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목적본 연구는 하이 그래쥬에이션 커트와 유니폼 레이어 커트의 혼합 형태로 길이, 두상영역분할,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형태선 변화를 관찰하려고 한다. 또한 실증을 통해 체계적인 헤어커트 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의의가 있다.
방법골든 포인트, 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 백 포인트를 기점으로 두상을 상단과 하단으로 나누었다. 상단은 그래쥬에이션 커트로 두상시술 각도 75°, 슬라이스 라인은 A라인, 평행라인, V라인을 적용하였다. 하단은 유니폼 레이어 커트로 두상시술각도 90°를 적용하였다. 커트의 출발점은 네이프 포인트에서 10, 15, 20 cm로 커트를 시작하였다.
결과두상영역분할 포인트 지점이 위로 올라가면 길이가 짧아지고 아래로 내려가면 길이가 길어진다. A라인은 모발 길이가 길어져 차분함과 가름한 형태로 나타났다. V라인은 모발 길이가 짧아져 귀여움, 발랄한 형태로 관찰되었다. 평행라인은 반듯한 형태로 단조로움이 나타났다. 유니폼 레이어 커트는 율동감, 역동적, 무게선이 없는 특징을 갖고 있다. 하이 그래쥬에이션 커트는 매끄러움, 가지런함, 거친 질감, 모발이 겹쳐져 무게선이 있는 특징을 갖고 있다. 유니폼 레이어의 가벼운 질감을 얻기 위해 길이는 10 cm 가 가장 이상적으로 나타났다.
결론A라인은 얼굴 라인으로 갈수록 모발 길이가 길어져 부피감, 무게감, 팽창감이 나타났다. V라인은 얼굴 라인으로 갈수록 모발 길이가 짧아져 생동감, 발랄함, 귀여움이 관찰되었다. 헤어커트 시술할 때 자르는 것보다 빗질과 자세가 더 중요하다. 특히 튀어나온 부분 탑 포인트, 골든 포인트는 섹션을 섬세하게 해서 잘라야 커트선이 자연스럽다. 두상이 둥근 형태는 탑 포인트의 길이를 짧게 하여 길어보이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두상이 긴 형태는 옆면을 확장시켜 단점을 보완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두상이 평평한 곳 즉 이어 포인트, 이어 백포인트 지점처럼 평평한 곳은 무게선이 동시에 떨어지므로 질감을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두상영역분할을 골든 포인트 지점에 두어야 아래 유니폼 레이어가 효과적이다.
AbstractPurposeTo observe the effect of using a combination of high gradient and uniform layer cuts on changes in the shape line according to length, head area division, and slice line and to provide meaningful baseline data for systematic haircut education by demonstrating different cut designs.
MethodsThe upper part of the hair was cut in a gradient fashion at an angle of 75° with A, parallel, and V slice lines. The lower part of the hair was uniformly layer cut at a head angle of 90°. The cut starting points were 10, 15, and 20 cm from the nape point for A, parallel, and V slice lines, respectively.
ResultsThe hair length was shorter with higher head area division points and longer with lower head area division points. Haircut with A-line gave the appearance of calm and thin due to the longer hair length, with V-line gave the appearance of cute and sporty due to the shorter hair length, and with parallel lines gave the appearance of monotonous due to straight form. The uniform layer cut did not give the features of rhythm, dynamic, or weight lines. The high gradient cut was characterized by smoothness, alignment, rough texture, and layered hair with weight lines. In order to obtain the light texture of the uniform layer, the length of 10 cm was the most ideal.
ConclusionFor the A-line cut, hair length was longer as it approached the face line, resulting in increased volume, weight, and expansion. For the V-line cut, the hair length became shorter as it was near the face line, and vividness, youthfulness, and cuteness were noted. The combing style and posture are more important than the cutting procedure. In particular, the protruding top and golden points should be delicately cut to ensure a natural cut line. In case of a round-shaped head, a haircut could effectively give an illusion of shortened top length while making the face look longer. For a long-shaped head, expanding the sides and providing texture is effective because the weight line is at the point where the head is flat; i.e., the ear and back points, and can compensate for the disadvantages. The division of the head area must be placed at the golden point to ensure that the uniform layer below is effective.
Introduction현대인들의 경제수준 향상은 미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미와 관련된 산업은 지속적인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바쁜 현대 여성들은 손질하기 쉽고 편리한 실용적인 헤어스타일을 선호한다(Hwang & Youn, 2011). 헤어스타일은 패션과 함께 유행을 창조해왔다. 또한 문화적, 예술적 변화에 따라 새로운 유행은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있다(Son & Kim, 2011). 헤어스타일은 개성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사회적, 관계적 형성과 더불어 호감도 및 친밀도에서 밀접한 관계가 있다. 그리고 대인관계에 있어서도 영향을 미친다(Ha & Youn, 2019).
