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용전공 대학생의 온라인 강의 질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강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Online Lectures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Lectur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在线讲座质量与学术自我效能感对美容专业大学生讲座满意度的影响

Article information

Asian J Beauty Cosmetol. 2022;20(2):193-202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2 June 29
doi : https://doi.org/10.20402/ajbc.2022.0010
Department of Hair Design, College of Beauty and Arts, Seokyung University, Seoul, Korea
김우빈, 박정은, 임윤경, 박은준,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 헤어디자인학과, 서울, 한국
*Corresponding author: Eun-Jun Park, Department of Hair Design, College of Beauty and Arts, Seokyung University, 124 Seogyeong-ro, Seongbuk-gu, Seoul 02713, Korea Tel.: +82 2 945 7823 Fax: +82 2 945 7823 Email: ayamdream@hanmail.net
Received 2022 February 9; Revised 2022 June 6; Accepted 2022 June 8.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미용전공 대학생의 온라인 강의 질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강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결과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은 여성, 학년은 1학년, 전공은 헤어전공, 대학 소재지는 수도권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타당성 및 신뢰도는 온라인 강의 질이 수업내용, 상호작용, 학습환경의 세 개의 요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과제난이도선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의 세 개의 요인, 과제만족도는 교수자만족도, 전반적만족도의 두 개의 요인이 되출되었으며, 미용전공 대학생의 온라인 강의 질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강의만족도의 교수자만족도, 전반적만족도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가 미용대학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미용대학에서는 온라인 강의를 진행 할 때 강의 질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계획하고 진행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rans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nline lecture qua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lectur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nd were subsequently analyzed using the Social Science Statistics Package (SPSS) 22.0.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Most survey participants from the studied college evinced the following general characteristics: female first-year hair majors residing in a metropolitan area.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online lecture quality were determined via three factors: class content, interaction, and learning environment. Academic self-efficacy was ascertained through three factors: task difficulty preference, confidence, and self-regulation effectiveness. Finally, task satisfaction was established through the two elements of overall contentment and instructor approval. The study found that online lecture qua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exerted a positive (+) significant effect on lecture satisfactio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represent basic data for use in the development of beauty colleges, which should plan and implement measures to improve lecture qua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during the delivery of online classes.

Trans Abstract

目的

本研究旨在调查在线讲座质量和学术自我效能感对美容专业大学生讲座满意度的影响。

方法

数据来自美容专业的大学生,随后使用社会科学统计软件包(SPSS)22.0进行分析。进行了频率、因素、可靠性和回归分析。

结果

来自所研究大学的大多数调查参与者表现出以下一般特征: 居住在大都市地区的女性第一年头发专业。在线讲座质量的效度和信度取决于三个因素:课堂内容、互动和学习环境。学术自我效能感通过三个因素确定: 任务难度偏好、信心和自我调节有效性。最后,任务满意度是通过整体满意度和教师认可两个要素来建立的。研究发现,美容专业大学生的在线讲座质量和学术自我效能感对讲座满意度产生正向(+)显着影响。

结论

本研究结果有望代表美容院校发展的基础数据,应规划和实施提高在线课程授课质量和学术自我效能的措施。

Introduction

현재 COVID-19확산으로 인하여 대부분의 교육기관이 대면 강의와 함께 비대면 강의인 온라인 강의를 진행하고 있다. 특히 대학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 및 디지털 시대를 배경으로 미래교육의 혁신 과제와 맞물려 더욱 적극적으로 온라인 강의에 대한 확대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Noh et al., 2021). 이에 온라인 강의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습자의 다양한 요구를 파악하고 온라인 수업의 다양화와 이에 알맞은 플랫폼을 제공하고 실효성 있는 강의를 설계하고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Kim & Kang, 2021).

본 연구는 온라인 강의에서 학습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 중 강의 질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요인이 학습자의 강의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이란 학습자가 학업적 계획을 세우고 이를 실천하는 행동에 있어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을 뜻하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은 학습자는 어려운 문제가 나와도 포기하지 않고 과제를 계속해서 수행한다(Yoon & Choi, 2021).

