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Asian J Beauty Cosmetol > Volume 22(2); 2024 > Article
중국 샤오홍슈 앱 내 K-뷰티 콘텐츠가 국가이미지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요약

목적

본 연구는 K-뷰티와 한국 관광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중국 시장을 대상으로 K-뷰티 콘텐츠의 인기요인을 분석하고, 한국의 이미지 및 방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진행되었다.

방법

실증분석을 위해 중국 샤오홍슈 앱을 통해 K뷰티콘텐츠를 시청한 경험이 있는 중국인 10대-50대 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에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단순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K-뷰티 콘텐츠 특성 중 유용성, 전문성, 신뢰성, 최신성, 매력성 순서대로 국가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가 이미지는 방문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K-뷰티 콘텐츠 특성은 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따라서 K-뷰티에 대한 긍정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질 좋은 K-뷰티 콘텐츠를 생산하고 확산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인플루언서와의 협업을 통하여 K-뷰티에 대한 홍보뿐만 아니라 관광 콘텐츠로 연결시켜야 한다. 또한 외국인을 위한 K-뷰티 관광상품을 개발하여 뷰티 산업의 허브로 거듭나 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성과를 통해 K-뷰티 콘텐츠의 현황을 이해하고, 국가 이미지 제고와 관광목적지로서 한국의 매력를도 증진하여 여행수요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opularity of K-beauty in the Chinese market, an audience captivated by K-beauty and Korean tourism.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impact of these factors on Korea’s image and the intention to visit the country.

Methods

This empirical analysis included a self-administered online survey targeting 300 Chinese individuals who have experience watching K-beauty content through the Xiaohongshu app. The sample’s ages ranged from teenagers to individuals in their 50s.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26.0, and we employed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study yielded the following key findings. Characteristics of K-beauty content was identified as positively influencing Korea’s image; these included (in descending order or relevance) usefulness, expertise, reliability, up-to-dateness, and attractiveness. A posi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country’s image and the intention to visit. Finally, the characteristics of K-beauty conten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intention to visit.

Conclusion

This study’s results underscore the significance of generating and disseminating high-quality K-beauty content to ensure a positive experience. The findings support strategic collaboration with influencers to promote K-beauty and integrate it with tourism content. Furthermore, we suggest developing K-beauty tourism products tailored for foreigners to position Korea as a hub in the beauty industry. This study’s insights can serve as a foundation to augment travel demand by enhancing the national image and elevating Korea’s appeal as a tourist destination.

中文摘要

目的

以K-beauty和韩国旅游表现出浓厚兴趣的中国市场为对象, 调查K-beauty内容的流行因素,并确定其对韩国形象和访问韩国意愿的影响。

方法

为了进行实证分析,对300名有过通过中国小红书应用程序观看K-beauty内容的 10 岁至 50 岁的中国男性和女性进行了一项在线自我调查,并使用 SPSS 26.0 统计程序对收集的数据进行了频数分析 、信度分析、因子分析、相关分析、多元回归分析和一元回归分析。

结果

主要结果总结如下。首先,在韩国美容内容的特征中,实用性、专业性、可靠性、新近性和吸引力依次对国家形象产生积极影响。其次,国家形象对访问意愿有积极影响。第三,韩国美容内容特征对访问意图有显着影响。

结论

因此,制作和传播高质量的K-beauty内容非常重要,这样人们才能对K-beauty有积极的体验,并且通过与网红合作,不仅要宣传K-beauty,还要将其与旅游内容联系起来。此外,人们认为应该开发针对外国人的韩国美容旅游产品,使其成为美容产业的中心。通过这项研究的结果,我们希望了解K-beauty内容的现状,并将其作为基础数据,通过改善国家形象和增加韩国作为旅游目的地的吸引力来增加旅游需求。

