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머 시술 시 케라틴 전처리제가 손상 모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Keratin Pretreatment on Damaged Hair during Perm Procedure

角蛋白预处理对烫发过程中受损头发的影响

Article information

Asian J Beauty Cosmetol. 2023;21(1):51-58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March 29
doi : https://doi.org/10.20402/ajbc.2022.0074
1Department of Cosmetology Engineering, Konkok University, Seoul, Korea
2Beauty & Cosmetology Major in the School of Fashion and Beauty, Sangji University, Wonju-si, Gangwon-do, Korea
곽은주1, 김주섭2,
1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화장품공학과, 서울, 한국
2상지대학교 패션뷰티학부 뷰티화장품전공, 강원도 원주시, 한국
*Corresponding author: Ju-Sub Kim, Beauty & Cosmetology Major in the School of Fashion and Beauty, Sangji University, 84 Sangjidae-gil, Wonju-si, Gangwondo 26339, Korea Tel.: +82 33 730 0811 Fax: +82 33 730 0814 Email: cmiro@naver.com
Received 2022 September 26; Revised 2023 January 25; Accepted 2023 February 9.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케라틴 용액을 전처리제로 사용시 손상된 모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도포한 용액은 케라틴 50%, 100% 다르게 하여 도포하였다. 손상된 모발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해 모발 인장강도,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광택 측정, 모표피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 SEM 촬영 후 분석을 하였다.

결과

인장강도 측정결과 평균값은 손상모보다 도포한 시료 모두 증가하였고, 통계결과 유의미 한 것으로 차이가 있었다. 흡광도 측정결과 평균값은 손상모 보다는 도포한 시료 모두 감소하였다. 통계 결과는 유의미 한 것으로 차이가 있었다. 광택 측정결과 평균값은 손상모 보다는 도포한 시료 모두 증가하였다. 통계 결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차이가 있었다. 모표피 이미지 분석결과 대조군의 모표피보다 상태가 좋아짐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손상모보다 케라틴 용액으로 도포한 시료의 인장강도, 흡광도, 광택, 모표피 분석 결과 차이를 보여 손상된 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rans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using a keratin solution as a pretreatment agent on damaged hair.

Methods

The solution was applied differently with 50% and 100% keratin. Hair tensile strength, absorbance using methylene blue, and gloss were measured, and analysis was performed aft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photographing to determine the effect on damaged hair.

Results

Tensile strength, absorbance, and gloss measurement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values increased, decreased, and increased for all samples applied rather than for damaged hair, respectively; the statistical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y analyzing the cuticle image, the condition was found to be bett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tensile strength, absorbance, gloss, and hair skin analysis of the specimens applied with keratin solution showed differences, which affected the damaged hair.

Trans Abstract

目的

探讨使用角蛋白溶液作为预处理剂对受损头发的影响。

方法

使用 50%和100%角蛋白的不同溶液。测量毛发拉伸强度、使用亚甲蓝的吸光度和光泽度,并在扫描电子显微镜拍照后进行分析以确定对受损毛发的影响。

结果

拉伸强度、吸光度和光泽度测量结果表明,所有应用的样品的平均值分别增加、减少和增加,而不是受损头发;统计结果显示有显着差异。通过分析角质层图像,发现该状况优于对照组。

