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상영역분할, 각도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그래쥬에이션 커트 형태선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Shape Line of Gradient Cut according to Division of Head Area, Angle and Slice Line
头部面积、角度和切片线划分的渐变切割形状线变化研究
Article information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그래쥬에이션 커트로 두상영역분할, 각도 그리고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형태선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커트 디자인의 변화를 실증하여 헤어커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
포인트 기점을 탑 포인트, 탑 골든 백 포인트, 백 포인트를 기점으로 두상을 상단과 하단으로 구분하였다. 두상 상단은 두상시술각도 45°, 두상 하단은 두상시술각도 75°를 사용하였다. 모발 길이는 네이프 포인트에서 5 cm를 기준으로 하였다. 슬라이스 라인은 두상 상단만 A라인, 평행라인, V라인을 적용하였다.
결과
두상분할 시 분할 지점을 위에 두면 볼륨감과 생동감이 증가하였다. 반면 분할 지점을 아래에 두면 무게감, 부피감, 팽창감이 증가하였다. A라인은 얼굴 라인으로 갈수록 모발이 길어져 차분함, 가름함, 샤프함이 발생한다. 평행라인은 평범함, 단정함, 반듯함 형태를 의미한다. V라인은 얼굴 라인으로 갈수록 모발이 짧아져 귀여움, 볼륨감, 생동감이 발생한다. 그래쥬에이션 커트 두상시술각도 45°와 두상시술각도 75°의 공통점은 무게 선이 있었다. 높은 각도일수록 매끄러운 질감은 줄고 층이 많아지면서 거친 질감이 늘어났다.
결론
커트 시 모근에서부터 빗질, 몸 위치가 정확해야 커트 선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각도 선정 시 튀어나온 곳은 높은 각도, 들어간 곳은 낮은 각도를 권장한다. 탑 포인트, 골든 포인트 시술 시 세밀하고 디테일하게 섹션을 하는 것을 바람직하다. 또한 사이드 코너 포인트처럼 평평한 곳은 무게선이 겹쳐짐으로 질감 처리함으로써 자연스러운 커트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Trans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change in the shape line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the head area, angle, and slice line by the gradation cut. Furthermor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on haircuts by demonstrating changes in the cut design.
Methods
The head was divided into upper and lower parts based on the top point, top golden back point, and back point. The top and bottom of the head were 45° and 75°, respectively. The hair length was based on 5 cm at the nape point. In the slice line, only the top of the head was applied with A, parallel, and V lines.
Results
When dividing the head, the volume and vitality increased when the division point was placed on the top. Conversely, when the division point was placed at the bottom, the weight, volume, and sense of expansion increased. Line A had longer hair as it went to the face line, resulting in calmness, thinness, and sharpness. Parallel lines indicated plainness, neatness, and straightness. The V line had shorter hair as it went to the face line, resulting in cuteness, volume, and liveliness. A weight line in common was observed between the gradation cut head angle of 45° and head angle of 75°. The higher the angle, the less smooth the texture was; the more layers, the coarser the texture was.
Conclusion
At the time of cutting, combing from the hair root and body position must be accurate to subsequently make the cut line accurate. When selecting an angle, it is recommended to have a high angle where it protrudes and a low angle where it enters. Creating detailed sections during top point and golden point procedures is recommended. Moreover, flat areas including side corner points are expected to improve the completeness of natural cuts by textured by overlapping weight lines.