Introduction

2002년에 드라마로부터 시작된 한류 열풍은 K-팝으로 이어지면서 K-컬처 콘텐츠로 저변을 넓히기 시작하였다(Oh & Lee, 2022). K는 해외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한국발 문화 콘텐츠를 지칭하는데 사용하는 접두어로 한국의 소프트파워가 발휘되는 것으로 여겨지는 제반 영역에서 적용되고 있으며(Park, 2022), 최근 K-뷰티가 전세계적으로 각광받고 있다.
K-뷰티란 한국 연예인의 외모와 그들이 사용한 화장품에 관심을 가져 한국산 미용 제품을 구매하고 한국 메이크업을 따라하려는 경향으로(Bang & Park, 2020), 메이크업뿐만 아니라 헤어, 피부 관리, 성형 등도 범주에 속한다. 다양한 분야에 걸쳐 골고루 분포하고 있는 추세이며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고속 성장하여 대세 반열에 들어섰다 (Cho et al., 2022). 이처럼 K-뷰티는 가치사슬별 고용과 부가가치 창출의 효과가 큰 문화산업이자 경제발전의 측면에서 중요한 한류 콘텐츠라고 할 수 있다(Lee & Lee, 2017).
한편 국가이미지는 이미지의 개념을 국가 차원에 적용한 것으로 특정 국가 혹은 그 나라의 국민들에 대하여 사람들이 지니고 있는 인지적 묘사나 일반적으로 사실이라고 믿고 있는 것이라고 정의된다(Tse & Gorn, 1993). 객관적인 사실에만 근거하거나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인식 주체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어 평가자의 주관적, 감정적인 측면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Kim & Cho, 2011). 우리나라의 국가이미지는 한류를 통해서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동안 긍정적으로 구축되었는데, 이는 수용자들이 친숙한 대중문화의 형태로써 한국을 접했기 때문으로 볼 수 있고(Cha et al., 2013), 국가이미지에 있어서 전형적인 신념이 형성될 경우에는 해당 국가의 제품구매나 방문 의도 등에 강력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연구결과가 있다(Kim & Kim, 2009).
개인의 의향이나 계획된 행동에 대해 실제적 관광행동이 일어날 확률을 방문의도라고 하며(Venkatesh & Davis, 2000), 어떠한 대상에 대한 가치를 인지하고 태도를 형성한 후에 특정한 관광지에 대해서 미래에 방문하고자 하는 의도를 나타내려는 의지와 신념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Boulding et al., 1993).
2023년 방역 제한이 해제된 후 중국인의 방한 상품 예약량은 전년 동기 대비 760%나 증가하였으므로 큰 규모의 타겟인 중국 소비자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해외 한류실태조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에서 한국의 문화 콘텐츠 인기도는 K-뷰티(59.8%), K-패션(55%), K-푸드(54.5%)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Jiang et al., 2023). 이제 중국의 한류 열풍은 단순하게 연예인을 향한 열광만이 아닌 한국만의 특색을 반영한 것에 흥미를 느끼며, 그 중에서도 중국 젊은 층 사이에서 제일 주목받는 것이 한국인이 즐겨하는 메이크업이다(Sung &Jung, 2017). K-뷰티는 주로 온라인을 통해 확산되고 있고, 확산되는 경로는 SNS와 동영상 중심으로 볼 수 있다(Liu & Lim, 2019). 현재, 대부분의 중국 소비자들은 K-뷰티 제품을 구매할 때 샤오홍슈(小紅書), 핀뚜어뚜어(拼多多), 틱톡(TikTok) 등의 플랫폼에서 추천 및 후기를 참고하는 경향이다(Wang & Lee, 2019). 중국의 샤오홍슈는 2013년 설립되어 2019년 기준 가입자 수가 3억명을 넘어섰으며, 전 세계에서 가장 큰 UGC 기반의 소셜커머스 플랫폼으로 급부상하였다. 사용자가 직접 제작한 콘텐츠를 제공하므로 신뢰도가 높은 편이고, 게시물 상의 태그를 통해 앱 쇼핑몰에서 바로 구매까지 손쉽게 가능하다(Shao et al., 2022). 일반인을 비롯해 인플루언서(influencer), 여러 분야의 전문가에 이르기까지 리뷰를 작성하고 공유하는 행위를 통해서 소비자들에게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특히 화장품과 메이크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가 증가하며 젊은 여성층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Hwang & Kim, 2023). 샤오홍슈가 인기를 끌고 있는 것은 일반인들의 솔직한 경험이 좋은 정보가 되기 때문이며(Shao & Nam, 2021), 소셜화 및 커뮤니티의 특성을 가지고 사용자 간 커뮤니케이션에 중점을 두고 있다(Sun & Ly, 2022). 또한 ‘열람’, ‘좋아요’, ‘즐겨찾기’ 기록 및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용습관, 흥미, 쇼핑형태, 일상적인 정보, 공유, 여행, 호텔, 소비 경험의 소비자 라이프스타일 등을 분석해 사용자의 니즈에 최적화된 콘텐츠를 추천한다(Tian et al., 2021).
그동안의 한류 콘텐츠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주로 K-드라마와 K-팝을 중심으로 한 연구에 치중되어 있고, K-뷰티와 그 영향을 다룬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K-뷰티와 한국 관광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중국 시장을 대상으로 K-뷰티 콘텐츠의 인기요인을 분석하고, 한국의 이미지 및 방한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실증 연구가 필요한 상황으로 판단돼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Methods

1. 연구 모형 및 가설 설정

1) 연구 모형

본 연구에서는 중국 샤오홍슈 앱을 중심으로 K-뷰티 콘텐츠가 국가이미지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모형을 설계하였다(Figure 1).