结论

涂敷角蛋白溶液的样品的拉伸强度、吸光度、光泽度和毛发皮肤分析均存在差异,影响受损毛发。

Introduction

현대인은 각자의 개성에 따라 자유롭게 본인의 이미지 연출을 한다. 이미지 변화를 주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패션, 헤어스타일 변화 등이 있다. 이 중 헤어스타일 변화를 주는 기법에는 커트, 퍼머, 드라이, 염·탈색 등이 있다. 화학제품을 사용하는 퍼머, 염·탈색은 아름다운 헤어스타일을 변화, 연출할 수 있지만 그에 반에 화학적 원인으로 모발을 손상 시킨다(Kim et al., 2010a). 영구적인 웨이브를 연출하기 위해서는 퍼머 시술 시 환원제와 산화제를 사용해야 한다, 이때 퍼머제의 성분들로 인해 모표피가 팽창되고 시스틴결합이 절단 되는 등의 모발 손상이 일어난다(Kim & You, 2016). 모발 손상은 형태학적 손상으로 모표피 박리, 소실 등이 있고, 모발 내부의 손상으로 천연보습인자, 간충물질 유실에 의한 다공성모, 수분 손실로 인한 건조성모, 케라틴 구조의 약화로 인한 탄력성 저하 등의 손상이 있다(Kim et al., 2010b). 이외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에서 웨이브제의 종류, 도포 시간, 환원제 도포 방법, 퍼머넌트웨이브 시술 전·후의 처리 물질 등이 모발 손상에 영향을 미친다(Jeon et al., 2011). 이로 인해 퍼머로 인한 손상된 모발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 노력이 필요하다. 퍼머와 모발과의 연구로는 홈케어 헤어 트리트먼트 처리에 따른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시 모발에 미치는 영향(Lee & Ko, 2021), 퍼머넌트 웨이브 시술 시 포공영 헤어미스트 전처리에 따른 모발보호효과(Ban & Ko, 2015), 퍼머모의 펌처리 시 지렁이 단백질 자가분해물의 전처리 효과(Seo & Kang, 2016)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퍼머 시술 시 손상을 최대한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과, 성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케라틴 성분을 사용하여 퍼머 작업 시 모발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케라틴은 기본적으로 황(sulfur)을 함유한 섬유 단백질로 피부, 모발, 손톱, 뿔 및 치아 등의 주요 성분으로 케라틴 형성세포(keratinocyte)를 통해 합성되며 일반적인 단백질 분해효소로는 분해되지 않는다(Wang et al., 2016). 케라틴 관련 연구로는 케라틴 펩타이드에 의한 모발 및 두피 특성 변화 연구(Nam, 2019), 반복 염색 시 케라틴 콜라겐 전처리와 헤어클리닉 후처리의 모발 성상 변화에 대한 연구(Kim & Park, 2019), 극성 저분자 케라틴 펩타이드에 의한 피부 탄력 변화 연구(Maeng & Nam, 2020) 등이 있다. 이러한 연구 기반으로 케라틴이 퍼머 시술 시에도 모발 손상에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되어 연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케라틴 성분을 치오글리콜산 퍼머제로 퍼머 시술 시 전처리 하여 손상 모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을 위해 케라틴 용액의 함량을 다르게 하여 사용하였다. 케라틴을 전처리제로 사용시 손상된 모발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 탈색한 손상모에 도포 후 시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비교 분석은 모발의 강도 변화를 알기 위해 인장강도 측정, 모발 표면의 윤기 정도를 알기 위한 광택 측정, 모발 성분의 유실 정도를 알기 위해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측정, 모표피 이미지 관찰을 위해 SEM 측정으로 손상된 모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Methods

1. 실험재료

1) 시료 모발

본 실험에서 사용한 시료 모발은 6개월 동안 화학적 시술(펌이나 염색)을 하지 않은 40대 여성의 모발을 채취하여 사용하였다. 시료의 채취 방법은 두피에서 1.5 cm 떨어진 부분부터 커트하여 모발 끝부분 2 cm를 제외한 21 cm의 모발을 사용하였다. 시료로 채취한 모발은 실험용 피스로 제작하기 위해 3 g씩 나누어 모근 부분의 모발에 3 cm 실리콘 처리하여 3개의 시료 모발을 제작하였다. 탈색모 12레벨 제작은 온도 23.9℃±3℃, 습도 37%±3%의 실내에서 호일을 작업대 위에 펼친 후 그 위에 모발 피스를 놓고 P사의 Bleach Powder 1제와 W사의 산화제 6%를 1:2로 희석하여 실리콘 처리 지점 모발이 시작하는 모근부위로부터 모발 끝까지 도포 후 호일로 감싼 상태에서 10 min 간격으로 재 터치하여 자연방치 30 min 후 중성샴푸를 사용하여 2 min 동안 미온수로 흐르는 물에서 세척 후 24시간 자연건조하였다.