Trans Abstract
目的
本研究旨在了解根据渐变切割对头部区域、角度和切片线的划分,形状线的变化。此外,这项研究旨在通过展示剪发设计的变化来提供理发的基本数据。
方法
根据顶点、顶金背点、背点将头部分为上下两部分。头部的顶部和底部分别为45°和75°。头发长度以后颈处5厘米为基准。在切片线中,仅在头顶应用A线、平行线和V线。
结果
分割头部时,分割点置于顶部时,体积和活力增加。相反,当分割点位于底部时,重量、体积和膨胀感增加。 A线的头发较长,一直到脸线,显得沉稳、纤细、锐利。平行线表示朴素、整洁、笔直。 V线的头发越 短,越到脸线,显得可爱、丰盈、活泼。在45°的渐变切割头角和75°的头角之间观察到共同的重量线。角度越大,纹理越不光滑;层数越多,纹理越粗糙。
结论
剪发时,从发根和身体位置的梳理一定要准确,这样才能 剪发线准确。选择角度时,建议突出的角度高,进入的角度低。建议在顶点和黄金点过程中创建详细部分。此外,包括侧角点在内的平坦区域有望通过重叠权重线的纹理来提高自然切割的完整性。
Introduction
현대사회는 개인 방송 플랫폼이 늘어가면서 외모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이 그 어느 때보다 높다. 또한 외모를 위해 많은 시간과 비용을 지불하여 투자한다. 외모를 업그레이드 해주는 의료시술, 패션, 헤어미용 중에서 고객은 어느 분야보다 헤어스타일 변화와 자신에게 가장 어울리는 헤어스타일을 찾으려고 한다(Kim, 2015). 헤어미용은 아름답게 꾸미고 싶어 하는 인간의 욕망과 심리적 특성을 표현하기 위해 발전해 왔다. 현재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논문과 책을 통해 학문으로써 체계적으로 재해석되고 있다.
헤어미용은 현장경험의 기술력과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창의력과 미적 감각을 가지고 시현된다. 또한 고객의 신체적 특성과 개성에 맞게 디자인을 시술해야 하기 때문에 이론과 실기 고루 갖춰야 한다(Jeong & So, 2008). 헤어미용에서 헤어스타일은 자신의 이미지 형성과 더불어 자기효능 감을 올리고, 타인에게 긍정적인 이미지와 호감에 영향을 미친다(Han & Kim, 2019).
헤어커트는 헤어미용의 영역 중에서 구조적인 룰 즉, 공식에 의해 이루어지는 작업이다. 모든 헤어스타일은 헤어 커트를 기본으로 한다. 그래서 중요성과 비중이 가장 높고 크다고 할 수 있다(Jung & Youn, 2008). 헤어디자이너는 헤어커트에 지식과 숙련도를 통해 전문성을 가져야 한다. 그러므로 고객에게 신뢰와 만족도 및 재방문이 높아지면 충성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Lee et al., 2012). 과학적인 헤어커트 형태변화를 주는 요인으로 시술각도>모발 길이>선>베이스 순으로 조사 되고 있다(Jung & Youn, 2008). 헤어커트의 수치화와 규격화에 관한 연구는 현재보다 더 진보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 꼭 필요하다(Kwon et al., 2010). 현재까지도 헤어커트 스타일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재까지 헤어커트에 관한 수치와 과학적 체계는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Jang & Jung, 2021).
헤어커트의 각도에 있어 자연시술각도를 사용하는 원랭스 및 솔리드 커트, 두상시술각도를 사용하는 레이어 커트와 그래쥬에이션 커트로 구분할 수 있다. 원랭스 및 솔리드 커트는 두상 위로 올라갈수록 모발길이가 길어지고 두상 아래로는 모발길이가 짧아지며 층이 전혀 없는 커트 스타일이다. 두상시술각도를 사용하는 그래쥬에이션 커트는 로우, 미디엄, 하이로 구분되고 있다. 또한 겹겹이 쌓이는 미세한 층으로 무게선이 형성된다. 레이어 커트에는 모든 모발 길이가 동일한 유니폼 레이어 커트와 위쪽이 짧고 아래쪽이 긴 인크스 레이어 커트가 있다(Ryu & So, 2000).
두상영역분할 위치에 따라 커트 형태 디자인과 볼륨 크기 및 볼륨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Jang & Jung, 2021). 두상영역 분할 적용 시 슬라이스 라인에 따라 모발 길이가 변한다. 그러므로 고객 얼굴형과 두상 형에 맞게 커트 디자인을 설계해야 한다(Jang & Jung, 2020). 헤어커트에 있어 길이가 똑같다 하더라도 시술각도와 베이스 그리고, 슬라이스 라인 및 두상영역분할 위치에 따라 헤어커트 형태가 많이 달라진다(Jung & Youn, 2008).