2) 가설설정

본 연구에서의 구체적인 가설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H1. K-뷰티 콘텐츠 특성은 국가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1. K-뷰티 콘텐츠 특성 중 매력성은 국가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2. K-뷰티 콘텐츠 특성 중 신뢰성은 국가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3. K-뷰티 콘텐츠 특성 중 전문성은 국가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4. K-뷰티 콘텐츠 특성 중 유의성은 국가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1-5. K-뷰티 콘텐츠 특성 중 최신성은 국가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2. 국가 이미지는 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H3. K-뷰티 콘텐츠 특성은 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2.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1) 연구대상 선정 및 자료수집

본 조사에서는 중국 샤오홍슈 앱을 통해 K-뷰티 콘텐츠를 시청한 경험이 있는 중국에 거주하는 10대-40대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중국의 설문조사 전문 웹사이트 ‘원쥐엔싱(问卷星)’에서 온라인 설문지 응답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2024년 2월 1일부터 2월 7일까지 예비조사를 진행하여 설문 수정을 거쳤고, 본 조사는 2024년 2월 8일부터 2월 14일까지 1주 동안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하고 유효한 자료인 300부를 최종 분석으로 활용하였다.

2) 연구도구 및 측정

본 연구를 위해 사용된 설문지의 구체적인 측정 문항은 기존 연구들을(Yao & Kim, 2022; Hwang & Kim, 2023) 바탕으로 연구자가 연구목적에 타당하도록 보완하고 수정하여 재구성하였다(Table 1). 설문 내용은 콘텐츠 특성(매력성, 신뢰성, 전문성, 유용성, 최신성)에 관한 질문 20개 문항, 국가이미지에 관한 질문 4개 문항, 방문의도에 관한 질문 3개 문항, 인구통계적 특성에 관한 질문 6개 문항, 샤오홍슈 이용상황에 관한 질문 2개 문항을 포함해서 총 35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콘텐츠 특성, 국가이미지, 방문의도는 ‘전혀 그렇지 않다’ 에 1점, ‘매우 그렇다’에 5점으로 설정하여 이를 리커트 척도를 통해 측정하였다. 그리고 일반적 특성, 샤오홍슈 이용상황은 명목척도로 측정하였다.

3) 자료 분석방법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통계프로그램 SPSS 26.0 (IBM, USA)을 활용하였다.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변수들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구성요인들 사이에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K-뷰티 콘텐츠 특성은 국가 이미지, 방문의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단순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Results and Discussion

1. 표본의 일반적 특성

조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성별은 여성 53.7%, 남성 46.3%로 여성의 비율이 비교적 높았다. 연령의 경우 30대가 31.0%로 가장 많았고, 이어서 20대가 28.7%, 40대가 24.0%, 10대가 10.3%, 50대 이상이 6.0% 순으로 젊은 층이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직업은 회사원이 48.0%로 가장 많았으며 프리랜서가 20.3%, 학생이 17.7%, 자영업이 12.3%, 무직이 1.7%로 나타났다. 월평균 가계소득은 5001-10000위안이 39.0%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0001-15000위안이 26.3%, 15001-20000위안이 15.7%, 5000위안 이하가 14.7%, 20001위안 이상이 4.3%로 나타났다. 샤오홍슈 하루 평균 사용시간을 살펴보면 31-60분이 32.7%로 가장 많았고, 16-30분이 26.7%, 15분 이하가 21.3%, 61분 이상이 19.3%로 나타났다. 샤오홍슈 사용동기는 인플루언서 등 팔로우가 29.7%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오락적 이유가 25.0%, 시간보내기가 16.0%, 제품정보탐색이 14.0%, 인간관계촉진(인적네트워크형성)이 9.7%, 자기표현 및 경험공유, 의견교환이 4.3%, 기타(이벤트참여 등)가 1.3%로 나타났다.