헤어디자이너는 헤어스타일을 고려할 때 얼굴형과 두상의 크기 및 모양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모발 성질, 모발 굵기, 모발 양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즉 헤어디자이너는 고객 이미지를 돋보이게 해주어야 함으로 감각적인 요소는 기본이고, 수많은 경험과 체계적인 커트 교육은 필수이다(Guk, 2023b). 많은 연구자들이 헤어디자이너는 커트 교육을 한 번으로 끝나지 않고 지속적인 재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으며, 무한한 반복학습을 통해 비로소 자신의 역량과 실력을 발휘할 수 있다고 하였다. 또한 감각에만 의존하는 커트 방식은 줄이고 체계적인 논문 및 수치화에 귀를 기울려야 한다고 주장하였다(Jang & Jung, 2019). 헤어스타일을 변신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매뉴얼과 필요한 요소들이 있겠지만, 그중에서 헤어디자인의 형태와 이미지를 좌우하는 헤어커트가 가장 경제적이고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Kim, 2016).
헤어커트 디자인을 설계할 때 두상 형태 및 크기, 얼굴 형태 및 크기, 목 길이 및 두께, 모발 성질 및 길이, 각도, 슬라이스 라인, 두상영역분할 등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You & Song, 2016). 두상영역분할은 몇 개로 분할하여 나누는 작업을 말한다. 즉 헤어커트 시 분할을 함으로써 보다 쉽고 빠르게 두상의 이해와 밑거름 작업을 미리 계획한다(Ha & Youn, 2017). 또한 작은 섹션이라고 하는 슬라이스 라인에서 평행라인을 수평선, 일직선, 일자선이라고 한다. 그리고 A라인을 스파니엘, 전대각, 전 경사라고 하며 V라인을 이사도라, 후대각, 후 경사라고 한다(Moon & Jung, 2018). 섹션 분할 또는 두상영역분할은 헤어 커트 시 실수를 줄이기 위해 블로킹을 세밀하게 나누는 작업을 의미한다(Kim & Lee, 2017).
그래쥬에이션 커트는 두상 아래쪽이 가장 짧고 위쪽으로 갈수록 길어져 층이 생기는 커트이다. 두상의 단점을 보완하고 장점을 부각시켜주므로 납작한 후두부 또는, 각진 얼굴형 및 광대뼈가 튀어나오거나 들어간 형 그리고 관자놀이가 들어간 형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Kim, 2015). 미디엄 그래쥬에이션 커트는 볼륨감과 입체감이 커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슬라이스 V라인 및 후 대각 라인은 얼굴의 곡선을 타고 내려가다가 안쪽으로 들어가는 현상을 증진시켜 안 말음에 효과적이다(Jang & Jung, 2019). 슬라이스 A라인은 얼굴라인으로 갈수록 모발 길이가 길어져 성숙함, 가름한 형태를 나타낸다. 평행라인은 일직선의 반듯함과 평범함을 나타낸다(Guk, 2022b). 모든 모발 길이가 같은 유니폼 레이어 커트는 무게선이 나타나지 않고 두상 곡면이 동그란 모양을 상징한다. 그로 인해 율동감을 줄 수 있어 다른 커트 종류를 대입하였을 때, 디자인의 완성도와 작품의 질을 높일 수 있다(Yang & Park, 2009).
모발 길이가 길어질수록 부피감, 무게감, 팽창감이 증가하고 모발 길이가 짧아질수록 부피감, 무게감, 팽창감이 감소한다. 또한 모발 길이가 짧아지면 볼륨감과 생동감이 나타난다(Guk, 2023a). 스파니엘 커트에서 앞면과 뒷면의 모발 길이 차이를 5 cm가 적당하다고 55.4%가 응답하였다. 이사도라 커트에서 앞면과 뒷면의 모발 길이 차이를 4-6 cm가 적당하다고 96. 6%가 응답하였다(Moon & Jung, 2018).
현재 나와 있는 커트 연구에 관한 논문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두상영역분할에 관한 자료로 Kim (2016)는 인크리스 레이어 커트와 원랭스 커트를 혼합하여 연구한 결과, 두상영역분할 위치에 따라 모발 량, 슬라이스 라인, 모발 길이가 달라진다고 보고하였다. Ha & Youn (2019)는 두상영역분할을 4개로 제시하여 커트하였는데, 앞머리부터 시술하는 것이 고객 만족도가 높고 효율적이라고 규명하였다.