슬라이스 라인은 커트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하기 위해 블로킹을 더 세밀하게 즉 작게 즉 분할하는 것을 말한다(Kim & Lee, 2017). 슬라이스 라인을 가로와 세로 그리고 사선 및 방사선으로 분류한다. 가로는 수평, 평행, 일직선이라고 한다. 사선은 시소가 내려간 형태 즉 기울기가 얼굴 쪽이 낮고 후두부로 갈수록 높아지는 A라인 또는, 전대각 및 전 경사가 있다. 그리고 얼굴 쪽은 높고 후두부로 갈수록 낮아지는 V라인 또는, 후 대각 및 후 경사가 있다(Kang, 2012).
이러한 요소들의 배합 및 고객 요구사항과 더불어 헤어디자이너의 감성, 경험을 발휘하여 헤어커트 스타일을 다양하게 창출할 수 있다. 지금까지 나와 있는 헤어커트에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슬라이스 라인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Moon & Jung (2018)는 슬라이스 라인의 필요성에 대해 95.5%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형태선과 실루엣을 결정하는 슬라이스 라인은 커트 만족도를 높이는 요소라고 규명하였다. Guk (2022a)는 슬라이스 V라인일 때는 귀여움, 발랄한 형태이고 평행라인일 때는 평범함, 단정한 형태라고 하였다. 그리고 A라인일 때는 성숙함, 완숙 미 또는 지적인 이미지를 나타낸다고 발표하였다.
그래쥬에이션 커트에 관한 연구로는 Kim (2015)는 그래쥬에이션 커트에서 센터 포인트(center point)와 탑 포인트(top point)의 길이가 전 경사 또는 전 대각일 때 가장 길고, 후 경사 또는 후 대각일 때 가장 짧다고 검증하였다. Jung & Kim (2017) 연구로는 그래쥬에이션 커트는 네이프 포인프(nape point)에서 탑 포인트로 갈수록 점점 모발 길이가 길어져 층이 형성되었다. 층의 높낮이를 이용하여 각도에 따라 형태 변화를 줄 수 있다. 또한 층과 길이에 의해 볼륨감과 생동감이 형성되어 두상 형과 얼굴형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고 장점을 살리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실증하였다.
두상영역분할에 관한 연구로는 Jang & Jung (2020)는 원랭스 커트를 하단부에 대입하면 형태 선에 무게감을 주고 상단부에 레이어 커트를 대입하면 율동감과 역동성을 준다. 그러므로 탑 포인트가 꺼진 두상 형에 주로 레이어를 많이 사용한다. 즉 두상영역분할과 각도는 상호 장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Guk (2023a)는 두상영역분할 시 상단의 출발점을 위에 두면 전체적인 모발 길이가 짧아진다. 그러므로 볼륨감과 생동감을 증가시킨다. 반면 두상영역분할 시 상단의 출발점을 아래에 두면 전체적으로 모발 길이가 길어진다. 그러므로 부피감, 무게감, 팽창감, 차분함, 가름함이 증가시킨다고 보고하였다.
이렇듯 헤어미용에서 헤어커트는 한 번의 배움이 아닌 지속적으로 재교육과 반복 학습은 이뤄져야 한다. 많은 연구자들이 감각에 의존하는 커트 시술 빈도를 줄이고, 헤어커트를 지금보다 체계적이고 수치화 되어야 된다고 한다(Seo & Song, 2019).
본 연구는 창의적인 그래쥬에이션 커트로 두상영역분할을 탑 골든 미디엄 포인트, 탑 포인트, 골든 포인트를 기점으로 나누었다. 두상을 위를 상단 두상 아래를 하단으로 구분하였다. 두상 위는 두상시술각도를 45°, 두상 아래는 두상시술각도 75°를 사용하였다. 슬라이스 라인 평행라인, A라인, V라인은 두상 위에만 적용하였다. 커트 형태선의 변화를 촬영하여 기록하였으며, 헤어커트 교육 자료와 헤어미용 산업현장에서 이를 응용하여 사용하는데 목적과 의의가 있다.
