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Asian J Beauty Cosmetol > Volume 20(1); 2022 > Article
미용 특성화 고등학생의 NCS 기반 직업기초능력 중요성 분석

요약

목적

본 연구의 미용 특성화 고등학생의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에 관한 분석을 통하여 미용 산업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직무역량을 강화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2021년 3월 22일부터 4월 20일까지 서울에 소재한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58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직업기초능력의 중요도-실행도 분석(IPA)을 사분면 매트릭스를 통해 시각화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조직 이해 능력이 개선해야 할 부분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영역으로 인적 자원 능력, 갈등관리, 협상, 기술 적용 능력으로 나타나 개선이 시급한 부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영역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적 자기효능감을 높게 인지할수록 주위 사람들에게 더 나은 정보를 제공받고, 구직 준비능력이 향상되며 조직 이해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선행연구에 의하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조직 이해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였으며,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 교수법을 사용하여 자기효능감이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론과 실기 수업이 혼용된 미용 교과목에 flipped learning을 활용하고,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조직 이해 능력을 강화함으로써 미용 특성화 고등학생의 산업 현장 적응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s to strengthen job competency that is effectively used in the beauty industry. By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level of the required basic job skills as per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of high school students specializing in beauty, job competency can be improved.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158 students enrolled in a specialized beauty high school in Seoul from March 22 to April 20, 2021.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correlation, and simple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This study also used the importance–practicability analysis (IPA) matrix of basic vocational competency.

Results

The IPA analysis results reveal that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needs improvement. Moreover, as sub-areas, human resource capability, conflict management, negotiation, and technology application ability were identified, further confirming the urgent need for improvement. In addition, intense investment in this area is required. The higher the perceived social self-efficacy, the better information is provided with the help of others. Moreover, students’ ability to prepare for job search is greater, and the effect on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is positive.

Conclusion

Previous studies posited that the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ability and confirmed that using the flipped learning teaching method improves the self-efficacy. The use of flipped learning in beauty as a subject, where theory and practical classes are mixed, and self-efficacy is used as a medium to strengthen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elp high school students specializing in beauty to adapt to the industry.

中文摘要

目的

本研究旨在根据国家能力标准(NCS)对美容专业高中生所需职业基本能力的重要性和绩效水平进行分析,加强在美容行业中有效使用的工作能力。

方法

对2021年3月22日至4月20日在首尔地区专业美容高中就读的158名学生进行问卷调查。数据利用频率、因素、可靠性、相关性和简单回归分析方法进行分析,并通过象限矩阵将基本职业能力的重要性-绩效分析(IPA)可视化。

结果

IPA分析结果表明,组织理解需要改进,作为其子领域,人力资源能力、冲突管理、谈判和技术应用能力等迫切需要改进。此外,还需要在该领域进行大量投资。感知的社会自我效能感越高,在他人的帮助下提供的信息就越好,学生的求职准备能力更强,对组织理解的影响是积极的。

结论

以往研究认为大学生的自我效能感对组织理解能力有正向影响,并证实采用翻转课堂(flipped learning)教学法可以提高自我效能感。以美容为主题的翻转学习,理论课与实践课相结合,以自我效能为媒介,加强组织理解,有望帮助美容专业高中生适应行业。

