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의 심리적 요인에 미친 로즈 에센셜 오일과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 연구에 대한 메타비교분석: 불안, 우울 및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Meta-analysis of Rose Essential Oil and Damask Rose Essential Oil on Psychological Factors in Adults: the Priority Given to Anxiety, Depression, and Stress
玫瑰精油和大马士革玫瑰精油对成人心理因素的荟萃分析:以焦虑、抑郁和压力为中心
Article information
Abstract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로즈 에센셜 오일과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이 성인의 심리적 요인(스트레스,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효과 크기를 비교 분석하여 로즈 에센셜 오일 및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의 효율적인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방법
최근 10년간(2014년 1월-2024년 12월) 출판된 로즈 에센셜 오일,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 성인의 심리적 인요(불안, 우울, 스트레스)을 key words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연구 자료들은 PICOS 형식에 따라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사후 결과를 메타분석하였다.
결과
로즈 에센셜 오일은 스트레스(0.507), 불안(0.499), 우울(0.053) 순으로,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은 스트레스(0.603), 불안(0.565), 우울(0.470) 순으로 효과 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즉, 두 오일 모두 스트레스 해소와 불안 증상 완화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다만, 우울 증상의 경우,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은 효과적이었으나, 로즈 에센셜 오일은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스트레스와 불안 증상이 있는 성인을 대상으로 두 오일을 사용한다면 심리적 안정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우울증이 있는 대상의 경우는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의 사용이 바람직할 것이다.
Trans Abstract
Purpos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effects of rose and damask rose essential oils on psychological factors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in adul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keyword searches to identify research on rose and damask rose essential oils for the treatment of psychological factors in adults (anxiety, depression, and stress) published between January 2014 and December 2024. The collected research data were analyz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s according to the PICOS format.
Results
Rose essential oil displayed the greatest effect size in the order of (0.507) for stress, (0.499) for anxiety and (0.053) for depression and damask rose essential oil exhibited the greatest effect size in the order of (0.603) for stress, (0.565) for anxiety and (0.470) for depression.
Conclusion
Both oils could be effective in adults with symptoms of stress and anxiety. However, damask rose essential oil is most desirable for subjects with depression.
Trans Abstract
目的
本研究比较并分析了玫瑰和大马士革玫瑰精油对成人心理因素(压力、抑郁和焦虑)的影响。
方法
使用关键词搜索收集数据,以识别2014年1月至2024年12月发表的关于玫瑰和大马士革玫瑰精油治疗成人心理因素(焦虑、抑郁和压力)的研究。根据PICOS格式对干预前后收集的研究数据进行分析。
结果
玫瑰精油的效应大小依次为压力(0.507),焦虑(0.499)和抑郁(0.053)的顺序显示,大马士革玫瑰精油的效应大小依次为压力(0.603),焦虑(0.565)和(0.470)抑郁的顺序显示。
结论
这两种油对有压力和焦虑症状的成年人都有效。然而,大马士革玫瑰精油最适合抑郁症患者。
Introduction
최근 몇 년간 팬데믹으로 인해 현대의학이 그 한계를 드러내면서 보완 대체의학(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보완 대체의학(요법)이란 비침습적, 비 약리적 전인적인 치유 분야로(Steflitsch & Steflitsch, 2008; Heo et al., 2022), 친환경적·전인적 참 건강 실현을 목표로 하는 웰니스(wellness)와 그 목표가 일맥상통한다(Cho, 2020; Heo et al., 2022).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현대인들은 스트레스, 우울, 불안과 같은 정신적 고통에 대한 민감도의 관심이 높아졌다(Barati et al., 2016).