온라인 강의 질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Baik (2020)은 전국의 항공서비스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교육의 만족도를 강의의 질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으로 나누어 연구하여 강의의 질, 학업적 자기효능감, 강의만족도 간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Lee (2020)는 전문대학교 조리실습 과목을 중심으로 비대면 온라인 교육의 질, 학업성취, 학습만족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하여 온라인 수업의 질과 학습 만족과의 관계에서 정(+)의 영향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Chung (2020)은 대학생의 비대면 교양체육 수업의 질, 부정적 학습감정, 수업만족도간 경로를 연구하여 수업의 질이 부정적 학습 감정인 화, 불안, 지루함에 모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Choi & Km (2019)은 교수자의 피드백 제공여부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수업참여, 학업적 자기조걸, 학업성취도간의 관계를 연구하여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Kwon & Kim (2013)은 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으며, Joo et al. (2008)은 사이버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온라인 과제가지와 만족도 및 성취도간의 관계를 연구하여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온라인 과제가지의 세 변인 모두 사이버대학생의 만족도와 성취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온라인 강의 질,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미용전공 대학생의 온라인 강의 질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강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미용전공 대학생의 온라인 강의 질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강의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하여 학문적으로 관련성을 규명하고 미용대학의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실증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Methods and Materials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전국에 거주하는 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2021년 10월 29일부터 11월 29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200부를 배포하여 연구자가 직접 수집하였고, 200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2. 측정도구

1) 설문지 구성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측정도구 내용은 총 4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첫 번째 일반적 특성 관한 문항은 명목 척도로 성별, 학년, 전공, 대학 소재지의 4문항으로 연구자가 구성하였고, 두 번째 온라인 강의 질에 대한 13문항은 Choi et al. (2017)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 문항을 참고하여 연구자가 재구성하였으며, 세 번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11문항은 Kim & Lee (2020), Park (2017), Jeong (2021)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 문항을 참고하여 재구성하였다. 네 번째 강의만족도에 대한 8문항은 Shin (2015)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문항을 참고하여 재구성하는 등 총 3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 사용된 모든 리커트 척도는 '1: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5: 매우 그렇다'까지의 5점 리커트 척도가 사용되었다.

2) 자료분석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여 연구 문제를 검정하기 위해 SPSS 22.0이 사용되었고, 자료의 분석방법은 연구 문제에 맞게 순차적으로 적용되었으며,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분석을 하였다.

둘째, 온라인 강의 질, 학업적 자기효능감, 강의만족도의 차원을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의 추출방법으로 주성분분석법이 사용되었고, 요인의 회전 방법으로는 Varimax가 사용되었다.

셋째, 온라인 강의 질이 강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넷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강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Results and Discussion

1.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는 Table 1과 같다. 성별은 여성 70%, 남성 30%로 여성이 높게 나타났다. Kwon & Song (2015)의 Holland 진로성격유형에 따른 미용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 및 진로성숙도 분석연구에서 빈도분석을 한 결과 남성보다 여성이 높게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함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아직 미용을 전공하는 대학생들은 남성의 비율보다 여성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학년의 경우 1학년이 5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은 2학년 35%, 3학년 15% 순으로 나타났다. 전공은 헤어전공 73%, 메이크업전공 27%로 헤어전공이 높게 나타났다. 대학 소재지를 알아본 결과 수도권 70%, 비수도권 30%로 수도권이 높게 나타났다.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2. 온라인 강의 질, 학업적 자기효능감, 강의만족도의 타당성 및 신뢰도

1) 온라인 강의 질의 타당성 및 신뢰도

온라인 강의 질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 한 결과 Table 2와 같이 세 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 결과 χ2=1979.181 (df=78, Sig=0.000), KMO값 0.895로 나타났으며, 공통성은 0.705이상으로 나타났다.

Dimensions of online lecture quality

첫 번째 요인은 '수업내용'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786-0.823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3.847, 분산설명비율은 29.5%로 나타났다. 두 번째 요인은 '상호작용'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749-0.863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3.315, 분산설명비율은 25.5%로 나타났다. 세 번째 요인은 '학습환경'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753-0.780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2.781, 분산설명비율은 21.3%로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 도출된 세 개의 요인이 전체 분산의 76.4%이상 설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검증 결과, 세 요인 모두 신뢰도 계수인 Cronbach's α가 0.880-0.910로 나타나, 신뢰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타당성 및 신뢰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 한 결과 Table 3과 같이 세 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 결과 χ2=1419.495 (df=55, Sig=0.000), KMO값 0.819로 나타났으며, 공통성은 0.496이상으로 나타났다.