Introduction

우리나라는 경제 생산 활동 인구의 지속적인 감소와 현장 기술 인력의 수요와 공급 불일치, 기술 숙련 등의 문제에 당면해 있다. 이에 정부는 중등 직업교육 기관에서 숙련된 인력 공급을 강화하여 취업 역량을 높이기 위한 직업교육 활성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Lee & Ahn, 2014).
교육부의 마이스터고와 특성화 고등학교의 취업률에 관한 2016년 자료에 의하면 2009년 16.7%에서 지속적으로 높아져 2016년에 47.2%를 나타내었다. 직업교육 활성화 정책의 결과로 취업률 상승뿐만 아니라 특성화 고등학교 신입생의 취업 및 전공에 관한 의지와 입학 성적 및 인성과 생활 태도 등이 예년보다 지속적으로 향상되는 것으로 평가된다(Lee & Ahn, 2014).
하지만 학령인구의 감소, 현장실습 안전 문제,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저하 등의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교육부는 2018년 2월에 직업교육의 혁신, 현장실습 안전과 권익 강화, 기업에 대한 혜택 확대, 취업 지원 기능 강화 등을 내용으로 하는 취업 지원 정책을 수립하여 발표하였다. 또한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업기초능력 평가 제도를 도입하여 학생들의 직무역량 수준을 평가하여, 취업 역량 강화 및 노동시장 진입에 활용하고자 하였다(Hahm, 2014). 학생들의 취업역량을 위해 현장 중심에 기반한 직업기초능력 강화는 무엇보다 중요하며, 산업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을 기반으로 직무역량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Hahm & Eun, 2014).
직업기초능력이란 모든 직업인에게 공통으로 요구되는 기본적인 능력 및 자질을 의미하며,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국가직무 능력표준)의 핵심으로 직무수행 능력과 직업기초 능력을 포함한 개념을 말한다. 이러한 직업기초능력과 NCS는 밀접한 상호 관계를 맺고 있으며, 성공적인 직업 생활을 영위하는 데 있어 직업기초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Kim et al., 2012). 학교의 직무능력 개발 수업이 산업 현장 수요와 차이가 발생하고 있어 NCS를 기반으로 하는 직무 교육의 필요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Kim & Park, 2017).
본 연구에서는 미용 특성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NCS에 기반하여 직업기초능력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중요도란 직업기초능력에 대해 학생들이 실제 현장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말하며, 실행도란 직업기초능력 활동이 실제로 현장에서 실행되고 있다는 인식 정도를 의미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직업기초능력 중요도와 실행도에 관하여 공업계열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한 것으로 Lee & Lee (2013)이 있다. 그리고 Park & Hwang (2009)의 연구에서는 특성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직업기초능력 진단 도구를 개발하여 진단하였고, Hahm & Eun (2014)는 마이스터고와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실시되는 직업기초능력 평가 중 문제해결 능력을 현장 교사와 산업체에서의 중요도와 직업기초능력을 조사하여 타당도를 분석하였다. 미용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Mo (2020)의 연구에서 직업기초능력이 전공 만족도와 미용 지속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고, Oh (2020)에서 미용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분야별 직업기초능력의 직무에 대한 인식과 취업 준비 행동의 차이를 보았다. 그러나 미용 전공의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직업기초능력에 관한 선행 연구로는 Park et al. (2019)뿐으로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에 관한 조사 및 분석을 통하여 유지해야 할 영역을 확인하여 지속적인 유지와 강화를, 개선해야 할 영역을 확인 후 집중적인 투자로 개선방안을 찾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과 방안 제시를 통하여 실제로 미용 산업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기술을 기반으로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무역량을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Methods

1. 연구문제

첫째,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이 인식하는 직업기초능력의 중요도와 실행도는 어떠한가?
둘째,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이 인식하는 직업기초능력 하위 영역의 중요도와 실행도는 어떠한가?
셋째,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중요도실행도를 분석하였을 때 유지해야 할 영역과 개선해야 할 영역은 무엇인가?
넷째,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하위 영역에 대한 중요도-실행도를 분석하였을 때 유지해야 할 영역과 개선해야 할 영역은 무엇인가?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는 2021년 3월 22일부터 2021년 4월 20일까지 서울에 소재한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58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다.

3. 측정도구

질문지 구성은 인구 통계학적 특성 3문항, 직업기초능력 영역으로 의사소통 능력 5문항, 수리능력 4문항, 자기개발 능력 3문항, 자원관리 능력 4문항, 대인관계 능력 5문항, 기술능력 영역 3문항, 조직이해 능력 4문항으로 총 31개의 문항으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4. 자료분석방법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 V. 21; IBM, US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직업기초능력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신뢰도는 Cronbach's α의 계수로 판단하였으며,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카이제곱 검정(χ2-test), 기술 통계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 연구 대상자의 직업기초능력의 중요도-실행도를 사분면 매트릭스를 통해 시각화하였다.

Results

1.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연구 대상자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성별은 '남학생' 31.6%, '여학생' 68.4% 이었으며, '1학년' 41.8%, '2학년' 36.1%, '3학년' 22.2% 이었다. 취업 희망 분야로는 '기타'가 24.1%, '헤어미용' 22.8%, '피부미용' 19.0%, '메이크업' 17.7%, '네일 미용' 16.5% 순으로 조사되었다.

