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분석을 통한 아로마테라피 요법이 심리건강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romatherapy on Mental Health: A Meta-analysis

通过荟萃分析芳香疗法对心理健康的影响

Article information

Asian J Beauty Cosmetol. 2023;21(3):347-358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September 22
doi : https://doi.org/10.20402/ajbc.2022.0101
Department of Beauty & Health Care, Daejeon University, Daejeon, Korea
정신신, 이명선,
대전대학교 뷰티건강관리학과, 대전, 한국
*Corresponding author: Myung-Sun Lee, Department of Beauty & Health care, Daejeon University, 62, Daehak-ro, Dong-gu, Daejeon 34520, Korea Tel.: +82 42 280 2393 Fax: +82 42 280 2783 Email: leesun1460@hanmail.net
Received 2022 December 1; Revised 2023 August 3; Accepted 2023 September 12.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메타 분석을 통한 아로마테라피 요법이 심리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그 중요성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2015년부터 2022년 최근까지 8년간에 걸쳐 아로마테라피가 심리 건강에 미치는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 분석을 진행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편향의 위험은 Joanna Briggs Institute (JBI)의 가로 단면 연구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평가되었다. 포함기준을 충족하는 연구에 대해 양적 분석이 수행되었고, R4.2.1을 이용하여 가능한 데이터를 가진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이 수행되었다.

결과

시스템평가에는 총 28개의 연구가 포함되었으며, 메타분석에는 총 17편의 논문이 포함되었다. 아로마테라피는 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으며(SMD=0.67, p<0.01), 우울완화 효과(SMD=0.36, p=0.04), 불안 감소효과(SMD=0.22, p<0.01)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심리건강 면에서도 유의적 차이가 입증되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아로마테라피는 스트레스, 우울, 불안을 완화하는데 효과적 이었으나 정신적 웰빙 부분은 더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rans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romatherapy on mental health by meta-analysis and highlight its significance.

Methods

A meta-analysis of domestic theses and academic papers was conducted for examining the impact of aromatherapy on mental health over a period of eight years period from 2015 to 2022. The risk of bias was assessed using the cross-sectional study assessment tool from the Joanna Briggs Institute. Quantitative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studies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and a meta-analysis was performed on those with available data using R (R ver. 4.2.1) software.

Results

A total of 28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system evaluation, and 17 articles we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Aromatherapy was found to be effective in alleviating stress (SMD=0.67, p<0.01), reducing depression (SMD=0.36, p=0.04), and decreasing anxiety (SMD=0.22, p<0.01). There lies difference between the aromatherapy and control group regarding mental health.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e effectiveness of aromatherapy in alleviating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cessary to verify its beneficial effects on overall mental well-being.

Trans Abstract

目的

本研究通过荟萃分析(meta analysis)探讨芳香疗法对心理健康的影响,证明芳香疗法对心理健康的重要性。

方法

本研究对2015年至2022年8年间有关芳香疗法对心理健康影响的国内论文和期刊文章进行了荟萃分析。偏倚风险使用Joanna Briggs Institute (JBI)的横断面研究评估工具进行评估。对符合我们包含标准的研究进行了定量分析,并使用R4.2.1软件对拥有可用数据的研究进行了元分析。

结果

系统评估中包含了总共28项研究,元分析中包含了17篇论文。芳香疗法被发现能有效缓解压力(SMD=0.67,p<0.01),对缓解抑郁也有效果(SMD=0.36, p=0.04),并且还可以减少焦虑(SMD=0.22,p<0.01)。在心理健康方面,芳香疗法组和对照组之间存在差异。