슬라이스 기울기 및 각도에 관한 자료로 Moon & Jung (2018)는 기울기에 있어서 이사도라 즉 V라인의 기울기 30°를 54.5%가 가장 이상적이라고 하였다. 스파니엘 즉 A라인의 기울기 30°를 55.4%가 가장 적합하다고 발표하였다. Guk (2022a) 슬라이스 A라인은 가름함, 차분함, 성숙한 이미지를 줄 수 있다. 평행라인은 단정함, 반듯함, 평범한 이미지를 준다고 하였다. V라인은 귀여움, 발랄함, 어려보이는 효과로 동안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각도에 관한 자료로 Jang & Jung (2020)는 미디엄 그래쥬에이션 커트는 입체적이고 미세한 단차에 의해 볼륨감을 줄 수 있다. 볼륨 위치를 변동해 가면서 얼굴형과 두상 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어 효과적이라고 입증하였다. Jang & Jung (2021)는 세임 레이어 커트는 슬라이스 라인과는 상관없이 같은 모양으로 떨어지고, 둥근 형태로 무게 선이 없는 것이 특징이라고 검증하였다.
길이에 관한 자료로 형태 선을 네이프 포인트를 기준점으로 긴 길이를 25 cm, 중간 길이를 15 cm, 짧은 길이를 5 cm가 적합하고 정하였다. 앞머리 길이는 센터 포인트를 기준으로 긴 길이를 턱선 17 cm, 중간 길이를 코 지점 10 cm, 짧은 길이를 눈썹 선 5 cm가 적합하다고 규명하였다(Kwon et al., 2010). Guk (2022b)는 두상 후면(뒷면)에서 좌우로 2 cm 모발 길이 차이를 두면, 옆면(측면)에서도 2 cm 모발 길이 차이가 난다고 하였다. 또한 옆면(측면)의 길이는 후면(뒷면)의 연장선이라고 검증하여 제공하였다.
현재까지 많은 연구자들로 인해 헤어커트의 기초 틀은 마련하였다(Jung & Yoon, 2008). 하지만 유니폼 레이어 커트와 길이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선행 연구(Guk, 2023c)에서 모발 길이를 길게 한 관계로 유니폼 레이어 형태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두상영역분할과 모발 길이를 다르게 적용하여 다시 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두상영역분할을 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golden back medium point, G. B. M. P.), 골든 포인트 (golden point, G. P.), 백포인드(back point, B. P.)를 기점으로 두상을 상단과 하단으로 구분하였다. 두상 상단 영역을 두상시술각도 75°, 슬라이스 라인 전 대각 A라인, 수평라인, 후대각 V라인을 상단에만 적용하였다(Guk, 2023c). 두상 하단 영역을 두상시술각도 90°, 길이는 네이프 포인트(nape point)를 기준점으로 10 cm, 20 cm, 15 cm로 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창의적인 헤어 커트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와 목적이 있다.
Methods1. 측정하는 도구 및 방법1) 측정하는 도구예비실험을 통해 본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용된 가발은 m사(Korea)의 35 cm 마네킹 가발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두상시술각도는 각도계(Starbox, Kore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모발 길이측정도구에는 디지털 자(Bluetec, Korea; BL-DM)를 사용하였다. 커트 한 후에는 지정된 거리 1 m에서 카메라(Galaxy s21; Samsung, Korea)로 앞모습, 옆모습 및 뒷모습을 촬영하여 제시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되었던 커트 도구에는 분무기, 핀셋, 커트 가위, 커트 빗을 사용하였고 모발 결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 헤어 드라기와 롤 브러시 3호 그리고, 플랫 아이론을 이용하여 연출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커트 기법은 블런트 기법이다.
2) 측정하는 방법(1) 두상의 블로킹두상영역분할을 제시한 표는 Table 1과 같다.
센터 포인트(center point, C. P.)-네이프 포인트(nape point, N. P.)까지 정중선으로 연결하였고, 탑 포인드(top point, T. P.)-이어 포인트(ear point, E. P.)까지 측중선으로 나누어 4등분하였다.
본 연구의 두상 분할은 Guk (2022a)를 참고하였으며 예비실험을 통해 골든 포인트(G. P.), 백 포인트(back point, B. P.), 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G. B. M. P.) 3개의 지점과 이어 포인트(E. P.)를 선정하였다.
첫째 분할, 센터 포인트(C. P.)-이어 포인트(E. P.)-골든 포인트(G. P.)를 G1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나머지 골든 포인트(G. P.)-네이프 포인트(N. P.)를 G2로 명명하였다.
