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Asian J Beauty Cosmetol > Volume 23(2); 2025 > Article
동아리 활동 만족도를 매개 변인으로 피부미용학과 대학생의 전공동아리 활동이 진로 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요약

목적

본 연구는 피부미용 전공 대학생의 동아리 활동 만족도를 매개로 전공 동아리 활동 요인 및 진로준비행동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통해 피부미용 관련 학과의 학생 지도 및 교육과 관련한 방안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방법

참고문헌 고찰을 통해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2023년 9월 동안 지역별로 선정한 피부미용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총 39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364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크론바흐 알파 값은 0.769에서 0.810 이었다. 전공 동아리 활동 요인 9문항, 동아리 활동 만족도 요인 7문항, 진로준비행동 요인 6문항을 선정하였다.

결과

전공 동아리 활동은 동아리 활동 만족도에, 동아리 활동 만족도는 진로 준비행동에, 전공 동아리 활동은 진로 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여 주었다.

결론

전공 동아리 활성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대학에서의 전공봉사동아리 활동에 대한 재정지원과 함께 전공별 보유 기자재의 활용, 전공 동아리 방, 실습실 사용에 대한 허용 및 전공동아리의 행정지원 등 다양한 지원 대책이 요구된다.

Abstract

Purpose

This study focused to probe systematic operating measure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major club activities of students majoring in skincar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the mediating role of satisfaction with such activities.

Methods

We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and designed a questionnaire to asses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ajor club activities, and satisfaction with major club activities.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using random sampling. Out of the 390 questionnaires administered in September 2023, data from 364 respondent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es.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managed to study relationships connecting variables.

Results

Major club activities exhibit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with such activities and exerted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Conclusion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influences their career decisions, maturity, and preparation behaviors. Thus, universities and relevant departments in Korea should exert effort to revitalize major clubs.

中文摘要

目的

本研究旨在探讨有效的操作措施,通过对护肤专业学生主要社团活动的满意度作为中介因素,考察其对职业准备行为的影响。

方法

我们进行了文献综述,并设计了一份问卷,用于评估职业准备行为、主要社团活动以及对主要社团活动的满意度。参与者采用随机抽样的方式进行选择。在2023年9月发放的390份问卷中,最终纳入了364份受访者的数据。我们进行了因子分析和多元回归分析,以检验变量之间的关系。