2) 케라틴 혼합 방법

실험에 사용한 케라틴은 NK헤어케어연구소(NK hair & skin, Korea)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전처리제로 사용하기 위해 케라틴 용액 50% (케라틴 용액 50%+정제수 50%) 4 mL, 케라틴 용액 100% 4 mL를 전처리제로 사용하였다.

3) 케라틴 전처리 후 펌 시술 방법

본 연구에서는 퍼머 시술 시 케라틴 전처리제가 손상 모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실내 온도 21.2±3℃, 습도 41%±3%의 실내에서 DKT, DKT1, DKT2는 Thioglycolic acid 환원제를 10 g을 도포하여 시술하였다. 시료 모발을 산성 샴푸로 세척 후 자연 건조하여 수분 30% 정도 남아 있을 때 각 시료 모발을 실리콘 고정 부분을 마네킹 민두에 테이프로 고정하여 DKT 대조군으로 케라틴 전처리를 하지 않은 손상된 탈색모이고, 케라틴 50% 전처리제 4 mL를 DKT1에 도포하였고, 케라틴 100% 전처리제 4 mL를 DKT2에 도포 후 가온처리 16 min 하였다. 그 후 미온수 흐르는 물에 약액이 씻겨 나갈 때까지 헹군 후 타월로 물기만 제거하여 자연건조 하였다. 시료 표기는 Table 1과 같다.

Expression method for samples

4) 측정기기 및 측정방법

(1) 인장강도 측정

손상모에 함량 별로 케라틴 약액을 전처리제로 도포한 시료의 인장강도를 측정 비교하였다. 측정 기기(Digital force gauge, HF-20; Tripod, China)로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모발의 굵기는 0.080-0.085 mm의 모발 가닥을 선별하여 측정하였다. 측정값의 신뢰성을 위하여 7회 측정 후 측정 값 중 최고 값과 최저 값을 제외한 5회의 측정 값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손상모 일 때 인장강도는 감소하고 인장강도는 증가할수록 개선효과가 있다.

(2)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측정

손상모에 함량 별로 케라틴 약액을 전처리제로 도포한 시료를 메틸렌블루(methylene blue)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 비교하였다. 모발의 외경은 마이크로미터(Quickmike, Mitutoyo)를 이용하여 0.080-0.085 mm의 굵기 오차범위를 정하고 4 cm의 길이로 2가닥 잘랐다. 자른 후 2가닥의 모발을 tube에 넣은 후 MB solution에 담가 vortex mixer (Vortex genie 2, Scientific Industries, USA)를 이용하여 10 s동안 vortexing하였다. 50℃ heat block (wise therm HB-48P; Daihan Scientific, Korea)에서 10 min간 유지하여 MB solution을 흡착시키고, tube에 있는 2가닥의 시료를 꺼내어 표면의 MB solution은 제거하고, 시료 2 가닥을 각각 새 tube에 옮겨 담았다. 이 tube에 NR desorb solution을 5 mL를 넣고 상온에서 5 min 방치 후 10 s vortexing 후 추출하였다. 추출한 용액을 큐벳(cuvettes)에 4000 μL 분주하여 MB의 흡수 강도가 높은 파장인 660 nm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1회 추출 후 같은 방법으로 총 2회 분광 광도계(Vis spectrophotometer, SV1200; Azzota, USA)로 흡광도를 측정 총 4회의 값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 시 기준 값을 잡기 위해 desorb solution을 3000 μL 분주하여 blank를 만들어준다. MB 시약은 DW 20 mL+MB 400 μL으로 희석하여 2 %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NR solution은 49 %ethanol (49 mL)+1% glacial aceticacid (1 mL)+50% DW (50 mL)의 비율로 완성하였다. 흡광도 값이 높을수록 손상모이고 값이 낮을수록 개선효과가 있다.

