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Asian J Beauty Cosmetol > Volume 22(2); 2024 > Article
퍼스널 컬러를 적용한 파운데이션 컬러 분류 연구

요약

목적

본 연구는 퍼스널 컬러를 적용하여 파운데이션 컬러를 분류하고, 얼굴 피부색 측정 PCS 파운데이션 컬러와 자가진단 파운데이션 컬러의 베이스와 밝기의 일치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수도권에 거주하는 20-50세 여성 40명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7.0을 이용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χ2검증, One-way ANOVA, t-test(검증), 그리고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퍼스널 컬러 유형에 따른 파운데이션 컬러를 살펴본 결과 warm tone 유형으로 분류되는 봄과 가을 유형은 warm (yellow) 베이스, cool tone으로 분류되는 여름, 겨울 유형은 cool (pink) 베이스 컬러가, 봄과 여름 유형은 21호, 가을, 겨울 유형은 23호 밝기의 파운데이션 컬러가 나왔으며, 퍼스널 컬러 유형에 따라 파운데이션 컬러를 분류할 수 있었다. 또한 측색평가와 시감평가를 각각 사용하여 진단한 PCS 파운데이션 컬러와 피험자 자가진단 파운데이션 컬러의 일치성이 높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퍼스널 컬러 적용을 통해 PCS 파운데이션 컬러 분류가 가능하며, 여성들의 자가진단 파운데이션 컬러 측정 결과는 PCS 파운데이션 컬러 분류의 활용성을 높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여성들이 파운데이션 컬러 선택 시 퍼스널 컬러를 적용함으로써 자신에게 어울리는 피부색 표현과 컬러 매칭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고, 뷰티분야에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foundation colors by applying personal colors and then was to figure out the consistency in base and brightness between the personal color system (PCS) foundation colors with the face and skin color measurement and the self-diagnosis foundation colors.

Methods

The research subjects included 40 women aged 20–50 years who lived in capital area.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sis, χ2-test, and one-way ANOVA, t-test using SPSS WIN 27.0.

Results

The foundation colors were inspected according to a personal color type. Consequently, the foundation colors appeared to be the Warm (Yellow) base as a type of spring and autumn of being sorted into Warm tone type, the Cool (Pink) base color as a type of summer and winter of being categorized into Cool tone, No. 21 brightness as a type of spring and summer, and No. 23 brightness as a type of autumn and winter.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to be what the PCS foundation color classification is available through the personal color application and to be what the outcome on women’s self-diagnosis foundation color measurement increases the availability of PCS foundation color classification. These findings arranged a theoretical ground on the skin color expression suiting themselves and on color matching through applying personal colors when women select foundation colors and are expected to be likely used as basic data in beauty field.

中文摘要

目的

本研究的目的是通过应用个人色彩对粉底色进行分类,然后通过面部和肤色测量以及自我诊断来找出个人色彩系统(PCS)粉底色之间的底色和亮度的一致性基础颜色。

方法

收集了居住在首都地区的40名20-50岁女性的数据。采用SPSS WIN 27.0对收集到的材料进行频数和百分率,并进行χ2检验、单因素方差分析、t 检验(验证)和描述性统计分析。

结果

根据个人颜色类型检查粉底色结果,暖色(黄色)底色作为春秋类型,被分类为暖色调类型,冷色(粉红色)底色作为夏季和冬季类型,被分类为冷色调,21号亮度作为春夏类型,23号亮度作为秋冬类型。

结论

本研究的结果可以被认为是通过个人色彩应用获得PCS粉底颜色分类的结果,以及女性自我诊断粉底颜色测量的结果增加了PCS粉底颜色分类的可用性。这些研究结果为女性选择粉底色时适合自己的肤色表现以及通过个人色彩进行色彩搭配奠定了理论基础,有望作为美容领域的基础数据。

