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방법본 연구의 조사 대상자는 수도권 대학교에서 뷰티 관련 수업을 듣고 있는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2024년 9월 첫째 주부터 셋째 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257부 가운데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250부만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학습몰입을 통해 재방문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기 위해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25.0) 프로그램 분석을 실시하였다.
Abstract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the educator’s communication style on learning flow and class satisfaction.
MethodsThe subjects of this study surveyed students taking beauty-related classes at universities in a metropolitan area for three weeks from the first to the third week of September 2024, and only 250 copies of the 257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25.0) program to find out how the educator’s communication style affects the class satisfaction through learning flow.
ResultsAmong the educator’s communication styles, the professional type and the trust type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flow, and the professional type and the cooperative type had a positive effect on class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higher the learning flow, the more positive it had on class satisfaction, and it was analyzed that learning flow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trust, and cooperative communication styles and class satisfaction.
ConclusionIt is essential to develop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and maintain up-to-date knowledge regarding course subject matter, as the professional style positively affects learning flow and class satisfaction. The trust-oriented style enhances the learning flow, while the cooperative style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class satisfaction. Therefore, an educator’s communication style and expertise are critical to improving educational quality.
Introduction수업에서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언어를 통한 표현과 상호 의사를 전달하는 방식 등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학습의 결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Lee et al., 2021).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공유하려고 하는 내용이 어떻게 이해되고 해석되는지에 대해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으로 상호작용하는 패턴을 의미한다(Norton, 1978).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은 교육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인 중에 하나이다(McCroskey et al., 2004).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교육환경, 교육과정, 커뮤니케이션, 교육효과의 관계 등을 연구하는 분야를 교육 커뮤니케이션이라고 하며,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한 요인이라는 인식 하에 교육학과 커뮤니케이션의 학문이 융합된 분야라 할 수 있다(Friedrich, 1989).
커뮤니케이션 실행 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 의미의 전달 방법은 커뮤니케이션 스타일로 정의한다(Norton & Pettegrew, 1979).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타인 수용 능력과 자기 주장 능력으로 분류하였고(Williams & Spiro, 1996), Lawson (2011)의 연구에서는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을 통제형과 정보제공형으로 구분하였다. Norton (1983)은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을 극단적, 지배적, 활기찬, 편안한, 인상적, 주의적, 친근한, 개방적, 논쟁적의 9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였으며, Ben-Sira (1980)은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을 협력형과 통제형으로 분류했고 Dwyer et al. (1987)은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을 전문형과 신뢰형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서로에 대한 인식 간의 불일치를 감소시켜 줌으로써 관계 형성에서 관계 몰입과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용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유의한 커뮤니케이션은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의 태도를 긍정적이고 능동적으로 갖게 하여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Kim & Kim, 2020), 피부관리사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중에서 전문성, 신뢰, 배려, 협력은 고객 만족과 재방문의도를 높인다고 하였고(Lee & Jung, 2017), 뷰티 관련 교수자의 즉시성과 타인 배려는 학습 효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Yoo, 2020).
대학교 수업에서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의 차이에 따라서 학습자가 교수자에 대해 전반적인 수업 만족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중요한 요인을 차지한다. 교육현장에서는 수업 내용에 대한 전문분야의 지식, 전문성 등으로 인해 주로 교수자에 의해 수업이 이루어지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어떤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보다 효과적인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뷰티 관련 교육현장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아직 관련 연구는 매우 제한적으로 진행되었고, 대학의 교육서비스 품질을 높이기 위해 해당 분야와 관련된 다양한 변수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뷰티 관련 수업에서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학습몰입 및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수업에서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이 수업만족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의 매개변수로서 학습몰입이 어떤 역할을 하는가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하며 분석된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필요성을 위해 관련 연구를 토대로 실증연구에서 분석해야 할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1. 뷰티관련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전문형, 신뢰형, 협력형, 통제형)은 학습자의 학습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2. 뷰티관련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전문형, 신뢰형, 협력형, 통제형)은 학습자의 수업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3. 학습몰입은 수업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4. 학습몰입은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전문형, 신뢰형, 협력형, 통제형)과 수업만족과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Methods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본 연구의 대상자는 수도권 대학교에서 뷰티관련 수업을 듣고 있는 재학생을 대상으로 2024년 9월 첫째 주부터 셋째 주까지 3주 동안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257부 중에서 정규성 입증이 어려운 설문지를 제거하고 250부를 실증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2. 분석방법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5; IBM, USA) 통계프로그램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연구대상자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주요 변수인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학습몰입, 수업만족 항목에 대한 구성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내적 일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연구주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학습몰입 및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학습몰입이 매개하는지 매개효과에 대해 분석하기 위해 Bootstapping을 활용한 95% 신뢰구간을 측정하여 검증하였다.
