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 아이 쉐도우의 명도와 채도변화에 의한 뇌파와 감성반응
Brainwaves and Emotional Responses to Changes in Red Eye Shadow Brightness and Saturation
红色眼影亮度和饱和度变化引起的脑电波和情绪反应
Article information
Abstract
목적
본 연구에서는 먼셀의 기본색인 red아이 쉐도우를 사람의 뇌와 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이미지 형성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다.
방법
각 눈에 다섯가지 명도와 채도 변화에 의한 바탕뇌파의 상대 뇌파 파워 차이의 비율인 뇌파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for the brainwave, CVB)를 20대 남녀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변화된 red 아이 쉐도우 선호도와 감성 이미지 조사를 통해 평균선호도 지수 파악하였다. 뇌파와 감성평가에 대한 통계 분석은 SPSS를 사용하여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을 실시하였고, 95% 신뢰수준에서 Tukey's test를 통해 사후검증을 하였다.
결과
Red아이 쉐도우의 명도와 채도를 변화시켜 만든 자극물을 제시하여 획득한 뇌파와 감성결과는 남녀 모두 저명도와 고채도의 자극에서 β파와 γ파가 활성 되었고 α파는 비활성되었다. 남성은 명도자극에 대하여 민감하였고, 여성은 채도변화에 의한 뇌파반응이 더욱 변화가 컸다. 남녀 모두 red 아이 쉐도우 명도단계가 8, 채도는 2일 때 선호도가 높았다. 남녀의 PI반응결과는 저명도일 때 모던하고 점잖다는 평가였고 고명도의 자극에서는 맑고 귀여운 이미지로 느껴진다고 하였다. 중채도의 자극에서 남녀 모두 맑고 네추럴 한 이미지로 평가하였고 고채도의 자극에서 모던한 이미지로 느낀다는 반응이었다.
결론
다양한 색자극에 의한 사람의 뇌와 감성에 자극을 미친 결과들은 향후 이미지 컨설팅이나 원하는 이미지 연출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rans Abstract
Purpose
Investigating how Munsell’s primary color (i.e., red eye shadow) influences human brain and emotional responses to establish foundational data for image formation.
Methods
We analyzed the relative power differences in background brainwaves due to variations in five levels of brightness and saturation for each eye both in male and female individuals in their twenties. We use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for brainwaves for our analysis. In addition, we assessed the preferences for altered red eye shadow and the emotional responses to determine the average preference index. We performed statistical analysis for brainwaves and emotional evaluations using 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 in SPSS, followed by post hoc testing with Tukey’s test at a 95% confidence level.
Results
The brainwave and emotional responses obtained by presenting red eye shadow brightness and saturation modification-created stimuli revealed that both men and women exhibited beta and gamma wave activation and alpha wave inactivation upon low brightness and high saturation stimuli. Men were more sensitive to brightness stimuli, whereas women displayed higher-level variability in brainwave responses upon saturation changes. Both genders preferred red eye shadows with brightness and saturation levels of 8 and 2, respectively. The perceptual image responses indicated that stimuli with low or high brightness were perceived as modern and subtle or clear and cute, respectively. Medium or high saturation stimuli were perceived as clear and natural or associated with a modern image, respectively, by both genders.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impact of various color stimuli on the human brain and emotions. We consider the obtained results as foundational data, which could be used in future image consulting or when crafting desired image presentations.