2.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모든 측정변수는 주성분 분석과 베리맥스 회전(varimax rotation)을 시행하여 아이겐 값이 1 이상인 탐색적 요인분석과 Cronbach’s α 계수를 이용한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K-뷰티 콘텐츠 특성에 대한 검증은 선행연구에서 추출한 20개 문항으로 실시하였으며, 모든 문항이 4개의 요인으로 수렴되었다. 각 요인은 ‘유용성’, ‘매력성’, ‘신뢰성’, ‘최신성’, ‘전문성’으로 명명하였으며, 신뢰도는 각각 0.909, 0.897, 0.892, 0.892, 0.888로 확인되었다. KMO는 0.890, Bartlett 구형성 검정은 3833.238 (df=190, p=0.000), 설명된 총분산은 76.606%로 분석되었다. 국가 이미지는 총 4개 문항으로 실시하였으며 단일요인으로 수렴되었다. KMO는 0.842, Bartlett 구형성 검정은 678.148 (df=6, p=0.000), 설명된 총분산은 75.598%로 분석되었다. 신뢰도 값은 0.892로 나타났다. 방문의도는 3개 문항의 단일요인으로 수렴되었으며, 신뢰도 분석은 0.880으로 확인되었다. KMO는 0.745, Bartlett 구형성 검정은 473.932 (df=3, p=0.000), 설명된 총분산은 80.695%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측정도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확보되었다.

3. 연구가설 검증

1) 가설 1 K-뷰티 콘텐츠 특성과 국가이미지와의 관계 검증

K-뷰티 콘텐츠 특성은 국가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1에 관한 회귀분석 결과, R2는 0.254로 나타나 25.4%의 설명력이 확인되었으며, F 검정의 결과 통계량은 20.071, p-value는 0.000으로 회귀식은 전반적으로 유의하였다. 독립변수인 유용성(t=3.026, p=0.003), 전문성(t=2.742, p=0.006), 신뢰성(t=2.646, p=0.009), 최신성(t=2.324, p=0.021), 매력성(t=2.161, p=0.031)요인 순서대로 국가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은 채택되었다(Table 3).
한류 콘텐츠에 노출된 경우 한국제품에 대한 중국소비자들의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Shin & Cui, 2022), K-뷰티와 같은 문화 콘텐츠산업은 다른 산업과 달리 문화적 교류가 발생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한 국가의 문화가 담긴 콘텐츠를 대상으로 하여 국가 이미지, 국가 브랜드 관리 차원 중요한 역할을 하고, 한류 확산을 통해서 형성된 우호적 이미지는 원산지 효과로 인하여 한국 제품에 대한 선호도 및 관광 의도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Kim et al., 2016).

2) 가설 2 국가 이미지와 방문의도와의 관계 검증

국가 이미지가 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2에 관한 회귀분석 결과, R2는 0.116로 나타나 11.6%의 설명력이 확인되었으며, F 검정의 결과 통계량은 39.083, p-value는 0.000으로 회귀식은 전반적으로 유의하였다. 독립변수인 국가 이미지 요인이(t=6.252, p=0.000) 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1은 채택되었다(Table 4).
Kim & Park (2016)의 연구에서 밝혀진 바와 같이 한국의 문화콘텐츠에 대한 소비는 한국제품의 소비와 수출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넘어서서 한국의 이미지 상승을 이끌며 한국 관광수요를 증대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연구결과와 같은 맥락으로 사료된다. 또한 Chang & Park (2017)의 연구에서도 중국인의 경우 한류콘텐츠에 대한 선호도가 높을수록 한국에 대한 국가이미지가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인 국가이미지는 한국방문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3) 가설 3 K-뷰티 콘텐츠 특성과 방문의도와의 관계 검증

K-뷰티 콘텐츠 특성은 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 3에 관한 회귀분석 결과, R2는 0.260로 나타나 26.0%의 설명력이 확인되었으며, F 검정의 결과 통계량은 20.629, p-value는 0.000으로 회귀식은 전반적으로 유의하였다. 독립변수인 전문성(t=3.669, p=0.000), 최신성(t=2.711, p=0.021), 신뢰성(t=2.504, p=0.013), 유용성(t=2.480, p=0.003) 요인 순서대로 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 3은 부분 채택 되었다(Table 5). Lee & Chung (2020)의 연구에서 K-컬처는 단순하게 해외로 전파되는 대중문화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한류관광과 관련된 경제분야(음식업, 쇼핑업, 숙박업, 교통업, 의료/미용, 문화 서비스, 오락/스포츠, 여행사 등)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입증된 바 있으며, Wee & Kim(2019) 연구에서도 K-뷰티가 수준 높은 인적자원 및 국가 이미지 제고 등 새로운 관광, 수출 콘텐츠로 가능성이 큰 분야로 소비계층의 성장과 고급화에 따라서 무한한 발전 가능성을 안고 있는 것으로 나타냈다.

