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AbstractPurposeWith the contemporary shift in men’s attitudes about their appearance and personal grooming, demand for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is increasing. The ability to design esthetically pleasing, natural-looking eyebrows has become a competitive skill that makeup artists specializing in semi-permanent eyebrow makeup should consistently demonstrate.
MethodsHerein, we measured the eyebrow shapes of 300 Korean men in their 20’s and 30’s. These measurements were used to determine the typical eyebrows forms that are representative of men’s eyebrows.
ResultsThe average width, thickness, and arch peak of the eyebrow were 55, 8.3, and 4 mm, respectively. The direction, thickness, and width of the eyebrow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eyebrow and the eye were the most important aspects determining eyebrow shape. Based on the eyebrow form features, male eyebrow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standard, straight, and upward.
Introduction최근 외모가 중요한 경쟁력이라는 인식이 증가하면서 남성들의 이미지 관리 행동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Eun & Mun, 2019).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듯, 취업포털 잡코리아가 남성 직장인을 대상으로 남성의 외모 관리 추구 행동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35%의 남성이 '그루밍(Grooming)족'이라고 답하였다(Lee, 2018). '그루밍족'은 몸을 치장한다는 뜻의 groom에서 파생된 말로 패션과 미용에 아낌없이 투자하는 남성들을 일컫는 신조어이다. 남성의 외모 관리 행동은 성형수술, 피부관리, 메이크업, 체형관리 패션 추구 등으로 다양하다. 특히 남성들의 외모 관리에 대한 관심도 증가에 따라 최근에는 남성들의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Hong, 2018; Song et al., 2019). 얼굴에서 눈썹은 그 모양에 따라 인상을 좌우하며, 미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눈썹의 형태 및 위치, 숱의 양과 색상에 따라 얼굴 이미지가 변화하기 때문에, 눈썹 관리는 얼굴 이미지에 큰 영향을 준다(Kim & Kang, 2014). 여성과 달리 남성은 외모에 관한 관심은 높지만 외모에 변화를 주는 화장법에 대하여 잘 모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러한 점을 해결해 줄 수 있는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의 요구도가 증가하고 있다.
눈썹에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눈썹 메이크업의 형태 및 이미지에 관련한 연구(Ha et al., 2005; Kim, 2008; Cho & Park, 2013; Park, 2018; Park & Park, 2019)와 눈썹 보정을 위한 반영구 기법에 관한 연구(Cho & Lee, 2013; Han & Choi, 2020; Kim et al., 2020) 등이 보고되었다. 특히 눈썹 형태에 관련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연구대상자가 여성으로 국한되어 있으며, 남성 눈썹 형태에 관련한 연구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남성 눈썹의 반영구 메이크업 기법에 관한 선호도와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을 받은 후 자아 효능감이 높아진다는 연구(Han & Choi, 2020)가 보고되었다. 남성의 외모 관리 및 반영구 메이크업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증가함에 따라 남성 눈썹 메이크업 디자인측면에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남성 눈썹 형태에 대한 분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반영구 메이크업에서 적용되는 남성 눈썹 형태에 관련한 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선행연구 및 전문서적에서는 눈썹의 형태와 비율, 눈썹 유형 및 분석에 관련한 이론적 내용이 제시되어 있지만 한국 남성의 자연 눈썹 크기 및 형태에 대한 데이터는 거의 없다. 반영구 메이크업의 적용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중요한 요인은 본래의 눈썹 형태를 분석하여 디자인을 적용하는 것이다. 눈썹을 분석하는 단계에서 눈썹의 비율 적용도 중요하지만 표준 형태의 눈썹 치수에 따른 가이드를 적용하는 것 또한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 20-30대 남성 300명을 대상으로 눈썹 형태를 직접 계측하여 그 치수를 구하고 확보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한국 남성의 눈썹 평균 크기와 대표 유형을 분류하여 유형별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반영구 메이크업 서비스 산업이 증가하는 시점에서 남성 눈썹 형태의 디자인 적용에 매우 실증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Methods and Materials1. 대상 및 기간측정 대상은 우리나라 20-30대 남성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눈썹의 위치와 형태는 나이에 따라 변화한다. 선행연구에서는 20-30대 여성과 50-60대 여성의 눈썹 형태 및 위치를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노화에 따라 눈썹 위치와 형태가 변화하여 복원이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Matros et al., 2009). 따라서 측정 대상의 선정을 20-30대로 하였으며 연구지원자는 눈썹 부위에 흉터가 없으며, 반영구 메이크업을 하지 않은 자연 눈썹을 가진 자에 한하였다. 연구지원자를 대상으로 눈썹 형태의 직접 계측은 원광대학교 연구윤리위원회 승인(WKIRB-202111-HR-094) 하에 수행하였다. 기간은 2021년 11월 19일부터 2021년 11월 29일까지 총 10일간 측정하였다.
