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벤더와 라벤더 블렌딩 에센셜 오일이 성인의 심리적 요인에 미친 효과크기 분석
Meta-analysis of the Effect Size of Lavender Essential Oil and Lavender Blended Essential Oils on Psychological Factors in Adults
薰衣草精油和薰衣草混合精油对成人心理因素效果大小的Meta分析
Article information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라벤더와 라벤더 블렌딩 에센셜 오일이 성인의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효과 크기를 비교 분석하여 라벤더 에센셜 오일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효율적인 활용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방법
라벤더와 라벤더 블렌딩 에센셜오일이 심리적 관련 요인에 미친 효과 크기를 분석하기 위해 10년간(2013년 1월-2023년 12월) 출판된 연구물들을 수집하였다. 자료의 선정은 PICOS 형식에 따라 수량화된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제시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사후를 비교하는 연구를 선정하였으며, 메타분석 전문프로그램인 Biostat사(Englewood, USA)의 CMA 4 (comprehensive meta-analysis version 4)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라벤더 단독 에센셜 오일의 경우 불안(0.731)과 스트레스(0.730)에 효과가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수면의 질(0.673), 피로(0.601)의 순이었다. 라벤더 블렌딩 에센셜 오일의 경우 수면의 질(1.383)이 효과크기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피로(1.159), 스트레스(0.789), 불안(0.638)의 순이었다. 즉, 라벤더 에센셜 오일을 사용한 심리적요인의 개선은 불안감과 스트레스의 완화를 위해서는 단독으로 사용하고, 수면의 질과 피로의 개선을 위해서는 블렌딩으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가 높았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성인의 심리적요인(불안, 수면의 질, 스트레스 및 피로)의 개선을 위해 사용된 라벤더와 라벤더 에센셜오일의 사용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효과크기 분석의 결과는 라벤더와 라벤더 블렌딩 에센셜오일에 대한 객관적인 결과의 근거자료를 제공하는데 큰 의의가 있으며, 차후 전반적인 심리적요인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들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Trans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size of lavender essential oil and lavender blended essential oils on adult psychological factors.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to recommend an effective application strategy for improving psychological factors in adults.
Methods
To analyze the effect size of lavender essential oil and lavender blended essential oils on psychological factors in adults, studies published over the last 10 years (January 2013 to December 2023) were collected. Studi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population,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s, and study-format focusing on those that compared the pre and post psychological health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and presente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version 4 software by Biostat (Englewood, USA).
Results
Treatment with lavender essential oil alone showed highly positive effect on anxiety (0.731) and stress (0.730), followed by positive effects on sleep quality (0.673) and fatigue (0.601). Furthermore, treatment with lavender blended essential oils showed the most positive effects on sleep quality (1.383), followed by fatigue (1.159), stress (0.789), and anxiety (0.638).
Conclusion
This study, discovered that lavender essential is effective in relieving anxiety and stress when used to improve adult psychological factors (anxiety, sleep quality, stress, and fatigue), and lavender blended essential oils are particularly effective in improving sleep quality and reducing fatigue.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valuable in prescribing treatments for individuals of various ages and lifestyles suffering from various psychological factors.
Trans Abstract
目的
本研究分析了薰衣草精油和薰衣草混合精油对成人心理因素的效果大小,并进行Meta分析以推荐改善成人心理因素的有效应用策略。
方法
为了分析薰衣草精油和薰衣草混合精油对成人心理因素的效果大小,收集了过去10年(2013年1月至2023年12月)发表的研究。研究的选择基于人口、干预、比较、结果和研究形式,重点是比较实验组和对照组前后的心理健康状况,并提供平均值和标准差。使用 Biostat(美国恩格尔伍德)的版本 4 软件对数据进行分析。
结果
单独使用薰衣草精油治疗对焦虑(0.731)和压力(0.730)显示出高度积极的影响,其次是对睡眠质量(0.673)和疲劳(0.601)的积极影响。此外,薰衣草混合精油治疗对睡眠质量(1.383)显示出最积极的影响,其次是疲劳(1.159)、压力(0.789)和焦虑(0.638)。
结论
本研究发现,薰衣草精油在改善成人心理因素(焦虑、睡眠质量、压力和疲劳)时可有效缓解焦虑和压力,并且薰衣草复方精油对于改善睡眠质量和减轻疲劳特别有效。这些结果预计对于为患有各种心理因素的不同年龄和生活方式的个体制定治疗处方是有价值的。
Introduction
전 세계적으로 급속한 경제성장으로 현대인의 삶의 질은 향상되었으나 현대인은 스트레스 증가로 정신적인 고통을 호소하고 있다(Cho, 2023). 건강보험심사평가원(HIRA, 2022)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경우 OECD 국가 중 직장인들의 근무시간이 가장 길고, 그로 인한 스트레스가 우울증과 불안장애로 확대되고 있다고 한다. 따라서 현대인은 스트레스 해소 및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해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 환경적인 부분까지 생각한 근거 중심의 현대의학과 더불어 보완대체요법(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두드러지고 있다(Heo et al., 2022).