Conclusion

본 연구는 K-뷰티 콘텐츠가 한국의 국가 이미지 및 방한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설계되었다. 연구결과 K-뷰티 콘텐츠의 특성으로서 매력성, 신뢰성, 전문성, 유용성, 최신성을 언급하였으며 이들은 공통적으로 국가 이미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중국의 SNS플랫폼 샤오홍슈 앱 사용자들이 K-뷰티 콘텐츠를 통해 갖게 된 한국에 대한 이미지는 방문의도에까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K-뷰티 콘텐츠 특성 중 유용성이 한국에 대한 인식 형성에 가장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중국인들이 K-뷰티 정보 획득 및 제품 선택 시 가치 있는 콘텐츠 내용을 선호하며 이용자간 소통을 중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Kim et al. (2021)의 연구에서도 온라인 화장품 정보에 대한 긍정적 감정이 높을수록 정보신뢰도, 브랜드 태도 등이 증가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K-뷰티에 대한 긍정적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고품질의 콘텐츠를 생산하고 확산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정부나 기업 차원에서 공식 채널을 개설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한다면 이점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내용분석 결과 인플루언서 팔로우를 위하여 SNS를 사용한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Lee & Lee (2022)의 연구에서 뷰티 인플루언서 신뢰도가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 및 구매의도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확인하였으므로 인플루언서와 협업하여 K-뷰티에 대한 신뢰도를 높이고 국내에서 이뤄지고 있는 다양한 뷰티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한다. 설득력 있는 내러티브와 스토리텔링을 더한 관광 콘텐츠로의 연결은 공감을 이끌어내고 추가적인 정보 탐색을 유도할 수 있다.
셋째, K-뷰티 콘텐츠가 결과적으로 한국 방문의도에 유의미한 효과를 준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K-뷰티 콘텐츠의 파급력은 단순한 미적 감상을 넘어 K-뷰티 문화에 대한 친밀감을 갖게 되면서 직접 체험하고 싶은 호기심이 증폭되며 관광지 선택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K-뷰티 콘텐츠를 통한 한국 방문의향 증대의 의미는 목적지 인식 형성에 있어서 몰입형 여행 경험을 적극적으로 추구하는 문화 소프트파워의 변혁적 잠재력을 강조한다.
넷째, 장기적으로 K-뷰티 관광상품을 개발하고 소비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Sheen (2022)의 연구에서는 동질감과 애착심을 이끌어냄으로써 특별하고 지속적인 행동양식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객이 인지할 수 있는 관계혜택과 즐거움, 소속감, 충성도를 자극할 수 있는 감정적 몰입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해외 소비자들을 위한 메이크업 클래스, 프로필 촬영과 같은 한류테마 맞춤형 관광 코스를 마련하는 등 다각적으로 노력하고, K-뷰티 콘텐츠를 활용하여 관광지 브랜딩 이니셔티브 간의 시너지를 촉진한다면 최고의 여행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K-뷰티 아이템은 한국에서 시작해 이제는 글로벌 브랜드에서 따라하고 있을 정도이다. 글로벌 뷰티 산업의 허브로 거듭나 관광지로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여러 K-콘텐츠와 융합해 범위를 확장해 나가기를 바란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나 몇 가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샤오홍슈 실제 사용자의 남녀 성비를 살펴보면 여성이 현저히 높으나 연구의 표본이 모집단을 대표하는 데에 다소 제한적이다. 일반적 연구대상자를 조사했다는 관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후속 연구에서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학력, 거주도시 등의 세부 요인을 반영하면 더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샤오홍슈에 초점을 두어 측정하였기 때문에 K-뷰티 콘텐츠가 소비되어지는 그 외 SNS를 심도 있게 살펴보는 것도 가치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본 연구 성과를 통해 K-뷰티 콘텐츠의 현황을 이해하고 향후 한국의 국가 이미지 제고와 관광 목적지로서의 매력도를 증진시켜, 여행수요 회복 전략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되었으면 한다.