둘째 분할, 센터 포인트(C. P.)-이어 포인트(E. P.)-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G. B. M. P.)를 GBM1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나머지 골든백 미디엄 포인트(G. B. M. P.)-네이프 포인트(N. P.)를 GBM2로 명명하였다.
셋째 분할, 센터 포인트(C. P.)-이어 포인트(E. P.)-백 포인트(B. P.)를 B1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나머지 백 포인트(B. P.)-네이프 포인트(N. P.)를 B2로 명명하였다.
3개의 두상영역분할과 3개의 슬라이스 라인인 A라인, V라인, 평행라인으로 총 9개의 작품을 완성시켰다.
(2) 슬라이스 라인V라인은 사이드 코너 포인트(side corner point, S. C. P.)-이어 포인트(E. P.) 3 cm 올라간 지점에서 V라인으로 커트하였다. V라인 또는 후 대각 및 후 경사의 특징은 측면에서 커트를 시작한 것이 오차를 줄이는 방식이다(Guk, 2022a).
A라인은 이어 포인트(E. P.)-사이드 코너 포인트(S. C. P.)에서 3 cm 올라간 지점에서 커트하였다.
평행라인은 이어 포인트(E. P.)-사이드 코너 포인트(S. C. P.)에서 2 cm 올라간 지점에서 수평라인 또는 평행으로 커트하였다.
(3) 모발의 길이작품의 길이는 네이프 포인트(nape point)에서 Kwon et al. (2010)가 발표한 미디엄 길이 15 cm를 중심으로 10 cm, 20 cm, 15 cm로 출발하였다.
(4) 시술 각도시술 각도는 Jang & Jung (2021)를 참고하였다. 두상 상단 G1, GBM1, B1은 높은 볼륨감을 표현하기 위해 두상시술각도 75°로 정하였다. 두상 하단 G2, GBM2, B1은 율동감을 표현하기 위해 두상시술각도 90°로 정하였다.
2. 하이 그래쥬에이션과 유니폼 레이어 커트의 두상영역분할 및 슬라이스 라인, 길이에 따른 형태 변화
Kwon et al. (2010)가 제시한 미디엄 길이 15 cm를 기준으로 네이프 포인트(N. P.)에 10 cm, 15 cm, 20 cm로 출발하였다. 두상영역 분할은 골든 포인트(G. P.), 백 포인트(B. P.), 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G. B. M. P)를 기점으로 두상 위를 상단, 두상 아래를 하단으로 구분하였다. 두상 상단은 하이 그래쥬에이션 커트로 두상시술각도 75°, 하단은 유니폼 레이어 커트로 모두 동일한 두상시술각도 90°를 적용하였다(Guck, 2023c). 슬라이스 라인은 A라인, 평행라인, V라인을 두상 상단에만 사용하였다(Guck, 2023c). 커트 한 후에는 마무리로 헤어드라이기와 롤 브러시 및 매직 기구를 이용하여 모발 결을 가볍게 연출하였다. 촬영을 위해 뒤 배경을 하얀색 바탕으로 한 뒤 1 m 지정된 거리에서 앞과 옆과 뒷모습을 촬영하여 제시하였다. 작품에 사용된 기법으로 블런트 기법을 사용하였고 빗질은 직각 빗질을 하였으며 베이스는 해당사항이 없다.
변동된 길이 실증을 나타내기 위해 센터 포인트(C. P.), 탑 포인트(T. P.), 센터 탑 미디엄 포인트(center top medium point, C. T. M. P.), 탑 골든 미디엄 포인트(top golden medium point, T. G. M. P.), 골든 포인트(G. P.), 백 포인트(B. P.), 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G. B. M. P.), 프런트 사이드 포인트(front side point, F. S. P.), 사이드 코너 포인트(S. C. P.)의 길이 값을 측정하여 제시하였다.
Results and Discussion1. G존 하이 그래쥬에이션과 유니폼 레이어 커트 길이, 두상영역분할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형태 변화1) G존 하이 그래쥬에이션과 유니폼 레이어 커트 길이, 두상영역분할 또는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전개 표헤어커트 전개 표란 헤어디자인을 구상하고 계획하며, 시술하는 방법 및 과정을 말한다(Jung, 2016). 커트한 각 작품의 전개 표는 Table 2에 표시하였다.
두상영역분할을 상단과 하단으로 나누었다. 센터 포인트(C. P.)-이어 포인트(E. P.)-골든 포인트(G. P.)를 기점으로 위를 상단 G1으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나머지를 G2로 명명하였다. 커트시작은 네이프 포인트(N. P.)에서 10 cm, 두상 하단의 시술각도는 두상시술각도 90°, 두상 상단의 시술각도는 두상시술각도 75°를 적용하였다. 슬라이스 라인 A라인, 평행라인, V라인을 상단에만 적용하였다. 커트 기법으로 블런트 기법을 사용하였다.