그 가운데 미국 국제보완통합센터(National Center for Complementary and Integrative Health, NCCIH)에서는 2016년에 보완대체요법을 크게 심신요법과 천연물요법으로 분류하였고, 천연물요법에 다양한 종류의 허브(herbs)를 포함시켰다. 그중 라벤더, 캐모마일, 티트리, 로즈, 페퍼민트, 생강, 시나몬, 제라늄 등은 에센셜오일로 자주 활용되고 있다(Zheng & Lee, 2023). 에센셜오일은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y)의 보완대체의학적 방법으로 약리적 효능 및 정신적, 신체적 질병 상태를 개선시켜 도움을 주는 자연치료요법 중 하나이다(Emadikhalaf et al., 2023).
고대부터 인간은 특유의 향을 지닌 식물들의 과일 꽃 씨앗, 잎, 향신료 나무껍질등을 피부에 바르거나 약으로 사용하였다(Suh et al, 2021). 에센셜오일의 역사는 식물이 근원인 약초와 향료들과 역사의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Zheng & Lee, 2023). 기원전 5,500년경 메소포타미아 지방의 수메르인들의 사회에서는 여성들이 사회에서 지배적인 지위를 차지했고, 치유자들의 역할을 담당을 했으며, 식물채집자 겸 식물학자들로 구성되었다(Martins E Silva, 2009). 그들은 식물 이름, 처방전, 조제방법, 처방용량 등에 관한 치료법이 적힌 점토판을 유산으로 남겼다(Saber, 2010). 즉, 아로마테라피는 수천년 동안 사용된 향기요법으로 현대 의학의 아버지인 히포크라테스는 향기로운 목욕과 향기로운 마사지가 건강의 핵심이라고 하였다(Farrar & Farrar, 2020).
특히,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 에센셜오일은 수세기 동안 아로마테라피, 의학, 미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어 온 천연 식물성 추출물로 꿀풀과(Lamiaceae)에 속하며, 진정, 이완, 스트레스 완화 및 수면의 질 개선 등의 심리적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Garakani et al., 2020). 라벤더 에센셜오일의 주요 성분은 리날룰(linalool)과 리나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로 이들 화합물은 진정과 항균 작용에 효과가 있으며, 항산화 활성 및 효소 활성도 높다고 보고되어 있다(Ko et al., 2021).
최근에는 라벤더 단독 에센셜오일 및 라벤더를 포함한 혼합 에센셜오일은 심리학과 신경과학 분야에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Karan, 2019). Conrad & Adams (2022)의 연구에 의하면 라벤더 에센셜오일의 단독 사용과 혼합 사용 모두가 유의미한 심리적 개선을 가져온다고 보고하여 심리적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에센셜오일은 선사시대부터 현대사회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NCCIH (미국 국제보완통합센터)에서는 역사적 기반을 근거로 아로마테라피의 우수성을 규명하고자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라벤더 에센셜 오일 또는 라벤더 혼합 에센셜 오일이 성인의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효과크기를 분석하여 성인의 심리적 요인에 효율적인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메타 분석하였다.
Methods
1. 문헌 검색
라벤더와 라벤더 혼합 에센셜오일이 성인의 심리적요인에 미친 효과 크기를 분석하기 위해 10년간(2013년 1월-2023년 12월) 출판된 연구물들을 수집하였다. 연구자료는 국내·외 라벤더 에센셜오일과 라벤더 혼합 에센셜오일 및 심리적 요인(스트레스, 불안, 우울, 피로 및 수면의 질)을 검색어(keyword)로 하여 한국교육학술 정보서비스(RISS), 국회도서관(NAL), 국립의과학지식센터(NCMIK), 과학기술정보통합서비스(NDSL), Cochrane Library, PubMed (MEDLINE), Embase에서 문헌을 수집하였다. 문헌 검색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박사 1인과 박사 과정생 2인이 참여하여 3회 이상 검색어별로 확인 과정을 거쳤다.