结果

社团活动与活动满意度呈现显著相关性,并对职业准备行为产生影响。

结论

大学生的学校生活满意度影响着他们的职业决策、成熟度以及准备行为。因此,韩国大学和相关部门应努力振兴各大社团。

Introduction

1. 연구의 필요성

최근의 대학교육은 전공교육 이외에 학생들의 향후 진로결정과 관련한 활동 이외에 다양한 경험을 체득한다(Lee & Lee, 2022). 이를 통해 전공 교육, 취업 영역, 인성함양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Kang, 2015). 또한 이와 같은 다양한 진로와 관련한 경험은 향후 학생들이 취업을 준비할 때 유리한 스팩으로 작용하여 전공분야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직무와 관련한 능력을 겸비한 차별화된 인재로 인정될 수 있다(Baek & Jung, 2012). 이와 같은 변화의 흐름에 맞추어 재학시절 전공 동아리 활동은 학과의 커리큘럼만큼 중요한 학생활동으로 인식되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학생 자치활동은 전공능력 함양, 학생들의 전공과 관련한 진로 확신, 학과만족도 향상과 상관 관계가 높음으로 대학에서의 전공 동아리 지원도 활성화되는 추세이다(Park et al., 2013). 과거 전공 동아리 활동은 학생들의 친목이나 학점 취득 또는 전공 자격증 취득을 위한 스터디 그룹 형태로 여겨지고 운영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전공 동아리가 세분화, 전문화되어 가는 추세로 학생 자치 봉사 동아리를 겸한 활동을 통한 중요 전공 컨텐츠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Suk & Cho, 2016).
그동안 동아리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에서 학생 생활지도, 학생들의 자아 존중감, 멘토링, 학과 적응 효과 등과 관련하여 주로 학교생활 지원 측면에서 살펴보았다(Ko et al., 2014). 그러나 최근 동아리 활동은 자아 존중감, 전공 관련 소질 계발, 교수 및 동료 학생, 선후배 관의 관계 형성 등을 내실화 하고 대학생들의 전공 관련 교육과 관련한 학교생활 전반에 걸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Choi et al., 2005). Kim & Lee (2002)는 동아리 활동을 통한 사회적 지지는 학생들이 대학 환경에서 교수, 선후배, 친구 간의 사회적 관계를 재구성해야만 하는 삶의 변화 시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새로운 관계형성을 발달시킴으로써 개인은 지지를 더 얻게 된다고 하였다. Choi et al. (2019)는 동아리 활동 참여는 참여자들의 자아 존중감을 향상시키고, 참여자들간의 관계를 통한 조직에 애착을 증가시킨다고 하였다. Choi (2017)는 전공 동아리 참여 수준은 사회적 지지와 상관관계가 있으며 특히 평가적 지지에 영향을 받으며 이는 진로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진로준비행동과 관련해서 다양한 정의를 학자들간에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Lee & Hong (2013)은 진로준비행동은 적합한 진로결정을 하기 위해 수행되는 행동이라 하였고, Ko & Cho (2017)는 진로결정이 이루어지고 난 후 진로결정사항을 실행하는 구체적 행동을 의미한다 라고 하였다. Kim & Lee (2017)는 진로준비행동은 직업 세계에 대한 정보 수집과정을 거쳐, 필요한 도구를 갖추고 목표 달성을 위한 노력이라 하였다. 이와 같은 정의에서 보듯이 최근 학생들의 자신의 진로 방향에 있어 자기주도적 성향이 높아지고, 교수의 진로지도에 소극적인 반응을 보이는 최근의 학생 특성 상 전공 동아리를 활성화 시킴으로써 학생 스스로 진로준비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교육방향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학생 자치활동 개념의 피부미용 전공 학생의 전공동아리 활동을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전공 동아리 회원들의 동아리 활동 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피부미용 전공 학생의 전공동아리 활동을 다양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고 진로준비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본 연구를 전공동아리 관련 연구의 기초 자료 제공을 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및 의의

대학생은 새로운 환경, 교우, 교수와의 만남을 통해 사회적 지지관계를 구축함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학교생활의 즐거움, 자율성, 안정감을 갖게 되고 이는 전공 및 학과에 대한 만족 수준을 높일 수 있다. Kim & Han (2010)는 동아리 활동은 다양한 문제해결 조언 및 정보 제공, 정서적 안정을 제공받을 수 있다고 하였다. Choi et al. (2012)는 동아리 활동은 사회적 지지로서의 개인 간의 존경과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신념을 증가시키고, 대인관계 활성화는 사회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는 긍정적 자원으로써 다차원적인 사회 환경 내에서의 상호작용을 이룰 수 있는 자원이 된다고 하였다.
Yeo (2017)은 진로준비행동이란 진로 목표를 달성하고 이를 위한 구체적인 준비를 위해 필요한 다양한 면을 준비하는 모든 행동이라고 설명하였다. 또한 Kim & Lee (2017)는 진로준비행동은 진로결정과 관련하여 실천해야 하는 행동 또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노력을 강구하여 준비하는 활동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Cho & Jeong (2017)은 진로준비행동을 진로목표를 이루기 위한 다양한 준비를 통해 진로정보 수집을 기반으로 행해지는 활동이라 하였다.
대학생들의 학교, 학과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진로준비의 수단으로 전공동아리 활동을 장려하는 대학 및 학과가 늘어나고 있다. 또한 학과 내에서도 전공 교수를 중심으로 한 전공 동아리는 전공교육의 심화 및 내실화, 학생들 자치 중심의 학습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학생들의 전공 관련 지식을 쌓고 이를 통한 진로성숙도 및 결정 수준을 증진할 수 있다. 대학은 이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매 학기 일정 기준에 따라 전공동아리 활동 내용 및 성실성을 평가하고 이를 통한 차후 동아리 활동 예산을 차등 지원함으로써 전공동아리 활동 경쟁을 유발하고 이를 통해 전공동아리 활동의 다양성 제고와 학생들의 전공 관련 지식 함양에 매우 긍정적인 유발효과를 얻고 있다. 전공동아리 활동은 전공과 관련한 다양한 정보 공유, 취업 준비, 각종 경진대회 및 공모제 참가를 통한 학생 주도 전공 학습 활동 전개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학생들의 요구도 및 시대적인 변화의 흐름에 부합하기 위하여 피부미용 전공 대학생의 동아리 활동 만족도를 매개로 전공 동아리 활동 요인 및 진로준비행동 요인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찾아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Methods