Dimensions of academic self-efficacy

첫 번째 요인은 '과제난이도선호'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815-0.897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3.393, 분산설명비율은 30.8%로 나타났다. 두 번째 요인은 '자신감'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534-0.885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2.551, 분산설명비율은 23.1%로 나타났다. 세 번째 요인은 '자기조절효능감'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769-0.824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2.301, 분산설명비율은 20.9%로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 도출된 세 개의 요인이 전체 분산의 74.9%이상 설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검증 결과, 세 요인 모두 신뢰도 계수인 Cronbach's α가 0.809-0.908로 나타나, 신뢰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강의만족도의 타당성 및 신뢰도

강의만족도 문항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 한 결과 Table 4와 같이 두 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Bartlett의 단위행렬 점검 결과 χ2=1493.422 (df=28, Sig=0.000), KMO값 0.888로 나타났으며, 공통성은 0.700이상으로 나타났다.

Dimensions of lecture satisfaction

첫 번째 요인은 '교수자만족도'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758-0.855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3.757, 분산설명비율은 46.9%로 나타났다. 두 번째 요인은 '전반적만족도' 요인으로 요인적재값은 0.666-0.853로 나타났으며, 고유값은 2.714, 분산설명비율은 33.9%로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 도출된 두 개의 요인이 전체 분산의 80.8%이상 설명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검증 결과, 두 요인 모두 신뢰도 계수인 Cronbach's α가 0.858-0.944로 나타나, 신뢰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온라인 강의 질이 강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온라인 강의 질이 강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는 Table 5와 같다. 강의만족도의 교수자만족도 요인은 온라인 강의 질의 수업내용, 상호작용 요인이 유의미하게(p<0.001)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업내용, 상호작용 변수가 교수자만족도 요인을 예측하는데 21.6%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수업내용(β=0.381), 상호작용(β=0.281) 순으로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업내용, 상호작용이 높아질수록 교수자만족도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online lecture quality on lecture satisfaction

강의만족도의 전반적만족도 요인은 온라인 강의 질의 학습환경, 상호작용 요인이 유의미하게(p<0.001)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습환경, 상호작용 변수가 전반적만족도 요인을 예측하는데 12.7%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학습환경(β=0.298), 상호작용(β=0.216) 순으로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습환경, 상호작용이 높아질수록 전반적만족도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Joo et al. (2012)의 연구에서 강의의 질이 온라인 강의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4.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강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강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는 Table 6와 같다. 강의만족도의 교수자만족도 요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선호, 자신감 요인이 유의미하게(p<0.001)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선호, 자신감 변수가 교수자만족도 요인을 예측하는데 20.7%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자기조절효능감(β=0.340), 과제난이도선호(β=0.234), 자신감(β=0.219) 순으로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선호, 자신감이 높아질수록 교수자만족도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Analysis of the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on lecture satisfaction

강의만족도의 전반적만족도 요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과제난이도선호 요인이 유의미하게(p<0.001)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과제난이도 선호 변수가 전반적만족도 요인을 예측하는데 9.1%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수의 영향력을 살펴보면 자기조절효능감(β=0.200), 자신감(β=0.187), 과제난이도선호(β=0.171) 순으로 유의미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기조절효능감, 자신감, 과제난이도선호가 높아질수록 전반적만족도도 높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Baik (2020)의 연구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과목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Conclusion

본 연구는 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강의 질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강의만족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여 미용대학의 경쟁력을 높이고 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전국에 거주하는 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을 통해 수집된 자료 200부는 SPSS 2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은 여성, 학년은 1학년, 전공은 헤어전공, 대학 소재지는 수도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설문문항들을 요인분석한 결과 온라인 강의 질은 수업내용, 상호작용, 학습환경의 세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고 전체 설명력은 76.4%이상, 신뢰도계수는 0.880이상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과제난이도선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의 세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고 전체 설명력은 74.9%이상, 신뢰도계수는 0.809이상으로 나타났다. 강의만족도는 교수자만족도, 전반적만족도의 두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고 전체 설명력은 80.8%이상, 신뢰도계수는 0.858이상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강의 질이 강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한 결과 온라인 강의 질이 강의 만족도의 교수자만족도, 전반적만족도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강의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한 결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강의만족도의 교수자만족도, 전반적 만족도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미용전공 대학생들을 위한 온라인 강의에서는 강의 질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학생들의 강의만족도를 높이는 방법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의 결과가 미용대학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라며, 본 연구는 미용전공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표본을 구성했으므로 연구 결과를 일반화 시키는데 제한점이 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다른 전공의 대학생을 비교 분석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Notes

Author's contribution

JEP, WBK, YKL and JEP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JEP wrote a paper, WBK processed statistics, and YKL organized a questionnaire. JEP coached all of this.