2.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의 중요도와 실행도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직업기초능력 중요도 전체의 평균은 4.02로, '자원관리 능력'(M=4.23), '기술 능력(M=4.17)', '조직이해 능력(M=4.07)', '대인관계 능력(M=4.03)', '의사소통 능력(M=3.92)', '자기개발 능력(M=3.92)', '수리능력(M=3.82)' 순으로 중요도를 인식하였고, 실행도의 전체 평균은 2.70으로 '기술능력(M=2.90)', '자기개발 능력(M=2.78)', '자원관리 능력(M=2.76)', '대인관계 능력(M=2.74)', '의사소통 능력(M=2.72)', '조직이해 능력 (M=2.69)', '수리능력(M=2.39)' 순으로 실행도를 인식하였다.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 중요도에 비해서 실행도 인식이 낮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3.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하위영역의 중요도와 실행도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하위 영역의 중요도와 실행도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의사소통능력 영역에서 '의사표현 능력'(M=4.06), '기초 외국어 능력' (M=4.00) 순으로 중요도가 높았고, '경청능력'(M=2.79), '의사표현 능력'(M=2.75) 순으로 실행도가 높게 나타났다. 수리능력 영역에서 '도표분석 능력'(M=3.99), ' 기초연산 능력' (M=3.82) 순으로 중요도가 높았으며, '기초통계 능력'(M=2.54), '도표작성 능력'(M=2.51) 순으로 실행도가 높게 나타났다. 자기개발능력 영역에서 '자아인식 능력'(M=3.94), '자기관리 능력'(M=3.92) 순으로 중요도가 높았고, '경력개발 능력'(M=2.88), '자아인식 능력'(M=2.74) 순으로 실행도가 높게 나타났다. 자원관리능력 영역에서 '시간관리 능력'(M=4.39), '인적자원관리 능력'(M=4.19) 순으로 중요도가 높았고, '예산관리 능력'(M=2.85), '시간관리 능력'(M=2.79) 순으로 실행도가 높게 나타났다. 대인관계능력 영역에서 '갈등관리 능력'(M=4.13), '협상능력'(M=4.12) 순으로 중요도가 높았으며, '고객 서비스 능력'(M=2.96), '팀웍능력'(M=2.72) 순으로 실행도가 높게 나타났다. 기술능력 영역에서 '기술선택 능력'(M=4.34), '기술적용 능력'(M=4.15) 순으로 중요도가 높았고, '기술이해 능력'(M=3.08), '기술선택 능력'(M=2.96) 순으로 실행도가 높게 나타났다. 조직이해능력 영역에서 '조직체제 이해 능력'(M=4.16), '업무이해 능력'(M=4.09) 순으로 중요도가 높았고, '조직체제 이해 능력'(M=2.76), '국제감각'(M=2.75) 순으로 실행도가 높게 나타났다.

4.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의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직업기초능력에서 중요도(M=4.02)가 실행도(M=2.70) 보다 평균 1.32 더 높았다(t=43.421, p<0.001). 하위 영역을 보았을 때 의사소통 능력은 중요도 (M=3.92)가 실행도(M=2.72)보다 평균 1.20 더 높았고(t=32.255, p<0.001), 수리능력은 중요도(M=3.82)가 실행도(M=2.39) 보다 평균 1.44 더 높았으며(t=20.080, p<0.001), 자기개발 능력은 중요도(M=3.92)가 실행도(M=2.78)보다 평균 1.14 더 높았다(t=21.143, p<0.001). 자원관리 능력은 중요도(M=4.23)가 실행도(M=2.76)보다 평균 1.47 더 높았고(t=32.818, p<0.001), 대인관계 능력은 중요도(M=4.03)가 실행도(M=2.74) 보다 평균 1.30 더 높았다(t=29.798, p<0.001). 기술능력은 중요도(M=4.17)가 실행도(M=2.90) 보다 평균 1.27 더 높았으며(t=23.090, p<0.001), 조직이해 능력은 중요도(M=4.07)가 실행도(M=2.69)보다 평균 1.38 더 높았다(t=28.633, p<0.001).

5.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의 중요도-실행도 사분면 매트릭스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 평균을 기준으로 영역별로 사분면 매트릭스화 하였다. 직업기초능력의 중요도-실행도 사분면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5와 같으며, 사분면 매트릭스는 Figure 1과 같다.
1사분면은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높게 인식된 강점 영역으로 자원관리 능력, 대인관계 능력, 기술능력으로 나타났으며, 이 영역에 대한 지속적인 유지 관리를 통하여 강점으로 더욱 강화시켜 나가야 함을 의미한다. 2사분면은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중요도는 높은 반면 실행도가 낮게 인식된 약점으로 조직이해 능력으로 나타났으며, 집중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3사분면은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낮게 인식된 열등 영역으로 수리능력이 나타났으며, 저 우선 순위에 해당되어 점진적인 개선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4사분면은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중요도는 낮지만 실행도가 높게 인식된 과잉 영역으로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개발 능력으로 나타났으며 불필요한 강점이므로 지속유지 관리가 필요함을 의미한다.