(3) 모발 표면 광택 측정

손상모에 함량 별로 케라틴 약액을 전처리제로 도포한 시료의 광택 변화를 알아보고자 광택계(Gloss meter NHG268; Shenzhen Threenh Technology, China)를 이용하여 측정 비교하였다. 측정값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시료 별로 12회 측정하여 최고 값과 최저값을 제외한 10회의 측정 값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4) SEM을 이용한 모표피 이미지 측정

모발의 모표피 이미지 관찰을 위해 모발의 고정처리 아래를 5 cm로 자른 후 모발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변환시키기 위해 Automatic sputter coater 를 이용하여 약 20 nm 두께로 5 min 진공 코팅을 진행하였다(Lee & Kim, 2008). 코팅된 모발은 SEM을 이용하여 가속 전압 15 kv 조건하에 x1000, x2000, x3000 배율로 확대하여 표면 형상을 관찰하였다.

6) 결과 분석

각 항목의 실험은 광택측정은 10회, 인장강도는 5회 측정, 흡광도는 4회 측정 값으로 대조군과 케라틴 용액을 함량 별로 다르게 도포한 시료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모표피 이미지를 분석을 위해 SEM 촬영을 하였다. 신뢰성과 객관성을 높이기 위한 통계분석을 위해 평균(mean), 표준편차(standard division, SD)를 구하고 사후 검증으로 통계 프로그램인 jamovi 1.2.27 solid를 이용하여 t-tests (Independent sample t-test)로 실시하였고, 유의 수준은 p<0.05 수준에서 검증하였다. 귀무가설은 "무처리와 케라틴 용액 처리모는 차이가 없다" 이고 연구가설은 "무처리와 케라틴 용액 처리모는 차이가 있다"로 하였다.

Results and Discussion

1. 시료 별의 인장강도 측정

대조군과 케라틴 용액을 함량 별로 다르게 도포한 시료 별 인장강도 측정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시료 별로 평균의 차이가 표본을 추출 할 때 발생하는 표본 오차에 의한 차이인지 아니면 모평균 차이에 의한 것이지 판단하기 위해 모든 비교 시료를 t-검정을 통해 검정하였다. DKT와 DKT1 시료의 인장강도 평균 차이는 0.222로 차이가 나고, 통계결과는 유의확률 <0.001로 유의기준 p<0.05보다 작은 값으로 유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KT와 DKT2 시료의 인장강도 평균 차이는 0.280의 차이가 나고, 통계결과 유의확률 <0.001로 유의기준 p<0.05보다 작은 값으로 유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KT1과 DKT2 시료의 인장강도 평균차이는 0.058의 차이가 나고, 통계결과 유의확률 0.132로 유의기준 p<0.05보다 큰 값으로 유의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케라틴 용액으로 도포 한 시료 모두 대조군 인 손상모보다 평균값이 증가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어 귀무가설이 기각되고 연구가설이 채택되어 케라틴 용액 무처리와 케라틴 용액 처리모는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어 케라틴 용액이 손상된 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KT1과 DKT2 비교 분석에서는 평균의 차이는 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어, 도포 시 인장강도 차이는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대조군 인 손상모에 케라틴 용액 도포 시 인장강도가 증가하는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손상모에 땅콩오일 도포 시 인장강도가 증가한다(Kim, 2020a)는 결과와 오트밀 오일 도포 시 인장강도가 증가한다(Kim, 2020b)는 결과와 같음을 알 수 있었다.

Statistical analysis result value of tensile strength (Unit: N)