Introduction

현대 사회에서 이미지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사람들은 자신을 매력적인 이미지로 보이고자 하며, 외모가 개인의 능력의 일부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개인의 이미지는 첫 만남 짧은 순간에 타인에게 보이는 바에 의해 결정되며(Lee & Park, 2012), 사람들은 호감가는 첫인상으로 각인되기 위해 외모를 가꾸는데 시간과 비용을 투자하고 있다. 외모는 타인에게 비춰지는 자신의 외적인 모습만을 지칭하는 개념이 아닌 개개인이 가지고 있는 개성과 이미지를 통합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인간의 다른 특성까지도 좋은 이미지로 인식하는 후광효과가 있어 개인에 대한 관심을 유발시키고, 사회적인 적응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렇듯 외모가 가지는 경쟁력이 커지면서 현대인들은 빠른 시간에 자신의 외모를 개선하여 좋은 이미지를 연출하고자 한다(Lee & Kim, 2020). 특히 경제성장과 함께 여성의 사회 참여도와 전문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여성들은 자신의 이미지를 표현할 기회가 많아지면서(Cho & Yang, 2017) 자신감을 높이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주기 위한 수단으로 의상, 액세서리, 헤어, 메이크업 등을 활용하고 있다(Woo & Kim, 2011). 특히 메이크업은 외모를 결정하는데 있어 핵심적인 부분인 얼굴의 이미지를 미적인 측면에서 향상시키는 방법이며(Park, 2003), 색조메이크업은 개인의 외모를 향상시키는 여러가지 방법 중 짧은 시간의 투자로 자신감과 만족감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Kim & Kim, 2020) 색조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도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색조 메이크업은 개인에게 잘 어울리는 컬러 선택으로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 연출과 개성 표현에 영향을 미치며, 색조 제품의 선택에 있어 자신에 맞는 컬러는 이미지 변화에 큰 영향력을 미치므로 컬러에 관한 지식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Kwak & Choi, 2023). 컬러는 이미지를 형성하고 좌우하는 요소 중의 하나로(Kim, 2016). 사회 활동에 맞는 이미지를 연출할 수 있고(Byun & Lee, 2019), 빠른 시간에 외적인 분위기를 개선하여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 연출과 개성을 표현하는데 있어 가장 확실한 수단이다(Oh & Cho, 2018). 개인에게 어울리는 컬러는 외적으로 호감 가는 이미지를 만들고 내적 자신감을 상승시키는 등 심리적인 부분에도 영향을 미친다. 또한 컬러는 사람의 감성을 자극하는 고유의 시각적∙비언어적 이미지로, 전체적인 메이크업 분위기를 설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Cho, 2018). 이러한 트렌드에 따라 퍼스널 컬러(personal color)를 적용한 다양한 연구와 함께 대중의 관심 또한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Lee et al., 2018). 퍼스널 컬러는 개인의 신체 고유색 즉 피부색, 머리카락색, 눈동자색 등을 진단하여 유형을 분류하고, 이미지 개선과 변화를 위해 화장, 얼굴을 중심으로 신체색과 조화를 이루는 의상색, 화장색을 선택하여 피부색을 건강하고 아름답게 보이게 하는 색채를 말한다(Im et al., 2017), 퍼스널 컬러 시스템(Personal Color System)은 이러한 개인의 신체색을 진단하고 어울리는 컬러와 스타일링 방법을 제안하는 시스템을 말한다(Lee & Park, 2012).
퍼스널 컬러는 개개인에게 어울리는 컬러로 자신에게 어울리는 컬러의 적용은 외모관리 행동으로 이어져 외적인 모습에 변화를 주어 호감 가는 이미지를 만들 수 있다(Park et al., 2019). 퍼스널 컬러는 자신을 돋보이게 하는 아름다움을 찾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Kim & Yun, 2018), 자아의 표현할 수 있는 하나의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으며(You & Kim, 2020), 이에 따라 화장품 산업에서도 개인 맞춤형 화장품 시대가 열리면서 퍼스널 컬러를 적용한 나만의 색조 화장품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파운데이션은 피부색을 균일하게 정돈하고 잡티를 커버하여(Youn & Park, 2019) 전체적인 피부 이미지를 형성하며, 개인의 피부색에 어울리는 파운데이션 컬러의 사용으로 색조화장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만들어 준다. 파운데이션의 컬러는 사람의 이미지를 좌우할 수 있는 만큼 자신과 맞는 컬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본인의 얼굴 피부색과 어울리지 않는 컬러의 파운데이션을 발랐을 경우 어두운 이미지로 보이게 할 수 있으며, 반대로 사용자의 얼굴이 하얗게 떠 보이게 할 수도 있다(Youn & Park, 2019). 이렇듯 컬러를 잘못 선택한다면 자신이 원하지 않는 이미지와 피부색을 띄게 된다. 이에 따라 자신의 피부색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최근에는 퍼스널 컬러 업계에서도 컬러 진단천을 사용하는 컬러 드레이핑(color draping)을 통해 얼굴에 가까이 올리면서 개인의 신체 고유색과의 조화를 비교하고 확인하는 관능평가 방법을 기본으로 하여 측색기를 사용하여 피부색 측색 후 L*, a*, b*값을 기준으로 측색평가를 통한 PCS 파운데이션 컬러를 추천해주는 곳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화장품 시장에서도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매장마다 소비자의 피부색을 파악하여 어울리는 색조 제품을 추천해 주기 위한 진단 디바이스를 갖추면서 컬러의 다양성을 추구하고 있으며(Lee et al., 2019), 실제로 파운데이션 컬러 역시 대표적인 밝기 17호, 21호, 23호를 warm (yellow), cool (pink), neutral base 등으로 세분화하여 출시되고 있다. 이렇게 세분화되어 나오는 파운데이션 컬러는 화장에 경험이 많은 사람들도 본인에게 어울리는 컬러를 찾기 쉽지 않으며(Youn & Park, 2019), 퍼스널 컬러를 알고 있음에도 파운데이션 컬러에 적용이 어려워 파운데이션 컬러 선택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가 평소 사용하는 파운데이션 컬러 측색 및 베이스와 밝기를 분석하고, 컬러 드레이핑으로 연구대상자의 퍼스널 컬러 유형 분류 후 측색계 및 스킨톤가이드를 사용하여 얼굴 피부색 측정 후 진단된 PCS 파운데이션 컬러를 컬러 드레이핑 결과와 비교분석한다.