6.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하위영역 중요도-실행도 사분면 매트릭스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하위영역에서 중요도-실행도 사분면을 살펴본 결과는 Table 6과 같으며, 사분면 매트릭스는 Figure 2와 같다.
1사분면은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높게 인식된 강점 영역으로 의사소통 능력의 세부 영역 중 의사표현 능력(A-4), 자원관리 능력의 하위 영역 중 시간관리(D-1), 예산관리(D-2), 물적자원관리(D-3)로 나타났으며, 기술능력의 하위 영역 중 기술이해(F-1), 기술선택(F-2), 조직이해 능력의 하위 영역 중 조직체제이해(G-2), 업무이해(G-4)으로 나타났으며, 이 영역의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통하여 강점으로 강화시켜야 할 것으로 보였다.
2사분면은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중요도는 높은 반면 실행도가 낮게 인식된 약점 영역으로 자원관리 능력의 하위 영역 중 인적자원 관리(D-4), 대인관계 능력의 하위 영역 중 갈등관리(E-3)와 협상(E-4)으로 나타났으며, 기술능력의 하위 영역 중 기술적용(F-3), 조직이해 능력의 하위 영역 중 경영이해(G-3)로 나타났으며, 집중적으로 개선의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3사분면은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낮게 인식된 열등영역으로 의사소통 능력의 하위 영역 중 문서이해(A-1)와 문서작성(A-4)으로 나타났으며, 수리능력의 하위 영역 중 기초연산(B-1), 기초통계(B-2), 도표분석(B-3), 도표작성(B-4)으로 나타나, 저우선 순위에 해당되어 점진적인 개선이 필요하였다.
4사분면은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중요도는 낮지만 실행도가 높게 인식된 과잉 영역으로 의사소통 능력의 하위 영역 중 경청(A-3)과 기초 외국어(A-5)로 나타났으며, 자기개발 능력의 하위 영역 중 자아인식(C-1), 자기관리(C-2), 경력개발(C-3)로, 대인관계 능력의 하위 영역 중 팀웍(E-1), 리더십(E-2), 고객서비스(E-5)로 나타났고, 조직이해 능력의 하위 영역 중 국제감각(G-1)으로 지속유지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Discussion