Methods
1. 측정도구 및 방법
1) 측정도구
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사용된 가발은 M사(Korea)의 35 cm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커트 각도 측정도구로는 디지털 각도계(starbox, Korea)와 커트 길이를 측정한 도구로는 디지털 자(BLDM; Bluetec, Korea)를 사용하였다. 작품 촬영을 위해 배경을 흰 바탕으로 한 뒤 1 m의 일정한 거리에서 휴대폰 카메라(Galaxy S21; Samsung, Korea)로 앞모습, 뒷모습, 옆모습을 촬영하였다. 커트 도구에는 커트 빗, 커트 가위, 분무기, 핀셋을 사용하였고 가위 테크닉 기법으로 블런트 기법을 사용하였다. 헤어스타일 연출로는 롤 브러시, 블로우 드라이기를 사용하여 가볍게 연출하였다.
2) 측정방법
(1) 두상영역분할
본 연구의 실험을 하기 위해 필요한 마네킹을 삼각홀더에 고정한 후 다음과 같이 블로킹하였다.
센터 포인트(center point)-네이프 포인트(nape point)까지 정중선으로 연결하였고, 탑 포인트(top point)-이어 포인트(ear point)까지 측중선으로 나누어 4등분하였다. 두상영역분할을 제시한 표는 Table 1과 같다.
예비실험을 통해 두상영역분할은 Guk (2022b) 연구를 참고하였다.
첫째 분할은 센터 포인트(center point)-탑 포인트(top point)-이어 포인트(ear point)를 기점으로 T1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나머지 탑 포인트(top point)-네이프 포인트(nape point)를 기점으로 T2로 명명하였다. 둘째 분할은 센터 포인트(center point)-탑 골든 미디엄 포인트(top golden medium point)-이어 포인트(ear point)를 기점으로 TGM1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나머지 탑 골든 미디엄 포인트(top golden medium point)-네이프 포인트(nape point)를 TGM2로 명명하였다. 셋째 분할은 센터 포인트(center point)-골든 포인트(golden point)-이어 포인트(ear point)를 기점으로 G1로 명명하였다. 그리고 나머지 골든 포인트(golden point)-네이프 포인트(nape point)를 기점으로 G2로 명명하였다.
(2) 모발길이
Jung & Youn (2008)가 제시한 짧은 길이 5 cm를 네이프 포인트(nape point)에서 모두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3) 슬라이스 라인
A라인, 전 대각 또는 전 경사는 사이드 코너 포인트(side corner point)-이어 포인트(ear point)에서 3 cm 올라간 지점에서 A라인으로 커트하였다.
평행라인, 평행선 또는 수평선은 이어 포인트(ear point)-사이드 코너 포인트(side corner point)에서 2 cm 올라간 지점에서 평행라인으로 커트하였다.
V라인, 후 대각 또는 후 경사는 이어 포인트(ear point)-사이드 코너 포인트(side corner point)에서 3 cm 올라간 지점에서 V라인으로 커트하였다. V라인 후 경사 또는 후 대각은 커트 시작을 측 두부에서 하는 것이 원활한 방식이다(Guk, 2022c).
(4) 시술각도
Guk (2022b)와 Guk (2023b)을 참고하여 두상 위는 입체감과 볼륨감을 주기 위해 미디엄 그래쥬에이션 커트 두상시술각도 45°를 적용하였다. 두상 아래는 매끄러운 질감과 거친 질감 그리고 무게 선을 주면서 동시에 가벼움을 주기 위해 두상시술각도 75°를 적용하였다.
2. 두상영영분할, 각도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그래쥬에이션 커트의 형태선 변화
커트의 시작은 Jung & Youn (2008)가 제시한 짧은 길이 5 cm를 네이프 포인트(nape point)에서 모두 동일하게 시작하였다. 두상영역분할은 탑 포인트(top point), 탑 골든 미디엄 포인트(top golden medium point), 골든 포인트(golden point)를 기점으로 위를 두상 상단, 아래를 두상 하단으로 나누었다. 슬라이스 라인은 A라인 및 전대각, 전 경사와 평행라인 및 수평선, 평행선 그리고 V라인 및 후 대각, 후 경사를 두상 상단에만 적용하였다. 시술각도는 두상 위는 두상시술각도 45°로 하였고, 두상 아래는 두상시술각도 75°로 하였다. 총 9개의 작품을 제작하여 측정하고 연출하였으며 촬영하여 제시하였다.