2. 시료 별의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측정 결과

대조군과 케라틴 용액을 함량 별로 다르게 도포한 시료 별 흡광도 측정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시료 별로 평균의 차이가 표본을 추출 할 때 발생하는 표본 오차에 의한 차이인지 아니면 모평균 차이에 의한 것이지 판단하기 위해 모든 비교 시료를 t-검정을 통해 검정하였다. DKT와 DKT1 시료의 인장강도 평균 차이는 -83.0으로 차이가 나고, 통계결과는 유의확률 <0.001로 유의기준 p<0.05보다 작은 값으로 유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KT와 DKT2 시료의 인장강도 평균 차이는 -162.0의 차이가 나고, 통계결과 유의확률 <0.001로 유의기준 p<0.05보다 작은 값으로 유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KT1과 DKT2 시료의 인장강도 평균차이는 -79.0의 차이가 나고, 통계결과 유의확률 <0.001로 유의기준 p<0.05보다 작은 값으로 유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케라틴 용액으로 도포 한 시료 모두 대조군 인 손상모 보다 평균값이 증가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어 귀무가설이 기각되고 연구가설이 채택되어 케라틴 용액 무처리와 케라틴 용액 처리모는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어 케라틴 용액이 손상된 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KT1과 DKT2 비교 분석에서는 평균의 차이와 통계 결과 유의미하다 는 것을 알 수 있어, 도포 시 흡광도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대조군 인 손상모에 케라틴 용액 도포 시 흡광도가 감소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티트리 오일로 손상모에 도포 시 흡광도가 감소하여 손상된 모발에 영향을 준다(Kim, 2021a)의 결과와 같음을 알 수 있었다.

Statistical analysis result value of optical density (Unit: Abs)

3. 시료 별의 광택 측정 결과

대조군과 케라틴 용액을 함량 별로 다르게 도포한 시료 별 광택 측정 결과는 Table 4와 같다. 시료 별로 평균의 차이가 표본을 추출 할 때 발생하는 표본 오차에 의한 차이인지 아니면 모평균 차이에 의한 것이지 판단하기 위해 모든 비교 시료를 t-검정을 통해 검정하였다. DKT와 DKT1 시료의 인장강도 평균 차이는 0.09로 차이가 나고, 통계결과는 유의확률 <0.001로 유의기준 p<0.05보다 작은 값으로 유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KT와 DKT2 시료의 인장강도 평균 차이는 0.23의 차이가 나고, 통계결과 유의확률 <0.001로 유의 기준 p<0.05보다 작은 값으로 유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KT1과 DKT2 시료의 인장강도 평균 차이는 0.14의 차이가 나고, 통계결과 유의확률 <0.001로 유의기준 p<0.05보다 작은 값으로 유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케라틴 용액으로 도포 한 시료 모두 대조군 인 손상모 보다 평균값이 증가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어 귀무가설이 기각되고 연구가설이 채택되어 케라틴 용액 무처리와 케라틴 용액 처리모는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어 케라틴 용액이 손상된 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DKT1과 DKT2 비교 분석에서는 평균의 차이와 통계 결과 유의미하다 는 것을 알 수 있어, 도포 시 광택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대조군인 손상모에 케라틴 용액 도포 시 광택이 증가하여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위치하젤 오일 도포 시 광택에 영향을 미친다(Kim, 2021b)는 결과와 같음을 알 수 있었다.

Statistical analysis result value of gloss meter (Unit: GU)

4. SEM을 이용한 모표피 이미지 측정 결과

대조군과 케라틴 용액을 함량 별로 다르게 도포한 시료의 모표피 이미지 측정 결과는 Table 5와 같다. DKT모표피는 탈색작업으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큐티클의 박리, 마모되고 큐티클의 눌림, 탈락, 들뜸 상태가 관찰되었고, 큐티클은 힘이 없이 눌린 모습으로 탈색과 펌의 교차작업으로 인하여 큐티클의 탈락, 박리, 마모현상이 현저하게 나타났다. 이는 탈색 헤어의 큐티클의 문리가 심하게 용해된다(Min et al., 2011)라는 결과와 동일할 결과로 탈색으 로 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큐티클은 전체적으로 많이 얇아지고, 큐티클의 탈락 현상이 심하게 나타나 scale도 불규칙하고, 큐티클 표면에는 굴곡 현상도 관찰되었다. DKT1은 들떠 있던 큐티클이 가라앉고, 큐티클이 조금 두꺼워졌으며, 큐티클의 두께 차이가 다른 것이 관찰되었다. 큐티클의 탈락은 DKT보다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DKT2는 큐티클의 두께가 균일하게 두꺼워져 모발 표면이 매끄러워지고 모발의 강도가 증가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지렁이 자가 분해물을 탈색모에 도포 했을 때 모발 표면에 약간의 오구는 관찰되나 전체적으로 매끄러워진 표면을 확인할 수 있다(You & Kang, 2009)는 결과와 같음을 알 수 있었다.