Trans Abstract
目的
研究孟塞尔的原色(即红色眼影)如何影响人脑和情绪反应,以建立图像形成的基础数据。
方法
我们分析了二十多岁的男性和女性每只眼睛的五个亮度和饱和度水平的变化导致的背景脑电波的相对功率差异。我们使用脑电波变异系数进行分析。此外,我们还评估了对改变的红色眼影的偏好和情绪反应,以确定平均偏好指数。我们使用SPSS中的重复测量方差分析对脑电波和情绪评估进行统计分析,然后使用 Tukey 检验以95%的置信度进行事后检验。
结果
通过呈现红色眼影亮度和饱和度修改产生的刺激获得的脑电波和情绪反应显示,男性和女性在低亮度和高饱和度刺激下均表现出β和γ波激活以及α波失活。男性对亮度刺激更敏感,而女性对饱和度变化的脑电波反应表现出更高水平的变异性。男女都喜欢亮度和饱和度分别为8和2的红色眼影。男性和女性的PI反应结果显示,低亮度刺激被评价为现代且受人尊敬,而高亮度刺激则感觉像是清晰可爱的形象。男性和女性在中饱和度刺激下都评价为清晰自然的形象,在高饱和度刺激下感觉这是一个现代形象。
结论
这项研究证明了各种颜色刺激对人脑和情绪的影响。我们将获得的结果视为基础数据,可用于未来的图像咨询或制作所需的图像演示。
Introduction
사물의 크기와 모양, 색상 등은 눈의 망막을 통해 보여지며 특히 색에 의하여 사람의 감성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그러한 색은 시각을 통하여 의식속에서 저장된 기억이나 경험으로 사람의 행동을 결정하거나 인식하는데 크게 좌우되는 동기가 된다(Jang, 2023). 색채는 디자인 요소 중 표현적인 특징이 강하여 메이크업 연출 시 내외적 이미지 전달수단으로 사용한다(Lee, 2010). 색의 적절한 조합은 효과적인 이미지 연출을 위해 얼굴, 눈, 코와 입의 형태를 고려하여 얼굴의 결점을 보완하고, 시각적으로 가시화시켜 자신의 이미지를 형성시킨다(Song & Park, 2005). 선행연구에서 컬러의 색상, 명도, 채도의 배색 방법들은 이미지 변화에 효과적이다고 결과가 도출되었고(Ji & Kim, 2016) 또 다른 연구에서는 색상, 명도, 채도를 조절하여 사람의 감성 인식을 평가할 수 있다고 하였다(Oh & Lee, 2010).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색에 의한 효과 검증 방법으로 뇌파측정을 이용하여 생리적 변화를 나타내었다(Lee et al., 2014a; Khoroshikh et al., 2012; Kim et al., 2017). 뿐만 아니라 컬러가 인체와 감성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정량화된 실험을 통하여 상관관계가 입증되었다(Lee & Lee, 2020; Chong et al., 2004; Weller & Livingston, 1988: Aprilianty et al., 2016; Kim et al., 2014). 컬러에 대한 감성 인식은 감성계산식으로 나타내어 정성적 분석의 단점을 보완 할 수 있는 결과(Lee, 2015)와 아이 쉐도우의 명도와 채도 관계를 Muncell System(한국 색채표준 디지털 파레트)을 제시하여 감성결과를 정량화 한 결과가 있었다(Kim, 2017). 그 외 컬러 자극에 의한 효과 연구들은 정량적 방법인 뇌파와 심박변이, 혈압, 교감신경과 부교감신의 변화, 피부의 온도변화 등의 체크로 신체에 유의미한 효과를 준다는 결과를 증명하였다(Yoto et al., 2007; Lee et al., 2014a; Lee et al., 2014b; Kim et al., 2014). 이렇듯 선행연구들은 컬러에 의하여 사람의 감성과 신체와의 상관관계를 각각의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으며 색상의 3요소의 변화에 의해서도 많은 변화를 줄 수 있다고 한다. 아직 얼굴에 사용되는 컬러 효과에 관한 연구는 미미하였다. 특히 아이 쉐도우 색상을 이용한 이미지 연출과 활용법을 과학적 방법으로 증명되는 연구는 극소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원색의 red 아이 쉐도우의 색상을 다섯 가지 명도와 채도 변화를 주어 남녀를 대상으로 뇌파를 분석하여 정량적 데이터를 획득하여 비교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자극물들에 대한 선호도와 감성 조사를 통해 선호도 지수(PI) 파악하여 아이 쉐도우 색상을 이용하여 원하는 이미지를 찾고자 한다. 아이 쉐도우 색자극에 의한 남녀의 뇌와 감성에 미친 결과는 향후 이미지 컨설팅이나 연출 시 활용할 수 있는 과학적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Methods
1. 실험재료
본 연구에서 Adobe Photoshop CS6 (Adoby System, USA)을 이용하여 표준형의 눈(standard eyes)에 red를 명도(value, V) 2(5R 2/1), 4(5R 4/14), 6(5R 6/6), 8(5R 8/6), 10(5R 10/0)로 변형하였고, 채도(chroma, C) 0(5R 4/0), 2(5R 4/2), 6(5R 4/6), 10(5R 4/10), 14(5R 4/14)로 자극물을 제작하였다(Table 1). Munsell System(한국 색채 표준 디지털 팔레트) 기준으로 명도는 2단계씩 나누었고, 채도는 0, 2, 6, 10, 14로 변화를 주어 각각 자극물 5개로 제작하였다. 뇌파 측정 시에 아이 쉐도우 컬러에 따른 반응만을 보기 위해 외부자극인 피부색과 입술 등을 배제시켜 자극물로 만들어 제시하였다.