본 연구는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에 관한 인식을 조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은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중요도 인식에 비해 실행도는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요도란 직업기초능력에 대해 학생들이 실제 현장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정도를 말하며, 실행도는 직업기초능력 활동이 실제로 현장에서 실행되는 인식 정도를 말한다. 이 결과는 Lee & Lee (2013)의 공업 계열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인식조사와 일치하였으며,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학교 교육과정에서 직업기초능력과 관련된 활동이나 프로그램이 부족하거나 직업기초능력과 관련된 활동이나 프로그램이 실행되고는 있지만 학생들이 이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원인을 분석하였다. 그러므로 미용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직업기초능력과 관련된 현장 중심 활동이나 프로그램 교육 과정을 점검하고 개선할 필요가 있다.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직업기초능력의 중요도와 실행도에서 수리영역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수리능력은 업무를 수행하면서 사칙연산 및 통계, 확률의 의미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이것을 업무에 적용하는 것으로 하위영역으로 사칙연산 및 계산 능력, 백분율, 평균, 간단한 확률 등을 계산하는 능력, 그리고 도표를 이해 작성능력 및 해석능력으로 구분 된다(Jung & Jang, 2008).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미용 분야가 수리능력에 대한 직무 연관성이 낮은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직업기초능력의 하위 영역으로 영역별 중요도와 실행도 간에 인식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p<0.001)를 보였다. 이것은 미용 전공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이 직업기초능력의 하위 영역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에 비해 실제로 현장에서 적용하고 실행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보였다.
본 연구에서 직업기초능력 하위 영역에 속하는 의사소통 능력 중요도는 의사표현 능력이, 실행도로 경청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NCS에 제시된 의사소통 능력이란 업무를 수행하면서 글을 읽고 말을 들음으로써 상대방의 의견을 파악하고, 자신의 의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의사표현 능력이란 직장 상사에게 결과를 보고하거나 고객에게 서비스를 전달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자신이 뜻한 바를 표현하여 전달하는 것으로, 경청의 자세가 수반되어야 한다. 특히 미용 종사자들은 업무 특성상 의사소통을 통한 고객과의 상호적 관계 형성과 집단 협업이 기업성과와 직결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고 하였다(Jin & Park, 2018). 이러한 의사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취업 전 자기소개서 작성과 면접 시뮬레이션(simulation) 교육과 같은 취업캠프 프로그램을 일회성으로 시행하기 보다는 NCS 기반으로 학년별 접근이 필요하다. 또 의사소통에 있어서 경청과 정보 내용을 상대방에게 정확히 전달할 것을 강조하였다(Na, 2016).
자기개발능력 중요도로 자아 인식능력과 자기관리 능력, 실행도로 경력개발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Chang (2015)에 의하면 NCS 직업기초능력표준 자기개발능력 교양 교과를 수강한 학생들이 수강하지 않은 학생들에 비해 수강 후 자기개발능력에 더 높은 설명력을 나타내어, 실제 직장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과 같은 사례를 통하여 학습하고 직접적으로 활동을 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대인관계 능력 중요도는 갈등관리 능력, 실행도는 고객서비스 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직업 기초능력 요소 중 대인관계 능력은 업무로 접촉하는 사람들과 갈등을 잘 관리하여 원만하게 지낼 수 있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하위 요소로는 팀워크, 리더십, 갈등관리 그리고 고객서비스 능력 등으로 구분되고 있다. 직업 기초 능력에서 대인관계 능력은 직급이나 직종, 직무에 국한하지 않고 사회인에게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기본이 되는 능력이다(Lee & Im, 2017). 특히 미용 직종은 전문 기술인들이 모여 있는 집단으로서의 직업적 특성이 있어 동료 또는 선•후배 간의 갈등을 조율하는 데 필요하다. 또한 미용 업무 특성상 고객과의 상호작용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므로, 고객서비스 능력은 직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셋째,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재학생의 직업기초능력의 중요도-실행도를 분석한 결과 1사분면은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높게 나타나 현상 유지해야 할 영역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자원관리능력, 기술능력, 대인관계 능력이 해당하였으며, 하위 영역으로 의사소통 능력 중 의사표현 능력, 자원관리 능력 중 시간관리, 예산관리, 물적자원관리로 나타났으며, 기술능력 중 기술이해와 선택, 조직이해 능력 중 조직 체제와 업무이해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 영역은 현재 상태로의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요구되며 더 나아가 이 능력을 더욱 강화해 나가야 할 것을 뜻한다.
2사분면은 중요도는 높으나 실행도는 낮게 나타나 집중적으로 개선해야 할 영역을 말한다. 연구 결과에서는 조직이해능력이 해당하였으며, 하위 영역으로 자원관리 능력 중 인적자원관리, 대인관계 능력 중 갈등관리와 협상으로 나타났으며, 기술능력의 하위 영역 중 기술 적용, 조직이해 능력 중 경영이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영역은 인적 또는 물적 투자를 통해 빠르게 집중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3사분면은 저순위로 중요도와 실행도 모두 낮게 나타난 영역을 말한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수리능력이 해당하였으며, 현재시점에서 우선 고려사항이 아님을 뜻한다.
4사분면은 과잉노력 영역으로 중요도는 낮지만 실행도는 높으므로 현재 상태를 유지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의사소통 능력과 자기개발 능력이 해당 하였으며, 평가 속성에 대해 실행도가 과잉 투자된 상태로 이 능력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지 않음을 뜻한다.
넷째,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재학생의 직업기초능력 하위영역 중요도-실행도를 분석한 결과 중요도는 높지만 실행도는 낮게 나타나 가장 집중적인 개선이 필요한 2사분면에 자원 관리능력 중 인적 자원관리 능력, 대인관계 능력 중 팀워크 능력과 협상 능력, 기술능력 중 기술적용 능력, 조직이해 능력 중 경영 이해와 업무이해 능력으로 나타났다. 저순위 영역을 나타낸 3사분면에서는 문서이해와 작성능력, 기초연산, 기초통계, 도표분석 및 작성 능력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중요도-실행도 분석은 어렵고 복잡한 통계 기법을 사용하지 않고도 평가 속성의 평균값과 매트릭스만으로 결과를 시각적으로 표현됨으로 빠르고 편리하게 분석하는 이상적인 평가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Lee & Lee, 2013).
본 연구에서 유지해야 할 영역으로 자원관리 능력, 기술능력, 대인관계 능력이 해당하였으며, 하위 영역으로 의사 표현, 시간 관리, 예산관리, 물적 자원관리, 기술 이해 및 선택, 조직 체제 및 업무 이해능력이 포함되어 현재 상태로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요구되며 강화해 나가야 할 영역임을 의미하였다. 개선해야 할 영역으로 조직이해 능력이 해당하였으며, 하위 영역으로 인적 자원능력, 갈등관리, 협상, 기술적용 능력으로 나타나 개선이 시급한 하위 영역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함을 인식할 수 있었다.