2. 측정 기준점 및 항목직접 계측 시 측정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측정 기준점을 설정하여 표시하였다. 한국인 인체치수조사(Size Korea)에서 제시한 기준점에 따르면 얼굴과 눈 부위의 기준점은 총 5개로 제시되고 있으나 이는 눈썹 측정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선행연구를 참조하고 눈썹 형태의 측정 목적을 위해 기준점을 설정하였다(Kim, 2008). 기준점의 설정은 눈썹 형태의 최대 외곽 포인트와 눈과 눈썹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눈 앞머리점, 눈꼬리점 등 총 7개의 기준점을 설정하였다(Table 1). 측정항목은 눈썹의 해부학적 위치와 형태를 고려하고, 반영구 메이크업을 적용하기 위한 자연 눈썹 분석 및 디자인 적용을 고려하여 8개의 측정항목을 설정하였다(Table 2).
측정 방법은 직접계측법을 이용하여, 왼쪽 눈썹 8항목과 오른쪽 눈썹 8항목 총 16개 항목을 측정하였다. 직접측정에서 발생되는 측정자의 조작오류에 의한 오차, 계통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3번 반복 측정하여 최종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먼저 눈썹 길이는 측정 기준점 1 (the upper point of the lateral border of the eyebrow)과 2 (the lower point of the lateral border of the eyebrow)의 중심에서 5 (eyebrow tail)까지의 수평거리를 측정하였다. 눈썹산 길이는 측정 기준점 1과 2의 중심에서 3 (the top peak point of the eyebrow arch)과 4 (the bottom peak point of the eyebrow arch)의 중심까지의 수평거리를 측정하였다. 눈썹 두께는 측정기준점 1과 2의 수직 길이를 측정하였다. 눈썹산 두께는 측정 기준점 3과 4의 수직길이를 측정하였다. 눈썹과 눈과의 거리는 측정 기준점2의 눈썹 시작 아래점에서 눈앞머리위치의 측정 기준점인 6 (medial canthus)까지의 직선거리와 눈썹 꼬리점인 5에서 7 (lateral canthus), 눈꼬리점까지의 직선거리를 측정하였다. 눈썹의 형태를 분석하기 위한 중요 요인인 눈썹산 높이와 꼬리높이는 측정 기준점 2를 기점으로 수평의 연장선상에서 눈썹산 아래점 4 (the bottom peck point of the eyebrow arch)까지의 수직거리와 눈썹 꼬리점5까지의 수직거리를 측정하였다.
Results & Discussion1. 20-30대 남성의 눈썹 평균 치수 및 좌우 대칭20-30대 남성 300명을 대상으로 눈썹 형태를 분석하기 위해 8개 측정항목을 각각 좌우로 직접 계측하였고, 확보된 데이터의 좌우 치수를 대응표본 T 검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Table 3).