완성된 커트는 헤어드라이기와 롤 브러시를 사용하여 가볍게 연출하였다. 카메라 촬영을 하기 위해 뒤 바탕을 흰색으로 한 뒤 일정한 거리 1 m에서 앞모습, 뒷모습, 옆모습을 촬영하였다.
길이 변화를 실증하기 위해서 센터 포인트(center point), 탑 포인트(top point), 센터 탑 미디엄 포인트(center top medium point), 골든 포인트(golden point), 탑 골든 미디엄 포인트(top golden medium point), 백 포인트(back point), 골든 백 미디엄 포인트(golden back medium point), 사이드 코너 포인트(side corner point, 프런트 사이드 포인트(front side point)의 값을 측정하여 기록하였다(Guk, 2023c).
Results and Discussion
1. T존의 두상영역분할, 각도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그래쥬에이션 커트의 형태선 변화
1) T존의 두상영역분할, 각도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그래쥬에이션 커트의 전개 표
전개 표란 디자인을 구상하고 생각하여 시술하고자하는 디자인을 설계하는 것으로 모든 헤어작품에는 시술결과와 전개 표를 작성해야 한다(Guk, 2022a).
두상영역분할을 위와 아래로 구분하였다. 커트한 작품의 전개 표는 Table 2와 같다.
커트의 출발점은 네이프 포인트(nape point)에서 5 cm로 시작하였다. 탑 포인트(top point)를 기점으로 앞쪽을 두상 상단이라고 명명하였고, 뒤쪽을 두상 하단으로 명명하였다. 두상 하단은 두상시술각도 75°로 무게 선이 있으면서 가벼움을 주고자 하였다. 두상 상단은 두상시술각도 45°로 적당한 볼륨감을 주고자 하였다. 모두 그래쥬에이션 커트로 슬라이스 라인 A라인, 평행라인, V라인을 두상 상단에만 적용시켰다.
2) T존의 두상영역분할, 각도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그래쥬에이션 커트의 시술결과
그래쥬에이션 커트의 두상 상단은 두상시술각도 45°, 두상 하단은 두상시술각도 75 ° 로 커트작품 시술결과는 Table 3과 같다.
앞모습을 보면 슬라이스 A 및 전대각 라인은 얼굴로 갈수록 모발 길이가 길어져 볼륨감이 나타났다. V라인은 얼굴라인으로 갈수록 모발 길이가 짧아져 생동감이 관찰되었다. 평행라인은 반듯한 형태로 평범함, 단조로움이 관찰되었다.
옆모습을 보면 뒷면 아래쪽에 층이 많아 거친 질감이 나타났고 위쪽은 매끄러운 질감과 무게선이 나타났다. 옆면은 층이 뒷면보다 적어 매끄러운 질감은 늘어나고, 거친 질감은 줄게 관찰되었다. 동일한 그래쥬에이션 커트로 서로 비슷한 커트 스타일로 나타났다. 다만 슬라이스 라인에 따라 다르게 관찰되었다.
뒷모습을 보면 모두 동일한 커트이므로 드라이 하는 방식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다. 그래쥬에이션 커트 두상시술각도 75°는 하이 그래쥬에이션 커트에 속한다. 모발이 동일 선상으로 떨어지지 않고 무게선 바깥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Jang & Jung (2019)는 하이 그래쥬에이션 커트는 미디엄과 로우 그래쥬에이션 커트보다 올라가고 그로 인해 가벼움, 약간의 무게감, 입체감을 나타난다고 했는데 이와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2. TGM존의 두상영역분할, 각도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그래쥬에이션 커트의 형태선 변화
1) TGM존의 두상영역분할, 각도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그래쥬에이션 커트의 전개 표
그래쥬에이션 커트이며 두상영역분할을 위와 아래로 구분하였다. 커트한 작품의 전개 표는 Table 4와 같다.
커트의 시작점은 네이프 포인트(nape point)에 5 cm, 탑 골든 미디엄 포인트(top golden medium Point)를 기점으로 두상 위와 두상 아래로 구분하였다. 두상 아래는 그래쥬에이션 커트로 두상시술각도 75°를 적용하였고, 두상 위는 그래쥬에이션 커트로 두상시술각도 45°를 적용하였다. 슬라이스 라인 A라인, 평행라인, V라인은 두상 위에만 적용하였다. 모든 커트 기법은 블런트 기법으로 커트하였다.