Conclusion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직업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직무능력으로 직업기초능력의 중요도와 직무수행능력 실행도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았다. 직업기초능력이란 직업 현장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 태도 및 경험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미용 직무를 기반으로 직무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능력을 말한다. 연구 결과에서 미용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이 직업기초능력 및 하위 영역에 대해 중요도 보다 실행도를 낮게 인식하는 것은 실제로 현장에서 적용하고 실행하는 것에 차이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용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직업기초능력과 관련된 현장 중심 활동이나 프로그램 교육 과정을 점검하고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개선해야 할 영역으로 조직 이해 능력이 해당하였으며, 하위 영역으로 인적 자원 능력, 갈등관리, 협상, 기술 적용 능력으로 나타나 개선이 시급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 영역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조직이해 능력은 일상적인 직장생활에 요구되는 조직의 체제와 경영 및 국제 감각으로 구성되어 있다. 직업인은 직장이라는 조직에 소속되어 조직의 경영, 체제, 업무 등의 구성요소와 조직 환경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하며, 이것을 기초로 하여 자신의 업무를 파악하고 국제적인 감각을 키우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조직 이해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Lee & Jeong, 2015). 자기효능감이란 개인이 어떤 결과를 이루기 위해 요구되는 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신념이며 능력을 말한다(Bandura, 1982). 사회적 자기효능감을 높게 지각하는 대학생일수록 주변의 도움을 통해 좋은 정보를 제공받고, 스스로 적극적으로 구직준비 행동을 할 수 있으며(Lee & Lee, 2017; Park et al., 2020), 이러한 행동은 조직 환경을 이해하고 업무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교수법 사용을 제시하였다. Flipped learning이란 동영상 강의를 제작하여 수강학생들이 희망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수업 내용을 사전에 학습하게 하고, 대면 수업에서 사전 학습 정도를 평가한 후 습득한 지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협력학습으로 학습과제를 해결하는 학습방법으로 간호대학생(Lee & Eun, 2016)과 체육학과 대학생(Kim et al., 2014)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교수법임을 확인되었다. 온라인 사전 학습을 통한 선행 지식을 대면수업에서 실제 임상 사례 적용을 통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여 성취의 경험을 갖게 하였다. 교수자는 협력학습 시 팀별로 학습활동이 잘 이루어지도록 조력자 역할을 해야 하며, 학생들은 팀 별 학습활동을 통해서 도출된 결과를 발표하고 피드백을 제공받음으로써 대리 경험을 통해 자기효능감을 형성하게 된 것이라고 분석하였다. 따라서 이론과 실기 수업이 혼용되는 미용 교과목에 flipped learning을 활용하여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조직 이해 능력을 강화 시킨다면 미용 특성화 고등학생들의 산업 현장 적응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NOTES

This work is a part of the Bobae Kim's M.S. thesis at the Sungkyul University, Anyang-si, Gyeonggi-do, Korea.
Author's contribution
The introduction, research methods, analysis of results, and references were drafted by BK, HC, and JL reinterpreted this, comparatively analyzed the results, and added references.
Author details
Bobae Kim (Teacher), Department of Beauty, Jeongam Beauty High School, 225, Wangsan-ro, Dongdaemungu, Seoul 02490, Korea; Jaeeun Lee (Visiting 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Design, Sungkyul University, 53, Seonggyeoldaehak-ro, Manan-gu, Anyangsi, Gyeonggi-do 14097, Korea; Haejung Chon (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Design, Sungkyul University, 53, Seonggyeoldaehak-ro, Manan-gu, Anyang-si, Gyeonggi-do 14097, Korea.

Figure 1.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of beauty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mportance–performance quadrant matrix.

Quadrant 1: Areas to be maintained, meaning that both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are high
Quadrant 2: Areas for intensive improvement, high importance but low performance
Quadrant 3: Low-priority, meaning areas with low importance and performance
Quadrant 4: Areas of over-effort, indicating the degree to which the status is maintained because of low importance but high execution
ajbc-20-1-59f1.jpg
Figure 2.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among beauty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mportance–performance quadrant matrix.