눈썹 너비의 평균 측정치는 왼쪽 눈썹 너비가 54.28 (±4.40) mm이었고, 오른쪽 눈썹 너비가 54.10 (±3.93) mm로 왼쪽과 오른쪽의 너비가 거의 같았다. 눈썹 앞머리 부분에서 눈썹산까지의 너비는 왼쪽 평균치가 38.37 (±4.38) mm였고, 오른쪽의 평균치는 38.86 (±4.15) mm였다. 눈썹산 너비의 평균치는 왼쪽과 오른쪽의 차이가 0.49 mm의 차이가 있었고 이러한 차이는 눈썹 너비보다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눈썹 두께는 왼쪽 평균치가 8.41 (±1.78) mm, 오른쪽 평균치가 8.23 (±1.81) mm였다. 눈썹산 두께는 왼쪽 평균치가 11.62 (±2.96) mm 였고, 오른쪽 평균치가 11.55 (±2.98) mm로 눈썹 앞부분의 두께보다 약 3 mm 이상 두꺼운 형태임을 알 수 있었다. 눈썹산 높이는 왼쪽 평균치가 4.40 (±1.72) mm였고, 오른쪽 측정치가 3.92 (±1.73) mm였다. 눈썹 앞부분 아래 점을 기준으로 한 수평 연장선상에서 눈썹꼬리 높이는 왼쪽 평균치가 3.11 (±2.07) mm였고, 오른쪽 평균치가 3.13 (±2.03) mm였다. 눈 시작점과 눈썹 앞부분의 거리는 왼쪽이 15.93 (±3.11) mm였고, 오른쪽은 15.79 (±3.12) mm였다. 눈꼬리에서부터 눈썹 끝부분 사이의 사선 거리는 왼쪽이 14.5 (±3.28) mm였고, 오른쪽은 14.67 (±3.31) mm였다. 눈과 눈썹과의 앞과 뒷부분의 거리는 약 1.5 mm 정도였다.
우리나라 20대 여성 497명의 눈썹을 계측한 선행연구에 따르면 평균 측정값은 눈썹 너비가 44.8 mm, 눈썹 두께가 6.8 mm, 눈썹산 높이가 8.2 mm로 보고하였다(Kim, 2008). 반영구 눈썹 메이크업디자인을 연습하기 위한 전문서에 의하면, 여성 눈썹 형태의 드로잉 가이드는 눈썹 너비를 약 50 mm를 기준으로 45-55 mm의 사이의 크기로 그리고, 눈썹산 너비는 35 mm를 기준으로 한다. 눈썹 두께는 8-1.0 mm, 눈썹산 높이는 약 3 mm로 제시하고 있다(Lee & Kim, 2018). 남성 눈썹 형태는 여성보다 약간 크게 그리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명확한 크기를 제시한 문헌이 거의 없다. 선행연구의 여성 눈썹 측정 데이터와 남성 눈썹을 계측한 평균값과의 차이를 살펴보면, 남성 눈썹 너비가 여성 보다 약 10 mm가 더 크고, 눈썹 두께 또한 약 2 mm정도 더 두꺼워 남성이 여성보다 눈썹의 크며 명확한 크기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형태적 측면에서는 눈썹산 높이가 남성이 여성보다 낮게 나타나 형태적 특징의 차이가 있었다.
왼쪽과 오른쪽의 측정치를 비교한 결과 눈썹 너비, 눈썹산까지의 너비, 눈썹산 두께, 눈 시작점과 눈썹 앞부분과의 거리, 눈꼬리에서부터 눈썹의 끝부분 사이의 사선 거리, 눈썹산 높이, 눈썹꼬리 높이의 총 7개 측정항목에서 왼쪽과 오른쪽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눈썹 앞부분의 눈썹 두께에서는 왼쪽과 오른쪽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왼쪽과 오른쪽 눈썹형태의 비교는 인체 생리해부학 측면에서 시상면(sagittal plane)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을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따라서 남성의 눈썹 메이크업과 반영구 메이크업 적용 시 좌우 대칭을 맞추기 위해 가장 주의를 기울여야 할 부분은 눈썹 앞부분의 두께임을 시사한다.