结论

通过本研究,发现芳香疗法在缓解压力、抑郁和焦虑方面有效。然而,需要进一步验证其对心理健康的有益效果。

Introduction

심리건강은 물리적인 건강만큼 중요한 영역이지만 종종 무시되거나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이러한 인식을 개선하고 심리건강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다. 이러한 문제는 COVID-19(코로나19) 이전부터 존재했지만, COVID-19 대유행 이후에는 심리 건강 상태가 더욱 악화되었다. 설상가상으로, COVID-19 대유행의 첫 해에 우울과 불안과 같은 일반적인 심리문제의 비율이 25% 이상 증가했다고 유엔 보건 기구(WHO)가 밝혔다. 오늘날 거의 10억 명의 사람들이 심리적 장애를 가지고 살고 있으며 저소득 국가에서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75% 이상이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으며, 매년 약 3백만명이 약물남용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40 초마다한 사람이 자살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심리건강 장애의 약 50%는 14세에 시작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분쟁과 자연재해 및 기타 비상 사태로 인해 1억 6천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인도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된다. 그러한 위기 동안 정신장애의 비율은 두 배가 될 수 있다. 분쟁의 영향을 받는 사람 5명 중 1명은 심리건강 문제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WHO, 2021; WHO, 2022).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COVID-19 대유행은 심리건강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동안 전 세계 국가의 93%가 중요한 심리건강 서비스를 완전히 중단하거나 일부만 시행했다. 질병의 만성적 특성을 감안할 때 이는 전 세계적으로 상당한 경제적 영향을 미친다. 국가들은 건강 예산의 2% 미만을 심리건강에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향후 10년 동안 심리건강 문제는 다른 어떤 질병보다 국가에 더 많은 부담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WHO, 2021; WHO, 2022).

무엇보다도, 심리건강은 사람의 삶의 질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Lee & Kwon, 2017). 사람들이 건강하게 살아가기 위해서는 신체 건강뿐만 아니라 심리건강도 중요하게 간주 되어야 한다(Lee et al., 2012). 심리건강은 개인의 정서, 심리, 사회적 기능이 잘 조화되어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사람들이 스스로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스트레스를 잘 대처하고, 생산적이고 의미 있는 삶을 살 수 있게 한다(Lim & Park, 2016).

한국 사회에서는 최근 심리건강 문제가 점점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세계적 팬데믹 상황에서 심리건강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Hwang & Kwon, 2021), 이에 따라 정부와 기업, 학계에서도 심리건강을 증진하고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프로그램이 마련되고 있다(Park, 2021).

보완대체요법 중의 하나인 아로마테라피는 식물의 꽃, 잎, 열매, 뿌리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을 활용한 자연치유법으로(Lawless, 1995), 아로마테라피는 우울증, 불안, 스트레스, 수면 장애 등 심리적 질환치료에 많이 활용된다. Lee et al. (2012)은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아로마테라피가 심리적 안녕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불안, 우울, 스트레스, 수면장애 등의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밝혔다. 이어서, Sim et al. (2016)Jung & Song (2018)의 무작위 대조 연구와 Oh (2021)의 무작위 대조 임상연구에서 아로마테라피가 우울증, 스트레스, 조현병 등 심리적 증상 완화에 효과적인 치료 방법임을 입증하였다.

아로마테라피는 향기를 활용하여 심리적 및 신체적 건강을 개선하는데, 오랜 기간 동안 다양한 문제 해결을 위한 치료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아로마테라피의 심리건강 효과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지만, 연구 결과가 일관성이 없어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을 통해 아로마테라피의 심리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메타분석은 다양한 연구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결합하여 대규모 분석을 실행하는 방식으로, 특정 분야의 연구 진행이나 의사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의료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심리건강 분야에서도 메타 분석을 이용해 연구결과의 일관성을 확인하는데 있어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이와 같은 메타분석 방법은 연구자들이 여러 연구의 데이터를 조합해 대규모 분석을 진행할 수 있게 해주어, 해당분야에 대한 연구를 촉진하고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심리건강 분야에서도 메타분석의 활용은 연구결과의 일관성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로마테라피가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전 연구들을 검토하고, 그 연구 결과들을 통합하여 메타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아로마테라피가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인식을 도모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치료 방법의 개선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한다.