Quadrant 1: Areas to be maintained, meaning that both importance and implementation are high
Quadrant 2: Areas for intensive improvement, high importance but low performance
Quadrant 3: Low-priority, meaning areas with low importance and performance
Quadrant 4: Areas of over-effort, indicating the degree to which the status is maintained because of low importance but high execution
ajbc-20-1-59f2.jpg
Table 1.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urse components
Classification Frequency (N) Percentage (%)
Gender Male 50 31.6
Female 108 68.4
Grade 1 Grade 66 41.8
2 Grade 57 36.0
3 Grade 35 22.2
Field of employment Hair beauty 36 22.8
Skin care 30 19.0
Nail art 26 16.5
Make-up 28 17.7
Other 38 24.0
Total 158 100.0
Table 2.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of beauty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Classification Importance
Performance
M S.D. M S.D.
Vocational basic competencies Communication skills 3.92 0.49 2.72 0.33
Numeracy 3.82 0.89 2.39 0.46
Self-development ability 3.92 0.59 2.78 0.51
Resource management ability 4.23 0.55 2.76 0.41
Interpersonal skills 4.03 0.64 2.74 0.49
Technical ability 4.17 0.68 2.90 0.40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4.07 0.64 2.69 0.59
4.02 0.49 2.70 0.27

M, mean; S.D., standard deviation.

Table 3.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basic competencies sub-area among beauty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Classification Importance
Performance
M S.D. M S.D.
Communication skills Document comprehension ability 3.78 0.63 2.64 0.58
Document writing ability 3.88 0.59 2.69 0.52
Listening ability 3.88 0.87 2.79 0.61
Ability to express 4.06 0.81 2.75 0.53
Basic foreign language skills 4.00 0.81 2.72 0.64
Numeracy Basic arithmetic ability 3.82 0.99 2.22 0.61
Basic statistical ability 3.82 1.09 2.54 0.63
Chart analysis ability 3.99 1.15 2.28 0.69
Charting ability 3.67 1.15 2.51 0.70
Self-development ability Self-awareness ability 3.94 0.90 2.74 0.79
Self-management ability 3.92 0.77 2.73 0.65
Career development ability 3.91 0.76 2.88 0.62
Resource management ability Time management skills 4.39 0.63 2.79 0.72
Budget management ability 4.18 0.80 2.85 0.63
Material resource management capability 4.16 0.74 2.72 0.59
Human resource management ability 4.19 0.74 2.68 0.67
Interpersonal skills Teamwork ability 4.01 0.82 2.72 0.60
Leadership ability 3.97 0.84 2.72 0.83
Conflict Management Ability 4.13 0.86 2.69 0.70
Negotiating ability 4.12 0.69 2.59 0.67
Customer service ability 3.93 0.81 2.96 0.65
Technical ability Technical understanding ability 4.02 0.78 3.08 0.69
Skill selection ability 4.34 0.68 2.96 0.48
Technical understanding 4.15 0.91 2.66 0.51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International sense 4.00 0.76 2.75 0.76
Organizational system understanding ability 4.16 0.84 2.76 0.70
Management understanding ability 4.04 0.77 2.54 0.82
Work understanding ability 4.09 0.77 2.73 0.88

M, mean; S.D., standard deviation.

Table 4.
The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among beauty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Classification Importance
Performance
Importance-performance
χ2 (p)
M S.D. M S.D. M S.D.
Vocational basic competencies Communication skills 3.92 0.49 2.72 0.33 1.20 0.47 32.255*** (0.000)
Numeracy 3.82 0.89 2.39 0.46 1.44 0.90 20.080*** (0.000)
Self-development ability 3.92 0.59 2.78 0.51 1.14 0.68 21.143*** (0.000)
Resource management ability 4.23 0.55 2.76 0.41 1.47 0.56 32.818*** (0.000)
Interpersonal skills 4.03 0.64 2.74 0.49 1.30 0.55 29.798*** (0.000)
Technical ability 4.17 0.68 2.90 0.40 1.27 0.69 23.090*** (0.000)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4.07 0.64 2.69 0.59 1.38 0.61 28.633*** (0.000)
4.02 0.49 2.70 0.27 1.32 0.38 43.421*** (0.000)

*** p <0.001;

M, mean; S.D., standard deviation.

Table 5.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of beauty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mportance–performance quadrant
Classification Importance (M) Performance (M) Quadrant
Vocational basic competencies Communication skills (A) 3.92 2.72 Overabundance
Numeracy (B) 3.82 2.39 Low rank
Self-development ability (C) 3.92 2.78 Overabundance
Resource management ability (D) 4.23 2.76 Maintenance
Interpersonal skills (E) 4.03 2.74 Maintenance
Technical ability (F) 4.17 2.90 Maintenance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G) 4.07 2.69 Concentration

M, mean.