1. 연구 대상 선정 및 자료 수집 기간

연구 대상자는 서울, 경기, 인천, 경남, 경북 지역별로 선정한 총 15개 전문대학 피부미용과에 재학 중인 학생 중 전공 동아리 활동 경험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본 자료는 총 390명을 임의로 표집하여 조사하였으며 376부가 최종적으로 회수되어 96.4%의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작성한 12부를 제외하고 총 364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 기간은 2023년 9월 한 달간 진행하였으며, 설문지 작성을 위해 본 연구자가 해당 대학 교수를 통해 본 설문에 대한 내용 및 작성 요령을 설명하였다. 이후 이와 관련한 내용을 습득한 연구대상자가 직접 작성 한 후 회수하였다.

2. 조사도구

1) 일반적 특성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선정된 항목은 성별, 학년, 전공, 지역, 지역단위, 경제 상태의 총 6문항이었으며 명목척도를 사용하였다.

2) 전공동아리 활동

본 연구에서 독립변수로 사용한 전공동아리 활동(major club activities)란 동일 전공을 공부하는 학생들 간에 타 전공과의 차별성에 중점을 두고 스스로 학습을 위해 형성된 모임으로 최근에는 기존의 동아리 활동 범위를 넘어 봉사 개념의 새로운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다(Baek & Jung, 2012).
본 연구에서 사용한 전공동아리 활동의 요인으로 활동경험요인, 동료학생요인, 성과달성경험요인, 지도교수요인, 학교지원요인의 총 5가지로 정의하였다.
전공동아리 활동 문항 작성을 위해 Kang (2015)Park et al. (2013)의 연구 모형을 참조하였다. 이를 토대로 연구자가 목적에 맞도록 수정하였으며, 신뢰도, 타당도 분석 시 신뢰 수준에 있는 문항을 선택하였다. 문항 내용으로는 5개 하위요인(활동경험요인, 동료학생요인, 성과달성 경험요인, 지도교수요인, 학교 지원 요인)의 총 12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이 중에서 신뢰도, 타당성 검증을 통해 신뢰수준에 있는 9개의 문항을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전공동아리 활동 수준이 높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3) 동아리 활동 만족도

본 연구에서 매개변수로 사용한 동아리 활동 만족도(satisfaction of major club activities)란 전공과 관련된 흥미와 관심을 공유한 학생들이 학교의 지원을 받아 자생적으로 조직되어 목표를 가지고 지속적으로 활동하는 자치활동을 수행하는 동아리 활동을 통한 만족 수준 정도를 의미한다(Suk & Cho, 2016).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동아리 활동 만족도의 요인으로 정규교육과정과의 연계성, 즐거움, 자율성, 학교생활 안정감 요인의 총 4가지로 정의하였다.
동아리 활동 만족도와 관련된 설문지 작성을 위해 Choi & Lee (2011), Kim (2010), Choi et al. (2012), Choi (2017), Park (2022), Song et al. (2022)의 연구 모형을 참조하였다. 문항 내용으로는 4개 하위 요인(정규교육과정과의 연계성, 즐거움, 자율성, 학교생활 안정감 요인)의 총 7개의 문항을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전공동아리 활동 만족도 수준이 높은 것으로 설문을 구성하였다.

4) 진로준비행동

본 연구에서 종속변수로 채택한 진로준비행동(career preparation behavior)란 진로문제와 관련된 결정으로 자신의 진로와 관련하여 나아갈 방향을 결정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올바른 진로결정을 위해서 자료수집 및 결정된 진로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학습하고 능력을 개발하는 등의 구체적인 행위를 총칭한다(Lee & Hong, 2013). 진로준비행동 설문을 위해 Kim & Lee (2017), Shin & Kim (2017), Na & Yoon (2017)의 연구 모형을 참조하였다. 문항 내용으로는 3개 하위 요인(직업세계탐색, 진로준비과정, 자신에 대한 정보탐색)의 총 6개의 문항을 5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다.