Methods

1. 연구 설계

본 연구에서는 아로마테라피가 심리건강에 미치는 효과와 관련된 실험적 연구논문들을 검토하며, 메타 분석을 통해 아로마테라피가 심리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중요성을 분석하고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방법

1) 연구 대상의 수집 및 선정

본 연구는 2015년부터 2022년까지의 8년 동안 진행된 아로마테라피를 이용한 심리건강 향상에 관한 실험 논문들을 조사하고, 메타분석을 통해 분석결과를 도출한 연구이다. 국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된 논문들은 RISS, KISS, KCI를 포함하며, 주제와 관련된 검색어(Keywords)로 '아로마', '향기요법', '에센셜', '아로마요법', '심리건강', '스트레스', '우울', '불안'을 사용하였다. 검색 결과 총 65편의 논문 가운데 중복된 17편을 제외한 총 48편을 대상으로 검토하였다. 이중에서 통계에 필요한 정보가 충분히 제공되지 않은 20편의 논문을 제외한 28편을 1차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1차 선별에서 총 28편의 논문중에서 대조군이 제시되지 않은 문헌 8편과 종속변수가 같은 경우에 결과 척도가 동일하지 않은 논문 12편을 제외한 8편을 2차 선별하였다. 또한 한 논문 내에서 집단 간의 통계치가 두 개 이상인 연구 논문은 각각 독립된 연구논문으로 처리하여 9편이 추가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선정된 논문은 총 17편으로, 이를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Figure 1).

Figure 1.

Study flow diagram of a systematic review.

2) 자료 수집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데이터를 도출하였다. 저자, 출판 연도, 국가, 연구결과 유형, 에센셜 오일의 종류 및 개수, 아로마테라피 흡수방법, 실험군 및 대조군의 결과를 포함한 정보이다(N1:실험군 사전 표본수; N2:실험군 사후 표본수; N3:대조군 사전 표본수; N4: 대조군 사후 표본수; Mean1:실험군 사전 평균치; Mean 2:실험군 사후 평균치; Mean 3:대조군 사전 평균치; Mean 4:대조군 사후 평균치 등). 이러한 데이터는 Table 1에 상세히 제시되어 있다.

Descriptive summary of included studies

3) 자료 분석

본 연구에서는 메타분석을 활용하였으며, R소프트웨어(R ver. 4.2.1)를 사용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측정 결과는 동일한 분류에서 동일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스트레스의 측정 척도로는 시각적 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와 숫자 등급척도(numeric rating scale, NRS)를 사용하여 0에서 10까지 대상자가 느끼는 주관적 스트레스 정도를 표시하였다. 우울의 측정 척도로는 역학조사-우울척도(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CES-D)를, 불안의 측정 척도로는 상태-특성 불안척도(state trait anxiety inventory, STAI)를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아로마테라피의 심리건강 영향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척도 점수는 가중평균차이(weighted mean difference, WMD) 및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으로 표시되었다(Julian, 2018). Z 점수는 전반적인 효과를 평가하는데 사용되었다. 전체 효과는 연결된 p 값이 0.05 미만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민감도 분석은 각 연구를 하나씩 생략하며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연구결과의 안정성과 신뢰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Results and Discussion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서는 총 17개의 연구가 메타분석에 포함되었다. 이들 중에서 6건은 스트레스 관련 연구, 6건은 불안에 초점을 맞춘 연구, 그리고 5건은 우울증을 주제로 한 연구였다. 포함된 각 연구의 방법론과 결과는 Table1에서 요약하여 제공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각 주제에 따른 연구를 스트레스, 우울, 불안 순으로 구조화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방식은 연구결과의 이해를 돕고, 연구주제 간의 관계를 명확하게 표현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2. 문헌의 질 평가 결과

본 논문에서는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AHRQ)와 가로 단면 연구(cross-sectional studies)의 사용 및 결과 분석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였다.

AHRQ는 미국의 주요 의료 연구기관으로, 의료 서비스의 품질, 효과성, 효율성, 그리고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 기관에서 제공하는 여러 평가도구 중에서 본 연구에서는 Joanna Briggs Institute (JBI)의 가로 단면 연구 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가로 단면 연구는 특정 시점에서 특정 인구의 상태나 특징을 측정하는 연구방법이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한 시점에서의 상황을 캡쳐하여 인구의 건강상태, 행동, 노출 등을 설명하고, 이러한 요인들과 결과 간의 관계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포함된 문헌들을 심층적으로 검토하였다. 이 과정에서 명확한 목표 설정, 인구 기준, 결과 변수의 측정, 공인된 연구방법의 사용, 통계 분석의 적절성, 결과 변수에 대한 노출자의 영향, 측정 도구의 신뢰성, 반응률, 표본 크기, 그리고 결과의 해석 등 여러 요인을 고려하였다.