2) G존 하이 그래쥬에이션과 유니폼 레이어 커트 길이, 슬라이스 라인 및 두상영역분할에 따른 시술 결과혼합한 커트 작품의 시술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앞모습을 보면 V라인은 얼굴라인으로 갈수록 모발 길이가 짧아져 앞머리 형태 즉, 바람머리 커트 스타일로 관찰되었다. 또한 얼굴 라인이 가장 많이 보여 시원한 느낌으로 관찰되었다. A라인은 얼굴라인으로 갈수록 모발 길이가 길어져 차분함, 세련된 층진 단발 형태로 나타났다.
옆모습을 보면 옆면(측면)과 뒷면(후면) 두상 위는 하이 그래쥬에이션 커트로 매끄러운 질감 형태 및 거친 질감 형태가 동시에 나타나 볼륨감과 무게선이 관찰되었다. 두상 아래는 유니폼 레이어의 둥근 형태로 무게선이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두상 상단은 하이 그래쥬에이션 커트 하단은 유니폼 레이어로 서로 연결되지 않게 나타났다.
뒷모습을 보면 V라인은 모발 길이가 짧아 율동감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A라인은 모발 길이가 가장 길어 자연스러운 커트 스타일로 나타났다. 뒷면(후면)의 커트 선은 옆면(측면)의 슬라이스 라인과 연결되게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Jang & Jung (2020)는 레이어 커트는 모발 길이가 모두 동일하여 둥근 형태로 역동적과 가벼움을 동시 나타낸다고 한 결과와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2. GBM존 하이 그래쥬에이션과 유니폼 레이어 커트 길이, 두상영역분할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형태 변화1) GBM존 하이 그래쥬에이션과 유니폼 레이어 커트 길이, 두상영역분할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전개 표두상영역분할을 두상 상단과 하단으로 나누었고 커트한 전개 표는 Table 4와 같다.
센터 포인트(C. P.)-이어 포인트(E. P.)-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G. B. M. P.)를 기점으로 두상 상단은 GBM1존으로 명명하였고, 두상 하단은 G2존으로 명명하였다. 두상 상단은 두상시술각도 75°로 슬라이스 전대각 A라인, 수평라인, 후대각 V라인으로 커트하였다. 두상 하단은 두상시술각도 90°로 커트하였다. 커트의 출발점은 네이프 포인트(N. P.)에서 15 cm로 시작하였다.
2) GBM존 하이 그래쥬에이션과 유니폼 레이어 커트 길이, 두상영역분할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시술 결과두상 상단 두상시술각도 75°로 슬라이스 라인을 전대각 A라인, 수평라인, 후대각 V라인으로 커트하였다. 두상 하단은 두상시술각도 90°로 혼합한 커트 작품의 시술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앞모습을 보면 슬라이스 A라인은 얼굴 라인으로 갈수록 모발 길이는 길어져 차분함, 가름한 형태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V라인은 얼굴 라인으로 갈수록 모발 길이는 짧아져 귀여움, 발랄한 형태로 뒷면(후면)과의 길이와 가장 차이가 많이 나타났다.
옆모습을 보면 두상 상단은 하이 그래쥬에이션 커트로 매끄러운 형태와 거친 형태가 혼합하여 무게선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두상 하단은 모발 길이가 같은 유니폼 레이어 커트로 둥근 형태, 가벼움, 무게선이 관찰되지 않았다. A라인은 옆면(측면)의 모발 길이가 가장 길어 얼굴형이 작게 보이고, V라인은 옆면(측면)의 모발 길이가 가장 짧아 얼굴형이 크게 관찰되었다.
뒷모습을 보면 슬라이스 라인 전대각 A라인은 옆면으로 갈수록 모발 길이가 길어져 부피감, 무게감, 팽창감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두상 위는 하이 그래쥬에이션 커트로 매끄러운 질감, 거친 질감, 무게선이 나타났으나 두상 아래는 유니폼 레이어 커트로 무게 선은 없고 율동감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Guk (2022a) 연구에서 A라인은 뒷면(후면)보다 옆면(측면)으로 갈수록 모발 길이가 길어져 무게감, 부피감, 팽창감을 증진시킨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도 마찬가지로 관찰되었다.