보완 대체요법 가운데 아로마테라피(aromatherapy)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Mileva et al., 2022). 아로마테라피는 고대부터 이어져 온 신체 및 정신적 치유법으로, 독성이 없고 향을 지닌 식물을 선택적으로 정제하여 인간의 치유에 활용한 자연요법이다(Suh et al., 2021; Farrar & Farrar, 2020). 천연 재료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은 추출 대상 식물의 생화학적 성분과 미생물에 대한 저항 특성에 따라 항불안, 항산화, 항염, 항균, 이완, 강장 등 독특한 치유 효과를 나타낸다(Buckley, 2002; Haghighi et al., 2006; Gochev et al., 2010). 에센셜 오일은 단독, 타 오일이나 정제수 혼합 형태로 향기 흡입, 피부 도포, 목욕 및 족욕, 마사지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며, 체내에 흡수되더라도 호흡, 땀, 변 등의 형태로 대사 후 배설되어 몸에 축적되지 않는다(Buckley, 2002). 이처럼 에센셜 오일을 활용한 아로마테라피는 여러 연구를 통해 신체적, 정신적 안전성과 효과성이 검증됨에 따라 보편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보완 대체요법으로 자리매김하였다(Rajai et al., 2016; Worwood, 2012).
그 가운데 아로마테라피의 기본 재료 중 하나인 로즈는 현재까지 18,000여 종의 유전형을 나타내는 덩굴식물로 전 세계에서 재배되며, 관상용 외에도 향수, 의약품, 식품 산업에서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다(Gudin, 2000; Naquvi et al., 2014). 로즈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이 복통 및 흉통과 심장의 기능을 강화하고, 소화기 문제와 기침과 같은 호흡기 질환에도 치유 효과가 있음이 밝혀져 있다(Arezoomandan et al., 2011; Haghighi et al., 2006). 또한, 우울과 분노와 같은 심리적 요인의 완화 효과도 밝혀져 있다(Mahboubi, 2016; Gochev et al., 2010; Sadraei et al., 2012).
로즈 에센셜 오일에는 200 여종 이상의 다양한 생물학적 효과를 지닌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다(Gochev et al., 2010). 주요 성분은 citronellol, beta-phenyl-ethyl alcoho, nonadecane, geranial, anthocyanin, quercetin 등이다. 이들 성분은 피부나 후각기관을 통해 흡수되어 뇌의 시냅스 수용체를 자극하여 도파민의 분비를 증가시켜 신경계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Mohebitabar et al., 2017; Farnia et al., 2015a). 즉, 로즈 에센셜 오일의 다양한 성분들은 부교감 신경계를 자극하여 긴장 이완, 혈압 감소뿐 아니라 체내 항불안 물질의 활성에 영향을 미쳐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준다(Fukui et al, 2007; Burns et al., 2000; Hongratanaworakit, 2009). 로즈 에센셜 오일의 이러한 효과는 약리학 및 임상 분야의 신약 발견 및 개발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Mileva et al., 2022).
최근 다마스크 로즈(Rosa damascena) 품종은 세로토닌 방출을 자극하는 탁월한 효과를 지니고 있어(Umezu, 2002; Hongratanaworakit, 2009; Rezaie et al., 2011), 다마스크 에센셜 오일이 천연 심신 이완제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다마스크 로즈 역시 고대부터 심신 치유의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다(Boskabady et al., 2011).
정리해 보면, 로즈 및 다마스크 에센셜 오일의 생리적, 심리적 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연구 결과들이 최근 10년간 다수 누적되어 있다. 따라서 소비자들에게 정확한 정보 제공을 위해 두 오일이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합적인 비교·분석이 필요한 실정이다(Mohebitabar et al., 2017).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에게 로즈 에센셜 오일의 심리적 치유 효과에 대한 정보 제공을 위해 최근 10년간 국내외에서 발표된 로즈 에센셜 오일과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이 성인의 심리적 요인(스트레스, 불안 및 우울)에 미친 효과 크기를 메타분석하였다.
Methods
1. 문헌 검색
로즈 에센셜 오일과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이 성인의 심리 적 요인에 미친 효과 크기를 분석하기 위해 10년간(2014년 1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국내외에서 출판된 연구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연구 자료는 로즈 에센셜 오일, 심리적 요인(스트레스, 불안, 우울)을 검색어로 하여 국회도서관, 한국 학술정보원(Korean Studies Information, KISS), 한국 교육학술정보원(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RISS), Pubmed (MEDLINE), Embase, 구글 학술 검색(Google Scholar)에서 문헌을 수집하였다.