2. 20-30대 남성의 눈썹 표준형 및 대표유형 분석20-30대 남성 300명의 눈썹 형태를 측정한 데이터의 평균값을 이용하여 남성 눈썹의 표준 형태를 포토샵(Adobe Photoshop ver.12.0,)을 이용하여 일러스트로 재현하였다(Figure 1). 반영구 메이크업 디자인 적용에서 표준 치수 정보는 가장 기본적인 데이터이며, 이를 활용하는 것은 형태적 특성을 준하여 분류한 대표 유형이다. 개개인의 얼굴형과, 본래 눈썹의 형태를 고려하여 대표 유형을 알맞게 적용했을 때, 개인에 적합한 메이크업 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다. 현재까지의 남성 눈썹 유형은 디자인을 적용하는 관점에 따라 3-6개의 유형을 분류하여 활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분류는 과학적 자료에 근거한 분류가 아니라 심미적 측면에서의 전문가의 주관적 분류 유형이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남성 눈썹의 정량적 측정데이터를 이용하여 대표유형의 분류를 실시하였다. 군집 수의 결정에 대한 효율적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계층적 군집화에 의한 군집수를 분석한 후 다시 비계층적 방법에 따라 유형 수를 제시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즉, Ward 연결법(Ward Linkage Method)에 따른 계층적 군집 분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덴드로그램(Dendrogram)으로 시각화 하였다(Figure 2). 군집 간 높이의 가치가 큰 군집의 개수를 살펴보면 3개의 군집이다. 즉, 3개의 유형을 결정했을 때 군집 내 특성이 명확하며, 각각의 군집 간의 이질성이 있는 대표 유형의 분류가 3개의 군집으로 나타났다.
앞서 계층적 군집 분석 결과에 따라 남성 눈썹 유형의 수를 3개로 도출하였으나 계층적 군집화의 몇 가지 한계점에 의해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시 비계층적 방법에 따라 유형의 수를 결정하여 더욱 의미 있는 해석이 가능한 유형을 분류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K-means 군집분석 군집의 수를 연구자의 선택에 따라 분류한다는 이유로 연구자의 불완전 분석, 비과학적 분석이라고 하지만 유형을 세분화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는데 효과적인 분석 방법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측정데이터의 요인 값을 이용하여 눈썹 유형을 3개, 4개, 5개, 6개로 분류하여 각 군집 수에 따른 요인 간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Table 4). 여성 눈썹의 형태별 명칭은 표준형, 수평형, 각진형, 아치형, 상승형, 하강형의 6개로 구분하고 있어, 남성의 경우에도 군집의 수를 최대 6개까지로 분석하였다(Park & Park, 2019). 그 결과 유형수가 3개, 4개, 5개, 6개로 분류되었을 때 4개 요인 모두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유형 수를 3개, 4개, 5개, 6개로 분류하였을 경우 3개의 경우에도 각 유형 간의 특성이 분명하게 차이가 있으며, 6개의 유형의 경우에도 각 유형 간의 특성이 나타났기 때문에 유형 수를 분류하기에 합리적 근거로 작용하기 어렵다. 따라서 3개, 4개, 5개, 6개의 유형 수에 따른 유형별 인원 분포를 제시하였다(Table 5). 군집의 수가 증가할수록 각 해당 유형에 인원 분포는 15% 미만으로 감소하여 군집의 수를 3개 혹은 4개로 분류한 것이 적합하였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여성 497명의 눈썹 측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군집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유형 수를 4개로 결정하였다(Kim, 2008). 특히 선행연구에서는 K-means 군집분석만을 적용하여 군집유형을 4개, 5개, 6개로 분류하였다. 군집 수에 대한 연구자의 결정이 2개에서부터 10개까지로 분류되는 점에 비해 메이크업 관점에서 눈썹의 유형을 4개에서 6개까지로 구분하여 활용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군집의 수를 4개부터 분류한 것으로 추측된다. 이 연구에서는 비계층적 군집분석을 통해 3개의 군집 수에 대한 분류를 고려하였으며 계층적 군집화와 비계층적 군집화의 한계점을 배제하였다.
남성 눈썹 유형 수를 결정하는 데 있어 유형의 최소화와 유형별 인원 분포를 고려하였다. 이러한 결과 군집의 수를 3개 혹은 4개로 분류한 것이 적합하였다. 최종적으로 군집 유형별 형태적 특성의 독립성을 파악하기 위해 각 측정항목 간의 유형별 측정 데이터에 대하여 one-way ANOVA를 실시하고, Duncan multiple test를 통해 집단간 차이를 사후 검증하였다. 남성 눈썹 유형이 3개의 군집 수로 분류했을 때, 측정항목 간의 유형별 차이를 분석하였다(Table 6).