2) TGM존의 두상영역분할, 각도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그래쥬에이션 커트의 시술결과
네이포 포인트(nape point)에서 커트를 시작하였다. 커트한 작품 시술결과는 Table 5와 같다.
앞모습을 보면 후경사 V라인은 얼굴로 갈수록 모발 길이가 짧아져 귀여운 스타일로 나타났다. 평행라인은 반듯한 일직선 형태로 평범한 스타일로 관찰되었다. A라인은 얼굴 라인으로 갈수록 모발이 길어지는 가름한 스타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슬라이스 라인에 따라 커트 이미지가 달라지게 관찰되었다.
옆모습을 살펴보면 탑 골든 미디엄 포인트 기점으로 두상 위는 중간 그래쥬에이션 커트로 겹겹의 층에 의해 볼륨감이 나타났다. 두상 아래는 하이 그래쥬에이션 커트로 두상 위보다는 다소 가볍게 보였으나, 서로 같은 종류 커트로 연결된 모습과 무게선이 2개 관찰되었다.
뒷모습을 살펴보면 두상 위와 두상 아래 이중 무게선이 나타났다. 슬라이스 A라인과 평행라인은 부피감, 무게감, 팽창감이 증가하였으나 후경사 V라인은 무게감, 부피감, 팽창감이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커트결과로 Guk (2022a)는 높은 그래쥬에이션 커트는 미디엄 그래쥬에이션 커트 보다 층이 많아 거친 질감과 율동감이 나타난다고 하였는데, 이와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3. G존의 두상영역분할, 각도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그래쥬에이션 커트의 형태선 변화
1) G존의 두상영역분할, 각도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그래쥬에이션 커트의 전개 표
커트한 작품의 전개 표는 Table 6과 같다.
두상영역분할을 두상 위와 두상 아래로 구분하였다. 네이프 포인트(nape point)에서 5 cm로 커트를 시작하였고, 두상 아래는 그래쥬에이션 커트로 두상시술각도 75°를 사용하였으며, 두상 위는 그래쥬에이션 커트로 두상시술각도 45°를 사용하였다. 슬라이스 라인 A라인, 평행라인, V라인을 두상 위에만 적용하였다. 빗질은 직각빗질을 하였고 베이스는 해당사항이 없다.
2) G존의 두상영역분할, 슬라이스 라인 및 각도에 따른 그래쥬에이션 커트의 시술결과는 Table 7과 같다.
앞모습을 보면 슬라이스 라인 전경사 A라인은 얼굴로 갈수록 모발 길이가 길어져 차분함과 가름한 형태가 관찰되었다. V라인은 얼굴 라인으로 갈수록 길이가 짧아져 귀여움, 생동감 그리고 안 말음 효과가 나타났다. 평행라인은 반듯한 형태로 평범함, 단조로움이 관찰되었다.
옆모습을 보면 A라인은 뒷면의 길이보다 길어 무게감, 부피감, 팽창감이 증가하였다. 평행라인과 V라인은 뒷면의 길이보다 짧아 생동감, 볼륨감이 형성되었다. 또한 네이프와 백에서 층이 많이 나타나 가벼움이 관찰되었다.
뒷모습을 보면 무게선이 두 개 나타났다. 이는 그래쥬에이션 커트로 두상영역분할을 위와 아래로 나누었기 때문이다. 슬라이스 라인에 따라 A라인은 무게감, 팽창감, 부피감이 가장 많게 나타났고 V라인이 가장 적게 관찰되었다. 또한 뒷면은 옆면(측면)의 연장선으로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커트결과로 Guk (2023b)는 슬라이스 A라인은 얼굴 쪽으로 갈수록 길어져 성숙함, 차분함, 가름함이 나타난다고 하였는데 이와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4. 두상영역분할, 각도,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그래쥬에이션 커트의 길이변화
커트한 후 각 지점의 길이를 측정한 결과 값은 Table 8과 같다.