2. 연구자료 선별
본 연구는 PICOS (participant, intervention, comparison, outcomes, study design) 형식에 따라 실험군 및 대조군의 사전·사후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평균값과 표준편차가 제시된 연구를 선정하였다(Cooper, 2015). 이후 질적 연구, 코호트 연구, 조사연구와 같이 수량화 된 실험 결과 값이 없는 경우, 그래프만 제시한 경우, 전 (full-text)을 비공개한 경우, 한 집단의 사전 또는 사후 결과 값이 없는 경우는 제외하였다. 최종 선정된 문헌과 특성은 Table 1에 제시한 바와 같다.
3. 연구대상 논문의 최종 선정
연구 대상 논문을 선정하기 위해 먼저 데이터베이스(database) 검색을 통해 32,285편의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중 본 연구의 선정 기준에 적합한 250편을 1차로 선별하였고, 추가 검색 및 선별을 통해 본 연구 목적에 부적합한 105편을 제외하였다. 이를 대상으로 3차 선별 과정을 거쳐 최종 21편의 연구를 분석 자료로 선정하였다. Table 1에 제시한 바와 같이 로즈 에센셜 오일 8편,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 13편이었다. 검색된 연구들의 1차 및 2차 선별은 Endnote 21을 활용하였고, 최종적으로 선정한 논문은 Mircrosoft Excel 2019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선정 과정은 Figure 1에 제시한 바와 같다.
4. 연구 자료의 코딩
최종 선정된 21편의 논문은 Excel 개별 코딩 시트에 작성 후 저장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전 각 연구의 특성에 따라 유목화한 다음, 각 데이터의 중앙값, 사분위수, 표준오차 등 세부 데이터는 함수(fx)를 사용하여 표준편차를 치환하여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의 정확성을 위해 데이터 오류를 점검하는 재검토 과정을 반복하였으며, 메타분석 연구 경험이 있는 전문가 1인에게 내용에 대한 자문을 받아 분석하였다.
5. 이질성 검증
메타분석에서의 이질성(heterogeneity)은 각 연구에서 나타난 효과 크기의 분포(dispersion of effect sizes)의 정도로, 대상 연구 사이의 효과 크기가 일관되지 않은 정도를 말한다(Hwang, 2015). 이질성 여부를 검증하는 방법은 숲 도표(forest plot)를 통해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방법과 각 연구의 중재 효과 값의 거리에 대하여 카이 제곱(Q statistics), Higgin’s I2 (I squared) 값을 통해 통계적으로 검증하는 방법이 있다(Rothstein et al., 2005; Borenstein et al., 2011; Terrin et al., 2003; Cho, 2020). 본 연구에서는 두 방법을 병행하여 이질성 여부를 검증하였다.
6. 출판 편향
메타 메타분석에서 언어적, 접근성, 친숙도, 비용 오류와 같은 체계적 오류(syst-ematic error)를 확인하기 위해 출판 편향(publication bias)을 검증한다(Hwang, 2015). 출판된 연구 자료의 분석 시 결과가 왜곡될 수 있는 출판 편향을 검증하는 방법은 깔때기 그림(funnel plot)을 통한 방법과 절삭과 채움 기법(trim and fill test)가 있다(Harbord et al., 2006; Duval & Tweedie, 2000). 본 연구의 출판 편향은 두 방법을 모두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7. 효과 크기
메타분석에서의 효과 크기(effect size)는 중재의 영향을 받은 집단들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한 하나의 척도이다(Lee, 2016).
본 연구에서는 d-family의 효과 크기 산출 방법을 사용하여 실험·통제 집단의 사전·사후 값을 비교하고, 신뢰 구간은 95%로 설정하였다(Myung et al., 2009; Kang, 2015).