1유형의 눈썹 형태를 살펴보면 왼쪽 눈썹 너비 평균 크기가 51.37 mm, 오른쪽이 51.57 mm이며, 눈썹산 너비의 좌우 평균이 각각 35.32 mm와 35.9 mm로 눈썹 너비의 크기는 300명 전체 표준보다 3 mm 정도 너비가 작다. 눈썹 두께는 약 평균 8 mm 정도이며, 눈썹산 두께는 약 12 mm로 전체 평균과 크기의 차이가 1 mm 이하로 거의 같았다. 눈썹산 높이 또한 전체 평균 크기와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눈 시작점과 눈썹 앞부분의 거리, 눈꼬리에서부터 눈썹 끝부분 사이의 사선 거리도 전체 평균과 차이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1유형은 남성 300명의 전체 평균 눈썹 형태보다 눈썹 너비가 약간 좁지만, 눈썹 방향, 위치, 두께의 형태적 특성이 표준 형태와 거의 유사하여 표준형 눈썹을 대표하고 있다.
2유형의 눈썹 형태는 눈썹 너비가 56.59 mm, 눈썹산 너비가 왼쪽이 41.45 mm, 오른쪽이 42.17 mm로 분류된 유형 중 너비의 크기가 가장 크다. 눈썹 두께는 7.4 mm, 눈썹산 두께는 10 mm로 눈썹 두께가 다른 유형과 비교했을 때 가장 얇다. 눈썹산 높이는 약 3 mm이고, 눈썹꼬리 높이는 1.96 mm로 분류된 유형 중 눈썹 방향이 가장 수평에 가까우며 눈썹 위치 또한 눈과 가장 가깝게 위치한 형태이다. 따라서 유형 2의 눈썹 형태를 전체적으로 분석했을 때 수평에 가까운 Straight 형태로 볼 수 있다.
3유형의 눈썹 형태는 왼쪽 눈썹 너비 평균 크기가 56.17 mm, 오른쪽이 55.22 mm, 눈썹산 너비가 약 39 mm로 눈썹 너비의 크기는 유형 2와 비슷하며 전체 평균보다는 약간 크다. 눈썹 두께는 약 9 mm이며, 눈썹산 두께는 10 mm로 분류된 유형 중 눈썹 두께가 가장 두꺼우며 이는 평균보다 크다. 눈썹산 높이는 약 4 mm이며, 눈썹꼬리 높이는 왼쪽이 4.35 mm, 오른쪽이 4.53 mm로 눈썹산부터 눈썹 꼬리가 상승한 형태였다. 눈썹의 위치는 눈 시작점과 눈썹 앞부분의 거리, 눈꼬리에서부터 눈썹 끝부분 사이의 사선 거리가 유형 중 가장 크게 나타났고 이는 전체 평균보다 크다. 세 유형 중 눈썹과 눈의 거리가 크게 나타났다. 3 유형의 눈썹 형태를 전체적으로 분석했을 때 눈썹의 두께가 가장 두꺼우며 눈썹산 높이와 꼬리 높이가 가장 높아 눈썹 방향이 상승형인 눈썹 형태로 볼 수 있다.
즉, 남성 눈썹 유형 수를 3개로 분류하였을 때, 각 유형의 형태적 특성이 독립적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유형의 특성을 요약해보면 표준형, 일자형, 상승형으로 나타났다. 세 유형의 형태적 특성을 시각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포토샵(Adobe Photoshop ver.12.0)을 이용하여 일러스트로 재현하였다(Figure 3).
남성 눈썹의 대표 유형이 4개의 군집수로 분류되었을 때 측정항목 간의 유형별 차이를 분석하였다(Table 7). 1유형의 눈썹 형태를 살펴보면 왼쪽 눈썹 너비 평균 크기가 56.93 mm, 오른쪽이 56.18 mm이며, 눈썹산 너비가 약 40.46 mm로 눈썹 너비의 크기는 300명 전체 표준보다 약 2 mm 정도 너비가 크다. 눈썹 두께는 평균은 약 9 mm 정도이며, 눈썹산 두께는 약 11.8 mm 정도로 전체 평균과 크기의 차이가 1 mm 이하로 거의 같다. 눈썹산 높이와 눈썹꼬리 높이가 전체 평균 크기보다 가장 크며 특히 눈썹산 높이보다 눈썹산 꼬리 높이가 약간 높게 나타나 눈썹 방향의 형태적 특징은 상승형 눈썹으로 볼 수 있다. 눈 시작점과 눈썹 앞부분의 거리, 눈꼬리에서부터 눈썹 끝부분 사이의 사선 거리도 전체 평균보다 약간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1유형의 형태적 특징은 상승형 눈썹으로 판단하였다.