3. 분석방법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window 19.0 프로그램(IBM, USA)을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일반적 특성은 명목척도를 사용하였고, 전공 동아리 활동, 동아리 활동 만족도, 진로준비 행동 문항은 리커트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을 위하여 빈도분석을 시행하였다.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은 Cronbach’s α 값, 요인분석, 전공 동아리 활동, 동아리 활동 만족도 및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를 구조모형분석을 이용하였다.

Results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일반적 특성 결과(Table 1), 여학생이 337명(92.6%), 남학생이 27명(7.4%)로 조사되었다. 학년의 경우 2학년이 가장 많아 240명(65.9%), 1학년이 124명(34.1%)로 나타났다. 전공의 경우 피부미용이 가장 많아 149명(40.9%), 헤어 미용이 94명(25.8%), 메이크업이 79명(21.7%) 순으로 조사되었다. 거주지의 경우 경기도가 가장 많아 235명(64.65), 다음으로 대구와 경상북도가 66명(18.1%), 부산과 경상남도가 42명(11.5%), 대전과 충청도가 21명(5.8%) 순으로 나타났다. 거주지 단위의 경우 중소도시가 가장 많아 191명(52.55), 대도시가 89명(24.5%), 시골이 84명(23.1%) 순으로 나타났다. 경제상태의 경우 ‘하’ 240명(65.9%), ‘중’이 100명(27.5%)로 나타났다.

2. 전공동아리 활동, 동아리 활동 만족도 및 진로준비행동 요인

1) 전공동아리 활동, 동아리 활동 만족도 및 진로준비행동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전공동아리 활동, 동아리 활동 만족도 및 진로준비행동 요인의 차원을 도출하기 위해 베리맥스 회전법을 통한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성 분석을 위해 각 요인 별로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를 계산하였다(Table 2).
각 요인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결과 전공동아리 활동(Cronbach’s α=0.810), 동아리 활동 만족도(Cronbach’s α=0.769) 및 진로준비행동(Cronbach’s α=0.788)로 신뢰할 만한 수준에 있다고 볼 수 있다.

2) 전공동아리 활동, 동아리 활동 만족도 및 진로준비행동 요인들의 기술 통계치

(1) 전공동아리 활동 요인 기술 통계치

전공동아리 활동 요인 통계 결과는 Table 3과 같다. 활동경험요인(4.588±0.694), 동료학생요인(4.491±0.791), 성과달성경험요인(4.319±0.469), 지도교수요인(4.249±0.759), 학교지원요인(4.084±0.760)순으로 나타났다.

(2) 동아리 활동 만족도 요인 기술 통계치

동아리 활동 만족도 요인 기술 통계치 결과는 Table 4과 같다. 정규교육과정과의 연계성(4.279±0.691), 즐거움(4.176±0.699), 자율성(4.056±0.702), 학교생활 안정감(3.519±0.516) 순으로 나타났다.

(3) 진로 준비행동 요인 기술 통계치

진로준비행동 요인 기술 통계치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자신에 대한 정보탐색(4.216±0.661), 직업세계탐색(3.405±0.619), 진로준비과정(3.079±0.702) 순으로 나타났다.

3) 전공동아리 활동, 동아리 활동 만족도 및 진로준비행동간의 요인분석

전공동아리 활동, 동아리 활동 만족도 및 진로준비행동간의 구조관계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Table 6). 그 결과 χ2/df=444.167/180, RMSEA=0.088, RMR=0.084, GFI=0.910, NFI=0.814, TLI=0.842, CFI=0.917로 나타나 모형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들 간의에서 전공동아리 활동→활동경험요인에서 β=0.702,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전공동아리 활동→동료학생요인에서 β=0.648, p<0.05 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고, 전공동아리 활동→성과달성경험요인에서 β=0.516, p<0.05 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매개변수에서 동아리 활동 만족도→정규교육과정과의 연계성에서 β=0.844,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동아리 활동 만족도→즐거움에서 β=0.785,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종속변수에서 진로준비행동→직업세계탐색에서 β=0.762, p<0.05 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진로준비행동→자신에 대한 정보탐색에서 β=0.885, p<0.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4) 구조모형 분석