두상영역분할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두상영역분할 시 두상 상단이 위로 갈수록 모발 길이는 짧아지고 그로 인해 볼륨감과 생동감이 증가하였다. 반면 두상 상단 즉 아래로 내려갈수록 모발 길이는 길어지고 그로 인해 팽창감, 무게감, 부피감이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는 Guk (2023b)는 상단 출발점이 내려갈수록 모발 길이가 길어지고 부피감, 무게감, 팽창감이 형성되었다고 하였는 데 이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슬라이스 라인 A라인일 때는 얼굴 라인으로 갈수록 모발 길이가 길어진다. 그러므로 가름함, 차분함, 샤프함이 발생하였다. 평행라인일 때는 반듯한 형태로 평범함, 단조로움, 고전적인 이미지가 나타났다. V라인일 때는 얼굴 라인으로 갈수록 모발 길이가 짧아진다. 그러므로 귀여움, 볼륨감, 생동감과 안 말음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는 Guk (2022c)는 V라인은 얼굴 라인으로 갈수록 짧아져 귀여움, 발랄함, 생동감이 발생하였다고 하였는데 이와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그래쥬에이션 커트의 두상시술각도 45°는 무게선이 있으면서 무난한 단차를 이룬다. 그러나 그래쥬에이션 커트의 높은 각도 75°는 무게선이 있으나 다소 층이 많게 나타났다. 입체감과 볼륨감을 원할 때는 두상시술각도 45°가 적당하다. 또한 이보다 모발 층이 더 많고 무게선이 있으면서 율동감과 역동적인 움직임을 원할 때는 두상시술각도 75 ° 가 적당하다. 그래쥬에이션은 매끄러운 질감과 거친 질감 그리고, 무게 선을 갖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볼륨감과 자연스러운 층(단차)을 원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커트이다.
Jang & Jung (2019)는 입체감과 볼륨감을 표현하기에 미디엄 그래쥬에이션이 가장 적합하다고 발표하였는데, 본 연구도 이와 동일하게 관찰되었다.
Conclusion
본 연구는 그래쥬에이션 커트로 각도, 두상영역분할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형태 선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다음과 같이 연구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두상영역분할 시 두상 형태 및 얼굴 형태를 파악해야 한다. 또한 모발의 량이 많고 적음을 파악하고, 모발의 성질을 파악해야 해서 분할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즉 두상이 옆으로 넓으면 두상영역 분할 시 위로 올라가야 볼륨감, 생동감을 줄 수 있다. 반면 두상이 길면 두상영역분할 시 아래로 내려가야 부피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둘째, 얼굴형에 따라 슬라이스 라인 선정을 권장한다. 전 대각 A라인을 가름하고 날렵한 이미지로 얼굴형이 통통한 고객들이 선호한다. 후 대각 V라인은 발랄하고 귀여운 이미지로 얼굴형이 긴 고객들이 선호한다. 평행라인은 반듯한 형태로 평범함과 단정함을 원하는 고객들이 선호한다. 고객 두상 형과 얼굴 형 그리고 취향을 고려해서 슬라이스 라인을 선정해야 한다.
셋째, 커트 시 자르는 것 보다 빗질과 몸 위치 및 손동작이 중요한 요소이다. 한 번 빗질할 때 모근 뿌리에서부터 정확하게 빗질해야 실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몸 위치를 자르는 구간 정면에 서서 자르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그러므로 앞면, 옆면(측면) 자를 시 몸을 이동해 정면에 서서 커트하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넷째, 각도를 선정할 때 두상 형이 튀어나왔는지 들어갔는지를 파악해야 한다. 그리고 모발 량이 많은 곳과 적은 곳 또한 모발 굵기가 굵고 가는 지를 파악해야 한다. 즉 모량이 적은 곳과 두상이 들어간 곳은 낮은 시술각도를 적용하길 권장한다. 그러나 모량이 많은 곳과 두상이 튀어나온 곳은 높은 시술각도를 적용하길 권장한다.