2유형의 형태는 눈썹 너비가 약 51 mm, 눈썹산 너비가 왼쪽이 35.53 mm, 오른쪽이 36.66 mm로 너비의 크기가 유형 중 가장 작다. 눈썹 두께는 약 9 mm이고, 눈썹산 두께는 왼쪽이 12.93 mm, 오른쪽이 12.69 mm 로 눈썹의 두께가 평균보다 두꺼웠다. 눈썹산 높이는 약 4 mm이고, 눈썹꼬리 높이는 3.3 mm 로 300명의 평균 측정치와 거의 같았다. 눈썹의 위치는 눈 시작점과 눈썹 앞부분의 거리, 눈꼬리에서부터 눈썹 끝부분 사이의 사선 거리가 가장 크게 나타나 눈썹과 눈과의 거리가 가장 먼 형태이다. 따라서 2유형의 눈썹 형태를 전체적으로 분석했을 때 표준형보다 너비가 좁으며 두께가 두꺼우나 눈썹 방향이 표준형과 유사한 형태였다.
3유형은 왼쪽 눈썹 너비 평균이 54.56 mm, 오른쪽이 55.02 mm, 눈썹산 너비가 왼쪽이 40.23 mm, 오른쪽이 41.2 mm 로 눈썹 너비의 크기는 남성 평균인 표준형과 유사하였다. 눈썹 두께가 표준형과 비교해 약 2 mm 정도 얇으며, 눈썹산 두께 또한 약 7.5 mm로 분류된 4개의 유형 중 눈썹의 두께가 가장 얇은 형태이다. 눈썹산 높이와 눈썹꼬리 높이는 표준형보다 낮아 눈썹 방향이 수평에 가까운 형태이다. 눈 시작점과 눈썹 앞부분의 거리, 눈꼬리에서부터 눈썹의 끝부분 사이의 사선 거리가 표준형과 유사하였다. 3유형의 눈썹 형태를 전체적으로 분석했을 때 눈썹의 두께가 가장 얇고 눈썹산과 눈 꼬리점의 높이가 가장 낮아 수평에 가까운 Straight형 눈썹이다.
4유형은 눈썹 너비가 약 54 mm, 눈썹산 너비가 38 mm 로 너비의 크기가 표준형과 거의 같다. 눈썹 두께는 약 8 mm 이고, 눈썹산 두께가 약 12.9 mm로 눈썹산 두께가 평균보다 1 mm 정도 두꺼웠다. 눈썹산 높이는 약 4 mm이고, 눈썹꼬리 높이는 약 3 mm로 300명의 평균 측정치와 매우 유사하다. 눈썹의 위치는 눈 시작점과 눈썹 앞부분의 거리가 표준형과 유사하지만, 눈꼬리에서부터 눈썹 끝부분 사이의 사선 거리가 표준형보다 2-3 mm 정도 짧다. 4유형의 눈썹 형태를 분석했을 때 2유형과의 특징적인 차이가 크다고 볼 수 없다. 그 이유는 눈썹 형태의 특징을 분석할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인 눈썹 방향에 차이가 거의 없으며, 눈썹 두께 또한 형태적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다만, 눈썹의 너비에서 약간의 차이가 나타나 형태적인 특성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Conclusion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20-30대 성인 남성 300명을 대상으로 눈썹 형태의 실측 크기를 측정하여 평균 크기를 제시하고, 군집분석을 통해 3개의 눈썹 유형을 분류하였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남성의 눈썹 너비는 약 55 mm 이고, 눈썹 두께는 약 8.3 mm, 눈썹산 높이는 4 mm 정도였다. 이러한 형태는 선행연구의 여성 눈썹 측정치(Kim, 2008)와 비교했을 때 눈썹 너비는 10 mm 정도 넓고, 눈썹 두께는 1.5 mm 정도 두꺼웠으며, 눈썹산 높이는 4 mm 정도 낮아 형태의 차이가 있었다. 특징적으로는 여성보다 눈썹 너비가 넓고, 두께가 두꺼우며 눈썹산이 낮은 형태이다. 특히 눈썹 앞부분의 두께보다 눈썹산 부분의 두께가 3 mm 정도 두꺼우며, 눈썹 앞부분의 두께가 좌우 대칭을 비교했을 때 왼쪽과 오른쪽의 크기가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눈썹의 형태를 교정하는 반영구 메이크업디자인에서 눈썹 앞부분의 두께를 좌우 대칭에 맞추며 눈썹산 두께와의 비율을 조정하여 디자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눈썹의 유형 분류를 통해 개인별 디자인에 활용할 수 있도록 유형별 형태적 특성을 고려하여 표준형, 일자형, 상승형으로 분류하였다. 현재까지 남성 눈썹 메이크업을 디자인할 때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량적 데이터가 없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남성 눈썹의 정량적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남성 눈썹 메이크업의 기본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향후 남성 눈썹에 관련한 연구에서는 눈썹의 형태뿐 아니라 눈썹 이미지에 중요요인인 눈썹색 분석이 이루어진다면 남성 눈썹 메이크업 색상표현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NOTESAuthor's contribution
SOP and EJA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SOP, EJA and JHK designed all experimental investigations. SOP, EJA and JHK performed experiments and wrote manuscript. JHK oversaw the project.
Author details
Seon-Ouk Park (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Science, Kwangju Women's University, 201 Kwangju Yeodae Gil, Gwangsangu, Kwangju 62396, Korea; Eun-Joo An (Visiting Professor), Division of Beauty Design, Wonkwang University, 460 Iksan-daera, Iksan-si, Jeallabuk-do 54538, Koera; Jeong-Hee Kim (Professor), Division of Beauty Design & Institute of W-antiaging, Wonkwang University 460, Iksan-daera, Iksan-si, Jeallabuk-do 54538, Korea.