3. 설문지 구성본 연구에서 측정도구로 사용된 설문지는 일반적인 특성과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학습몰입, 수업만족으로 구성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으로는 성별, 학년의 2가지 항목을 명목척도로 측정하였다.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Lee & Park (2014), Seo (2002), Yan et al. (2011)의 연구를 토대로 하여 뷰티관련 교육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전문형 6개 문항, 신뢰형 5개 문항, 협력형 7개 문항, 통제형 6개 문항을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학습몰입은 Kim (2024), Lee (2020a)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5개 문항에 대해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수업만족은 Choo (2019), Lee (2020b)의 연구를 토대로 뷰티관련 교육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6개 문항에 대해 5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Results1. 인구 통계적 특성연구대상자의 표본 집단은 Table 1과 같다. 수도권 대학교에서 뷰티디자인 관련 수업을 듣고 있는 재학생을 대상으로 여성은 150명(60.0%), 남성은 100명(40.0%)의 비율로 나타났다. 학년은 1학년 92명(36.8%), 2학년 75명(30.0%), 3학년 45명(18.0%), 4학년 38명(15.2%)으로 나타났다.
2.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본 연구에서는 변수의 개념을 측정하기 위해 기존의 문헌을 토대로 도출하였고,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위해 Cronbach’s α와 탐색적 요인분석을 시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문항이 요인분석에 적합한지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KMO값을 산출하고 Bartlett 검정을 실시하였다.
1)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의 24개의 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평가는 Table 2와 같다. 요인계수는 최소 0.670에서 최대 0.925로 나타났고 이는 0.6 이상으로 각 요인의 타당성이 보장되고 있다. 신뢰도 분석 결과 Cronbach’s α 값은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의 전문형은 0.940, 신뢰형은 0.895, 협력형은 0.942, 통제형은 0.852로 모두 0.7 이상으로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학습몰입학습몰입의 5개 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의 분석은 Table 3과 같다. 요인계수는 최소 0.812에서 최대 0.945로 나타났고 이는 0.6이상으로 각 요인의 타당성이 보장되고 있다. 신뢰도 분석 결과 Cronbach’s α 값은 0.937로 0.7 이상의 결과가 나왔으므로 신뢰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3) 수업만족수업만족의 6개 문항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의 검증은 Table 4와 같다. 요인계수는 최소 0.871에서 최대 0.939로 나타났고 이는 0.6 이상으로 각 요인의 타당성이 보장되고 있다. 신뢰도 분석 결과 Cronbach’s α 값은 0.954로 0.7 이상의 결과가 나왔으므로 신뢰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3. 연구가설의 검증1)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학습자의 학습몰입과의 관계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학습자의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은 Table 5와 같다. 전체적인 모형의 설명력은 40.7%로 유의하게 나타났다(F=41.955, p<0.001).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의 하위 요인별 영향력을 살펴보면 전문형(β=0.349, p<0.001)과 신뢰형(β=0.284, p<0.01)은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협력형(β=0.50), 통제형(β=0.055)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중에서 협력형과 통제형보다는 교수자의 전문형과 신뢰형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학습자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학습자의 수업만족과의 관계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수업만족 간의 관계는 Table 6과 같다.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모형 설명력은 52.0%로 유의하게 나타났다(F=66.395, p<0.001).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의 하위 요인별 영향력을 살펴보면 전문형(β=0.438, p<0.001)과 협력형(β=0.215, p<0.05)은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신뢰형(β=0.131), 통제형(β=0.016)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중에서 신뢰형과 통제형보다는 교수자의 전문형과 협력형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수업만족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3) 학습몰입과 수업만족과의 관계 분석 결과학습몰입과 수업만족과의 영향에 대한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Table 7과 같다. 학습몰입이 수업만족에 미치는 모형의 전체 설명력은 62.6%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F=415.056, p<0.001). 따라서 학습몰입은 수업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β=0.791, p<0.001). 이러한 결과는 학습자의 학습몰입이 높을수록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학습몰입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수업만족과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에 대한 분석 결과는 Table 8과 같다.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중에서 전문형(0.2750-0.4287), 신뢰형(0.2927-0.4439), 협력형(0.2592-0.4011)은 학습몰입을 매개로 하여 수업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제형은 학습몰입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습몰입이 p<0.001에서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중에서 전문형, 신뢰형, 협력형과 수업만족 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수로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Conclusion본 연구는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학습자의 학습몰입 및 수업만족과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수업만족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학습몰입 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중에서 전문형과 신뢰형은 학습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수자가 학습자의 질문에 잘 설명해주고 가능한 많은 정보를 제공해주며, 지속적으로 전문지식과 기술을 개발하고 수업에 관한 최신 지식과 정보를 갖고 있는 것이 학습자의 학습몰입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고, 또한 이와 더불어 교수자는 수업에서 수업방식에 확실성이 있고 학습자의 인격을 존중하며 전공분야에 전문가라는 신뢰성을 갖게 할 때 학습몰입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는 선행 연구(Lee & Lee, 2013; Ko, 2021)를 지지하는 결과로 본 연구를 통해 두 요인 간의 관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수업만족 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중에서 전문형과 협력형은 수업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ee & Jung (2017)와 Lee et al. (2021)의 연구 결과와 대체로 유사한 결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교수자가 전문적인 정보를 제공해주고 가능한 필요로 하는 많은 정보를 주는 등의 전문형 스타일과 함께 학습자의 이해수준을 파악하고 이해하기 쉬운 언어를 사용하며 사소한 의견에도 경청해주는 등의 협력형 스타일이 수업만족을 높인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학습몰입과 수업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습몰입이 높을수록 수업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Kim (2015), Jun & Kim (2024)의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이 연구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학생들의 학습몰입을 높이고 이를 통해 수업만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교수자는 학생들이 수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학습 환경을 조성해주고 최적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겠다.