(1) 전공동아리 활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전공동아리 활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Table 7). 각 경로 별 회귀 계수를 살펴보면 전공동아리 활동→진로준비행동은 β=0.077,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전공동아리 활동에 따라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달라지는 것을 의미하는데, 전공동아리 활동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 수준도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2) 동아리 활동 만족도가 전공동아리 활동과 진로준비 행동 간의 매개역할 분석

연구대상자들의 동아리 활동 만족도가 전공동아리 활동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Table 8). 각 경로 별 회귀계수를 살펴보면 전공동아리 활동→동아리 활동 만족도는 β=0.491 (p<0.01), 동아리 활동 만족도→진로준비행동은 β=0.579 (p<0.001), 전공동아리 활동→진로준비행동은 β=0.510 (p<0.01)로 나타나 모두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대상자들의 동아리 활동 만족도가 전공동아리 활동과 진로준비 행동 간의 매개역할을 한다 할 수 있다.

Discussion

본 연구는 피부미용학과 학생의 전공동아리 활동, 동아리 활동 만족도, 진로준비행동의 상관관계를 통해 피부미용 학과 학생의 전공동아리 활동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피부미용 전공 학생의 전공동아리 활동, 동아리 활동 만족도, 진로준비 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가 실제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요인 파악 후, 이들 중 동아리 활동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진로준비행동과 관련된 영향요인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총 15개 피부미용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중 전공 동아리 활동 경험이 있는 학생 364명의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는 SPSS 19.0과 AMOS 19.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피부미용학과 학생의 전공동아리 활동 방안을 마련하고 동아리 활동 만족도 개선을 통해 진로준비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을 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피부미용학과 학생의 전공동아리 활동에서 활동경험요인, 동료학생요인, 성과달성경험요인, 지도교수요인, 학교지원요인 순으로 높게 인지하고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공업계 학생들의 동아리 활동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체험활동의 중요도 및 반영도를 분석한 선행연구(Ko et al. 2014)에서 동아리활동은 청소년의 행동특성, 사회적 적응, 학교적응, 생활기술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고 동아리는 학생들의 관심에서 출발하여 그 활동계획이 참여자들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 다양하고 창조적인 활동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연구에서의 창의적 체험 활동 영역의 중요도 및 반영도는 또래 집단, 선생님의 관심과 정(+)의 관계를 갖는다고 하여 본 연구결과와 일치하고 있다. 치위생과 학생의 봉사만족도와 봉사활동에 관하여 연구한 선행연구(Park et al. 2013)에서 봉사 만족도는 봉사의 이행 정도, 봉사 활동에 대한 이해, 동료 학생의 지지, 교수의 지지 등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주장하여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동아리 활동 만족도의 경우 정규교육과정과의 연계성, 즐거움, 자율성, 학교생활 안정감의 순서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동아리 활동 만족도가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선행연구(Suk & Cho, 2016)에서 동아리활동만족도 요인 중 사회적 요인, 정서적 요인이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한다. 예술계열 전문대학생의 동아리 활동의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동아리 활동 참여도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선행연구(Choi, 2017)에서 동아리 활동 만족도 요인 중 자유로운 대화, 긍정적 감정 표현, 교수에 대한 선호도가 매개변수로 작용하여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여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진로준비행동 요인의 경우 자신에 대한 정보탐색, 직업세계탐색, 진로준비과정 순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졸자의 진로준비행동, 직무만족과의 관계를 연구한 선행연구(Boo, 2018)에서 직업가치,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을 매개로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는데, 이 중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요인으로 정보탐색, 진로준비과정이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주장하여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대학생의 진로결정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구직 효능감의 역할을 연구한 선행연구(Park & Lee, 2014)에서 전공만족도, 진로사고, 진로결정, 진로준비행동은 구직 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이 있다고 하여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전공 동아리 활동, 동아리 활동 만족도 및 진로준비 행동 간의 요인 분석 결과 전공동아리 활동 요인에서 활동경험요인, 동료학생요인, 경험요인은 전공동아리 활동과 유의미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자아탄력성의 효과를 통한 동아리 활동 만족도가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선행연구(Choi et al., 2012)에서 동아리 활동은 학생간의 관계를 통해 학생들이 독립하는데 따르는 위기를 극복하는데 도움을 주며, 목표성취를 조장해준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정규 교과과정에 의해 충족되지 않는 욕구에 대한 정서적 지원을 하며, 어울림을 배우게 해준다고 주장하여 본 연구 결과의 내용과 일치하였다.
동아리 활동 만족도 요인에서 정규교육과정과의 연계성, 즐거움 요인은 동아리 활동 만족도와 유의미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동아리 활동이 리더십 생활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선행연구(Choi et al., 2005)에서 동아리활동은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통한 교육적, 구성원 스스로의 창의성, 자발성을 발현하여 스스로 책임을 져야 하며, 정서적 측면에서의 협동심 함양, 관계 형성을 통한 사회성 발달과 즐거움을 제공한다고 하였다. 준비행동 요인에서 정보탐색, 직업세계탐색 요인은 진로준비행동 요인과 유의미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선행연구(Kim, 2016)에서 진로장벽은 진로에 대한 역기능적 사고를 나타내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낸다고 하며 진로장벽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진로준비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대학생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개발 관련 심리적 변인에 대한 메타분석을 연구한 선행연구(Cho & Jeong, 2017)에서 학생들의 전공만족도를 높이고, 진로에 대한 의사결정에서 진로사고, 진로신념을 바탕으로 한 구체적인 진로준비과정을 강조하였다.
구조모형 분석결과 전공동아리 활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 전공동아리 활동 수준은 진로준비행동 수준에 유의미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교수학습지원센터 동아리 활동 경험 여부에 따른 다 집단 분석을 통한 대학교 재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대학생활 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연구한 선행연구(Choi et al., 2019)에서 동아리 활동 경험은 진로 준비를 위한 행동으로 진로목표 달성을 위한 준비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동아리 활동을 통한 외부 직업 세계에 대한 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한 진로탐색행동을 보였다고 주장하여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피부미용학과 학생들의 전공동아리 활동 참여와 학과만족도감의 관계에 대한 연구(Kim, 2011)에서 피부미용 전공 동아리 참여 정도가 높을수록 취업준비교육, 전공만족, 친구관계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의 교내 동아리 여가활동이 교우관계와 조직 동일시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선행연구(Kim & Han, 2010)에서 동아리 활동 만족 수준은 자아 존중감 형성, 인성의식 형성 등을 내면화 하였고, 학교생활 만족도에 정(+)의 관계를 나타내며 문제해결에 대한 조언과 정보 제공과 같은 사회적 지지를 받을 수 있다고 주장하여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선행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본 연구결과는 동아리 활동 만족도가 전공 동아리 활동과 진로준비 행동 간의 매개역할 분석 결과 동아리 활동은 동아리 만족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며, 동아리 활동 만족도는 진로준비 행동 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결론적으로 동아리 활동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전공 동아리 활동은 자치적인 학생 상호간의 협력으로 전공 공부를 충분히 할 수 있는 동기 부여가 되고, 이를 통해 진로에 대한 정보교류, 진로 준비를 위한 다양한 활동, 진로의욕 고취 등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는 동아리 만족도를 넘어 학과 만족도로 이어져 학생들의 학교 생활에 긍정적인 면이 강조될 수 있다.

