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용학과 NCS 기반 학습의 학습체계, 직무능력,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Learning System, Job Competency, and Curriculum of College of Beauty and NCS-based Learning
美容专业NCS基础的学习体系, 职务能力, 教育课程的研究
Article information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실무교육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지는 미용학과의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기반 학습의 학습체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학습체계가 직무능력과 교육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NCS 교육에 대한 정보와 학문적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서울, 경기도 지역의 전문대학, 대학교, 평생교육원 미용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통해 수집된 자료 211부는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22.0을 통해 분석되었다.
결과
연구결과 NCS 학습체계가 직무능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체계가 교육과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학습체계가 직무능력과 교육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으로는 첫째, 취업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고 현장학습이 자연스럽게 취업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둘째,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이론 교과목 보다는 실습이 요구되는 교과목 위주의 차별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Trans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earning system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based learning in the beauty department, which focuses on practical education,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learning system on job competency and the curriculum in order to provide effective NCS education information and academic data.
Methods
The data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or 211 beauty department students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s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22.0.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NCS learning system had significant effects on job competency, and the learning system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curriculum. Therefore, the learning system is an important variable affecting job competency and curriculum.
Conclusion
The following ar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irst, the fear of employment should be eliminated and field learning should be naturally linked to employment. Secon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NCS-based curriculum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curriculum, which requires practice rather than a theoretical curriculum.
Trans Abstract
目的
美容专业注重实践教育, 通过调查国家职务能力标准National Competency Standards(NCS)的基础学习体系, 探讨学习体系如何影响职务能力和教育课程, 为课程提供有效的NCS教育信息和学术资料。
方法
对首尔、京畿道地区的专科大学、本科以及终生教育院的美容专业学生为对象, 通过问卷调查收集211份资料, 利用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SPSS)22.0分析其数据。
结果
NCS学习体系对职务能力有显著影响, 同时对教育课程也具有显著影响。因此学习体系是职务能力和教育课程的重要变量。
结论
通过研究, 第一, 消除就业恐惧, 自然连接实习与就业。第二, 为提高NCS基础教育课程管理的有效性, 有必要提供实习课程为主的差别化战略, 而不是理论课程。
Introduction
산업현장에서 요구되는 능력개발을 위해 정부에서는 과정평가형 자격 제도, 일학습병행 자격 제도 등을 도입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고등직업교육기관인 대학교에서는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사업의 일환으로 대학교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기반 직업 교육과정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Lee & Park, 2016). NCS는 현장성을 강화하고 산업현장의 직무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지식·기술·소양 개발, 핵심 역량으로서의 직업기초능력 개발, 학습자의 진로개발 역량과 생애 학습능력증진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Lee, 2016), 2014년 도입 이후 교육과정 개발 및 교재개발, 전공 관련 시설 및 설비 확보 등에 꾸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Ham et al., 2016).
NCS는 기존의 이론중심 수업 방식에서 벗어나 산업계 수요를 반영한 실무 능력 중심 수업으로의 전환이라는 큰 변화를 요구한다. 특히 실무과목의 경우 2016년부터 NCS 학습모듈을 수업에서 활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어(Hahm & Park, 2015), 전문교과 교사들과 학생들이 새로운 수업 실행과 관련해서 가지는 관심은 매우 클 것으로 예상된다.
NCS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Joo & Kim (2016)은 전문대학 학생들에게 직접 적용하여 NCS 직업기초능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Son (2016)은 NCS 적용교과목과 미적용 교과목에 대한 만족도를 비교하여 NCS 적용 교과목의 만족도가 더 크다는 결론을 도출해 냈으며, Oh (2016)는 NCS 기반 교과목에 대한 학습자 만족에 대해 연구하여 NCS 기반 교과목의 만족도가 높다는 결론과 함께 학습자 만족을 제고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교수자의 사전준비와 피드백을 제시하였다.