2. 연구자료 선별
본 연구분석에서 사용한 자료의 선정은 PICOS 형식에 따라 수량화 된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제시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사후를 비교하는 연구를 선정하였다(Shin, 2015; Cooper et al., 2016). 단, 조사연구, 코호트 연구, 질적 연구 등 실험결과의 수량화 된 데이터가 없는 경우, 그래프만 제시된 경우, 논문 전체를 공개하지 않는 경우, 대조군이 없는 경우, 한 집단의 사전 값이나 사후의 값이 없는 경우는 분석자료에서 제외하였으며, 최종 문헌의 선정과정과 특성은 Figure 1과 Table 1에 제시하였다.
3. 연구대상 논문의 최종 선정
연구자료 선정의 과정은 Figure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베이스(database) 검색을 통해 총 20,538편의 연구자료가 수집되었다. 그 중 제목과 초록으로 1차 검색 과정을 거쳐 연구 선정 기준에 적합한 연구자료 367편으로 축약 선별하였고, 2차 검색 과정을 통해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지 않은 239편을 배제한 128편을 선별하였다. 3차 검색 과정을 통해 연구의 결과 데이터가 명확하지 않은 연구자료 91편을 거르고 남은 총 37편을 최종적으로 분석용 연구자료로 결정하였다. Table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라벤더 에센셜오일 연구자료는 15편, 라벤더 혼합 에센셜오일은 22편이었다.
4. 연구 자료의 코딩
최종 선정된 37편의 연구논문은 개별 코딩시트로 작성하여 Excel 2024 (Microsoft Corp., Redmond, WA, USA) 프로그램에 데이터 파일로 저장하여 사용하였다. 데이터 중 표준 오차, 중앙값 및 사분 위수 등은 엑셀의 함수(fx)를 이용하여 표준편차로 치환하였으며, 연구물의 각 특성에 따라 유목화하여 데이터 파일로 정리하였다. 선정된 연구결과의 정확성을 위해 재검토 과정을 거치면서 혼재된 데이터의 오류를 찾아 수정한 후 최종적으로 사용 가능한 데이터 파일로 저장하여 분석용 최종 자료로 사용하였다.
5. 이질성 검증
메타분석 시 개별 연구자료에서 도출된 효과 크기의 분포 간에 차이가 있음을 알아보기 위해 이질성 검증이 필요하다. 즉, 이질성(heterogeneity)이란 개별 연구 자료 간의 효과 크기가 각각의 연구 결과 마다 차이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Hwang, 2014). 이질성 여부를 검증하는 방법에는 신뢰구간이 겹치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숲 도표(forest plot) 방법(Rothstein et al., 2005; Borenstein et al., 2011)과 각 연구의 중재효과 값이 어느 정도 떨어져 있는지를 통계적으로 검증하는 카이제곱(Q statistics)과 Higgin’s I2 (I squared) 방법이 있다(Terrin et al., 2003; Cho, 2020). 따라서 본 연구는 시각적 방법과 통계적 방법을 병행하여 개별 연구 간의 효과 크기의 이질성 여부를 검증하였다.
6. 출판 편향
출판된 연구물들은 일반적으로 출판되지 못한 연구물들에 비해 큰 효과크기를 가지고 있는 경향이므로 메타분석 시에는 이질성 검증과 더불어 출판 편향 여부 또한 검증할 필요가 있다(Park & Shin, 2014). 출판 편향(publication bias)이란 출판된 연구자료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때 결과가 왜곡될 수 있는 체계적 오류(systematic error)를 의미한다(Hwang, 2015).
출판 편향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깔때기 도표(funnel plot)와 절삭과 채움 기법(trim-and-fill test) 이 있다(Harbord et al., 2006; Duval & Tweedie, 2000).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깔때기 도표와 절삭과 채움 기법을 병행하여 출판 편향 여부를 확인하였다(Kang, 2015).