3. B존 하이 그래쥬에이션과 유니폼 레이어 커트 길이, 두상영역분할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형태 변화1) B존 하이 그래쥬에이션과 유니폼 레이어 커트 길이, 두상영역분할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전개 표커트한 작품의 전개 표는 Table 6과 같다.
두상영역분할을 센터 포인트(C. P.)-백 포인트(B. P.)-이어 포인트(E. P.)를 기점으로 위를 두상 상단 B1로 명명하였고, 아래를 두상 하단 B2로 명명하였다. 두상 상단은 하이 그래쥬에이션 커트로 두상 시술각도 75°, 슬라이스 라인은 전대각 A라인, 수평 라인, 후대각 V라인으로 커트하였다. 두상 하단은 모두 동일한 길이 유니폼 레이어 커트로 두상시술각도 90°이다. 커트의 출발점은 네이프 포인트(nape point)에서 20 cm로 커트를 시작하였다.
2) B존 하이 그래쥬에이션과 유니폼 레이어 커트 길이, 두상영역분할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시술 결과혼합한 커트 작품 시술 결과는 Table 7과 같다.
앞모습을 보면 슬라이스 후대각 V 라인은 얼굴 라인으로 갈수록 모발 길이가 짧아졌고, 뒷면(후면)과 모발 길이 차이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그로 인해 귀여움, 발랄한 형태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전대각 A라인은 얼굴라인으로 갈수록 모발 길이가 길어져 그로 인해 차분함과 가름한 형태로 관찰되었다. 또한 뒷면(후면)하고 별로 차이가 나지 않아 어색하게 느껴졌다.
옆모습을 보면 두상 하단은 유니폼 레이어 커트는 둥근 형태로 율동감이 나타났으며, 그로 인해 무게선이 나타나지 않았다. 두상 상단은 하이 그래쥬에이션 커트로 매끄러운 질감이 다른 블록에 비해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그 이유는 두상영역분할을 가장 아래쪽에 두었기 때문이다.
뒷모습을 보면 두상영역분할을 백 포인트를 기점으로 두상 상단은 하이 그래쥬에이션 커트로 매끄러운 질감은 많고 중간에 무게선 및 거친 질감은 조금 나타났다. 두상 하단은 유니폼 레이어 커트로 율동감과 둥근 형태 그리고 무게선이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는 Guk (2022c)는 그래쥬에이션 커트는 매끄러운 질감과 거친 질감이 동시에 나타나고, 층이 겹겹이 쌓여 무게 선을 형성한다고 하였는데 이와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4. 하이 그래쥬에이션 커트와 유니폼 레이어 커트의 길이, 두상영역분할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길이 변화혼합하여 제작한 커트한 길이 변화는 Table 8과 같다.
두상영역분할 시 모발 길이가 길었을 경우 두상 상단의 포인트 지점을 위로 두는 것이 발랄함과 산뜻함을 연출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분할 포인트 지점이 내려갈수록 즉, 상단의 길이는 길어져 이로 인해 차분함, 무게감, 부피감, 팽창감이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결과로는 Guk (2023b) 연구에서는 두상영역분할 시 상단이 내려갈수록 팽창감, 무게감 및 부피감이 증가한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이와 비슷한 결과로 관찰되었다.
슬라이스 전대각 A 라인은 얼굴 앞모습으로 갈수록 모발 길이가 길어지므로 팽창감, 가름함 및 차분함을 증가시킨다. 반면 슬라이스 후대각 V 라인은 얼굴 라인으로 갈수록 모발 길이가 짧아진다. 그러므로 얼굴 라인과 목선을 보이게 하여 발랄함, 귀여움 및 상쾌함을 연상시키며 안 말음의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결과로는 Guk (2023a) 슬라이스 후대각 V 라인은 얼굴 라인으로 갈수록 V라인이 뚜렷해지고, 볼륨감과 안 말음 효과가 있다고 하는데 이는 본 연구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네이프 포인트(N. P.)에서 모발 길이가 길면 전체적인 길이가 길어진다. 그러므로 무게감, 부피감, 팽창감, 차분함 및 가름함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반면 중간 길이가 15 cm로 하면 모발 길이가 짧아져 발랄함, 상쾌함, 경쾌함을 줄 수 있다. 또한 전대각 A라인은 센터 포인트의 모발 길이가 가장 길고, V라인은 센터 포인트의 모발 길이가 가장 짧다.
이와 같은 결과로 Kim (2016) 연구에서 전 대각 A라인은 센터 포인트의 모발 길이가 가장 길고, 후대각 V라인은 센터 포인트의 모발 길이가 가장 짧다고 하였는데 이는 본 연구와 같은 결과로 관찰되었다.