이렇듯 NCS 기반 교육은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실정이며 안정화 되기 위해 시행착오를 겪는 과정 속에 있다. 개인의 경력개발과 국가차원의 인적 자원 개발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NCS 과정 연구는 계속 이루어져야 하며 교육과정과 직무능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특히 미용학과는 현장성을 중요시 여기는 대표적인 전공과목으로 교과목의 대부분이 실무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나(Jung & Park, 2017; Kim & Kim, 2015), 취업 후에 다시 재교육을 받아야만 하는 경우가 많고, 학교에서 배운 직무능력이 산업현장의 수요와 일치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어 NCS기반 교육의 필요성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미용학과 학생들의 NCS 기반 교육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미용학과의 NCS 학습체계에 대해 파악하여 이를 지원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무교육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지는 미용학과를 대상으로 하여 NCS 기반 학습의 학습체계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학습체계가 직무능력과 교육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효과적인 NCS 교육에 대한 정보와 학문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Methods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전문대학, 대학교, 평생교육원 미용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자료의 수집방법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이 사용되었으며, 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통해 연구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자료가 수집되었다. 2017년 3월 1일부터 3월 15일까지 총 20부의 예비조사를 통해 측정도구인 설문지의 구성과 내용을 수정 및 보완한 후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2016년 3월 16일부터 2016년 3월 30일까지 실시되었고 총 23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수거된 220부의 설문지 중 분석에 사용되기 불충분하다고 판단되는 9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211부가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되었다.
2. 측정항목 및 내용
본 연구는 자료의 수집을 위해 설문지법이 사용되었다. 설문 문항은 크게 일반적 특성, 학습체계, 직무능력, 교육과정의 48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명목척도와 리커트 척도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모든 리커트 척도는 ‘1: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5:매우 그렇다’까지의 5점 리커트 척도가 사용되었다. 설문지의 구체적인 내용은 Table 1과 같다.
3. 분석방법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연구문제를 검정하기 위해 SPSS 22.0 (IBM, USA)이 사용되었고, 자료의 분석방법은 연구문제에 맞게 순차적으로 적용되었으며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하였다. 둘째, 학습체계, 직무능력, 교육과정의 차원을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하였으며 요인적재값은 0.40 이상을 기준으로 하였고, 신뢰도 값은 0.50 이하이면 변수로서 받아들일 수 없는 것으로 보았다. 요인의 추출방법으로 주성분분석법이 사용되었고, 요인의 회전방법으로는 베리맥스(varimax)가 사용되었다. 셋째, 학습체계가 직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학습체계가 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독립변수의 투입방법으로 입력 방법이 사용되었으며, 유의구간은 0.05 이하이다.
Results and Discussion
1.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의 일반적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성별은 남자 35.0%, 여자 65.0%로 여자가 높게 나타났고, 교육기관은 전문대학 62.5%, 대학교 33.2%, 평생교육원 4.3%로 전문대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공은 헤어 59.2%, 메이크업 19.9%, 피부 13.3%, 네일아트 4.7%, 기타 2.8%로 헤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공 선택 이유로는 적성에 맞아서 52.1%, 부모님이나 지인 권유 13.7%, 학교나 학원 선생님의 권유 3.3%, 취업이 잘될 것 같아서 5.7%, 창업이 쉬울 것 같아서 4.3%, 멋있어 보여서 0.9%, 기술을 배우고 싶어서 13.3%, 기타 6.6%로 적성에 맞아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미용교육 시 가장 중요한 요인을 알아본 결과 실기테크닉 37.0%, 전문적인 이론 지식 10.0%, 서비스 및 인성 교육 23.2%, 미용현장에 대한 적응능력 16.1%, 창의성 5.7%, 미용인의 자긍심과 사명감 8.1%로 실기테크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적절한 교육자 학력으로는 고등학교 졸업 3.3%, 전문대 졸업 22.3%, 대학교 졸업 37.0%, 대학원 졸업 8.5%, 상관없다 28.9%로 대학교 졸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2. 학습체계, 직무능력, 교육과정의 타당성 및 신뢰도
학습체계, 직무능력, 교육과정 문항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도 검증을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이다. 학습체계는 Table 3과 같이 교육체계, 실습장비, 학습모듈의 세 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약 70.8%, 신뢰도계수는 0.886 이상으로 나타났다. 직무능력은 Table 4와 같이 직무적합도, 직무활용도의 두 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약 71.8%, 신뢰도계수는 0.889 이상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은 Table 5와 같이 교육의 질, 교육인식, 교육연계의 세 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전체설명력은 약 71.2%, 신뢰도계수는 0.843 이상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고유값은 1.0 이상, 요인적재치와 공통성은 0.4 이상으로 하고 각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들을 토대로 하여 요인을 명명하였다.