2. 실험 대상 및 뇌파 측정방법
서울, 경기도 소재의 남녀 대학생, 대학원생 남자 30명(평균25.2세), 여자30명(평균23.2세)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피험자들은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측정을 통하여 신경학 또는 정신질환 병력이 없으며, 색맹이 아닌 정상적인 시각 기능을 가진 대상만을 선발하였다. 본 연구는 헬싱키윤리기준과 임상시험기준을 준수했으며 숭실대학교의 연구 윤리위원회의 승인 하에 이루어졌으며 모든 피험자에게 목적과 과정에 대해 충분한 설명 후 동의를 구하였다(승인번호: SSU-201404-HR-016-01). 피험자에게 자극물을 60-70 cm 거리의 모니터(24MP47HQ, ㈜ LG, Korea)를 통해 제시하였다. 뇌파생리신호(electroencephalogram, EEG)는 QEEG 32 system (Laxtha, Korea)을 사용하였고, 뇌파 캡(Electro-cap-medium 21ch, ECI. USA)을 이용하여 피험자 머리에 씌어 측정하였다. 자극물은20 s간 제시하여 뇌파를 측정하였으며, 뇌파 캡은 21부위에 국제 10-20 전극 배치법의 기준에 따라 센서가 부착되어 있다. 바탕 뇌파의 변동이 심한 피험자는 배제시켰으며 정상적인 바탕 뇌파가 측정된 피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뇌파 측정 전 피험자가 안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눈을 감고 3-5 min 동안 명상을 취한 후 편안한 상태에서 색상 자극물이 있는 컴퓨터 모니터를 20 s 동안 응시하도록 하여 자극물을 보는 동안 뇌파를 수집하였다(Kim, 2022). 시각 반응에 관한 뇌파 측정방법은 한번만 제시하여 잔상이 남지 않도록 하였고, 피로감을 없애기 위해 중간에 휴식하였다. 자극물을 보고 있는 동안 눈 깜빡임은 데이터 처리과정에서 제거하였고 피험자에게 자극물의 순서는 무작위로 하였으며 뇌파 측정 후 바로 감성반응을 체크하였다(Kim, 2022).
3. 감성평가
각각의 다섯 가지 명도와 채도 변화 이미지의 감성평가는 형용사 척도를 10 point (-5 to 5)로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감성 형용사는 Kim & Ryu의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형용사와 image research institute (IRI)에서 사용한 단어를 추출하였다(Kim & Ryu, 2011; Kim, 2017). 감성형용사는 깊은-얕은(deep-shallow), 정적인-활동적인(static-dynamic), 인공적인-자연적인(artificial-natural), 멋진-사랑스러운(chic-lovely), 남성적인-여성적인(masculine-feminine), 딱딱한-부드러운(hard-soft), 어두운-밝은(dark-bright), 서양적인-동양적인(western-eastern), 나이든-젊은(aged-young), 강인한-연약한(strong-weak), 무거운-가벼운(heavy-light), 탁한-맑은(turbid-clear), 복잡한-단순한(complicated-simple) 시원한-포근한(cool-cozy) 14쌍을 구성하였다. 7개의 감성 형용사 쌍의 척도 값의 선호도 지수(preference index, PI) 개념을 도입하여 감성 평가를 분석하였다(Hong & Kim, 2012). PI결과값은 이미지 형용사 맵의 형용사 위치에 각각 포지셔닝하여 남성과 여성의 반응을 비교하였다. 각 자극물에 대한 호감도 평가는 5점척도로 평가하여 조사였다.
4. 분석방법
각 눈에 다섯 가지 명도와 채도 변화에 의한 뇌파 분석은 수집된 뇌파 데이터를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정량적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0-50 Hz의 주파수 영역 중에 눈 굴림이나 안면 근육의 움직임에 따라서 영향을 많이 받는 델타파(0-4 Hz)를 제거한 후 fast fourier transform (FFT)의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나머지 주파수 대역(4-50 Hz)의 파워 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전체 주파수 대역의 상대 파워값(relative power values. RPVs)인 가수면 상태에서 활성되는 세타파(relative theta power, θ 파: 8-13 Hz), 이완시 활성되는 상대 알파파(relative alpha power, α 파: 8-13 Hz) 각성시 출현하는 상대 베타파(relative beta power, β 파: 13-30 Hz) 집중 시 출현하는 상대 감마파(relative gamma power, γ 파: 30-50 Hz)를 측정하였다. 아무 자극이 없는 바탕 뇌파의 RPVs 대비 다섯 가지 명도와 채도 변화에 따른 바탕뇌파의 상대 뇌파 파워 차이의 비율인 뇌파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for the brainwave, CVB)를 분석하였다. 각 자극에 대한 SEF50, SEF90의 변화는 바탕 뇌파 평균값 대비 각 자극에 대한 주파수 값의 편차로 평가하였다(Jung et al., 2015: Kang et al., 2013; Chang et al., 2017; Kim et al., 2018). 뇌파 반응에 따른 통계 분석과 감성반응은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SPSS) ver.22.0 (IBM, USA)을 사용 반복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alysis of variance)을 실시하였으며, 95% 신뢰수준에서 Tukey's test를 통해 사후검증을 하였다(Kim, 2017; Kim, 2022).