Methods

1. 연구 참여자 및 기간

본 연구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파운데이션을 사용하는 20-50세의 여성을 대상으로 실험 전 얼굴 피부색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스테로이드 계통의 약물 복용을 금지시키고, 인공 태닝을 받은 자, 피부과 시술을 받은 자, 질병에 의해 얼굴 피부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자, 해외 거주자, 기관생명윤리위원회 심의에 의거 객관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학생 신분을 제외한 40명을 대상으로 건국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연구 승인(7001355-202310-HR-711)을 받고 진행하였으며 연구대상자에게 본 실험의 목적과 절차 등의 내용을 설명한 후 동의를 구하였다. 실험은 개별적으로 1차 설문지에 응답 후 실험을 받았으며, 실험 처치 종료 직후 바로 2차 설문지에 대한 응답을 받았다. 실험기간은 2024년 3월 9일부터 17일까지 총 4일간에 나누어 시행되었다.

2. 측정도구 및 방법

1) 측정도구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의 퍼스널 컬러와 피부색 유형 분류를 위하여 측색평가(측색계 측정)와 시감평가(시감비색측정), 관능평가(진단천 측정평가)를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각각의 측정방법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객관성과 정확성을 높였다. 측색평가(측색계측정)는 퍼스널 컬러 및 피부색 유형분류에 가장 과학적인 접근 방법으로 절대적 측정값과 측정 색 영역의 색차 비교분석에 적합한 측색 장비로 Colorimeter (LS171; Linshang Technology, China)를 사용하였고, 국제조명위원회(International Commission on Illumination, CIE)에서 지정한 CIELAB값을 추출하였다. 시감 평가(시감비색측정)는 최대한 피부색과 근접하게 비교 측정할 수 있는 시감비색측정도구로 한국인의 피부색 구축을 위해 측정평가(정량측정-혼색계시스템)와 시감평가(시감비색측정-현색계시스템), 관능평가(PCS유형별 컬러진단)에 의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Color Convergence Institute (CCI, Korea)색채연구소가 개발한 CCI스킨톤가이드(CCI Skintone Guide), 관능평가는 퍼스널 컬러 진단 방법 중 가장 일반적인 접근 방법으로 KS색체계를 기반으로 하고 있는 ㈜코코리색채연구소(COCORY, Korea)가 제작한 퍼스널 컬러 드레이핑천(스트라이프 ver.)을 사용하여, 연구의 객관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파운데이션은 한국인의 피부색에 적합한 국내 브랜드 중 일반인 및 연구자의 접근성이 좋고 퍼스널 컬러 유형에 따른 다양한 컬러를 가지고 있는 파운데이션(Foundation; VDL, Korea)을 선택하였다.

2) 측정방법

객관적인 얼굴 피부색 영역을 도출하기 위해 얼굴 피부색 측정은 연구대상자가 직접 세안 후 피부가 안정된 상태에서 Colorimeter Cube (LS171; Linshang Technology, China)의 측색면을 알코올 솜으로 소독 후 측색 부위를 선정하여 3차례에 걸쳐 나눠 측색하였다. 측색 부위는 ㈜코코리색채연구소의 피부유형 분류 시스템의 측색 기준 부위인 입꼬리와 눈꼬리가 교차하는 지점의 볼 부위를 측색하였다. 본 연구에 활용한 얼굴 피부색 측정값은 CIE의 L*a*b* 형식을 취하고, 데이터를 ㈜코코리색채연구소의 피부유형 분류 산출공식(제10-2090370호)에 적용하였다. 시감평가를 위한 얼굴 피부색 측정은 CCI색채연구소가 개발한 CCI스킨톤가이드를 사용하여 측색계 측정 부위와 같은 볼 부위를 측정하여 시감(육안)평가 후 피부색 분포도와 색영역을 알아보았다. 컬러 드레이핑 도구는 색상과 톤을 함께 볼 수 있는 ㈜코코리색채연구소의 151 색 퍼스널 컬러 진단 드레이핑천 중 각 유형별 대표톤으로 구성되어 있는 스트라이프 버전의 진단천을 선정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도구를 사용한 얼굴 피부색 및 파운데이션 측정 방법은 Table 1과 같다.