SEM Image of hair cuticle

Conclusion

본 연구는 케라틴 용액을 전처리제로 사용시 손상된 모발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 탈색한 손상모에 도포 후 시료를 측정 분석하였다. 도포한 용액은 케라틴 50%, 100% 다르게 하여 도포하였다. 손상된 모발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기 위해 모발 인장강도, 메틸렌블루를 이용한 흡광도, 광택 측정을 하였고, 모표피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해 SEM 촬영 후 이미지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장강도 측정 결과 케라틴 용액으로 도포 한 시료 모두 대조군 인 손상모보다 평균값이 증가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어 귀무가설이 기각되고 연구가설이 채택되어 케라틴 용액 무처리와 케라틴 용액 처리모는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어 케라틴 용액이 손상된 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흡광도 측정 결과 케라틴 용액으로 도포 한 시료 모두 대조군 인 손상모 보다 평균값이 증가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어 귀무가설이 기각되고 연구가설이 채택되어 케라틴 용액 무처리와 케라틴 용액 처리모는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어 케라틴 용액이 손상된 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광택 측정 결과 케라틴 용액으로 도포 한 시료 모두 대조군인 손상모 보다 평균값이 증가하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어 귀무가설이 기각되고 연구가설이 채택되어 케라틴 용액 무처리와 케라틴 용액 처리모는 차이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어 케라틴 용액이 손상된 모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케라틴 용액으로 도포한 시료 모두 대조군의 모표피의 박리, 마모, 마모 현상이 덜함을 알 수 있었고, 이로 인해 강도가 증가 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결과로 퍼머 시 케라틴 용액을 전처리제로 도포 할 때 평균값은 차이가 있고, 통계결과 유의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어 손상모보다 용액을 도포한 모든 시료의 인장강도, 흡광도, 광택, 모표피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케라틴을 화학적 시술 시 응용하여 사용한다면 모발 손상 개선에 대한 효과가 있어 모발 손상을 최소화하여 시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건강한 머릿결 관리와 원하는 이미지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의의로 헤어 시술 시 처치 방법과 성분을 동시에 적용하여 손상 개선 효과를 보고자 한 점에서 타 연구와 차별성을 두었다는 점이고, 한계점으로는 좀 더 많은 시료들 측정하여 연구의 신뢰도를 높였으면 하는 점이다. 차후 현장에서 모발 손상 개선을 위해 다양한 케라틴 처리 방법 연구의 기초자료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Notes

Author's contribution

EJK designed all experimental investigations and wrote the manuscript. JSK as a corresponding author, participated in the test research paper together. Data summarization and analysis were performed together.

Author details

Ju-Sub Kim (Professor), Beauty & Cosmetology Major in the School of Fashion and Beauty, Sangji University, 84 Sangjidae-gil, Wonju-si, Gangwondo 26339, Korea;Eun ju Kwak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Cosmetology Engineering, Konkok University, 120, Neungdong-ro, Gwangjin-gu, Seoul 050294, Korea.

