치유 및 보습 효능이 보고되고 있으며, 프라이머 제품의 모공 커버 효능 원료로 활용되는 등 여러 장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Conclusion

이 연구에서는 모공 커버 효능이 예측되는 엘라스토마 실리콘을 이용하여 프라이머 제품을 제조하여 안정성과 안전성을 평가하였고, 모공 커버 효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안정성 평가에서 원심분리 테스트, 사이클링 테스트 후 제형의 변화가 없으며 상이 분리되지 않아 안정성을 확인하였고, 4주간 점도 및 pH 변화에 대한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HRIPT를 시행한 결과, 연구지원자 30명 전원 알레르기 반응인 부종, 알레르기, 수포, 홍반 반응에 음성(-) 반응을 보여 제조 프라이머 제품(ESPCC)의 피부 적용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모공 커버 효능 평가 결과, 엘라스토마 실리콘 원료가 결여된 동일 제형의 vehicle 시료에서는 모공 커버 효능이 없었다. 그러나 ESPCC 적용 그룹에서는base-line의 모공상태와 비교했을 때 모공 개수가 현저히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엘라스토마 실리콘을 프라이머에 적용했을 때 모공커버 효능이 있음을 객관적으로 입증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엘라스토마 실리콘을 이용한 모공 프라이머 제품의 제형 안정성, 피부 적용에 대한 안전성 효능을 입증하였다. 향후 모공 프라이머 제품 개발은 단순히 모공을 커버하는 효과와 더불어 피부 보습 및 모공 축소 개선에 효능이 있는 메디코스메틱 개념을 탑재한 연구 개발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NOTES

Acknowledgements
이 논문은 2024학년도 원광대학교의 교비지원에 의해 수행됨.
Author's contribution
SYM and KP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SYM, KP, and JHK designed all experimental investigations. SYM, KP, and JHK contributed to all aspects of analysis and experimental design. JHK oversaw the project.
Author details
Seo-Yeong Ma (Student), Department of Beauty Design, Wonkwa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460 Iksan-daero, Iksan-si, Jeallabuk-do 54538, Korea; Kun Park (Professor), Department of Dermatology, Wonkwang University Hospital, 895, Muwang-ro, Iksan-si, Jeollabuk-do 54538, Korea; Jeong-Hee Kim (Professor), Institute of W-antiaging, Wonkwang University, 460 Iksan-daero, Iksan-si, Jeallabuk-do 54538, Korea.

Figure 1.

Chemical formula of dodecamethylpentasiloxane.

ajbc-23-1-13f1.jpg
Figure 2.

Manufacturing process of elastomer silicone-based pore-concealing cosmetic.

ajbc-23-1-13f2.jpg
Figure 3.

Measurement site of the middle face.

The area was measured for changes in pores by drawing a rectangle: two parallel lines were created by connecting the points below the centers of both pupils and drawing a horizontal line starting from the lowest central point of the nose and vertical lines were drawn from the centers of the pupils to form the rectangle (red dotted area) (Ma et al., 2024).
ajbc-23-1-13f3.jpg
Figure 4.

Cycling test of vehicle and ESPCC.

Vehicle, base formulation; ESPCC, elastomeric silicone based pore-concealing cosmetics.
ajbc-23-1-13f4.jpg
Figure 5.

Representative photographs of baseline and ESPCC.