3) 파운데이션 색상 선정

파운데이션은 퍼스널 컬러의 메이크업 적용 효과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된 파운데이션 컬러를 바탕으로, Lee (2023)의 연구에서 사용된 파운데이션 베이스 컬러를 참고하였다. 다만 현재까지 명도별 파운데이션에 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으로 명도별 파운데이션은 본 연구자가 직접 선정하여 일반적인 파운데이션 밝기이면서 한국인이 많이 사용하는 17호, 21호, 23호를 본 실험에 사용하였다. 파운데이션 컬러는 측색계 측정을 통하여 CIE의 L*a*b* 값과 시감비색측정 후 피부색 유형을 제시한 Shin & Park (2015)의 연구를 참고하여 피부색상 값의 범위를 CCI스킨톤가이드 표기법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파운데이션 색상의 결과는 Table 2와 같다.

4) 파운데이션 적용 방법

파운데이션 적용은 얼굴 피부색 측색평가(colorimeter CUBE)와 시감평가(CCI스킨톤가이드) 피부색 측정의 2가지 측정 방법으로 진단된 PCS 파운데이션 컬러를 일회용 메이크업 라텍스 퍼프를 사용하여 얼굴 전체에 도포 후 설문지를 통하여 만족도를 체크하였다. 연구 대상의 자가진단 파운데이션 컬러 적용 방법은 먼저 명도 선택을 위해 연구대상자의 얼굴 왼쪽과 오른쪽울 각각 반쪽씩 파운데이션 밝기(호수)를 다르게 하여 적용하여 반쪽씩 얼굴을 가려서 각각 그리고 전체를 함께 비교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만족도가 높은 밝기 선택 후 명도 선택과 같은 방법으로 왼쪽과 오른쪽으로 각각 반쪽씩 웜 베이스(Warm, Yellow) 쿨 베이스(Cool, Pink)를 다르게 적용하여 베이스 선택 후 최종적으로 만족도가 높은 밝기와 베이스를 선택하도록 하였다. 파운데이션 적용 시 내용물은 0.2 g씩 일회용 나이프에 덜어 동일한 양을 조절하였고, 메이크업 일회용 라텍스 퍼프를 사용하여 기존에 사용했던 색과 섞이지 않게 실험하였다. 파운데이션과 일회용 라텍스 퍼프를 사용하여 파운데이션을 적용한 모습은 Figure 1, Figure 2와 같다.

5) 설문지

본 연구에서 퍼스널 컬러를 적용한 얼굴 피부측색 PCS 파운데이션 컬러 분류를 위해 사용된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에 관한 측정도구로 Kim & Kim (2020)의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문항을 구성하였으며, 퍼스널 컬러 인식에 관한 항목은 Lee & Kim (2020)의 연구, 퍼스널 컬러 적용 PCS 파운데이션 컬러 도포 후 심리적 변화에 관한 항목은 Moon & Kim (2021)의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측정항목을 토대로 문항을 수정 및 보완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제작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실험 전 설문지는 크게 2가지 요인으로, 파운데이션 컬러 선호도 8문항, 퍼스널 컬러 인식 9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진단 후 설문지는 얼굴 피부색 측정 PCS 파운데이션 컬러의 만족도 10문항, PCS 파운데이션 컬러 도포 후 느끼는 피부심리 만족도 8문항으로 각각 구성하여 총 36문항으로 구성하였다.

6) 자료분석

본 연구를 위한 수집된 자료는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SPSS, WIN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 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또한 여성들의 퍼스널 컬러 진단 유형에 따른 얼굴 피부색 측정과 시감평가, 얼굴 피부색 측정 PSC 파운데이션 컬러와 피험자 자가진단 파운데이션 컬러 베이스와 밝기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 χ2 (Chi-square) 검증과 One-way ANOVA (일원변량분석), t-test 검증), 그리고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Results and Discussion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3과 같다.
총 40명 중 거주지역별로는 서울이 23명(57.5%)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경기도 13명(32.5%), 인천 4명(10.0%) 순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대와 30대, 40대, 50대가 각각 10명(25.0%)이었다. 최종학력별로는 4년제 대학 재학/졸업이 25명(62.5%)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2년제 대학교 재학/졸업과 대학원 재학/졸업이 각각 6명(15.0%), 고등학교 졸업 3명(7.5%) 순이었다. 직업별로는 사무직이 13명(32.5%)으로 가장 높은 분포를 보였으며, 전업주부 9명(22.5%), 전문직 5명(12.5%), 기타 7명(17.5%), 학생 4명(10.0%), 자영업 2명(5.0%) 순이었다. 퍼스널 컬러 계절별 유형으로는 봄 유형 10명(25.0%), 여름 유형 10명(25.0%), 가을 유형 10명(25.0%), 겨울 유형이 10명(25.0%)이었다.