산출된 효과 크기는 Cohen (1988)의 어림 법칙에 근거하여 0.2 이하는 작은 효과 크기, 0.5일 경우 중간 효과 크기, 0.8 이상은 큰 효과 크기로 판별하였다.
8. 통계 분석
본 연구는 로즈 에센셜 오일과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이 성인의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효과 크기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선정된 연구 자료들의 표준화된 평균 차이(SMD, standardized mean difference)를 통해 신뢰도를 검증하였고, 카이 제곱(Q statistics) 및 Higgin’s I2 (I squared) 값을 통해 이질성 여부를 판단하였다. 다음으로 고정 및 랜덤 효과 모형(fixed and random effect model)을 모두 살펴보고 최종적으로 고정효과 모형을 채택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프로그램은 메타분석 전문 프로그램인 Comprehensive Meta-Analysis 3.3 (CMA, Biostat, Inc, USA)이다.
Results & Discussion
1. 이질성 검증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로즈 에센셜 오일과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이 성인의 심리적 요인에 미친 효과 크기를 살펴보기 위해 21편의 연구 자료 간 이질성 검증 결과인 숲 도표, 카이 제곱 및 Higgin’s I2 결과를 바탕으로 확인하였다. 최종 선정된 21편의 연구 자료 간 상한 값과 하한 값의 범위는 0이 포함되지 않아 시각적으로 이질성이 확인되었다. 결과는 Table 2 와 Figure 2에 제시된 바와 같다.
2. 출판 편향 검증
출판 편향 검증을 위한 깔때기 그림의 X축은 효과 크기, Y축은 표준오차(standard error)를 나타낸다(Hwang, 2015). 깔때기 그림에서 출판 편향이 없는 경우 좌우 대칭의 모습을 보이며, 표본이 큰 연구들은 그래프의 상단과 가운데 직선(평균 효과 크기 주변)에 나타난다(Hwang, 2015).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1편의 연구에 대한 출판 편향 여부를 분석하여 Table 3과 Figure 3에 제시하였다. 제시한 바와 같이 깔때기 그림에 나타난 효과 크기 값들은 대부분 상단에 분포되어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보정 전(A)과 후(B)의 효과 크기 분포가 같아 출판 편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uval & Tweedie (2000)이 제안한 절삭과 채움 기법을 적용하여 본 연구의 출판 편향 여부를 검증한 결과, 처음 관측 값과 보정 값의 효과 크기가 0.539로, 95% 신뢰 구간에서 Q 값이 87.108로 모두 동일하게 나타나 본 연구에서 분석한 연구 자료 간 출판 편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otal effect size of rose and damask rose essential oils in the treatment of psychological factors in adults

Funnel plot of twenty-one selected articles for verification of publication bias.
(A) Observed value, funnel plot for the evaluation of publication bias of rose essential oils and damask rose essential oils. (B) Adjusted value, funnel plot for the evaluation of publication bias of rose essential oils and damask essential oils.
3. 로즈 에센셜 오일과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이 성인의 심리적 요인에 미친 전체 효과 크기
로즈에서 추출한 천연 에센셜 오일은 오랜 기간 약용으로 사용되었고,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다(Hongratanaworakit, 2009). 로즈 에센셜 오일이나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의 치유 효과는 로즈에 포함된 플라보노이드, 테르펜과 같은 화합물이 불안, 우울, 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적 요인을 경감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Libster, 2002; Zargari, 1997).
본 연구에서는 로즈 에센셜 오일과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이 성인의 심리적 요인(스트레스, 불안, 우울)에 미친 전체 효과 크기를 분석하여 Table 4에 제시하였다. 로즈 에센셜 오일을 사용한 사례 수는 15개였고, 전체 효과 크기는 0.501로 중간 효과 크기였다. 95% 신뢰 구간은 0.038-0.623의 범위로 0을 포함하지 않았으며, Q 값은 31.637, I2 값은 55.747로 나타나 연구 간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확인되었다(p<0.001).