7. 효과크기
효과크기(effect size)란 집단 간의 평균 차이로, 중재의 영향을 받은 집단들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메타분석에서 사용하는 하나의 표준화된 척도이다(Lee, 2016).
본 연구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를 비교하기 위해 d-family의 효과 크기 산출방법을 사용하였다(Myung et al., 2009). 산출된 효과 크기에 대한 해석 방법은 Cohen의 어림 법칙에 의하면 0.2 이하이면 작은 효과 크기, 0.5일 경우 중간 효과 크기, 0.8 이상이면 큰 효과 크기이다(Cohen, 1988). 또한, 각각의 연구물에서 분석된 효과크기의 95% 신뢰구간 사이에 0을 포함하는지 확인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였다(Kang, 2015).
8. 통계분석
본 연구에서는 라벤더와 라벤더 혼합 에센셜오일이 심리적 요인(스트레스, 불안, 우울, 피로 및 수면의 질)의 효과크기를 분석하고자 메타분석 전문프로그램인 Biostat사(Englewood, USA)의 comprehensive meta-analysis version 4 (CM4)를 이용하였다. 우선, 표준화된 평균의 차이(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를 분석하여 신뢰도 검증을 하였으며, 카이제곱 검정(Cochran’s Q-statistics)과 Higgin’s I2 값으로 이질성이 있음을 판단한 후 랜덤 효과 모형(random effect model)을 선택하여 조정된 분석결과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Results and Discussion
1. 이질성 검증
라벤더와 라벤더 혼합 에센셜오일이 성인의 심리적 요인(스트레스, 불안, 우울, 피로 및 수면의 질)에 미친 효과 크기를 알아보기 위한 37편의 연구자료 간의 이질성을 검증하고자 분석한 숲 도표(forest plot), 카이제곱(Q statistics)과 Higgin’s I2 (I squared)의 결과는 Figure 2와 Table 2에 제시된 바와 같다.
Figure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37편 연구자료 간에 상한값과 하한값의 범위에 0을 포함하지 않아 이질성이 시각적으로 확인되었으며, Table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Q값이 651.198, Higgin’s I2값이 94.472로 각 연구자료 간의 이질성이 통계적으로도 검증되었다.
2. 출판 편향 검증
깔때기 도표(funnel plot)의 수평축은 효과 크기를 나타낸 것이며, 수직축은 표준오차를 나타낸 것이다. 출판 편향이 없는 경우 깔때기 모양이 좌우 대칭이며, 각각의 효과 크기가 상단부에 위치할수록 신뢰도가 높고, 우측에 위치할수록 효과 크기가 큰 것으로 시각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Hwang, 2014). 절삭과 채움 기법(trim-and-fill test)은 출판 편향이 나타날 경우 보정된 값을 도출하여 출판 편향을 교정하는 방법이다(Woo et al., 2019).
본 연구에서 분석으로 사용한 37편 연구자료들의 출판 편향 여부를 알아보고자 깔때기도표와 절삭과 채움 기법의 결과를 Figure 3과 Table 3에 제시하였다.
Figure 3에 제시된 바와 같이 X축(보정된 효과크기인 Hedges’s g의 값)과 Y축(추정된 표준오차)이 대칭된 깔때기도표에서 효과 크기 값들은 대부분 상단에 분포되어 있었고, 보정 전과 보정 후의 효과 크기의 분포가 동일하여 35편 연구자료들의 출판 편향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시각적으로 판단하는 깔때기도표의 제한점을 보완하고자 Duval & Tweedie (2000)의 절삭과 채움 기법으로도 출판 편향 여부를 검증한 결과, 보정된 논문이 없었고, 처음 관측값과 보정값의 효과 크기가 0.588로, 95% 신뢰구간(0.559-0.617)과 Q값이 651.198로 모두 동일하게 나타나 본 연구에서 선별된 37편 연구자료들은 출판 편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3).
3. 라벤더와 라벤더 혼합 에센셜오일이 성인의 심리적요인에 미친 효과크기
라벤더와 라벤더 혼합 에센셜오일이 성인의 심리적요인에 대한 효과 크기는 Table 4에 제시한 바와 같다.
라벤더 단독 에센셜 오일을 사용한 사례수는 77개였고, 효과크기는 0.706의 중간 효과크기였다. 95% 신뢰구간은 0.596-0.817의 범위로 0을 포함하지 않았으며, Q 값은 607.722, I2 값은 87.494로 나타나 각 연구물 간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p<0.001).