Conclusion

대학생들의 학교 생활만족은 대학에 대한 유대감, 자신이 다니고 있는 학과에 대한 애착이나 호감의 정도로써 학업적 목표에 대한 몰입 수준과 상관관계가 많으며 향후 진로결정, 진로 성숙도,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특히 전공 동아리의 경우 동아리 구성 학생들의 학교생활에서의 정서적, 사회적, 학업적, 개인적 활동부분에 대해 만족하고 스스로 평가하는 충족수준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전공 동아리 활동을 통한 학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지도교수를 포함한 학과에 대한 신뢰감, 자신의 장래문제에 대한 고민, 또래 학생들 간의 관계를 통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다. 이와 같이 많은 긍정적 효과를 감안할 때 대학 및 학과에서는 전공 동아리 활성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각 대학은 재학율 향상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재학율 향상을 위해서는 학생이 학교 생활을 즐겁게 할 수 있도록 학교에서는 장을 만들어 줄 필요가 있다. 이러한 노력은 재학율 향상과 취업율을 높이는 데에도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위해 대학에서의 전공봉사동아리 활동에 대한 재정지원과 함께 전공별 보유 기자재의 활용, 전공 동아리 방, 실습실 사용에 대한 허용이 요구된다. 둘째, 대학 내 행정지원 조직 구성을 통한 전공동아리의 행정지원은 물론 자문조직 기구를 설립하여 동아리 프로그램 개발, 취업 및 창업을 위한 다양한 지원 대책이 요구된다.