Table 6.
Basic vocational competencies among beauty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importance–performance quadrant
Classification Importance (M) Performance (M) Quadrant
Communication skills (A) 1 Document comprehension ability 3.78 2.64 Low rank
2 Document writing ability 3.88 2.69 Low rank
3 Listening ability 3.88 2.79 Overabundance
4 Ability to express 4.06 2.75 Maintenance
5 Basic foreign language skills 4.00 2.72 Overabundance
Numeracy (B) 1 Basic arithmetic ability 3.82 2.22 Low rank
2 Basic statistical ability 3.82 2.54 Low rank
3 Chart analysis ability 3.99 2.28 Low rank
4 Charting ability 3.67 2.51 Low rank
Self-development ability (C) 1 Self-awareness ability 3.94 2.74 Overabundance
2 Self-management ability 3.92 2.73 Overabundance
3 Career development ability 3.91 2.88 Overabundance
Resource management ability (D) 1 Time management skills 4.39 2.79 Maintenance
2 Budget management ability 4.18 2.85 Maintenance
3 Material resource management capability 4.16 2.72 Maintenance
4 Human resource management ability 4.19 2.68 Concentration
Interpersonal skills (E) 1 Teamwork ability 4.01 2.72 Overabundance
2 Leadership ability 3.97 2.72 Overabundance
3 Conflict management ability 4.13 2.69 Concentration
4 Negotiating ability 4.12 2.59 Concentration
5 Customer service ability 3.93 2.96 Overabundance
Technical ability (F) 1 Technical understanding ability 4.02 3.08 Maintenance
2 Skill selection ability 4.34 2.96 Maintenance
3 Technical understanding 4.15 2.66 Concentration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G) 1 International sense 4.00 2.75 Overabundance
2 Organizational system understanding ability 4.16 2.76 Maintenance
3 Management understanding ability 4.04 2.54 Concentration
4 Work understanding ability 4.09 2.73 Maintenance

M, mean.

References

Bandura A.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 122-147. 1982.
crossref
Chang SY. The improving effects of self-development capacity in general education o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18: 179-209. 2015.
crossref
Hahm SY, Eun TU. Importance and validity on evaluation framework of problem solving competencies in teen & up by meister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and industries.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4: 1-20. 2014.

Hahm Y. Effects of meister high school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on career maturity in problem solving ability domain of test for enhanced employ ability & upgraded proficiency. Journal of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6: 597-610. 2014.
crossref
Jung KS, Jang YS. Plans improving the employability of university student by developing basic job skills: Duksung Women's University. Journal of Social Science 15: 109-139. 2008.

Jin DH, Park EJ. Communication, organizational trust, and innovative behavior of make up employees in the 20-30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6: 359-368. 2018.
crossref
Kim NI, Chun BA, Choi JI. A case study of flipped learning at college: focused on effects of motivation and self-efficacy.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0: 467-492. 2014.
crossref
Kim S, Kwon Y, Shin J. A study for promoting key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Korean Corporation Management Review 42: 57-77. 2012.

Kim Y, Park EJ. Learning system, job competency, and curriculum of college of beauty and NCS-based learning.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5: 445-455. 2017.
crossref
Lee AH, Lee J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basic ability,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ocial self-efficacy, employability of college students. CNU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38: 59-79. 2017.
crossref
Lee B, Ahn J.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operative improvement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for the qualitative growth of high school graduate’s employment.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17: 55-79. 2014.
crossref
Lee JH, Im SH.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 ability of college students on basic skills. Industry Promotion Research 2: 51-56. 2017.

Lee SM, Lee CH. A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the key competencies of the students in the specialized technical high school by apply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3: 1-20. 2013.

Lee MO, Jeong WC.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to organizational understanding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ral Health Science 3: 35-40. 2015.

Lee YS, Eun Y. The effect of the flipped learning on self-effica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 567-576. 2016.
crossref
Mo JH. The effects of basic occupational competence on major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continuity intention in beauty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6: 185-192. 2020.
crossref
Na EM. Examination on communicative competency in the basic workplace skills of NCS and direction of communication education in universities. Writing Research 28: 93-122. 2016.

Oh SJ. Differences in perception on basic occupational competence and preparatory behaviors for employment according to major fields in beauty art. Jou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6: 241-249. 2020.

Park DY, Hwang YA. Development of the test based on bars to measure core competency level for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41: 29-48. 2009.
crossref
Park JE, Jin BW, Park EJ. Knowledge sharing between beauty industry workers based on general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8: 79-93. 2020.
crossref
Park MA, Lim YS, Chon HJ.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CS education-based job basic capability and progress level of students at beauty specialization high school. Journal of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23: 47-64. 2019.
crossref
Editorial Office
No. 1505, 1506, 3rd Ace High-End Tower, 145, Gasan digital 1-ro, Geumcheon-gu, Seoul 08506, Korea
TEL: +82-2-6957-8155   FAX: +82-502-770-2278   E-mail: ajbc.edit@e-ajbc.org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