라벤더 혼합 에센셜 오일의 사례수는 72개였고, 효과크기는 0.938로 큰 효과크기였다. 95% 신뢰구간은 0.788-1.088의 범위로 0을 포함하지 않았으며, Q 값은 627.034, I2 값은 88.677로 나타나 각 연구물 간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p<0.001).
즉, 라벤더 에센셜 오일의 경우 스트레스, 불안, 우울, 피로 및 수면의 질의 개선을 위해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혼합으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크기가 훨씬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라벤더와 라벤더 혼합 에센셜오일이 성인의 심리적 요인 중 불안에 대한 효과크기
라벤더와 라벤더 혼합 에센셜 오일이 성인의 심리적 요인 중 불안에 대한 효과 크기는 Table 5에 제시한 바와 같다.
라벤더 단독 에센셜 오일의 사례수는 27개 였고, 효과크기는 0.731의 중간 효과크기였다. 95% 신뢰구간은 0.524-0.939의 범위로 0을 포함하지 않았으며, Q 값은 224.205, I2 값은 88.403으로 각 연구물 간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p<0.001).
라벤더 혼합 에센셜 오일의 사례수는 7개였고, 효과크기는 0.638로 중간 효과크기였다. 95% 신뢰구간은 0.444-0.833의 범위로 0을 포함하지 않았으며, Q 값은 7.048, I2 값은 14.875로 나타나 각 연구물 간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p<0.001).
라벤더 에센셜 오일 주요 성분인 리날룰(linalool)과 리날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가 신경계를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는데, 성인들의 심리적 불안감을 위해 사용한 라벤더 에센셜 오일의 경우 혼합을 한 오일보다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 효과크기가 좋은 것을 알 수 있었다(Yoo & Park, 2023).
5. 라벤더와 라벤더 혼합 에센셜오일이 성인의 심리적 요인 중 수면의 질에 대한 효과크기
라벤더와 라벤더 혼합 에센셜 오일이 성인의 심리적 요인 중 수면의 질에 대한 효과 크기는 Table 6에 제시한 바와 같다.
라벤더 단독 에센셜 오일의 사례수는 20개였고, 효과크기는 0.673의 중간 효과크기였다. 95% 신뢰구간은 0.408-0.938의 범위로 0을 포함하지 않았으며, Q 값은 130.966, I2 값은 85.492로 나타나 각 연구물 간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p<0.001).
라벤더 혼합 에센셜 오일의 사례수는 4개였고, 효과크기는 1.383으로 큰 효과크기였다. 95% 신뢰구간은 0.327-2.439의 범위로 0을 포함하지 않았으며, Q 값은 44.949, I2 값은 93.326으로 각 연구물 간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p<0.001).
성인들의 수면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한 라벤더 에센셜 오일의 경우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혼합으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크기가 훨씬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라벤더 에센셜 오일의 달콤한 꽃향기는 심리적 안정과 이완을 촉진시키고, 수면을 유도하여 수면 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하였다(Yang et al., 2023). 더불어 캐모마일, 베르가못, 시더우드 등과 같은 에센셜 오일과 같이 사용할 경우 수면의 개선에 도움이 된다고 보고한 연구 결과를 비추어 볼 때 본 연구의 결과에서도 성인의 수면의 질 개선에 대한 효과크기가 크다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6. 라벤더와 라벤더 혼합 에센셜오일이 성인의 심리적 요인 중 스트레스에 대한 효과크기
라벤더와 라벤더 혼합 에센셜 오일이 성인의 심리적 요인 중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효과크기는 Table 7에 제시한 바와 같다.
라벤더 단독 에센셜 오일의 사례수는 11개였고, 효과크기는 0.730의 중간 효과크기였다. 95% 신뢰구간은 0.470-0.990의 범위로 0을 포함하지 않았으며, Q 값은 83.405, I2 값은 88.010로 나타나 각 연구물 간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p<0.001).
라벤더 혼합 에센셜 오일의 사례수는 33개였고, 효과크기는 0.789로 중간 효과크기였다. 95% 신뢰구간은 0.594-1.002의 범위로 0을 포함하지 않았으며, Q 값은 341.335, I2 값은 90.625로 나타나 각 연구물 간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p<0.001).