Author details

Woo-Been Kim (Adjunct Professor), Department of Hair Design, College of Beauty and Arts, Seokyung University, 124 Seogyeong-ro, Seongbuk-gu, Seoul 02713, Korea; Jung-Eun Park (Adjunct Professor), Department of Hair Design, College of Beauty and Arts, Seokyung University, 124 Seogyeong-ro, Seongbuk-gu, Seoul 02713, Korea; Yun-Kyung Lim (Adjunct Professor), Department of Hair Design, College of Beauty and Arts, Seokyung University, 124 Seogyeong-ro, Seongbuk-gu, Seoul 02713, Korea; Eun-Jun Park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Hair Design, College of Beauty and Arts, Seokyung University, 124 Seogyeong-ro, Seongbuk-gu, Seoul 02713, Korea.

References

Baik YJ.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eaching qua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e-learning lecture satisfaction: for airline flight attendant department students. Journal of Hotel & Resort 53:365–382. 2020;
Choi HJ, Kim NR. Effects of teacher’s feedback on academic self-efficacy, class participation, academic self-regul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959–979. 2019;
Choi KM, Baek JE, Kim KH. Effects of lecture quality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on learning satisfac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role of academic self-efficacy.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31–150. 2017;
Chung TR. The effect of personal training studio customer's character traits on participation satisfaction and behavior intention. The Korean Journal of Sport 18:509–519. 2020;
Jeong JS. Analysis of variables affecting the academic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in remote lectures due to COVID-19.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021.
Joo YJ, Chung AK, Lim EG. The prediction of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flow, academic stress, and emotional exhaustion on course satisfaction of cyber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5:61–69. 2012;
Joo YJ, Kim NY, Cho HK.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online task value and self-regulated learning, and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cyber education.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Information and Media 14:115–135. 2008;
Kim BM, Kang YW.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lass quality, self-efficacy, learner loyalty, and differences between majors and part-time job activities for online lecture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30:703–717. 2021;
Kim KH, Lee GH.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 among self-directed learning, learning flow,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key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28:117–143. 2020;
Kwon ES, Song JH. Analysis of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degre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ccording to holland occupational personality type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3:85–93. 2015;
Kwon JH, Kim KH. The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on school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 focusing the mediated effect of self-reregulated learning. Forum For Youth Culture 35:31–38. 2013;
Lee SH. Verification of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untact online educ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to prepare for post COVID: focused on cooking practice courses at college. Journal of Foodservice Management 100:229–252. 2020;
Noh IK, Song S, Kim M. Learners’ perceptions toward quality of online education and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online learning: a comparison between open university and regular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17:157–178. 2021;
Park SR. Factors of improving vocabulary & reading proficiency for college students : focusing on academic self-efficacy.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7.
Shin YM. The effect of instructors' response behaviour against students’questions on satisfaction on the online universities lectures: a learning analytics approach. Master’s thesis, Ewha Women University, 2015.
Yoon JW, Choi CG.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 efficacy on essential skills and academic performance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607–621. 2021;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Items Total
Frequency (N) Percentage (%)
Gender Men 60 30.0
Women 140 70.0
School year First-grade 100 50.0
Second-grade 70 35.0
Third graders 30 15.0
Major Hair major 146 73.0
Makeup major 54 27.0
Location of college Capital area 140 70.0
Non-capital region 60 30.0
Total 200 100.0

Table 2.

Dimensions of online lecture quality

Questions related to the quality of online lectures Factor 1
Factor 2
Factor 3
Commonality
Class content Interaction Learning environment
The lesson content was appropriate for the achievement of the learning goal. 0.823 0.235 0.256 0.798
Most of the class content can stimulate my motivation for learning. 0.817 0.138 0.179 0.719
The class content was appropriate in terms of study materials and learning quantity. 0.812 0.207 0.170 0.731
The learning activities were systematically arranged and were described in the lecture plan. 0.797 0.206 0.201 0.718
The class objectives were clearly presented. 0.786 0.220 0.216 0.713
In general, the class environment made students feel free to express opinions and ask questions. 0.155 0.863 0.186 0.804
Assignments and discussions were usually conducted so students could actively interact with fellow learners in the classroom. 0.337 0.834 0.173 0.840
My responses (questions or opinions) received quick and accurate feedback in class. 0.120 0.757 0.377 0.730
The professor faithfully conducted lectures, provided learning management, and offered guidance to students. 0.342 0.749 0.210 0.800
The lecture proposal was generally disclosed in class. 0.336 0.006 0.780 0.720
The classroom size and educational environment were apt for class progress. 0.233 0.280 0.757 0.705
Learner-professor and learner-learner interaction tools (café, blog, SNS, e-mail, etc.) were appropriately used. 0.213 0.370 0.754 0.835
The classroom environment (necessary equipment, multimedia apparatus, PowerPoint presentations, etc.) was suitable for class progress. 0.174 0.382 0.753 0.831
Eigenvalue 3.847 3.315 2.781
Distributed description (%) 29.594 25.502 21.390
Cumulative description (%) 29.594 55.096 76.486
Reliability (Cronbach's α) 0.910 0.904 0.880

Table 3.