2. 퍼스널 컬러 유형별 사용 파운데이션 베이스와 밝기

퍼스널 컬러 유형에 따라 사용 중인 파운데이션 베이스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Table 4와 같다.
먼저 퍼스널 컬러 톤 유형별로 사용 중인 파운데이션 베이스 컬러를 살펴보면, 웜톤에 해당하는 가을 유형이 50.0%로 다른 유형보다 웜톤 베이스의 파운데이션을 더 많이 사용하였고, 여름 유형은 80.0%로 다른 유형보다 쿨톤 베이스의 파운데이션을 많이 사용하였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따라서 여성들은 퍼스널 컬러 계절 유형에 따른 별다른 차이 없이 베이스가 쿨톤인 파운데이션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퍼스널 컬러 계절 사계절 유형별로 살펴보면, 여름 유형이 90.0% 로 다른 유형보다 21호 밝기의 파운데이션을 더 많이 사용하였고, 가을 유형은 각각 30.0%, 20.0%로 다른 유형보다 22호와 23호 밝기의 파운데이션을 더 많이 사용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여성들은 퍼스널 컬러 유형에 따른 별다른 차이 없이 밝기가 21호인 쿨톤 파운데이션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므로 여성들이 자신의 피부색에 어울리는 파운데이션 컬러를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 제공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3. 퍼스널 컬러 유형별 얼굴 피부색 측색 결과

1) 퍼스널 컬러 톤별 얼굴 피부색 측색 결과

여성들의 퍼스널 컬러 톤에 따른 얼굴 피부 측색 평가 결과를 살펴보면 Table 5와 같다.
L*값은 웜톤 유형이 64.84로 쿨톤 유형 64.67보다 높았고, a*값은 쿨톤 유형이 10.85로 웜톤 유형 9.56보다 높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b*값은 웜톤 유형이 15.67로 쿨톤 유형 12.12보다 높았으며, 퍼스널 컬러 톤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t=7.73, p<0.001). 따라서 퍼스널 컬러 유형에 따른 얼굴 피부색 분류 시 웜톤과 쿨톤을 분류할 때 b*(황색도)값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얼굴 피부색의 L*(밝기)값과 a*(적색도)값, b*(황색도)값의 색영을 제시하고 분류한 Shin & Park (2015)의 연구결과와 맥을 같이 한다.

2) 퍼스널 컬러 사계절 유형별 얼굴 피부색 측색 결과

여성들의 퍼스널 컬러 사계절 유형에 따른 얼굴 피부색 측색 결과를 살펴보면 Table 6과 같다.
L*값은 여름 유형이 67.92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봄 유형 67.58, 가을 유형 62.09, 겨울 유형은 61.41로 가장 낮았으며, 퍼스널 컬러 계절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F=19.28, p<0.001). a*값은 겨울 유형이 12.46으로 가장 높았고, 봄 유형이 8.91로 가장 낮았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F=2.90, p<0.05). b값은 가을 유형이 16.54로 가장 높았고, 여름 유형이 11.70으로 가장 낮았으며, 퍼스널 컬러 계절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F=28.11, p<0.001). 따라서 봄과 여름 유형이 다른 유형보다 L*값이 높고, 가을과 겨울 유형은 L*값이 낮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퍼스널 컬러 유형에 따른 얼굴 피부색 분류 시 L*(밝기)값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봄과 여름 유형이 다른 유형보다 얼굴 피부색의 L*값이 높다는 Moon & Kim (2021)의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4. 퍼스널 컬러 유형별 pcs 파운데이션 컬러

1) 퍼스널 컬러 유형별 PCS 파운데이션 컬러

여성들의 퍼스널 컬러 유형에 따라 얼굴 피부색 측정 PCS 파운데이션 컬러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Table 7과 같다.
먼저 베이스를 살펴보면, 웜톤 유형에 해당하는 봄 유형과 가을 유형은 각각 100.0%로 Yellow 베이스였고, 쿨톤 유형에 해당하는 여름과 겨울 유형은 각각 100.0%로 Pink 베이스였으며, 퍼스널 컬러 톤 유형에 따라 PCS 파운데이션 베이스 컬러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χ2=40.00, p<0.001). 다음으로 밝기를 살펴보면, 봄 유형과 여름 유형은 각각 100.0%로 21호 밝기였고, 가을 유형과 겨울 유형은 각각 100.0%로 23호 밝기였으며, 퍼스널 컬러 계절유형에 따라 PCS 파운데이션 컬러의 밝기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χ2=40.00, p<0.001). 따라서 여성들은 퍼스널 컬러 유형에 따라 PCS 파운데이션 컬러의 베이스와 밝기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색조 화장품 광고 및 홍보진행 시 퍼스널 컬러에 맞는 색조 제품을 분류하는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Lee & Kim (2020)의 연구결과를 지지한다.

2) 얼굴 피부색 측색과 스킨톤가이드 측정의 PCS 파운데이션 컬러 의 일치성

여성들의 얼굴 피부색 측색과 스킨톤 가이드의 측정 파운데이션 컬러의 베이스와 밝기의 일치성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Table 8과 같다.
얼굴 피부색 측색과 스킨톤가이드 측정 PCS 파운데이션 베이스 컬러의 결과가 100% 일치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χ2=40.00, p<0.001), PSC 파운데이션 컬러의 밝기의 결과 또한 100% 일치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χ2=40.00, p<0.001).