라벤더 에센셜 오일을 성인이 사용한 경우 스트레스 완화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라벤더 에센셜 오일은 혈압과 심박수를 안정시키고, 근육 이완을 유도하여 긴장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는데 단독 또는 혼합 중 선호하는 방향으로 선택하여 사용하면 스트레스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Kavurmaci et al., 2022).
7. 라벤더와 라벤더 혼합 에센셜오일이 성인의 심리적 요인 중 피로에 대한 효과크기
라벤더와 라벤더 혼합 에센셜 오일이 성인의 심리적 요인 중 피로에 대한 효과크기는 Table 8에 제시한 바와 같다.
라벤더 단독 에센셜 오일의 사례수는 5개 였고, 효과크기는 0.601의 중간 효과크기였다. 95% 신뢰구간은 0.251-0.951의 범위로 0을 포함하지 않았으며, Q 값은 15.994, I2 값은 74.990으로 나타나 각 연구물 간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p<0.001).
라벤더 혼합 에센셜 오일의 사례수는 15개였고, 효과크기는 1.159로 큰 효과크기였다. 95% 신뢰구간은 0.737-1.508의 범위로 0을 포함하지 않았으며, Q 값은 138.160, I2 값은 89.867으로 나타나 각 연구물 간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p<0.001).
라벤더 에센셜 오일은 근육의 긴장을 풀어주고 이완을 시켜주기 때문에 피로회복의 개선에 도움을 준다고 보고되어 있다(Kavurmaci et al., 2022). 본 연구 결과, 라벤더 에센셜 오일은 성인의 피로회복의 개선에 효과적이었으며,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보다 혼합으로 사용할 경우 효과크기가 매우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Conclusion
본 연구는 라벤더와 라벤더 혼합 에센셜 오일이 성인의 심리적 요인(불안, 수면의질, 스트레스 및 피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메타분석을 통해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라벤더 단독 에센셜 오일의 경우 불안(0.731)과 스트레스(0.730)에 효과가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수면의 질(0.673), 피로(0.601)의 순이었다. 라벤더 혼합 에센셜 오일의 경우 수면의 질(1.383)이 효과 크기가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피로(1.159), 스트레스(0.789), 불안(0.638)의 순이었다. 즉, 라벤더 에센셜 오일을 사용한 심리적요인의 개선의 경우 불안과 스트레스의 완화를 위해서는 단독으로 사용하고, 수면의 질과 피로의 개선을 위해서는 혼합으로 사용하는 것이 효과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라벤더의 주요 화합물인 리날룰(linalool)과 리날릴 아세테이트(linalyl acetate)는 진정 효과를 대표하는 물질로 신경계를 안정시키고, 심리적인 긴장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보고되어 있다(Bavarsad et al., 2023). 또한, 근육의 이완과 코티졸 분비 억제로 인한 세로토닌의 증가로 수면의 개선과 피로회복에 도움을 준다(Yoo & Park, 2023; Fismer & Pilkington, 2020; Kim et al., 2019). 이와 같이 라벤더 에센셜 오일은 불안감과 스트레스의 완화 그리고, 라벤더 혼합 에센셜 오일은 캐모마일, 베르가못, 시더우드 등의 주요 화합물과의 시너지효과로 인해 수면의 질 향상과 피로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심리적 안정과 증진을 위해 라벤더 에센셜 오일의 효과적인 사용방법은 본 연구의 효과크기 분석으로 객관적인 결과의 근거자료를 제공하는데 큰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차후 심리적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라벤더 에센셜 오일로 임상적 적용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표준화된 프로토콜을 갖춘 다양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Notes
Author's contribution
AJK, a messenger, personally conducted and accepted the research and design supervision of this paper. The first author, MNY, collected samples focusing on the study design of the messenger, and carried out all the meta-analysis in the paper herself.
Author details
Mi-Na Yu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Alternative Medicine, Kyonggi University, 24, Kyonggidae-ro, 9-gil, Seodaemun-gu, Seoul 03746, Korea; Ae-Jung Kim (Professor), Department of Nutrition Therapy, The Graduate School of Alternative Medicine, Kyonggi University, 24, Kyonggidae-ro, 9-gil, Seodaemun-gu, Seoul 03746,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