Results
1. Red의 명도와 채도 변화에 따른 뇌파반응
1) Red 명도에 따른 남성과 여성의 뇌파반응
눈 이미지에 red 아이 쉐도우 명도(V)를 5가지(2, 4, 6, 8, 10)로 변화시켜 제작한 자극물을 제시하여 획득한 결과는 바탕 뇌파의 상대 뇌파파워 차이의 비율인 뇌파변동계수(CVB)와 SEF50과 SEF90을 남성과 여성의 반응을 Figure 1과 Figure 2에 도시하였다. 남성은 V2일 때 θ파는 40.0±20.7%였으나 고명도인 10일 때 52.2±23.9%로 크게 증가하였다. α파는 저명도인 V2일 때 47.7±8.7%로 감소하였으나 고명도 10일 때 45.9±8.0%로 저명도에 비하여 감소폭이 적었다. β파는 V2일 때 48.4±7.5%였으나, 고명도인 10일 때 39.8±6.7%로 비활성되었다. γ 파는 V2일 때 91.4±21.7%였으나, 고명도 10의 자극 시 56.5±17.6%로 감소하였다(Figure 1A). 여성은 V2일때 θ파는 41.1±11.0%였으나 명도가10일 때 46.1±14.2%로 증가하였다. α파는 저명도인 V2일 때 49.4±7.6%로 감소하였으나 V10인 고명도 시 42.1±8.3%로 저명도 자극보다 감소폭이 적었다. β파는 V2일 때 60.4±9.7%였으나 고명도인 V10일 때 54.9±20.0%로 저명도의 자극보다 비활성되었다. γ파는 V2일 때 78.9±19.1%였으나 V10인 고명도 일 때 54.9±20.0%로 감소하였다(Figure 1B). 전반적으로 남녀 모두 저명도보다 고명도일 때 θ파, α파가 활성 되었으며 β파와 γ파는 반대로 비활성되었다. 바탕뇌파 보다 α파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θ, β, γ파) 대역에서 증가하였다. 남성이 여성에 비하여 명도 변화에 따른 뇌파 변동계수의 변화폭이 크게 나타나므로 남성이 명도 변화에 의한 뇌파에 자극반응이 높았다. 각 자극에 대한 SEF50, SEF90의 변화는 바탕 뇌파 평균값 대비 각 자극에 대한 주파수 값의 편차값인 △SEF50과 △SEF90 남성의 반응은 V2일 때 △SEF50은 2.2±1.2 Hz였으나 V10인 고명도에서 0.7±1.0 Hz로 감소하였다(Figure 2A). △SEF50의 여성의 결과는 V2일 때 1.7±1.1 Hz였으나 10인 명도일 때 0.6±0.9 Hz로 감소하였다. △SEF90의 남성반응은 저명도V2에서 7.1±1.2 Hz였으나 5.8±1.1 Hz로 감소하였다. 여성은 V2인 저명도자극에서 7.2±1.5 Hz였으나 V10인 고명도자극의 △SEF90은 6.0±1.5 Hz (Figure 2B). 각 자극에 대한 각 자극에 대한 △SEF50과 △SEF90의 반응은 남녀 모두 고명도일 때가 비활성되는 경향으로 집중도와 각성이 저명도일 때 높게 활성되었다(△SEF50, 남성: r2=0.93, 여성: r2=0.90, △SEF90, 남성: r2=0.68, 여성: r2=0.55). 어두운 명도에서 뇌의 각성정도가 더 활성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남녀 모두red아이 쉐도우 컬러의 명도 변화에 의한 뇌파 지표(θ, α, β, γ, △SEF50, △SEF90)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2) Red 채도에 따른 남성과 여성의 뇌파 변동계수
Red아이 쉐도우의 채도(C)를 5가지(0, 2, 6, 10, 14)로 변화시켜 자극물을 제시하여 획득한 결과는 뇌파변동계수(CVB)와 SEF50과 SEF90을 남성과 여성의 반응을 Figure 3과 Figure 4와 같이 도시하였다.
남성은 C0일 때 θ 파는 65.9±29.4%였으나, 14의 고채도 자극일 때 49.5±29.5%로 감소하였다. α 파는 C0인 저채도 일 때 49.1±10.9% 감소하였고 고채도의 C14일 때 54.1±9.5%로 감소폭이 더 늘었다. β 파는 C0일 때 32.4±10.1%였으나 고채도인 C14일 때 43.5±8.2%으로 저채도 보다 활성 되었다. γ파는 채도가 0일 때 49.7±14.5%였으나, 고채도인 C14일 때 88.5±23.7%로 증가폭이 컸다(Figure 3A). 여성의 뇌파변동계수의 반응 중 C0일 때 θ파가 45.1±12.9%였으나 C14일 때 40.6±17.8%로 소폭 감소하였다. α파는 C0인 저채도 자극일 때 49.9±8.5% 로 바탕뇌파 보다 감소하였고, C14인 고채도 시 52.8±8.0%로 감소폭이 적었다. β파는 C0일 때 59.4±10.5였으나, 고채도인 C14일 때 61.7±8.4%로 활성이 되어 고채도일 때 더 증가하였다. C0일 때 γ파는 61.1±21.8였으나, C14의 자극 시 β파가 94.0±21.8%로 증가하였다(Figure 3B). 전반적으로 남녀 모두 아이 쉐도우의 고채도 자극시 β, γ파가 활성 되었으며, 바탕 뇌파 보다 α파를 제외한 나머지 주파수 대역에서(θ, β, γ파) 뇌파변동계수가 증가하였다(Figure 3A). 여성이 남성보다 채도 변화에 의한 바탕뇌파 대비한 뇌파변동계수가 크게 반응하여 채도변화에 의한 뇌의 자극반응이 더 높았다.