3. 학습체계가 직무능력에 미치는 영향
학습체계가 직무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는 Table 6과 같다. 직무적합도는 교육체계, 실습장비, 학습모듈에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체계, 실습장비, 학습모듈 변수가 직무적합도 요인을 예측하는데 26.4%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교육체계(p <0.001), 실습장비(p <0.001), 학습모듈(p <0.001) 변수가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체계, 실습장비, 학습모듈이 높아질수록 직무적합도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각 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교육체계(β=0.411), 학습모듈(β=0.290), 실습장비(β=0.256) 순으로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활용도는 교육체계, 실습장비, 학습모듈에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체계, 실습장비, 학습모듈 변수가 직무활용도 요인을 예측하는데 38.2%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교육체계(p <0.001), 실습장비(p <0.05), 학습모듈(p <0.001) 변수가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체계, 실습장비, 학습모듈이 높아질수록 직무활용도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각 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교육체계(β=0.517), 학습모듈(β=0.363), 실습장비(β=0.110) 순으로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NCS 기반 학습체계가 직무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며 산업체 현장실습과 취업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Jeong et al. (2016)의 NCS 기반 교육과정과 비 NCS 기반 교육과정의 취업효과 크기비교 연구에서 NCS 기반 교육과정을 수료한 학생의 취업효과가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높음을 밝혔고, NCS 기반 학습이 직무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 언급하였다. Yoo & Kim (2016)의 연구에서는 지식, 기술, 능력을 잘 활용할수록 혁신적인 행동을 하게 되고 직무 적합성이 높아진다고 나타나 본 연구 결과를 뒷받침 해주고 있다.
4. 학습체계가 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
학습체계가 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는 Table 7과 같다. 교육의 질은 교육체계, 학습모듈에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체계, 학습모듈 변수가 교육의 질 요인을 예측하는데 34.2%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교육체계(p <0.001), 학습모듈(p <0.001) 변수가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체계, 학습모듈이 높아질수록 교육의 질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각 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교육체계(β=0.457), 학습모듈(β=0.387) 순으로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장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교육인식은 교육체계, 학습모듈에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체계, 학습모듈 변수가 교육인식요인을 예측하는데 11.4%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교육체계(p <0.001), 학습모듈(p <0.05) 변수가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체계, 학습모듈이 높아질수록 교육인식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각 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교육체계(β=0.324), 학습모듈(β=0.156) 순으로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습장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교육연계는 교육체계, 실습장비, 학습모듈에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체계, 실습장비, 학습모듈 변수가 교육연계 요인을 예측하는데 11.5%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교육체계(p <0.001), 실습장비(p <0.05), 학습모듈(p <0.001) 변수가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육체계, 실습장비, 학습모듈이 높아질수록 교육연계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각 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교육체계(β=0.252), 학습모듈(β=0.242), 실습장비(β=0.149) 순으로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NCS 기반 학습체계가 교육과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나타내며 특히 교육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은 실습장비보다는 교육체계나 학습모듈에 더욱 큰 비중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Yun & Kim (2017)의 NCS 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에서 NCS 기반 학습에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교육의 질을 꼽았고 Kim et al . (2015b)은 NCS 교육전문가의 역할로 산업체와의 교육연계를 중요한 요인으로 보아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Conclusion
본 연구는 대학교 미용학과 학생들의 NCS 학습체계가 직무능력과 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 경기도 지역의 미용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통해 수집된 자료 211부는 SPSS 22.0을 통해 분석되었고 적용된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은 여성이 높았고, 교육기관은 전문대학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공은 헤어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전공 선택 이유로는 적성에 맞아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미용교육 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는 실기테크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적절한 교육자 학력으로는 대학교 졸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습체계, 직무능력, 교육과정을 요인분석 한 결과, 학습체계는 교육체계, 실습장비, 학습모듈의 세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고, 직무능력은 직무적합도, 직무활용도의 두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교육과정은 교육의 질, 교육인식, 교육연계의 세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셋째, 학습체계가 직무능력의 하위요인인 직무적합도와 직무활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체계가 교육과정의 하위요인인 교육의 질, 교육인식, 교육연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대학교 미용학과 학생들의 NCS 학습체계가 직무능력과 교육과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시사점으로는 첫째, 현장학습 경험을 늘려 취업이 수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결과에서 현장실습과 산업체 연계가 직무능력과 교육의 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이 현장학습 경험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동시에 취업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고 싶어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현장학습 경험을 늘려 자연스럽게 취업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둘째, 현장성 있는 학습모듈을 개발해야 한다. 학습모듈도 직무능력과 교육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 실무내용과 경험을 반영하여 수료 후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 구성요소들로 이루어진 학습모듈 개발이 필요하다.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이론 교과목 보다는 실습이 요구되는 교과목 위주의 차별화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부 지역의 미용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표본구성을 했으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시키는데 제한점을 가질 수 있으나, 본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변수를 세분화하여 후속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