넷째,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수업만족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전문형, 신뢰형, 협력형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수업만족 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중에서 전문형, 신뢰형, 협력형은 수업만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학습몰입을 통해 더 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중에서 전문형은 학습자의 학습몰입과 수업만족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교수자는 지속적으로 전문지식과 기술을 개발하고 수업에 관한 최신 지식과 정보를 갖고 있는 것이 학습자의 학습몰입과 수업만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 중에서 신뢰형은 학습자의 학습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협력형은 학습자의 수업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학습몰입이 높을수록 수업만족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므로 학습자가 교수자에 대한 믿음과 신뢰를 가질 수 있도록 수업방식에 확실성을 보여주고 상호작용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공감대를 형성한다면 수업만족도가 높아질 것이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교수자의 능력과 교육품질에 대한 기존 연구를 보다 확대하여 보여주고 있다. 교수자는 전공분야에 대한 전문성은 물론 중요하지만 이외에도 학습자와의 소통,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도 중요한 요소가 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이 학습몰입과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도권에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정하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전국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에 따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독립변수를 커뮤니케이션 스타일로 진행하였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교육서비스품질 등의 다른 변수로 수업만족과의 관계를 분석한다면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Table 1.Participant demographics
Table 2.Communication style factor analysis Table 3.Learning flow factor analysis Table 4.Class satisfaction factor analysis Table 5.Impact of communication on learning flow Table 6.Impact of communication on class satisfaction Table 7.Impact of learning flow on class satisfaction
Table 8.Mediating effect analysis ReferencesBen-Sira Z. Affective and instrumental components in the physician-patient relationship: an additional dimension of interaction theory.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1: 170-180. 1980.
![]() ![]() Choo NY. The effect of instructor’s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on instructor evaluation and class satisfaction in college physical activity clas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8: 141-150. 2019.
![]() Dwyer FR, Schurr PH, Oh S. Developing buyer-seller relationships. Journal of Marketing 51: 11-27. 1987.
![]() ![]() Friedrich GW. A view from the office of the SCA president. Communication Education 38: 297-302. 1989.
![]() Jun JH, Kim HR. The influence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non-face-to-face practical classes on learning flow and education satisfaction: focused on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Sport 22: 99-108. 2024.
![]() Kim AL. The impact of teacher-student communication satisfaction on learning engagement, attitudes and achievement in vocational high school design education.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25: 77-91. 2024.
![]() Kim EJ. Examining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for learning engagement and satisfaction. Asian Journal of Education 16: 107-129. 2015.
![]() Kim JS, Kim HS. Beauty college instructor’s communication competence affect learner’s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6: 103-113. 2020.
![]() Ko IT. The impact of professor's communication style about university general physical activity classes on commitment and satisfaction.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30: 769-779. 2021.
![]() Lawson RJ. Concepts of ability and their effect on approaches to learning and motivational orientation. International Review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1: 30-46. 2011.
Lee HY, Jung YJ. The effects of estheticians’ communication styles on customer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3: 276-288. 2017.
Lee JE. The effects of university's learning influencing factors on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lass commitment.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25: 83-100. 2020a.
Lee KH, Lee G, Shin DJ. The effect of lectures’ communication style on learner motivation and satisfaction in online instruction at the college level. The Journal of Studies in Language 37: 197-212. 2021.
Lee M. The effects of professor’s communication on emotional response and class satisfaction: a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s.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Research 24: 517-539. 2020b.
![]() Lee SH, Park MG.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style of hotel employee on consumer satisfac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rapport. Academy of Customer Satisfaction Management 16: 179-197. 2014.
Lee SH, Lee HR.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style of hotel superior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rapport.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6: 49-70. 2013.
McCroskey JC, Valencic KM, Richmond VP. Toward a general model of instructional communication. Communication Quarterly 52: 197-210. 2004.
![]() Norton MB, Pettegrew L. Attentiveness as a style of communication: a structural analysis. Communication Monographs 46: 13-26. 1979.
![]() Norton RW. Foundation of communication style constrict.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4: 99-112. 1978.
Seo PS. The impact of doctor’s communication styles on patient satisfaction: empirical examination. Korean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7: 57-101. 2002.
Williams S, Weinman J, Dale J. Doctor-patient communication and patient satisfaction: a review. Family Practice 15: 480-492. 1996.
![]() ![]() Yan GH, Park YK, Kim YH. The effect of doctor’s communication styles on rapport, trust and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Studies 19: 41-57. 2011.
Yoo AJ. The influence of instructor’s communication style on student’s learning effec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student’s learning attention. Journal of Beauty Art Management 14: 1-20. 202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