Total effect size of rose and damask rose essential oils in the treatment of psychological factors in adults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을 사용한 사례 수는 21개였고, 전체 효과 크기는 0.556으로 중간 효과 크기였다. 95% 신뢰 구간은 0.452-0.659의 범위로 0을 포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Q 값은 50.386, I2 값은 60.307로 나타나 연구 간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확인되었다(p<0.001).
즉, 로즈 에센셜 오일 보다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이 성인의 심리적 요인(불안, 우울 및 스트레스)을 경감시키는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4. 로즈 에센셜 오일과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이 성인의 불안에 미친 효과 크기 분석
로즈 에센셜 오일을 중재로 분만 초기의 여성, 건강한 성인, 동물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항불안 효과가 나타났다(Fukui et al., 2007; Kheirkhah & Haghani, 2013; Burns et al., 2000; Gochev et al., 2010). 로즈 에센셜 오일의 효과는 다양하며, 치유적 효과를 일으키는 성분 또한 다양하다(Boskabady et al., 2011). 장미과의 페닐 에틸알코올, 시트로넬롤과 같은 성분 중에서도 페놀성 화합물이 치유 효과를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Hongratanaworakit, 2009). 특히, 다마스크 로즈 꽃대 부분에서 추출되는 화합물들은 중추신경계(CNS)에 작용하며, 불안 완화와 연관되어 있다(Nyeem et al., 2006).
본 연구에서는 로즈 에센셜 오일과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이 성인의 불안에 미친 효과 크기를 분석하여 Table 5에 제시하였다.
로즈 에센셜 오일을 사용한 사례 수는 13개였고, 효과 크기는 0.499로 중간 효과 크기였다. 95% 신뢰 구간은 0.368-0.631의 범위로 0을 포함하지 않으며, Q 값은 31.627, 2I 값은 62.058로 나타났다.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을 사용한 사례 수는 15개였고, 효과 크기는 0.565로 중간 효과 크기였다. 95% 신뢰 구간은 0.445-0.685의 범위로 0을 포함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Q 값은 44.178, I2 값은 68.310으로 나타났다.
즉, 로즈 에센셜 오일 보다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이 성인의 불안감을 경감시키는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5. 로즈 에센셜 오일과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이 성인의 우울에 미친 효과 크기 분석
로즈 에센셜 오일과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의 생체 내 작용은 주로 약학 분야에서 입증되었다(Boskabady et al., 2011). 로즈 에센셜 오일은 후각을 자극하여 심리적 이완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Igarashi et al., 2014a; Worwood, 2012).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은 히스타민 수용체 억제로 진정 효과(Basim & Basim, 2003)와 도파민 수용체를 자극하여 항우울 효과가 있음이 밝혀져 있다(Rasooli et al., 2021; Nazıroğlu et al., 2013).
본 연구에서는 로즈 에센셜 오일과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이 우울에 미친 효과 크기를 분석하여 Table 6에 제시하였다.
로즈 에센셜 오일을 사용한 사례 수는 1개였고, 효과 크기는 0.053으로 나타나 작은 효과 크기였다. 95% 신뢰 구간은 0.044-1.001의 범위로 0을 포함하지 않았으나 Q 값과 I2은 0.000으로 나타났다.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을 사용한 사례 수는 1개였고, 95% 신뢰 구간에서 효과 크기는 0.470으로 중간 효과 크기였다. 95% 신뢰 구간은 -0.054-0.994의 범위로 0을 포함하였다. Q 값과 I2 값은 0.000으로 나타났다.
즉,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이 성인의 우울감을 경감시키는데 더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6. 로즈 에센셜 오일과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이 성인의 스트레스에 미친 효과 크기 분석
스트레스는 심리·사회적 문제 중 하나로 지속적으로 노출될 경우 번아웃(burn-out)으로 발전할 위험성이 높다(Moya-Albiol et al., 2010). 또한 스트레스는 신체, 심리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므로 다른 심리적 요인과 함께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Varney & Buckle, 2013). 스트레스에 노출된 신체 내부에서는 혈압과 맥박의 상승, 관련 호르몬인 코티졸의 농도의 변화가 일어나며, 이때 로즈 에센스 오일과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이 긍정적 효과가 있음이 밝혀져 있다(Burns et al., 2000; Hongratanaworakit, 2009).