결과분석은 각 연구의 편향 위험을 "낮음", "높음", "불확실"로 평가하였다. 편향의 위험은 연구결과의 정확성을 왜곡할 수 있는 요인들을 고려하여 결정되었다. 편향을 일으킬 수 있는 요인으로는 대조군과 치료군 사이 기저의 차이 등이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진행된 문헌의 질 평가 결과는 평가 판정 기준에 따라 R4.2.1 프로그램에 입력하였고, 그 결과는 Figure 2Figure 3의 내용과 같다. 이를 통해 각 연구의 신뢰성과 편향의 가능성을 평가하고, 이를 반영하여 메타분석의 결과를 더욱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게 해석하였다.

Figure 2.

Graph representing risk of bias.

Authors made judgments about each risk of bias item and presented them as percentages across all included studies.

Figure 3.

Risk of bias summary.

The authors made judgments about each risk of bias item for included studies.

본 연구에서 진행된 논문의 질 평가에서는 D6 항목(통계분석 적절성)에서 편향 위험이 높았다는 결과가 도출되었고 D8항목(측정도구 신뢰성)에서는 불명확한 편향 위험이 관찰되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분석한 문헌들은 모두 의학적 실험이 아닌 아로마테라피 실험 만을 포함하였기 때문에 D6과 D8 항목이 논문의 질 평가 결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더욱이 다른 항목에서 뚜렷이 나타난 편향 위험의 원인이 발견되지 않았으므로 본 연구에 사용된 논문들은 편향 위험이 전반적으로 낮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평가결과는 Figure 2Figure 3에 요약하여 제시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메타분석 결과가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3. 이질성 검증

"메타분석 이질성"은 메타분석에서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이질성(heterogeneity)은 포함된 연구들 간의 차이를 나타내며, 이는 연구 설계, 연구 대상자, 사용된 측정도구, 연구 방법론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이질성이 높은 메타분석에서는 연구들 간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전체 결과의 해석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이질성이 높을수록 메타분석 결과의 신뢰도가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질성을 평가하는 데는 일반적으로 I2통계량을 사용한다. I2값은 0%에서 100% 사이이며, 이 값이 클수록 연구들 간의 이질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I2값이 50% 이상일 경우, 연구들 간의 이질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또한, 랜덤 효과 모델을 사용하여 이질성을 고려할 수 있다. 랜덤 효과 모델은 연구들 간의 차이를 고려하여 메타분석의 결과를 추정하므로, 이질성이 높은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이 모델을 사용하면, 연구들 간의 차이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보다 신뢰할 수 있는 메타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다.

4. 연구 결과

메타분석의 데이터 분석결과는 먼저 forest plot을 통해 개별 연구의 효과 크기와 신뢰구간 그리고 전체 평균 효과크기와 신뢰구간 등을 보고했다. 특히 효과크기 통계치를 맥락차원(in context)에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며 forest plot이 맥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즉 forest plot을 통해 개별 효과 크기와 전체 효과크기 및 효과크기의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데이터 분석결과는 초기 단계에서 포레스트 플롯(Forest plot)을 활용하여 개별 연구의 효과크기와 신뢰구간, 그리고 전체 평균 효과크기와 신뢰구간 등을 제시하였다. 이는 효과크기 통계치를 상황적 맥락(in context)에서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포레스트 플롯은 이러한 맥락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도구로 작용한다. 즉 포레스트 플롯을 통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개별 효과크기(나무)와 전체 효과크기 및 효과크기의 방향(숲)을 동시에 파악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연구는 전체적인 맥락을 고려한 효과적인 통계 분석을 제공하였다.