각 자극에 대한 SEF50, SEF90의 변화는 바탕 뇌파 평균값 대비 각 자극에 대한 주파수 값의 편차 △SEF50과 △SEF90결과는 남성은 C0일 때 △SEF50은 0.9±1.0 Hz였고, C14일 때의 자극에서 2.3 ±1.8 Hz으로 증가 폭이 매우 컸다. 여성은 C0일 때 △SEF50이 1.4±1.1 Hz였으나, C14의 고채도 자극 반응은 1.9±1.6 Hz 로 남성과 비슷한 경향이었다(Figure 4A). 남성의 △SEF90도 역시 C0일 때 5.5±1.3 Hz였으나, 고채도 14 자극시 8.3±1.2 Hz 로 증가 폭이 컸다. △SEF90의 여성반응도 역시 저채도 C0에서 6.6±1.4 Hz였으나 C14일 때 반응은 8.3±1.5 Hz로 매우 증가하였다(Figure 4B). 각 자극에 대한 각 자극에 대한 △SEF50과 △SEF90반응은 남성과 여성 모두 고채도의 자극시 활성되어 집중과 각성반응은 남녀 모두 고채도 일 때 높게 반응하였다(△SEF50, 남성: r2=0.79, 여성: r2=0.98, △SEF90, 남성: r2=0.78, 여성: r2=0.98). 원색의 자극에서 뇌의 각성정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Red아이 쉐도우 컬러의 채도변화에 의한 뇌파 지표(θ, α, β, γ, △SEF50, △SEF90)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2. Red 아이 쉐도우의 명도와 채도에 따른 호감도(preference)
1) Red 아이쉐도우의 명도 변화에 따른 남녀의 호감도
명도 변화에 따라 남녀의 호감도를 Figure 5에 도시하였다. 남성은 명도가2일 때 호감도가 2.5, 명도4일 때 2.1로 저명도 일 때 낮게 평가되었다. 명도가 6일 때 호감도는 2.5, 명도 8일 때 3.2로 높았다(Figure 5A). 명도가 가장 높은 V10의 호감도는2.9로 가장 높게 평가되지 않았으나 전반적으로 고명도일 때 호감도가 좋았다. 여자의 호감도 반응은 Figure 5B에 도시하였다. V2일 때 호감도가 1.8로 저명도 일 때 낮게 평가되었으며 V4일 때는 1.9, V6일 때 3.1, V8인 경우도 남성의 호감도 평가와 비슷하게 3.5로 높게 평가되었다. V2인 자극 시 호감도는 2.8로 저명도보다 고명도로 갈수록 높게 나타났다. 남녀 모두 red아이쉐도우의 V8에서 호감도가 높았다.
2) Red 아이쉐도우의 채도 변화에 따른 남녀 호감도
채도 변화에 따라 남녀의 호감도를 Figure 6에 도시하였다. 채도 변화에 따른 남성의 호감도 평가는 C0일 때 2.7였고 C2일 때 호감도가 2.9였다. C6일 때 2.7로 평가되어 중채도 일 때도 역시 호감도가 높게 평가되었다(Figure 6A). C10의 호감도는 2.5로 나타났으며 C14는 2.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여성은 C0일 때 호감도가 2.4, C2일 때 2.8로 평가되었다(Figure 6B). C6일 때 2.8로 평가되었으며 C10의 채도 자극 시 호감도 평가는2.6, C14일 때 1.9로 평가되었다. 남녀 모두 고채도 일 때 호감도가 낮게 평가되었고 C2일 때 높았다.