다섯째, 두상 형이 튀어나온 부위 즉 골든 포인트, 탑 포인트 구역을 커트 할 때는 섹션을 더 세밀하고 디테일하게 나누어야 한다. 이는 튀어 나온 곳은 떨어질 때 커트 선이 자연스럽지 못하다. 튀어나온 곡면만큼 길이도 떨어질 때 작용을 한다. 또한 튀어나온 곳은 길이가 짧게 보이니 생각했던 길이보다 5-10 cm 이상 길게 해주므로 큰 실수를 줄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여섯째, 사이드 포인트, 이어 포인트, 이어 백 포인트 지점은 두상이 평평하므로 떨어지는 모발이 무게 선을 이룬다. 또한 모량이 많아서 뭉쳐있게 보인다. 그러므로 이 구역은 틴닝 가위를 사용하여 질감 처리 해야 커트 선이 자연스럽다고 사료된다.
일곱째, 그래쥬에이션 커트는 무게 선이 있고 매끄러움, 가지런함, 거친 질감을 갖고 있는 특징이 있다. 각도가 올라갈수록 매끄러운 질감은 줄고 거친 질감은 많아진다. 반면 각도가 내려갈수록 매끄러운 질감은 늘고 거친 질감은 작아진다. 모량이 적은 곳은 낮은 그래쥬에이션 커트가 적합하고, 모량이 많은 곳은 하이 그래쥬에이션 커트가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볼륨감을 주기에는 미디엄 그래쥬에이션이 가장 이상적이고, 이때 길이를 함께 봐야 된다고 판단된다.
이것으로 두상영역분할을 세 가지 방법으로 커트하였다. 슬라이스 라인 A라인, 평행라인, V라인은 두상 위에만 적용하였다. 그리고 두상 위는 미디엄 그래쥬에이션 커트, 두상 아래는 하이 그래쥬에이션 커트를 사용하였다. 각각의 변화되는 모습을 촬영하여 제시하였고 두상영역분할 및 슬라이스 라인에 따라 달라진 길이를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본 연구를 한 결과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카메라를 촬영하는 날씨, 계절, 시간에 따라서 밝고 어두운 명암과 음영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는 불가항력적 요소로 사료된다. 둘째, 드라이를 완성할 때 손동작과 마네킹 가발의 길이가 각각 다르다. 그러므로 안 말음 기법을 동일하게 할 수 없는 불가항력적인 요소이다. 셋째, 실제 가발의 모량과 모발 굵기는 일정하다. 그러나 고객 모량과 모발 굵기는 일정하지 않다. 어느 곳은 모발이 많고 적고 위치에 따라 다르다. 그러므로 이를 고객 모발에 적용하였을 때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한다. 넷째, 슬라이스 라인, 길이, 각도, 각 포인트 위치 점을 측정하는 헤어 디자이너에 따라 1-3 cm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밝히는 바이다. 다섯째, 블런트 기법으로 커트 하였다고 해도 가발 자체에 약간의 질감이 되어 있다. 그래서 블런트 기법의 느낌을 완전하게 표현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여섯째, 같은 제조사 가발은 두상 형과 얼굴형이 모두 동일하다. 그런데 고객은 신체적 특징에 따라 얼굴형과 두상 형, 어깨선, 목선이 모두 다르다. 그러므로 고객 모발에 적용하는 것과 가발 모발에 적용했을 때 다를 수 있다는 것을 밝히는 바이다.
이상으로 그래쥬에이션 커트의 두상영역분할, 각도, 슬라이스 라인에 따른 형태 선을 파악하여 헤어커트 기초 자료로 제공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헤어커트 설계할 때 형태선과 층의 높낮이, 슬라이스 라인, 길이를 미리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마무리로 헤어 커트를 잘 하기 위해서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밀하고 정교한 빗질 둘째, 몸 위치의 손동작 셋째, 다양한 고객 모발에 경험 넷째, 다양한 고객 두상 형 및 얼굴형에 대한 경험 등이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교육과 실제 고객 모발에 대한 경험이 많아야 할 것이다. 향후 연구에는 얼굴형과 두상 형에 맞는 커트디자인, 모량이 많은 곳과 모량이 작은 곳을 커트하는 방식, 나칭 기법의 커트 연구 등이 지속적으로 연구가 나오길 희망하는 바이다.
Notes
Author's contribution
HRG designed, measured and analyzed alone. HRG also wrote and revised manuscript.
Author details
Hye Ran Guk (Director), Yun Hye Ran Hair, 1182-6 Chipyeong-dong, Seo-gu, Gwangju 61950,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