NOTES

Author's contribution
MJK designed, analyzed data, and wrote the manuscript.
Author details
Moon-Joo Kim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al Beauty, Ansan University, 155 Ansandaehak-ro, Sangrok-gu, Ansan-si, Gyeonggi-do 426701, Korea.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Division Variables Frequency (%)
Gender Male 27 (7.4)
Female 337 (92.6)
Grade First 124 (34.1)
Second 240 (65.9)
Major Hair 94 (25.8)
Skincare 149 (40.9)
Makeup 79 (21.7)
Nailart 17 (4.7)
Residence area Others 25 (6.9)
Gyeonggi-do 235 (64.6)
Dajeon and Chungchung-do 21 (5.8)
Daegu and Gyeongsangbuk-do 66 (18.1)
Busan and Gyeongsangnam-do 42 (11.5)
Residence unit Major cities 89 (24.5)
Medium and small cities 191 (52.5)
Country 84 (23.1)
Subjective economic status High 24 (6.6)
Middle 100 (27.5)
Low 240 (65.9)
Table 2.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es of the factors of major club activiti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Variables Eigen value Degree of dispersion Cronbach’s α
Factors of major club activities 4.574 27.516 0.810
Satisfaction with departments 4.219 21.220 0.769
Fa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3.799 18.619 0.788

KMO=0.811; Bartlett’s gutter certification value: χ2=1285.614; Total cumulative: 760.224%.

Table 3.
Factor analysis of major club activities
Factor Variables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Kurtosis
Major club activities Career experience factor 4.588 0.694 −0.264 −0.120
Colleague factor 4.491 0.791 −0.200 −0.261
Experience of accomplish result factor 4.319 0.469 −0.146 −0.197
School support factor 4.084 0.760 −0.306 −0.364
Advisor professor factor 4.249 0.759 −0.227 −0.250
Table 4.
Factor analysis of satisfaction with major club activities
Variables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Kurtosis
Connectivity of curriculum 4.279 0.691 −0.354 −0.194
Self-regulation 4.056 0.702 −0.197 −0.364
Pleasure 4.176 0.699 −0.297 −0.297
Stability of school life 3.519 0.516 0.200 0.167
Table 5.
Factor analysi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Variables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Kurtosis
Career preparation course 3.079 0.702 −0.264 −0.206
Occupational world search 3.405 0.619 −0.196 −0.336
Self-information search 4.216 0.661 −0.225 0.297
Table 6.
Analysis result of the measurement model
Observe factor ← potential factor β B SE CR p SMC
Major club activities Career experience ← major club activities 0.702 0.850 0.250 8.619 ** 0.264
Colleague ← major club activities 0.648 0.845 0.185 7.552 * 0.551
Experience of accomplish result ← major club activities 0.516 0.702 0.211 6.197 * 0.469
School support ← major club activities 0.442 0.521 0.241
Advisor professor ← major club activities 0.394 0.519 0.761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Connectivity of curriculum ←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0.844 0.840 0.519 7.669 ** 0.594
Self-regulation ←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0.497 0.769 0.57
Pleasure ←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0.785 0.719 0.675 3.647 ** 0.497
Stability of school life ←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0.397 0.502 0.336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areer preparation course ← career preparation behavior 0.360 0.776 0.675
Occupational world search ← career preparation behavior 0.762 0.716 0.336 7.197 * 0.514
Self-information search ← career preparation behavior 0.885 0.469 0.750 7.511 *** 0.670

* p<0.05;

** p<0.01;

*** p<0.001;

χ2=444.167; df=180; RMSEA=0.088; RMR=0.084; GFI=0.910; NFI=0.814; TLI =0.842; CFI=0.917.