1차 최종분석에는 총 973명의 대상자를 포함한 17개의 연구가 포함되었다. 이들 결과는 아로마테라피가 심리건강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이는 유의수준 p<0.01에서 확인되었다(공통효과 모델: SMD=0.35, 95% CI: 0.22, 0.48; 랜덤효과 모델: SMD=0.43, 95% CI:0.11, 0.76; p<0.01). 이와같이 산출된 효과 크기는 Cohen의 기준에 따르면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이질성 또한 상당히 높았다(I2=84%). 이러한 연구결과는 Figure 4와 같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아로마테라피가 심리건강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뚜렷이 보여주었다.

Figure 4.

Forest plot of the summaries of aromatherapy for mental health.

This forest plot summarizes the results of all included studies. The numbers on the x-axis represent the treatment effect. The gray squares indicate the weight of each study with larger squares representing the larger weight and sample sizes. The small black boxes with gray squares represent the point estimate of the effect size and sample size. The black lines on either side of the box represent a 95% confidence interval.

2차 결과에서는 스트레스, 우울, 불안 세가지 카테고리로 분류 및 측정하였다. 적합한 연구 중 6편의 논문에서는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해 아로마테라피를 활용하였으며, 6편의 논문중에 한편은 우울을, 그리고 나머지 5편에서는 불안을 조사하였다. 하위 그룹 분석결과, 아로마테라피의 효과는 스트레스(공통효과 모델: SMD=0.54, 95% CI: 0.33, 0.75; 랜덤효과 모델: SMD=0.67, 95% CI: -0.09, 1.43; p<0.01), 우울(공통효과 모델: SMD=0.33, 95% CI: 0.09, 0.56; 랜덤효과 모델: SMD=0.36, 95% CI: 0.00, 0.72; p=0.04), 그리고 불안(공통효과 모델: SMD=0.15, 95% CI: -0.09, 0.39; 랜덤효과 모델: SMD=0.22, 95% CI: -0.25, 0.69; p<0.01)에 대해 모두 유의하였으며 특히 스트레스에 대해 더욱 일관된 결과를 보였다. 고정효과 모델이나 랜덤효과 모델을 통해 아로마테라피가 스트레스, 우울, 불안완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효과 크기의 이질성은 스트레스(I2=92%)에서 높게, 우울(I2=56%)에서 중간 수준으로, 불안(I2=72%)에서 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Figure 5에서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아로마테라피가 심리적 건강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재차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5.

Forest plot of the effects of aromatherapy on mental health (1).

This forest plot summarizes the results of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studies. The numbers on the x-axis represent the treatment effect. The gray squares indicate the weight of each study, with larger squares representing studies with larger weight and sample sizes. The small black boxes with gray squares represent the point estimate of the effect size and sample size. The black lines on either side of the box represent a 95% confidence interval.

3차 결과는 Figure 6Table 1에 의해 보완되며, 보다 구체적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Figure 6.

Forest plot of the effects of aromatherapy on mental health (2).

This forest plot summarizes the results of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studies. The numbers on the x-axis represent the treatment effect. The gray squares indicate the weight of each study, with larger squares representing studies with larger weight and sample sizes. The small black boxes with gray squares represent the point estimate of the effect size and sample size. The black lines on either side of the box represent a 95% confidence interval.

스트레스 완화 효과크기를 분석한 총 6편의 연구에서는 대조군이 모두 아로마테라피를 받지 않았다. 이들 연구에서 스트레스 완화 효과의 크기를 분석한 결과 아로마테라피를 받은 실험군과 아로마테라피를 받지 않은 대조군 간의 차이는 고정효과 모델(Common effect model: SMD=0.54, 95% CI: 0.33, 0.75)과 랜덤효과 모델(Random effects model: SMD=0.67, 95% CI: -0.09, 1.43; p<0.01)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효과크기의 이질성은 스트레스에 대해 높게 나타났다(I2=92%).

우울완화 효과의 크기를 분석한 총 6편의 논문 연구 중 2편에서는 대조군이 아로마테라피를 받지 않았으며 4편에서는 실험군과 다른 아로마테라피를 받았다.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효과크기는 고정효과 모델(Common effect model: SMD=0.33, 95% CI: 0.09, 0.56)과 랜덤 효과 모델(Random effects model: SMD=0.36, 95% CI: 0.00, 0.72; p=0.04)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효과크기의 이질성은 우울에 대해 중간 수준이었다(I2=56%).