(A) Baseline; (B) ESPCC, elastomer silicone-based pore-concealing cosmetic.
ajbc-23-1-13f5.jpg
Table 1.
Formulation of elastomer silicone based pore-concealing cosmetic (Unit: g)
Phase Vehicle
A D.I water 33.93
Glycerin 14.00
Dipropylene glycol 3.00
Hyaluronic acid 0.50
Allantoin 0.10
Panthenol 0.10
Betaine 0.10
Disodium EDTA 0.02
Chlorphenesin 0.12
Hydrogenated lecithin 0.01
B Dipropylene glycol 5.00
Hydroxyethyl acrylate/Sodium acryloyldimethyl taurate copolymer 0.25
C Water 20.00
Carbormer 0.35
D Water 7.00
Acrylates/C10-30 alkyl acrylate crosspolymer 0.10
E Tocopheryl acetate 0.05
Dodecamethylpentasiloxane 5.00
Dimethicone 5.00
Ethylhexylglycerin 0.10
Glyceryl caprylate 0.10
F Water 5.00
Potassium hydroxide 0.17
G CI 45410:1 0.10
Total 100.00
Table 2.
Grading criteria of skin reactions by ICDRG guideline
Positive/negative Score Criteria
- 0 No irritant reaction (Discrete patchy erythema without infiltration)
-/+ 0.5 Doubtful reaction (Faint macular, No infiltration, Homogenous erythema)
+ 1 Week positive reaction (Erythema, Induration, Papules)
++ 2 Strong positive reaction (Erythema, Induration, Papules, Discrete vesicles)
+++ 3 Extreme positive reaction (coalescing vesicles, Bullous or ulcerative reaction)
Table 3.
The result of centrifugation test for 4 hours
Temp. Sample Period Color Odour Appearance Separation
25℃ Vehicle Initial None Fragrance Clear gel None
4 hours 5 5 5 5
ESPCC Initial None Fragrance Clear gel None
4 hours 5 5 5 5

Vehicle, base formulation; ESPCC, elastomer silicone-based pore-concealing cosmetic.

Table 4.
Viscosity changes from 1 week to 4 weeks (Unit: cps)
Temp. Sample Period
1 day 1 week 2 weeks 3 weeks 4 weeks
25℃ Vehicle 31.50±0.00 33.00±2.50 31.40±0.10 31.30±0.20 32.00±1.00
ESPCC 32.10±0.00 32.20±0.10 32.20±0.10 32.00±0.10 32.00±0.10

Vehicle, base formulation; ESPCC, elastomer silicone-based pore-concealing cosmetic.

Table 5.
Changes in pH from 1 week to 4 weeks
Temp. Sample Period
1 day 1 week 2 weeks 3 weeks 4 weeks
25℃ Vehicle 5.40±0.00 5.35±0.05 5.42±0.02 5.40±0.00 5.40±0.00
ESPCC 5.41±0.00 5.40±0.01 5.42±0.01 5.30±0.10 5.41±0.00

Vehicle, base formulation; ESPCC, elastomer silicone-based pore-concealing cosmetic.

Table 6.
Human repeat insult patch test for vehicle and ESPCC (N=30)
Temp. Sample 1 week 2 weeks 3 weeks 4 weeks
Vehicle Positive 0 0 0 0
Negative 30 30 30 30
ESPCC Positive 0 0 0 0
Negative 30 30 30 30

Vehicle, base formulation; ESPCC, elastomer silicone-based pore-concealing cosmetic.

Negative: -, no irritant reaction.

Positive: -/+, doubtful reaction; +, weak positive reaction; ++, strong positive reaction; +++, extreme positive reaction.

Table 7.
Comparison of pore-concealing efficacy between baseline and the ESPCC groups
Base line ESPCC t p-value
Fine 35.60±38.92 12.06±15.97 4.44 0.001**
Large 7.36±6.82 4.06±8.26 2.36 0.033*

Data are presented by mean±SD.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 -test. Levels of significance are indicated as

* for p<0.05,

** for p<0.01.

References

Akbari F, Hadibarhaghtalab M, Parvar SY, Dehghani S, Namazi MR. Toward facial rejuvenation; A clinical trial to assess the efficacy of Nano fat grafting on wrinkles. Journal of Cosmetic Dermatology 23: 600-606. 2024.
crossref pmid
Borgognoni L. Biological effects of silicone gel sheeting. Wound Repair Regeneration 10: 118-121. 2002.
crossref pmid pdf
Hamer MA, Jacobs LC, Lall JS, Wollstein A, Hollestein LM, Rae AR, Gossage KW, Hogman A, Liu F, Kayser M, Nijsten T, Gunn DA. Validation of image analysis techniques to measure skin aging features from facial photographs. Skin Research & Technology 21: 392-402. 2015.
crossref pmid
Hill Top Research. Repeated insult patch test with 5% dimethyl silicones and siloxanes in decamethylcyclopentasiloxane with cover letter dated 04/28/94. NTIS report no. OTS0572502. 1984.