유니폼 레이어 커트는 모든 모발의 길이가 동일하므로 둥근 형태, 역동적, 율동감 및 무게선이 없다. 하이 그래쥬에이션 커트는 겹겹이 층을 이루기 때문에 가지런한 질감, 매끄러운 질감 및 거친 질감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와 비슷한 결과로는 Jang & Jung (2019) 연구에서 하이 그래쥬에이션 커트는 모발의 겹쳐짐이 적어 입체감과 볼륨감을 주기에 미디엄 그래쥬에이션 커트가 적합하다고 하였는데, 본 연구도 이와 유사하게 이루어졌다.
Conclusion본 연구는 하이 그래쥬에이션 커트와 유니폼 레이어 커트의 혼합 형태이다. 길이 및 두상영역분할,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연구 결론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지난 연구(Guck, 2023c)에서 보다 모발 길이가 짧아진 관계로 전체적으로 발랄함, 상쾌함, 경쾌한 이미지가 관찰되었다. 모발 길이는 전체적인 이미지를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둘째, 유니폼 레이어 커트는 모든 면이 동일하여 둥근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역동성과 율동감 및 무게선이 없는 특징을 갖고 있다. 같은 유니폼 레이어 커트라도 모발 길이가 길면 늘어진 관계로 무게감, 부피감, 팽창감이 증가하는 반면 모발 길이가 짧아지면 율동감, 리듬감, 생동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모발성질과 나이에 맞는 길이 선정은 매우 중요한 요소라고 판단된다.
셋째, 하이 그래쥬에이션 커트는 층이 겹겹이 쌓여 무게선이 있고, 매끄러운 질감, 가지런함 및 거친 질감을 동시에 나타난다. 또한 하이 그래쥬에이션 커트에서 모발 길이가 중간이면 슬라이스 전대각 A라인은 부피감, 무게감, 팽창감, 가름함이 증가한다. 반면 후대각 V라인은 얼굴 쪽으로 갈수록 모발 길이가 짧아져 볼륨감, 생동감, 발랄함이 증가한다. 얼굴형에 맞게 디자인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똑같은 두상영역분할과 슬라이스 라인을 하더라도 모발 길이가 짧아지면 무게감, 부피감, 팽창감이 감소한다. 두상영역분할을 골든 포인트 지점 위로 두고 모발 길이가 10 cm 일 때 유니폼 형태의 가벼운 질감과 율동감이 제대로 관찰되었다.
다섯째, 두상 형이 동그란 형태는 탑 포인트 지점의 모발 길이를 짧게 하면 가름함, 볼륨감, 리듬감, 율동감, 생동감을 줄 수 있다. 두상 형이 긴 형태는 옆면 즉 사이드 포인트를 부풀리는 것이 두상 형을 보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커트와 파마를 할 때 이를 적용하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여섯 째, 헤어 커트 시 자르는 것보다 빗질이 더 중요하다. 또한 몸의 위치와 손동작도 매우 중요한 요소로 차지한다. 빗질을 할 때 뿌리 모근에서부터 정확하게 꼼꼼히 빗질하는 것이 커트 잘 하는 비법이라고 판단되고 커트 할 구역을 자를 때마다 몸의 위치가 정면에 서야 시술해야 커트의 실수와 오차를 줄일 수 있다고 시사한다.