불안 완화 효과의 크기를 분석한 총 5편의 논문 연구 중 3편에서 대조군은 아로마테라피를 받지 않았고, 2편에서는 실험군과는 다른 형태의 아로마테라피를 받았다. 이러한 연구에서,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효과크기는 고정효과 모델(Common effect model: SMD=0.15, 95% CI: -0.09, 0.39)과 랜덤효과 모델(Random effects model: SMD=0.22, 95% CI: -0.25, 0.69; p<0.01)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논문 5편 중 2편에서 대조군이 아로마테라피를 사용했기 때문에, 효과크기의 이질성은 불안에 대해 그다지 높지 않았다(I2=72%).

본 연구의 메타분석과 포레스트 플롯의 활용은 스트레스, 우울, 불안 완화에서 아로마테라피의 효과를 강조하였다. Choi & Lee (2012)의 연구에서는 본태성고혈압 환자에게 아로마 흡입이 혈압과 맥박을 낮추는 효과가 있음을 밝혔으며, 이로 인해 스트레스가 줄어든다고 결론지었다. 이는 본 연구의 스트레스완화에서 아로마테라피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과 일치한다.

우울 완화에 대한 아로마테라피의 효과에 관한 이전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중요한 통찰력을 제공하고 있으며, 중간 수준의 이질성을 가진 중간 효과 크기는 아로마테라피가 우울증 치료에 효과적인 보완 치료법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불안에 대해서는 이전 연구들도 아로마테라피의 긍정적인 효과를 시사하였다. Yong et al. (2017)의 중년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아로마테라피의 불안 완화 역할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들과 같은 결과를 얻었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에 다양한 아로마테라피 방법을 적용한 결과 불안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스트레스, 우울, 불안에 대한 아로마테라피의 효과에 대한 포괄적이고 상황적 맥락을 고려한 분석을 제공했으며, 이는 이전 연구 결과를 확인하고 확장하며, 이러한 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효과적인 보완 치료법이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분석에 사용된 포레스트 플롯은 이 분야에서의 전반적인 영향을 명확하고 세밀하게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Conclusion

본 연구는 아로마테라피가 스트레스, 우울, 불안 등의 심리적 건강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메타분석을 통해 탐색하였다. 아로마테라피 요법이 스트레스 완화효과(6편), 우울 완화효과(6편), 그리고 불안 감소효과(5편)를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아로마테라피는 스트레스, 우울증, 그리고 불안을 완화하는 심리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심리적 웰빙을 증진하는데 아로마테라피 요법이 효율적인 방법으로 인식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아로마테라피 요법의 심리건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통해 통합적이고 객관적인 분석결과를 도출함으로써 기존의 연구결과들을 일반화 시킬 수 있는 근거를 제시 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나 이번 연구에 포함된 샘플의 크기가 작아 결론의 타당성이 제한적일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아로마테라피 요법이 널리 보급된 사항을 고려할 때 앞으로 임상적 적용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요구되며 아로마테리피의 적용 방법이 다양하므로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갖춘 추가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아로마테라피는 스트레스, 우울, 그리고 불안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정신적 웰빙에 대한 유익한 효과는 더 확실하게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Notes

Author's contribution

XZ designed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s, searched the literature, and analyzed the data. XZ wrote the manuscript assistance from MSL. MSL revised the manuscript. Both authors approved the final version of the manuscript.

Author details

Xinchen Zheng (Doctoral Student)/Myung-Sun Lee (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 Health Care, Daejeon University, 62, Daehak-ro, Dong-gu, Daejeon 34520, Korea.