Dimensions of academic self-efficacy

Questions related to academic self-efficacy Factor 1
Factor 2
Factor 3
Commonality
Task difficulty preference 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I have fun confronting complex and difficult problems. 0.897 0.055 0.139 0.826
I like subjects that require intensive thinking from me even if the learning takes a lot of time. 0.826 0.204 0.217 0.771
I enjoy difficult problems even if I fail and like undertaking tasks that other friends cannot solve. 0.822 0.095 0.266 0.756
I prefer solving difficult problems rather than easy ones even if my answers are a little wrong. 0.815 0.351 0.139 0.806
I feel no anxiety even when a test approaches. -0.024 0.885 0.259 0.851
My emotions don’t change even during exam time. 0.190 0.860 0.113 0.788
I don't mind making mistakes in class. 0.364 0.610 0.325 0.610
Before taking a test, I think I will do well on it. 0.341 0.534 0.131 0.496
I can accurately judge what I know and what I don't know from what I learned in class. 0.120 0.311 0.824 0.790
I can understand what is important and what I don't know in class. 0.166 0.313 0.820 0.797
I can easily link learning newly acquired in class with what I already know. 0.302 0.016 0.769 0.753
Eigenvalue 3.393 2.551 2.301
Distributed description (%) 30.848 23.188 20.919
Cumulative description (%) 30.848 54.036 74.955
Reliability (Cronbach's α) 0.908 0.809 0.831

Table 4.

Dimensions of lecture satisfaction

Questions related to academic self-efficacy Factor 1
Factor 2
Commonality
Teacher satisfaction Overall satisfaction
The instructors promoted learning activities and motivated them. 0.855 0.376 0.872
The instructor's lecture was enthusiastic. 0.840 0.313 0.803
The instructor provided relevant data for learning. 0.807 0.317 0.825
The instructor gave feedback on my learning activities (e.g., assignments, questions and answers, etc.). 0.760 0.355 0.784
The instructor provided helpful information for my learning activities. 0.758 0.391 0.815
I think the lectures were generally related to my academic development. 0.338 0.853 0.842
I think the lectures helped me improve my overall college experience. 0.384 0.826 0.830
I would like to take additional courses or advanced courses related to these lectures. 0.306 0.666 0.700
Eigenvalue 3.757 2.714
Distributed description (%) 46.962 33.924
Cumulative description (%) 46.962 80.886
Reliability (Cronbach's α) 0.944 0.858

Table 5.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online lecture quality on lecture satisfaction

Subordinate variable (lecture satisfaction) Independent variable (The quality of online lectures) Coefficient (B) Standard error of the coefficient (SE B) β t p
Teacher satisfaction (Constant) 0.000 0.063 0.000 1.000
Class content 0.381 0.063 0.381 6.065*** 0.000
Interaction 0.281 0.063 0.281 4.476*** 0.000
Adjusted R²=0.216, F =28.408, p =0.000***
Overall satisfaction (Constant) 0.000 0.066 0.000 1.000
Learning environment 0.298 0.066 0.298 4.499*** 0.000
Class contents 0.216 0.066 0.216 3.263** 0.001
Adjusted R²=0.127, F =15.446, p =0.000***
**

p<0.01;

***

p<0.001.

Table 6.

Analysis of the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on lecture satisfaction

Subordinate variable (Lecture satisfaction) Independent variable (Academic self-efficacy) Coefficient(B) Standard error of the coefficient (SE B) β t p
Teacher satisfaction (Constant) 0.000 0.063 0.000 1.000
Self-regulation efficacy 0.340 0.063 0.340 5.393*** 0.000
Task difficulty preference 0.234 0.063 0.234 3.713*** 0.000
Confidence 0.219 0.063 0.219 3.468** 0.001
Adjusted R²=0.207, F =18.301, p =0.000***
Overall satisfaction (Constant) 0.000 0.067 0.000 1.000
Self-regulation efficacy 0.200 0.068 0.200 2.966** 0.003
Confidence 0.187 0.068 0.187 2.762** 0.006
Task difficulty preference 0.171 0.068 0.171 2.526* 0.012
Adjusted R²=0.091, F =7.601, p =0.000***
*

p<0.05;

**

p<0.01;

***

p<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