일곱 째, 커트 시술할 때 두상 형이 튀어나온 지점은 가장 실수하기가 좋은 구역이다. 예를 들어 탑 포인트, 골든 포인트 구역을 커트 시 모발 섹션을 더 세밀하게 나누고, 생각했던 길이보다 4-5 cm 이상의 길이를 해야 실수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사이드 코너 포인트, 이어 포인트, 이어 백 포인트 즉 평평한 지점을 커트할 경우는 무게선이 많아진다. 그러므로 질감 처리를 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커트 선을 창출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상으로 하이 그래쥬에이션 커트와 유니폼 레이어 커트의 길이 및 두상영역분할과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디자인 형태 변화를 실증하여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골든 포인트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는 유니폼 레이어의 형태가 나타났는데 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부터는 분할이 내려간 관계로 유니폼 레이어의 둥근 형태 및 거친 질감이 제대로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길이가 길수록 유니폼의 형태가 덜 관찰되었다. 둘째, 하이 그래쥬에이션 커트는 매끄러운 질감과 거친 질감 및 볼륨감, 생동감을 상징한다. 모발의 길이가 길면 전체적으로 무게감과 팽창감이 증가하여 하이 그래쥬에이션 커트의 느낌을 살리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발길이는 두상분할, 각도, 슬라이스 라인보다 막강한 파워를 가지고 있다. 커트 출발 시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할 만큼 신중하게 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넷째, 사진을 촬영하는 계절, 시간대, 날씨에 따라서 어두운 명암과 밝음 명암의 음영이 다르다. 또한 드라이 연출을 할 때마다 손동작과 머리 형태선이 다르다. 이는 또한 불가항력적인 요소로 사료된다. 다섯째, 슬라이스 라인의 기울기 및 각도, 각각의 포인트 지점을 측정하는 헤어 디자이너에 따라 길이가 1-3 cm 다를 수가 있다. 이는 몸의 위치 및 길이를 측정하는 사람에 따라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여섯째, 가발 소재와 실제 고객 모발 성질은 다르다. 즉 가발은 모든 굵기가 동일하고 모량이 일정하다. 그러나 고객 모발은 모량이 작고 많으며 곱쓸의 유무, 붙은 모발, 굵은 모발, 뜨는 모발의 성질이 다르므로 가발로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헤어 커트 시 표준화되고 체계적인 커트디자인을 정립할 수 있다. 그리고 헤어미용 산업현장에서 실수를 줄일 수 있는 예방차원으로 정확한 헤어 커트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유니폼 레이어의 가벼운 질감을 얻기 위해 모발 길이는 10 cm 가 가장 이상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두상영역분할을 골든 포인트 지점에 두어야 아래 유니폼 레이어의 가벼움 질감이 효과적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헤어 커트를 잘 하려면 세밀함과 꼼꼼한 빗질, 다양한 고객 모발의 경험, 얼굴형 및 두상 형에 대한 경험에서 비롯하여 꾸준하고 지속적인 재교육이 필요하다.
향후에는 이를 바탕으로 고객 얼굴형과 두상 형 그리고 모발의 굵기를 대입하여 헤어 커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NOTESTable 2.
Table 4.
Table 6.
Table 8.ReferencesGuk HR. Shape changes in bob with head partition location, temporal head, and head slice lin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8: 742-749. 2022a.
Guk HR. The design type of the top of the head division location and slice line in two bloc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8: 1023-1030. 2022b.
Guk HR. Shape changes of slice parallel line and preferential angle line asymmetry cut according to head area division, length, angle and slice line.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20: 519-530. 2022c.
Guk HR. Design form by right diagonal line asymmetrical cut according to head region division, angle and slice line.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21: 59-70. 2023a.
Guk HR. Design form of graduation and incremental layer cut according to segmentation of head regions, slice line and angle.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21: 71-82. 2023b.
Guk HR. Design shape of combining the uniform layer cut and graduated cut according to the length, head area division, and slice line. Asian Journal Beauty and Cosmetology 21: 405-416. 2023c.
Ha SK, Youn CS. A study on the Korean style hair cut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3: 1001-1014. 2017.
Ha SK, Youn CS. A study on the haircut section divi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 71-83. 2019.
Hwang EH, Youn CS. Factor in the beauty industry s service and returning customer satisfaction research on the impact of contact. Journal of Beauty Industry 5: 5-20. 2011.
Jang SM, Jung WJ. Shape change according to the mixing of forward and rear slope slice lines in the graduation haircut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7: 375-385. 2019.
Jang SM, Jung WJ. Changes in shape of to the combination of a one-length cut and a medium-graduation cut according to segmentation of head regions and slice line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8: 221-233. 2020.
Jang SM, Jung WJ. Changes in haircut shapes by mixing medium-graduation haircut and length haircut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head and slice lines during hair cutting I.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9: 183-191. 2021.
Jung WJ. An empirical study of the graduation cut on the basic haircut. Journal of Beauty Industry 10: 47-62. 2016.
Jung WJ, Youn CS. Factors of form change by hair-cu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14: 893-899. 2008.
Kim HM, Lee JS. A study on the male hair cut section divis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3: 811-823. 2017.
Kim SH. A study on form changes of hair styles after adjustment in hair cut section line and combination posi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1: 1173-1181. 2015.
Kim SH. A study on hair style changes by changes in the volume of hair cut blocks, hair length and section line in hair cut: focusing on one length cut and increase layered cu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2: 1341-1351. 2016.
Kwon OH, Park EJ, Chung SM, Kim KY. Investigation into perception and necessity of hair length’s standard point in hair cut education.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6: 131-139. 2010.
Moon SJ, Jung WJ. Changes in shape line and length in accordance with inclination of slice line in one-length cu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4: 743-751. 2018.
Son JY, Kim HS. Image perception on face shape and hair style depending on perceivers’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12: 107-124. 2011.
Yang MY, Park SK. The study on the hair design avail of round head-shape and area.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3: 5-12. 200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