References

Ahn JM, Hur MH. Effects of aromatherapy footbath on stress and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12:239–245. 2017;
Choi EM, Lee KS. Effects of aroma inhalation on blood pressure, pulse rate, sleep, stress, and anxiety in patients with essential hypertension.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4:41–48. 2012;
Chun N, Kim M, Noh GO. Effects of a sleep improvement program combined with aroma-necklace on sleep, depression, anxiety and blood pressure in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7:651–662. 2017;
Go GY, Park H. Effects of aroma inhalation therapy on stress, anxiety, depression, and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in high-risk pregnant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3:33–41. 2017;
Hwang SH, Kwon MS. Effects of aroma oil inhalation on the pyschological and physiological reaction of non-sedation gastroscopy examinees.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2:423–432. 2021;
Jung EY, Song JH. Effects of aroma inhalation on stress, fatigue and depression among nurses working in intensive care unit.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6:321–331. 2018;
Kim M. Development and effects of dongsasub training program with application of aroma necklace for nursing students taking clinical practicum. The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6:15–26. 2019;
Kim NH, Jeong HM, Jo HY, Byun JN. Effects of lavender aroma oil necklace on stress and depression among nursing college students with upcoming clinical training.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369–376. 2017;
Lawless J. The illustrated encyclopedia of essential oils Element. USA: p. 13–21. 1995.
Lee SA, Kwon SM. Self regulation and psychological disorders: a review of the empirical literatur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36:1–37. 2017;
Lee JO, Heo HI, Kim H. Systematic review on aroma massage.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8:87–98. 2012;
Lim SY, Park H. The effects of aroma inhalation therapy on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in coronary care unit pati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1–10. 2016;
Oh S. A study of the effects of swedish massage in a multisensory environment on the health of women in their 40s and 50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9:365–378. 2021;
Park MY, Song JH, Jung EY. The effect of aromatherapy on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Wellness 13:311–322. 2018;
Park SM. A review of researches relating to mental health supports for healthcare workers during COVID-19 pandemic. The Journal of Social Convergence Studies 5:149–160. 2021;
Sim EK, Kim KO, Lee SR, Jang YS. Effects of foot reflexology using aroma oils on relieving hairdresser’s stres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4:369–378. 2016;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Mental health and covid-19: Early evidence of the pandemic’s impact: Scientific brief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p. 1–11. 2022.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Mental health atlas 2020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p. 25–68. 2021.
Yong HJ, Jang HH, Lee SN, Kim SY, Kim YS. Research trend on aromatherapy for Korean middle-aged women.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5:113–121. 2017;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Study flow diagram of a systematic review.

Figure 2.

Graph representing risk of bias.

Authors made judgments about each risk of bias item and presented them as percentages across all included studies.

Figure 3.

Risk of bias summary.

The authors made judgments about each risk of bias item for included studies.

Figure 4.

Forest plot of the summaries of aromatherapy for mental health.

This forest plot summarizes the results of all included studies. The numbers on the x-axis represent the treatment effect. The gray squares indicate the weight of each study with larger squares representing the larger weight and sample sizes. The small black boxes with gray squares represent the point estimate of the effect size and sample size. The black lines on either side of the box represent a 95% confidence interval.

Figure 5.

Forest plot of the effects of aromatherapy on mental health (1).

This forest plot summarizes the results of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studies. The numbers on the x-axis represent the treatment effect. The gray squares indicate the weight of each study, with larger squares representing studies with larger weight and sample sizes. The small black boxes with gray squares represent the point estimate of the effect size and sample size. The black lines on either side of the box represent a 95% confidence interval.

Figure 6.

Forest plot of the effects of aromatherapy on mental health (2).

This forest plot summarizes the results of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studies. The numbers on the x-axis represent the treatment effect. The gray squares indicate the weight of each study, with larger squares representing studies with larger weight and sample sizes. The small black boxes with gray squares represent the point estimate of the effect size and sample size. The black lines on either side of the box represent a 95% confidence interval.

Table 1.