Table 7.
Path coefficient of the research model for major club activiti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β B SE CR p
Major club activities → career preparation behavior 0.077 0.075 0.089 1.810 **

** p<0.01.

Table 8.
Path coefficient of the research model on major club activitie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satisfaction with major club activities as a parameter
β B SE CR p
Major club activities → satisfaction with major club activities 0.491 0.495 0.121 2.964 **
Satisfaction with major club activities → career preparation behavior 0.579 0.500 0.119 2.977 ***
Major club activities → career preparation behavior 0.510 0.397 0.140 4.041 **

** p<0.01;

*** p<0.001.

References

Baek W, Jung H. An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extra-curriculum activities and teaching method on college educational performance. The Journal of Economics and Finance of Education 21: 261-283. 2012.

Boo KC.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graduates’ job valu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job satisfaction. Korean Management Consulting Review 18: 123-134. 2018.

Cho Y, Jeong J. A meta-analysis of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30: 129-150. 2017.
crossref
Choi CW, Kim JJ, Song BK. The effects of youth circle activities participation on the leadership life skills.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2: 57-76. 2005.

Choi HI, Lee JS, Moon YK. The effects of youth circle activity satisfaction on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9: 23-45. 2012.

Choi MS, Park DS, Cho H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 university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sense of community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experience of center for teaching and learning's circle activitie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 491-510. 2019.
crossref
Choi YH. The influence of participating in club activities at art institute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with a focu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atisfaction with club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Arts Education 15: 159-173. 2017.

Choi YS, Lee BW. The factor analysis deciding students’ career through club activity of their major in technical high school.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1: 104-123. 2011.

Kang HK. The effect of some properties of volunteer activities on self-esteem, self-efficacy, and resilience in dental hygiene student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 6688-6697. 2015.
crossref
Kim BH. The relationship of resilienc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woman.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3: 93-111. 2010.

Kim M, Lee J.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perceived occupational basic competencies, career decision level, job searching 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juni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30: 113-129. 2017.
crossref
Kim M. Effect of career barrier on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self-regulation.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9: 89-107. 2016.

Kim MJ.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club activit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f beautician department students on college.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9: 1-9. 2011.

Kim MS, Lee JS. The effect of the purpose in life of sport teams on the member’s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13: 15-27. 2002.

Kim YM, Han HW. Influence of club leisure activity on peer relationship,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Leisure, Recreation & Park 34: 35-46. 2010.

Ko EH, Cho AM. A study on the difference in career attitude maturit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Korean high school student's vocational identity status: focused on the vocational identity status assessment (VISA).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30: 1-16. 2017.
crossref
Ko KS, Seo WS, Lee CH, Kim JS. A study on teachers’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reflection on creative hands-on activities at technical high school: focused on club activitie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39: 227-246. 2014.

Lee JC, Hong AJ.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self-leadership up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employ ability.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6: 69-92. 2013.

Lee YJ, Lee SN.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major satisfaction.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20: 73-84. 2022.
crossref pdf
Na YJ, Yoon BS. The effect of the self-leadership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Korean Management Consulting Review 17: 135-150. 2017.

Park SJ. Effects of beauty service workers’ image-making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20: 261-271. 2022.
crossref pdf
Park YN, Lee HJ, Oh HN. The study on voluntary satisfaction and voluntary activities of dental hygiene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 621-631. 2013.
crossref
Park YY, Lee D. The role of job-search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of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33: 85-101. 2014.

Suk MS, Cho OS. The effects of extracurricular clubactivity satisfaction on campus lif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3: 481-508. 2016.
crossref
Shin MK, Kim HS.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ission sens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go-resilience as a mediator.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30: 131-148. 2017.
crossref
Song MS, Cho YJ, Yim MJ. Discrete emotions response after purchase cosmetics of millennial consumers: evaluation of satisfaction/normal/dissatisfaction attributes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20: 461-479. 2022.
crossref pdf
Yeo MS.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of unemployed person’s career barriers, ego-resilience, job search 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7: 95-119. 2017.
crossref
Editorial Office
No. 1505, 1506, 3rd Ace High-End Tower, 145, Gasan digital 1-ro, Geumcheon-gu, Seoul 08506, Korea
TEL: +82-2-6957-8155   FAX: +82-502-770-2278   E-mail: ajbc.edit@e-ajbc.org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