3. Red 아이쉐도우의 명도와 채도 변화에 따른 선호도지수(PI)
1) Red 아이 쉐도우의 명도에 따른 남성과 여성의 PI
Red 아이 쉐도우의 명도단계 변화에 따른 남성과 여성의 PI의 반응을 Figure 7에 도시하였다. V2일때의 PI 반응은 전반적으로 동적이며 딱딱하는 평가가 주도적이었다. 특히 모던한 이미지를 전달하는 깊고(-2.9), 무거우며(-2.0), 어두운(-2.6) 감성으로 판단하였다(Figure 7A). 여성의 PI반응도 V2일때 전반적으로 딱딱하는 평가가 주도적이었다. 특히 모던하며 다이나믹하면서 고상한 이미지로 보여진다고 하였다(Figure 7A'). V2단계에서 여성은 어두운(-4.0), 무거운(-3.6), 깊은(-3.5), 탁한(-3.5), 강인한(-2.9)느낌으로 평가하여 남성보다 감성 형용사에 대한 PI 값을 크게 평가되었다. V4의 자극일 때의 남성반응 역시 모던한 느낌을 준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으며 다이나믹하며 고상한 이미지 평가하였으며 깊은(-2.8)이미지 평가가 가장 높았다(Figure 7B). 여성은 무겁고(-3.6), 깊고(-3.5), 강인한(-2.8), 어두운(-1.5)감성이 두드러졌다. 여성의 PI 반응 역시 V4일 때 남성과 비슷하게 모던하며 다이나믹, 고상하다는 느낌이 지배적이었다(Figure 7B'). 중명도 V6의 자극 시 남성 PI반응은 부드러우면서도 정반대의 느낌인 딱딱함을 동시에 느꼈다. 여성적인(2.0) 느낌과 동시에 깊은(-2.4) 이미지를 전달한다고도 하였다(Figure 7C). 여성도 역시 중명도의 V6일때의 PI반응이 남성과 비슷하게 여성적인(1.9)를 느끼면서 깊은 이미지(-3.0)으로 동시에 평가하였다(Figure 7C'). 고명도 V8자극시 남성의 PI반응은 여성적(2.4), 밝은(2.1), 부드러운(1.8), 사랑스러운(1.6)이미지로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이미지였다(Figure 7D). 여성들의 PI반응도 역시 여성적인(3.4), 부드러운(3.1), 사랑스러운(3.0), 밝은(2.9) 이미지로 귀엽고, 맑고 네추럴하다고 평가되었다(Figure 7D'). V10자극의 남성 PI는 경쾌하며 모던, 다이나믹 한 느낌으로 형용사 이미지 맵에 감성이 고르게 분포되었다. PI반응은 깊고(-2.1), 무거운(-2.0), 젊은(1.7), 자연적인(1.2), 경쾌한(0.9)로 평가되었다(Figure 7E). V10의 자극에서 여성들은 자연적인(2.3) 감성이 가장 높았고, 반대 감성으로 모던한 느낌의 깊은(-1.3), 무거운(-1.2), 어두운(-0.9) 이미지라도 느꼈다(Figure 7E'). 여성은 남성보다 고명도에서 네추럴 한 이미지가 더 느껴진다고 평가하였다.
전반적으로 PI반응결과는 고명도의 아이 쉐도우 자극 시 남성은 맑고 모던하다고 평가하였고 여성은 모던, 고상하다고 평가하였다. 중명도의 자극시 남성과 여성은 맑고, 네추럴, 모던하는 비슷한 반응이었다. 저명도의 자극시 남녀 모던한 느낌이 주를 이루었다.
2) Red 아이 쉐도우 채도에 따른 남성과 여성의 PI
Red아이 쉐도우 채도(C)의 단계별 변화에 따른 남성과 여성의 PI의 반응을 Figure 8에 도시하였다. 남성은 C0 일 때 PI 반응은 동적이며 딱딱한 이미지의 모던하면서도 경쾌하고 다이나믹 한 이미지의 평가가 주를 이루었다(Figure 8A). 특히 깊은(-2.4), 어두운(-1.8), 서양적인(-1.7) 순의 감성 평가로 모던한 이미지가 지배적이고 경쾌하며 다이나믹 한 이미지를 느낀다고 하였다. C0인 저채도 자극에서 여성의 PI는 모던한 이미지가 주도적이었다(Figure 8A'). 특히 딱딱한 감성 중 깊은(-3.0), 무거운(-2.3), 어두운(-2.3)의 이미지가 주를 이루며 경직된 느낌으로 받아들였다. C2의 자극시 남성PI반응은 맑고 모던한 이미지, 네추럴 한 경쾌한 이미지로 고르게 분포되었다(Figure 8B). 특히 여성적(2.6) 감성이 두드러졌으며 깊은(-2.5) 이미지도 느낀다고 평가하였다. C2자극의 여성 PI반응은 딱딱하며 동적인 평가로 이미지 형용사 맵에 포지셔닝 되었다. 깊은(-2.9), 무거운(-1.8), 어두운(-1.5), 탁한(-1.4) 순으로 C2일 때 모던하면서도 맑고 고상한 느낌의 이미지로 평가하였다(Figure 8B'). 중채도 C6자극에 의한 남성 PI반응은 모던하고 경쾌하며 내추럴한 느낌의 이미지로 평가하였다(Figure 8C). 깊은(-2.1)>여성적인(2.1)>서양적인(-1.9)>강인한(-1.7) 순으로 평가되었다. 여성은 깊은(-2.6)>무거운(-1.8)>강인한(-1.7) 순으로 평가하였고 특히 모던하며 맑고 내추럴한 느낌으로 분포도가 넓게 평가되었다(Figure 8C'). C10 자극에 대한 PI남성반응은 모던, 경쾌, 맑고 네추럴, 우아한 이미지로 평가되었다(Figure 8D). 특히 깊은 느낌(-2.6)으로 가장 높게 평가하였으며 여성적인(2.1) 이미지로도 느낀다고 하였다. C10자극의 여성 PI반응은 깊은(-2.8), 무거운(-1.6), 인공적인(-1.6), 여성적인(1.5) 순으로 평가되어 모던하면서도 상대적 이미지의 경쾌하고 맑고, 화려한 이미지로 느꼈다(Figure 8D'). C14의 남성의 PI는 모던한 이미지가 주를 이루었으며 고상하며 우아한 그리고 화려한 느낌이 공존하였다(Figure 8E). 깊은(-2.8), 강인한(-2.2), 인공적인(-2.2) 순으로 평가하였다. 여성은 남성과 달리 모던하고 다이나믹 한 이미지가 주를 이루었다. 깊은(-3.5) 이미지를 가장 높게 평가하였으며 인공적인(-2.9)>강인한(-2.8)>무거운(-2.7) 이미지로 평가하였다(Figure 8E').