본 연구에서 로즈 에센셜 오일과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이 성인의 스트레스에 미친 효과 크기를 분석하여 Table 7에 제시하였다.
로즈 에센셜 오일을 사용한 사례 수는 1개였고, 효과 크기는 0.507로 나타나 중간 효과 크기였다. 95% 신뢰 구간은 0.063-0.951의 범위로 0을 포함하지 않았으나 Q 값과 I2 값은 0.000으로 나타났다.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을 사용한 사례 수는 5개였고, 95% 신뢰 구간에서 효과 크기는 0.603으로 나타나 중간 효과 크기였다. 95% 신뢰 구간은 0.369-0.837의 범위로 0을 포함하지 않았으며, Q값은 3.341, I2 값은 0.000으로 나타났다.
즉, 두 오일 모두 성인의 스트레스 경감에 효과적이었으나, 로즈 에센셜 오일(0.507)에 비해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0.603)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Conclusion
본 로즈는 가장 복잡한 에센셜 오일 중 하나로써 300가지 이상의 화학성분을 함유하고 있다(quoted in Lee et al., 2021). 수천 가지 로즈 변종 중 어떤 종류의 로즈에서 오일을 추출했는지에 따라 화학성분과 향, 오일의 색이 달라진다(Ok, 2007). 그 가운데 로즈 에센셜 오일이나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의 심리적 요인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다(quoted in Kwon et al., 2008).
두 종류의 에센셜 오일이 가진 화학물질이 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생리적 기전에 대해 비교해 보면, 로즈 에센셜 오일의 경우는 quercetin, nonadecane, phenethyl acohol, 등의 화학성분이 뇌의 수용체를 자극하여 부교감신경계를 활성화시켜 심리적 안정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ohebitabar et al., 2017; Farnia et al., 2015a). 또한, 세로토닌의 방출을 자극하여 불안 및 우울 증상을 개선했다는 선행연구들(Umezu et al., 2002; Hongratanaworakit, 2009; Rezaie et al., 2011)도 있다.
다마스크 로즈(Rosa damascena) 에센셜 오일의 경우는 stearopten, geraniol, cironellol, nerol, Phenyl ethanol, Fanesol 과 같은 화학성분(Ok, 2007)이 교감신경계를 자극하는 adrenaline 농도를 감소시켜 심리적으로 이완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Igarashi et al., 2014b). 또한, 도파민 수용체 자극과 히스타민 수용체 억제하는 기전도 밝혀져 있다(Rasooli et al., 2021; Nazıroğlu et al., 2013).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로즈 에센셜 오일과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이 성인의 심리적 요인(불안, 우울,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으로 얻은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로즈 에센셜 오일의 경우 스트레스(0.507), 불안(0.499), 우울(0.053) 순으로 효과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의 경우 스트레스 (0.603), 불안(0.565), 우울(0.470) 순으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로즈 에센셜 오일과 다마스크 에센셜 오일이 인간의 정상적인 신경 작용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다(Bastani et al, 2017)는 사실을 검증하였다고 본다. 추후 로즈 에센셜 오일이나 다마스크 로즈 에센셜 오일의 장점을 더 극대화하고 시너지 효과까지 검증할 수 있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Notes
Author's contribution
AJK, a messenger, personally conducted and accepted the research and design supervision of this paper. The first author, MNY, collected samples focusing on the study design of the messenger, and carried out all the meta-analysis in the paper herself.
Author details
Mi-Na Yu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Alternative Medicine, Kyonggi University, 63, Kyonggidaero-9 gil, Seodaemun-gu, Seoul 03752, Korea; Ae-Jung Kim (Professor), Department of Nutrition Therapy, Graduate School of Alternative Medicine, Kyonggi University, 63, Kyonggidae-ro-9 gil, Seodaemungu, Seoul 03752,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