Im SW, Koo JS. A study on the effect of face washing on pore changes.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38: 11-18. 2023.

Jung HJ, Suh HY, Shim JH, Li KS, Ahn JY, Park MY, Hong CK, Youn JI, Kim BJ.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of pores and factors affecting facial pores.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52: 851-857. 2014.

Kim BY, Choi JW, Park KC, Youn SW. Sebum, acne, skin elasticity, and gender difference−which is the major influencing factor for facial pores? Skin Research and Technology 19: 45-53. 2013.
crossref pmid
Kim K, Kim M, Li S. Study of base makeup recognition and comparison of makeup tools on skin expression.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2: 745-753. 2014.

Kim MS, Han SS, Kim Y, Kang JW. Satisfaction with a face architect base make-up technique: focus on the customers of department stores in Daegu.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12: 267-276. 2016.
crossref
Kim NY, Kim BR, Park SH, Jang HJ, Kim SJ. A study on the changing of biophysical properties of the facial skin according to aging.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21: 247-261. 2023.
crossref pdf
Kwon SY, Park SD, Park K. Comparative effect of topical silicone gel and topical tretinoin cream for the prevention of hypertrophic scar and keloid formation and the improvement of scars. Journal of the European Academy of Dermatology and Venereology 28: 1025-1033. 2014.
crossref pmid pdf
Lee SY, Lee SJ, Cho HK. The insight on skin pores with cosmetic concern in Korean women. Korean Journal of Dermatology 50: 510-515. 2012.

Ma SY, Park K, Kim JH.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re-covering primers using digital imag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30: 873-879. 2024.
crossref pdf
Nair B; Cosmetic Ingredients Review Expert Panel. Final report on the safety assessment of stearoxy dimethicone, dimethicone, methicone, amino bispropyl dimethicone, aminopropyl dimethicone, amodimethicone, amodimethicone hydroxystearate, behenoxy dimethicone, C24-28 alkyl methicone, C30-45 alkyl methicone, C30-45 alkyl dimethicone, cetearyl methicone, cetyl dimethicone, dimethoxysilyl ethylenediaminopropyl dimethicone, hexyl methicone, hydroxypropyldimethicone, stearamidopropyl dimethicone, stearyl dimethicone, stearyl methicone, and vinyldimethicone. International Journal of Toxicology 22: 11-35. 2003.
crossref pmid
Park HM.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self-makeup educatio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mplex, and desire for plastic surgery. Master’s thesis, Dongduk Women’s University, 2013.

Park HN, Ahn HS. The effectiveness of high frequency treatment and stone therapy upon facial conditions for mid-aged women.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9: 1-10. 2011.

Roh M, Han M, Kim D, Chung K. Sebum output as a factor contributing to the size of facial pores. The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155: 890-894. 2006.
crossref pmid pdf
Dai S, Li M, Yan H, Xhu H, Hu H, Zhang Y, Cheng G, Yuan N, Ding J. Self-healing silicone elastomer with stable and high adhesion in harsh environment. Langmuir 37: 13696-13702. 2021.
crossref pmid
Uhoda E, Piérard-Franchimont C, Petit L. The conundrum of skin pores in dermocosmetology. Dermatology 210: 3-7. 2005.
crossref pmid pdf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E-Mail
  Print
Share:      
METRICS
0
Crossref
343
View
11
Download
Related article
Editorial Office
No. 1505, 1506, 3rd Ace High-End Tower, 145, Gasan digital 1-ro, Geumcheon-gu, Seoul 08506, Korea
TEL: +82-2-6957-8155   FAX: +82-502-770-2278   E-mail: ajbc.edit@e-ajbc.org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