3) 얼굴 피부색 측정 PCS 파운데이션 컬러와 피험자 자가진단 파운데이션 컬러의 일치성

여성들의 얼굴 피부색 측정 PCS 파운데이션 컬러와 피험자 자가 진단 파운데이션 컬러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Table 9과 같다.
여성들의 얼굴 피부색 측정 PSC 파운데이션 베이스 컬러 결과와 피험자 자가진단의 파운데이션 컬러 베이스의 결과가 100% 일치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χ2=40.00, p<0.001). 또한 여성들의 얼굴 피부색 측정 결과와 자가진단 파운데이션 컬러의 밝기 결과가 10%를 제외하고 거의 일치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χ2=32.73, p<0.001). 다시 말해 퍼스널 컬러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PCS 파운데이션 컬러와 피험자 자가 진단 파운데이션 컬러의 일치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PCS 파운데이션 컬러의 만족도가 높을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Conclusion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여성들의 퍼스널 컬러를 진단 후 퍼스널 컬러를 적용하여 파운데이션 컬러를 분류하고 얼굴 피부색 측정 PCS 파운데이션 컬러의 만족도를 피험자 자가진단 파운데이션 컬러 결과로 확인함으로써 여성들의 파운데이션 컬러 선택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건국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IRB)의 연구승인(7001355-202310-HR-711)을 받아 진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에 거주하는 20-50세 여성 총 40명을 대상으로 2024년 3월 9일부터 17일까지 총 4일간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1, 2차 측정을 통하여 퍼스널 컬러 진단 후 얼굴 피부색 측정 PCS 파운데이션 컬러와 비교분석 하고 피험자 자가진단 파운데이션 컬러와 일치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자가 현재 사용 중인 파운데이션을 미리 지참하도록 하여 퍼스널 컬러 유형에 따라 현재 사용 중인 다양한 브랜드의 파운데이션 컬러의 베이스와 밝기를 분류하였고, PCS 파운데이션 컬러에 대한 만족도를 실험 후 설문지 조사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7.0을 이용해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χ2검증, One-way ANOVA, t-test (검증), 그리고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들의 퍼스널 컬러 유형에 따라 사용 중인 파운데이션의 베이스와 밝기를 조사한 결과, 연구 대상자가 사용 중인 파운데이션의 베이스와(yellow, pink) 밝기(호수)는 퍼스널 컬러 유형에 따른 별다른 차이 없이 쿨톤(pink base) 베이스의 21호 밝기의 파운데이션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퍼스널 컬러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여성들은 퍼스널 컬러 계절 유형에 별다른 차이 없이 쿨톤 21호 파운데이션 컬러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이는 자신의 피부색에 다르게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퍼스널 컬러 유형에 따라 얼굴 피부색 L*, a*, b*값을 측정한 결과, L*값은 여름 유형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봄 유형, 가을 유형, 겨울 유형은 순으로 낮았으며, b*값은 웜톤 유형에 해당하는 가을 유형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봄 유형, 그리고 쿨톤 유형에 해당하는 겨울 유형, 여름 유형 순으로 낮았다. 얼굴 피부색 L*, a*, b*값은 퍼스널 컬러 유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Shin & Park(2015)의 연구에서 퍼스널 컬러 유형분류 시 톤 분류는 피부 색감을 나타내는 a*, b*값, 계절 분류는 피부 밝기를 나타내는 L*값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는 결과와 일치하였다.
셋째, 퍼스널 컬러 유형에 따른 얼굴 피부색 측정 PCS 파운데이션 컬러에 대해 살펴본 결과, 먼저 베이스는 웜톤 유형에 해당하는 봄 유형과 가을 유형이 PCS 파운데이션 Warm (Yellow) 베이스, 쿨톤 유형에 해당하는 여름과 겨울 유형은 각각 Cool (Pink) 베이스로 진단되었으며, 밝기는 봄 유형과 여름 유형이 21호, 가을 유형과 겨울 유형은 각각 23호 밝기로 퍼스널 유형에 따라 얼굴 피부색 측정 PCS 파운데이션 컬러의 베이스와 밝기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퍼스널 컬러 유형에 따라 얼굴 피부색 측정 PCS 파운데이션 컬러의 베이스와 밝기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퍼스널 컬러를 적용하여 파운데이션 컬러를 분류할 수 있으며 반대로 파운데이션 컬러만으로도 퍼스널 컬러 유형을 분류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넷째, PCS 파운데이션 컬러와 피험자 자가진단 파운데이션 컬러를 살펴본 결과 여성들의 진단받은 PCS 파운데이션 컬러와 피험자 자가진단 파운데이션 컬러의 일치도가 높게 나와 여성들의 PCS 파운데이션 컬러의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퍼스널 컬러를 적용을 통해 파운데이션 컬러 분류가 가능하며, 얼굴 피부색 L*, a*, b* 측정값과 파운데이션 컬러만으로도 퍼스널 컬러 유형을 분류할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또한 여성들의 자가진단 파운데이션 컬러 측정 결과는 PCS 파운데이션 컬러 분류의 활용성을 높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여성들이 파운데이션 컬러 선택 시 퍼스널 컬러를 적용함으로써 자신에게 어울리는 피부색 표현과 파운데이션 컬러 매칭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고, 뷰티분야에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수도권에 거주하는 일부 여성을 대상으로 한정하여 분석했다는 점에서 한국 여성들에게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부족함이 있었으나, 파운데이션 컬러 추천 및 선택에 있어 퍼스널 컬러를 적용하여 얼굴 피부색과 조화로운 컬러 매칭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니며, 후속 연구에서는 최근 파운데이션 구입에 투자하는 남성이 증가함에 따라 남성들의 퍼스널 컬러 유형에 따른 피부색 및 파운데이션 컬러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NOTES