남녀 모두 저채도의 red 아이 쉐도우 자극에서 PI는 모던하면서 경쾌하고 네추럴 한 느낌이라고 평가하였으며, 중채도 자극에 대한 PI평가는 형용사 이미지 스케일에 포지셔닝이 넓게 분포되었다. 고채도 자극의 PI는 남성과 여성은 모던한 감성으로 느낀다고 평가하였다. 채도 변화에 의한 공통적 이미지는 남녀 모두 모던한 이미지를 느낄 수 있다고 평가하였다.
Discussion
Red아이 쉐도우의 명도와 채도를 변화시킨 자극물을 제시하여 획득한 뇌파와 감성반응 결과는 남녀 모두 저명도와 고채도의 자극에서 β 파와 γ 파는 활성 되었고 α파는 비활성되었다(Figure 1, Figure 2, Figure 3, Figure 4). 남녀 모두 red 아이 쉐도우 V8, C2일 때 호감도가 가장 좋았다(Figure 5, Figure 6). 남녀의 PI반응은 명도와 채도변화에서 공통적으로 모던한 이미지를 느낀다고 평가하였다(Figure 7, Figure 8).
선행된 보고에 의하면 가독성이 높은 색상 반응에서 β 파와 γ 파가 활성 되었다(Kim, 2017; Lee & Lee, 2012). Wang et al. (2021)의 연구에 의하면 베타파와 감마파가 풍경사진 인식률과 구조파악에 높은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역시 가독성이 높은 고채도 아이 쉐도우 자극에서 β 파와 γ 파가 활성 된 결과는 고채도 red 아이 쉐도우 자극 시 타인의 이목과 집중을 끌기 위하여 효과적인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Figure 1, Figure 2).
백색 할로겐 광원에 파랑, 녹색, 빨강, 노랑의 컬러 필터를 사용하여 뇌파 측정한 연구결과는 파랑, 녹색의 차가운 계통의 색채에서 알파파의 활성도가 높았고 빨강, 노랑의 따뜻한 계통의 조명에서 베타파가 활성화되었다(Zhang & Tang, 2011). 이는 눈의 망막을 자극하는 난색이 베타파를 활성시키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명도가 낮고 고채도의 red 아이 쉐도우 자극에서 베타파와 감마파의 활성 정도가 높은 결과는 사람의 시선을 집중하기에 효과적일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남녀의 red 아이 쉐도우의 선호도는 모두 중채도 자극에서 선호도가 높았다(Figure 5). 한국, 중화권, 일본, 태국의 여성들은 자연스러운 이미지를 선호하였고 남녀 모두 컬러 감이 강하지 않은 고명도와 저채도 메이크업 색상을 선호하였다(Kim & Li, 2014). 본 연구에서는 남녀 모두 특히 V8인 고명도 자극에서 가장 선호도가 좋았고 red 아이 쉐도우 C2와 C6일때가 가장 선호도가 높게 평가되었다(Figure 5, Figure 6). 이 결과들은 자연스러운 이미지 연출을 위한 red 아이 쉐도우 메이크업은 고명도와 중채도의 색상을 활용에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고명도와 중채도의 red 아이 쉐도우의 선호도가 높아 실제 보여지는 가독성과는 상관관계가 낮지만, 색 자극에 의하여 뇌파에 영향을 미치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조명의 색온도를 조절한 결과 알파감쇠계수(alpha attenuation coefficient, AAC)는 운동 후 높은 색온도에서 더 증가하여, 낮은 색 온도보다 높은 색 온도(5000K, 7000K)에서 피로도가 낮게 파악되었다. 즉 높은 색 온도의 조명에서 졸음이 유발되는 결과를 초래하여 컬러의 자극에 의해 심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Shi et al., 2009). 색조와 채도가 사람의 감정상태에 영향을 준다는 것은 EEG측정을 통하여 증명되었고(Khoroshikh et al., 2012; Lee et al., 2017), 고채도에서 각성정도가 높았으며 밝은 톤이 이완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Yamashita et al., 2013). Red 아이 쉐도우 컬러 자극변화에 따른 뇌파결과가 채도가 높을수록 뇌파가 상승한 결과를 지지하였다. 또 다른 선행연구에서 음악모드와 램프의 빛 색상이 관객의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Lu et al., 2018). L*a*b* 시스템의 좌표를 적용하여 음료에 9가지 컬러로 변화한 결과 맛과 냄새를 다르게 느낀다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Gilbert et al., 2016). 이러한 현상은 음료수의 맛이 컬러에 의하여 사람의 감성과 미각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고, 램프 빛에 역시 감성에 영향을 미치며 명도와 채도의 변화에 따라 시각적 변화에 의하여 감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결과와 비슷한 반응이었다(Figure 5, Figure 6). 의자에 바르게 앉아 있는 상태와 구부린 자세일 때의 감성과 뇌파 결과는 바른 자세일 때 긍정적인 감정을 유지할 수 있었고, 뇌파반응 결과는 구부린 자세일때보다 바른 자세일 때 베타파가 높게 나타났다(Tsai et al., 2016). 이는 negative한 감성보다 positive한 감성일 때 베타파가 증폭되었다. 본 연구에서 남녀 red 아이 쉐도우가 저명도와 고채도일 때 자극에서 β파와 γ파 가장 활성 되었고, 감성반응(PI)도 역시 저명도와 저채도의 자극일 때 negative한 평가였다. 선행연구 결과와는 다르게 negative한 감성일 때 β파와 γ파가 활성 되었으나, 감성 변화에 따라 사람의 뇌를 자극한다는 결과를 유추할 수 있었다.