Descriptive summary of included studies

No Study Country Outcome Aroma Aroma.N Exp. Means N1 Mean1 SD1 N2 Mean2 SD2 Cont. Means N3 Mean3 SD3 N4 Mean4 SD4
1 Kim et al., 2017 KR Stress Lavender 1 Necklace 40 6.4 1.1 40 4.02 1.12 Unscented necklace 39 6.33 1.17 39 7.02 0.77
2 Ahn & Hur, 2017 KR Stress Lavender, Lemon, Tea Tree 3 Foot bath 31 7.06 1.37 31 5.68 1.49 Foot bath 31 6.35 1.40 31 5.52 1.65
3 Ahn & Hur, 2017 KR Stress Lavender, Lemon, Tea Tree 3 Foot bath 32 7.06 1.37 32 4.48 1.46 Nothing 32 6.35 1.40 32 4.74 1.63
4 Ahn & Hur, 2017 KR Stress Lavender, Lemon, Tea Tree 3 Foot bath 33 7.06 1.37 33 3.42 1.39 Nothing 33 6.35 1.40 33 4.10 1.74
5 Lim & Park, 2016 KR Stress Lavender, Sweet Orange 2 Gauze 30 3.93 2.23 30 2.97 1.99 Nothing 33 4.03 2.76 33 3.82 2.69
6 Hwang & Kwon, 2021 KR Stress Lavender, Neroli 2 Tape 32 5.03 1.96 32 3.25 2.11 Artificial flavor 32 4.09 2.35 32 4.40 2.02
7 Go & Park, 2017 KR Anxiety Neroli 1 Gauze 25 44.56 10.83 25 41.64 8.75 Nothing 25 44.08 8.84 25 44.68 7.79
8 Park et al., 2018 KR Anxiety Grapefruit, Lavender, Cedarwood 3 Hand massage 22 54.95 10.30 22 49.18 6.82 Necklace 22 49.54 11.07 22 44.32 9.17
9 Park et al., 2018 KR Anxiety Grapefruit, Lavender, Cedarwood 3 Necklace 22 49.54 11.07 22 44.32 9.17 Hand massage 22 54.95 10.30 22 49.18 6.82
10 Park et al., 2018 KR Anxiety Grapefruit, Lavender, Cedarwood 3 Hand massage 22 49.41 8.64 22 43.59 7.47 Necklace 22 47.77 9.42 22 42.95 8.63
11 Park et al., 2018 KR Anxiety Grapefruit, Lavender, Cedarwood 3 Necklace 22 47.77 9.42 22 42.95 8.63 Hand massage 22 49.41 8.64 22 43.59 7.47
12 Hwang & Kwon, 2021 KR Anxiety Lavender, Neroli 2 Tape 32 40.47 9.61 32 32.09 7.54 Artificial flavor 32 42.00 9.63 32 40.66 10.73
13 Kim et al., 2017 KR Depression Lavender 1 Necklace 40 5.22 2.11 40 5.02 3.89 Unscented necklace 39 5.41 3.38 39 5.17 2.90
14 Chun et al., 2017 KR Depression Marjoram, Orange 2 Necklace 32 19.44 7.94 32 17.31 7.79 Nothing 30 21.37 12.47 30 23.43 11.96
15 Kim, 2019 KR Depression Lavender, Bergamot, Geranium 3 Necklace 30 14.15 1.52 30 13.50 2.12 Nothing 26 13.10 2.46 26 13.96 2.22
16 Park et al., 2018 KR Depression Grapefruit, Lavender, Cedarwood 3 Hand massage 22 23.68 9.64 22 17.27 5.25 Necklace 22 20.41 10.52 22 14.09 6.94
17 Park et al., 2018 KR Depression Grapefruit, Lavender, Cedarwood 3 Necklace 22 20.41 10.52 22 14.09 6.94 Hand massage 22 23.68 9.64 22 17.27 5.25

Outcome: type of research results; Aroma.N, quantity of essential oils used; Exp.Means, aromatherapy absorption methods of the experimental group; Cont.Means, aromatherapy absorption methods of the control group; N1, sample size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pre-test; N2, sample size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post-test; N3, sample size of the control group in the pre-test; N4, sample size of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test; Mean1, mean value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pre-test; Mean2, mean value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post-test; Mean3, mean value of the control group in the pre-test; Mean4, mean value of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test; SD1, standard devi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pre-test; SD2, standard deviation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post-test; SD3, standard deviation of the control group in the pre-test; SD4, standard deviation of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