This work is a part of Young-Mee Choi’s Ph.D. thesis at the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Author's contribution
YMC and SB contributed equally to this work. YMC and SB designed all experimental investigations, and after classifying foundation colors by applying personal colors, we checked the consistency between the base and brightness between the PCS (Personal Color System) foundation color and the self-diagnosis foundation color, which measured the color of the face skin. SB oversaw the project and contributed to all aspects of analysis and experimental design.
Author details
Young-Mee Choi (Graduate Student), Department of Cosmetics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120 Neungdong-ro, Gwangjin-gu, Seoul 05029, Korea; Seunghee Bae (Professor), Department of Cosmetics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120 Neungdong-ro, Gwangjin-gu, Seoul 05029, Korea.

Figure 1.

Foundation and latex puffs.

ajbc-22-2-323f1.jpg
Figure 2.

Subject's foundation application.

ajbc-22-2-323f2.jpg
Table 1.
Personal color and foundation color measuring tool
ajbc-22-2-323i1.jpg

1) Personal color drapin; 2) Colorimeter; 3) Skintone guide.

Table 2.
Foundation color
ajbc-22-2-323i2.jpg
Table 3.
Research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Classification Frequency Percentage (%)
Residential area Seoul 23 57.5
Incheon 4 10.0
Gyeonggi Province 13 32.5
Age 20 years old 10 25.0
30 years old 10 25.0
40 years old 10 25.0
50 years old 10 25.0
Final academic background High school graduation 3 7.5
2-year college student/graduation 6 15.0
4-year university student/graduation 25 62.5
Graduate school student/graduation 6 15.0
Job Clerical work 13 32.5
Profession 5 12.5
Self-employed 2 5.0
Student 4 10.0
Housewife 9 22.5
Etc. 7 17.5
Diagnosed personal color type Spring 10 25.0
Summer 10 25.0
Autumn 10 25.0
Winter 10 25.0
Total 40 100.0
Table 4.
Foundation colors of being used depending on personal color type
Spring (N=10) Summer (N=10) Autumn (N=10) Winter (N=10) Χ2 p
Base Warm (Yellow) 3 (30.0) 2 (20.0) 5 (50.0) 4 (40.0) 2.20 0.532
Cool (Pink) 7 (70.0) 8 (80.0) 5 (50.0) 6 (60.0)
Brightness no.17 1 (10.0) 0 (0.0) 0 (0.0) 0 (0.0) 10.00 0.350
no.21 8 (80.0) 9 (90.0) 5 (50.0) 8 (80.0)
no.22 1 (10.0) 0 (0.0) 3 (30.0) 1 (10.0)
no.23 0 (0.0) 1 (10.0) 2 (20.0) 1 (10.0)
Total 10 (100.0) 10 (100.0) 10 (100.0) 10 (100.0)
Table 5.
Outcome of face and skin color measurement by personal color tone
Warm (N=20)
Cool (N=20)
t p
M SD M SD
L* 64.84 3.00 64.67 4.69 0.14 0.891
a* 9.56 1.30 10.85 4.28 -1.29 0.210
b* 15.67 1.43 12.12 1.48 7.73*** 0.000

*** p<0.001.

Table 6.
The result of face and skin color colorimetric evaluation by personal color season
Spring (N=10)
Summer (N=10)
Autumn (N=10)
Winter (N=10)
F p
M SD M SD M SD M SD
L* 67.58 1.14 67.92 1.47 62.09 0.99 61.41 4.55 19.28*** 0.000
a* 8.91 1.46 9.23 1.09 10.20 0.70 12.46 5.62 2.90* 0.048
b* 14.81 1.57 11.70 1.72 16.54 0.40 12.54 1.13 28.11*** 0.000

* p<0.05;