메이크업 색상 변화는 여성의 이미지 지각에 많은 영향을 미지는 외적요소라는 보고가 있다(Cho & Yang, 2017). 아이 쉐도우의 명도와 채도 변화에 의한 PI반응이 저명도일 때 모던하다는 평가였고, 고명도의 자극에서는 모던하면서도 맑은 이미지로 평가되었다. 이렇듯 색상변화에 의하여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잇는 것으로 파악되며 아이쉐도우의 명도와 채도 변화에 따른 뇌파와 감성반응은 생리적, 감성적으로 크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Conclusion
20대 남녀 60명을 대상으로 red 아이쉐도우를 다섯 가지의 명도와 채도를 변화시켜 획득한 뇌파와 감성 평가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남녀 모두 red 아이 쉐도우 명도 변화에 의한 뇌파반응은 각성 시 활성되는 β파, γ파, SEF50와 SEF90은 저명도 일 때 활성되었고, 이완시 활성되는 α 파는 남녀 모두 고명도 일 때 증가되었다. 채도 변화에 따른 남녀의 뇌파반응은 β파, γ파, SEF50와 SEF90은 고채도 자극 시 높았고 α 파는 저채도일 때 높게 증가하였다. 남녀 모두 명도와 채도변화에 의한 뇌파 변화가 컸다. 남녀의 호감도(preference) 평가는 모두 고명도인 V8과 중채도인 C2, C6의 자극 일 때 높았다. 남녀의 명도와 채도 변화에 따른 PI반응은 남성은 저명도일 때 모던하고 점잖은 느낌, 고명도의 자극 시 모던하면서 맑고 경쾌, 네추럴하다고 평가하였다. 채도 변화에 의한 남성의 PI 반응은 저채도인 경우 경쾌하고 모던, 네추럴한 이미지였고 고채도 자극시 모던, 맑고 우아하며 경쾌하다고 평가하였다. 저채도 자극시 모던하며 점잖은 느낌, 고채도의 PI평가는 남녀가 동일한 반응이었다. 명도 변화에 의한 뇌파반응은 남성이 더 뇌파변동계수 편차가 컸으며, 채도 변화에 의한 반응은 여성이 더 높았다. Red 아이쉐도우를 명도와 채도 변화를 시켜 도출한 뇌파와 감성 결과는 명도와 채도변화에 의하여 뇌와 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시사되었다. 이 결과들은 이미지 컨설팅이나 연출 시 아이쉐도우 컬러의 이미지를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구축할 수 있다. 후속 연구로 다양한 아이쉐도우 컬러의 의하여 도출된 뇌파와 감성 데이터를 활용한다면 원하는 이미지로 연출하기 위하여 정량적인 기초데이터로 적용할 수 있다.
Notes
Author's contribution
NSC conducted experiments, derived data, and conceptualized the paper. Additionally, he contributed to the content of the paper. HWR guided the experiments, overseeing the basic EEG experiments to facilitate data extraction. MKK finalized and improved the written paper. KMK assisted NSC in the experiments, participated in data extraction, verified the accuracy of the obtained data, and revised the draft of the written paper.
Author details
Nam Sik Choi (Graduate Student), Major of Beauty Science and Technology,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Soongsil University, Sangdo-ro 369, Dongjak-gu, Seoul 06978, Korea; Min Kyung Kim (Professor), Department of Beauty Care, Jangan University, 1182 Samcheonbyeongma-ro, Bongdam-eup, Hwaseong-si, Gyeonggi-do 18331, Korea; Hee Wook Ryu (Professor),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Sangdo-ro 369, Dongjak-gu, Seoul 06978,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