References

Ban HJ, Ko KS. Hair protection effect of taraxaci herba hair mist preprocessing at the time of permanent wave treat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a859–866. 2015;
Jeon JA, Jeong BG, Jeon SB. A study on the hair damage of permanent wave hair using activation energ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s 12:117–129. 2011;
Kim JS, Park EJ. A study on the changes of hair properties of keratin collagen pre-treatment and hair clinic post-treatment in repeated dye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5:487–492. 2019;
Kim JS, Kim CS, Kim YJ, You SE. Hair science Hunminsa: Seoul. p. 79. 2010a.
Kim JS, Shin HC, Lim DJ, Kim JH, You SE. Hair cosmetics Kuhminsa: Seoul. p. 31. 2010b.
Kim JS, You SE. Permanent wave Kuhminsa: Seoul. p. 42. 2016.
Kim JS. Effect of peanut oil on hair texture improvement.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69:331–340. 2020a;
Kim JS. Effect of oatmeal oil on hair texture improvement.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70:599–608. 2020b;
Kim JS. Effect of tea tree oil on improvement of hair damage.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73:333–342. 2021a;
Kim JS. Effects of witch hazel oil on damaged Hair.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74:609–618. 2021b;
Lee BR, Ko KS. The effect of home care hair treatment on hair during permanent wave treatment.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1:270–276. 2021;
Lee SH, Kim SN. Phys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change of hair according to water content when heat permanent wave is treated.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0:389–393. 2008;
Maeng JH, Nam GW. Study on effect of skin elasticity by polar low molecular weight keratin peptide.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46:243–252. 2020;
Min MJ, Na MS, Ryu EM, Cha WS. Gray mullet extract on physical damage of colored and bleached hair.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9:133–141. 2011;
Nam GW. Study on changes of hair and scalp characteristics by keratin peptides.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45:353–361. 2019;
Seo WS, Kang SM. Pre-treatment effects of earthworm autolyzate when having a permanent on permed hai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2:603–611. 2016;
Wang B, Yang W, McKittrick J, Meyers MA. Keratin: structure, mechanical properties, occurrence in biological organisms, and efforts at bioinspiration. Progress in Materials Science 76:229–318. 2016;
You SE, Kang SM. Study on development and retentive force of hair conditioner using a earthworm autolysate (centering around the bleached hair).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20:239–251. 2009;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Expression method for samples

Sample Contents
DKT Damaged hair
DKT1 Treatment of level-12 sample with Keratin 50 %
DKT2 Treatment of level-12 sample with Keratin 100 %

DKT, bleached hair at level 12; DKT1, Apply 50% keratin to bleached hair at level 12; DKT2, Apply 100% keratin to bleached hair at level 12.

Table 2.

Statistical analysis result value of tensile strength (Unit: N)

Sample Mean Mean difference Statistic p
DKT 1.082 0.222 -9.38 <0.001*
DKT1 1.304
DKT 1.082 0.280 -7.65 <0.001*
DKT2 1.362
DKT1 1.304 0.058 -1.79 0.132
DKT2 1.362
*

p <0.05;

**

p <0.01;

***

p <0.001;

DKT, bleached hair at level 12; DKT1, Apply 50% keratin to bleached hair at level 12; DKT2, Apply 100% keratin to bleached hair at level 12. Data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paired t-test. Each value represents the means±standard deviation of three replicate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at *p <0.05.

Table 3.

Statistical analysis result value of optical density (Unit: Abs)

Sample Mean Mean difference Statistic p
DKT 348 -83.0 6.13 <0.001*
DKT1 265
DKT 348 --162.0 11.90 <0.001*
DKT2 186
DKT1 265 -79.0 7.08 <0.001*
DKT2 186
*

p <0.05;

**

p <0.01;

***

p <0.001;

DKT, bleached hair at level 12; DKT1, apply 50% keratin to bleached hair at level 12; DKT2, apply 100% keratin to bleached hair at level 12. Data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paired t-test. Each value represents the means±standard deviation of three replicate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at *p <0.05.

Table 4.

Statistical analysis result value of gloss meter (Unit: GU)

Sample Mean Mean difference Statistic p
DKT 0.22 0.09 -4.02 <0.001*
DKT1 0.31
DKT 0.22 0.23 -10.80 <0.001*
DKT2 0.45
DKT1 0.31 0.14 -5.72 <0.001*
DKT2 0.45
*

p <0.05;

**

p <0.01;

***

p <0.001;

DKT, bleached hair at level 12; DKT1, apply 50% keratin to bleached hair at level 12; DKT2, apply 100% keratin to bleached hair at level 12. Data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paired t-test. Each value represents the means±standard deviation of three replicate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at *p <0.05.

Table 5.

SEM Image of hair cuticle

DKT, bleached hair at level 12; DKT1, apply 50% keratin to bleached hair at level 12; DKT2, apply 100% keratin to bleached hair at level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