*** p<0.001.

Table 7.
PCS foundation colors by personal color type
Spring (N=10) Summer (N=10) Autumn (N=10) Winter (N=10) Χ2 p
Base Warm (Yellow) 10 (100.0) 0 (0.0) 10 (100.0) 0 (0.0) 40.00** 0.000
Cool (Pink) 0 (0.0) 10 (100.0) 0 (0.0) 10 (100.0)
Brightness no.21 10 (100.0) 10 (100.0) 0 (0.0) 0 (0.0) 40.00** 0.000
no.23 0 (0.0) 0 (0.0) 10 (100.0) 10 (100.0)
Total 10 (100.0) 10 (100.0) 10 (100.0) 10 (100.0)

*** p<0.001.

Table 8.
Consistency between the face and skin color measurement and the PCS foundation color with the skin tone guide measurement
Colorimetry Yellow (N=20) Pink (N=20) Χ2 p
Skintone guide
Base Warm (Yellow) 20 (100.0) 0 (0.0) 40.00*** 0.000
Cool (Pink) 0 (0.0) 20 (100.0)
Total 20 (100.0) 20 (100.0)
no.21 (N=20) no.23 (N=20)
Brightness no.21 20 (100.0) 0 (0.0) 40.00*** 0.000
no.23 0 (0.0) 20 (100.0)
Total 20 (100.0) 20 (100.0)

*** p<0.001.

Table 9.
Consistency between the PCS foundation colors with face and skin color measurement and the subjects’ self-diagnosis foundation colors
PCS f oundation Yellow (N=20) Pink (N=20) Χ2 p
Skintone guide
Base Warm (Yellow) 20 (100.0) 0 (0.0) 40.00*** 0.000
Cool (Pink) 0 (0.0) 20 (100.0)
Total 21 (100.0) 19 (100.0)
no.21 (N=20) no.23 (N=20)
Brightness no.22 20 (100.0) 2 (10.0) 32.73*** 0.000
no.23 0 (0.0) 18 (90.0)
Total 20 (100.0) 20 (100.0)

*** p<0.001.

References

Byun JY, Lee YJ. A study on the change of perception after personal color diagnosis and application of job seeker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Spatial Design 14: 6-53. 2019.

Cho MJ. Analysis of image makeup using color trend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4: 499-507. 2018.
crossref pdf
Cho MJ, Yang JH. Image perception according to face shapes and makeup color variation.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5: 122-131. 2017.
crossref pdf
Im EJ, Park M, Ha J. The correlation among perception and application of personal color and beauty styling: women in their 20s. Journal of Investigative Cosmetology 13: 369-379. 2017.

Kim HM, Youn CS. Study on validity of personal color selfdiagnosis measurement sca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4: 689-696. 2018.

Kim YE, Kim JD. A study on the use of color cosmetics according to women's appearance interes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ics and Cosmetology 10: 289-305. 2020.

Kwak SJ, Choi EM.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behavior of nail coloring according to the interest in personal color of women in their 20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9: 1477-1485. 2023.
crossref pdf
Lee JA, Kim C. The effects of personal color awareness on color cosmetic purchase criteria and purchase behavi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ics and Cosmetology 26: 635-645. 2020.

Lee JY. A study on the color arrangement of personal color & beauty and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ics and Cosmetology 29: 485-498. 2023.

Lee JH, Yan YC, Kang SH, Suk HJ. Comparative study on facial color between subjective judgment and colorimetric quantitie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33: 33-65. 2019.

Lee YE, Park KS. Analysis of facial colo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type of personal color system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0: 144-158. 2012.
crossref
Moon SH, Kim YS. A study on personal fashion color choices in manicures and pedicure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9: 569-581. 2021.
crossref pdf
Oh RB, Cho MJ. The development of nail art design utilizing the Panton color tre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metology 24: 133-142. 2018.

Park EA. Psychosocial meaning of make-up. The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4: 105-127. 2003.

Park YS, Chun HK, Yim EH. Qualitative research on motivations, decision-makers, and effects of personal color consult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9: 37-56. 2019.
crossref
Shin HS, Park YS. A comparative analysis on complexion and skin color in 20s-30s and 40s-50s by frequency of L*a*b values. Korean Society of Color Studies 29: 103-113. 2015.

Woo SJ, Kim YS. A study on the point makeup purchasing and using behavior according to the personal color awarenes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 889-902. 2011.
crossref
Youn YS, Park HJ. Foundation color recommendation based on user’s skin color.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29: 280-284. 2019.
crossref
You EK, Kim HM. A study on nail art application of personal color diagnosis system: through the nail ball design production case. Design Research 5: 301-312. 2020.

Editorial Office
No. 1505, 1506, 3rd Ace High-End Tower, 145, Gasan digital 1-ro, Geumcheon-gu, Seoul 08506, Korea
TEL: +82-2-6957-8155   FAX: +82-502-770-2278   E-mail: ajbc.edit@e-ajbc.org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