Table 1.Table 2.Table 3.
Table 4.Table 5.Table 6.Table 7.ReferencesCho SY, Lee JM. A study on semi-permanent special make-up technique for effective eyebrow corre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9: 822-832. 2013.
Cho MH, Park KS. The study of baby face make-up changing eyebrows with point make-u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9: 437-447. 2013.
Eun KH, Mun YK. A study on the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male CEO’s appearance management using class theory bourdieu's. Fashion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21: 766-775. 2019.
Ha SO, Cho KM, Kim CS. The optical illusion effect of line applied to eyebrow makeup. Journal of Fashion Business 9: 28-39. 2005.
Han SH, Choi MY. Study on the appearance perception and self-efficacy of men’s eyebrow tattoo treat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6: 814-824. 2020.
Hong SN. Effects of preference for semi-permanent makeup on procedure satisfaction.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6: 165-177. 2018.
Kim JH. Eye & eyebrow shape analysis of adult women for application of eye makeup.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4: 210-214. 2008.
Kim MH, Park SY, Lee HS, Kim WS, Oh WH. A study on the preference for semi-permanent makeup eyebrow technique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practitioner. Proceeding of the Korean Society of Semi-permanent Make up Research 1: 60-75. 2020.
Kim YS, Kang SM. A study of effects of thickness and darkness of eyebrows on image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2: 625-632. 2014.
Lee MS. A study on sociocultural attitudes toward appearance and clothing 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s of male consumers: focused on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20s-30s and 40s-50s. Fashion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20: 389-399. 2018.
Lee JY, Kim IU. Standard procedure of permanent make-up (1st ed). Panmuneducation. Seoul. pp91-103. 2018.
Matros E, Garcia JA, Yaremchuk MJ. Changes in eyebrow position and shape with aging.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124: 1296-1301. 2009.
Park JS. Analysis of the average rate of change and curva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standard and horizontal eyebrow makeup: focusing on students in cosmetolog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4: 993-1001. 2018.
Park JS, Park DE. Analysis of average rate of change and curva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angled and arced eyebrow makeup.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3: 116-126. 2019.
Song SM, Yu SJ, Kim JH. Sensory evaluation of semi-permanent eyebrow cosmetic depending in different pH level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7: 179-185. 201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