NOTES

Author's contribution
JHK developed the research idea and oversaw the results. HSC contributed to all aspects, focusing on detailed analysis. All authors reviewed and approved the final manuscript.
Author details
Jin-Hee Kim (Ph.D. Student), Department of Tourism Management, Kyonggi University, 71-3, Chungjeongno 2-ga, Seodaemun-gu, Seoul 120012, Korea; Ho-Su Choi (Ph.D.), Department of Tourism Management, Kyonggi University, 71-3, Chungjeongno 2-ga, Seodaemun-gu, Seoul 120012, Korea.

Figure 1.

Research model.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K-beauty content, the impact of attractiveness, reliability, expertise, usefulness, and up-to-dateness on national image and visit intention.
ajbc-22-2-301f1.jpg
Table 1.
Measurement items
Attractiveness The K-beauty content on Xiaohongshu brings a sense of delight.
The K-beauty content on Xiaohongshu is enjoyable.
The K-beauty content on Xiaohongshu piques curiosity.
The K-beauty content on Xiaohongshu is as vibrant as the real thing.
Reliability The K-beauty content on Xiaohongshu is reliable and trustworthy.
The K-beauty content on Xiaohongshu is relatable.
The K-beauty content on Xiaohongshu is specific and detailed.
The K-beauty content on Xiaohongshu provides clear information.
Expertise The K-beauty content on Xiaohongshu provides distinct information.
The K-beauty content on Xiaohongshu has a wealth of professional knowledge.
The K-beauty content on Xiaohongshu has a wealth of relevant experience.
The providers of K-beauty content on Xiaohongshu are skilled.
Usefulness The K-beauty content on Xiaohongshu is valuable.
The K-beauty content on Xiaohongshu helps customers choose products.
The K-beauty content on Xiaohongshu is convenient for obtaining information.
The K-beauty content on Xiaohongshu facilitates communication among users.
Up-to-dateness The K-beauty content on Xiaohongshu rapidly identifies emerging trends in the beauty industry.
The K-beauty content on Xiaohongshu offers timely and relevant information.
The K-beauty content on Xiaohongshu is regularly updated.
The K-beauty contents on Xiaohongshu facilitates prompt information retrieval based on user preferences.
National image Korea is a likable country.
Korea is an interesting country.
Korea is a country with a developed beauty industry.
Korean products are of good quality.
Visit intention I plan to visit Korea after watching the K-beauty content on Xiaohongshu.
I am willing to invest time and money in visiting Korea after watching the K-beauty content on Xiaohongshu.
I would recommend visiting Korea to others after watching the K-beauty content on Xiaohongshu.
Table 2.
General characteristics (N=300)
Frequency (N) Percentage (%)
Gender Male 139 46.3
Female 161 53.7
Age 10s 31 10.3
20s 86 28.7
30s 93 31.0
40s 72 24.0
50 plus 18 6.0
Occupation Student 53 17.7
Office worker 144 48.0
Freelancer 61 20.3
Self-employed 37 12.3
Unemployed 5 1.7
Monthly income Less than 1 million Korean won (KRW) 44 14.7
Less than 2 million KRW 117 39.0
Less than 3 million KRW 79 26.3
Less than 4 million KRW 47 15.7
Over 4 million KRW 13 4.3
Usage time 15min or less 64 21.3
30min or less 80 26.7
60min or less 98 32.7
61min or more 58 19.3
Use motivation Search product information 42 14.0
Entertainment reasons 75 25.0
Time spending 48 16.0
Following influencers, etc. 89 29.7
Promotion of human relationships (formation of human networks) 29 9.7
Self-expression, sharing of experiences, and exchange of opinions 13 4.3
Etc. 4 1.3
Table 3.
K-beauty content characteristics and national image
Variable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factor
t p Collinearity statistics
Β St.E. β Tolerance VIF
(a constant) 0.818 0.246 3.323 0.001
Attractiveness 0.122 0.057 0.124 2.161 0.031* 0.776 1.289
Reliability 0.156 0.059 0.151 2.646 0.009** 0.775 1.291
Expertise 0.160 0.058 0.157 2.742 0.006** 0.772 1.296
Usefulness 0.167 0.055 0.171 3.026 0.003** 0.789 1.267
Up-to-dateness 0.137 0.059 0.135 2.324 0.021* 0.757 1.322

R2=0.254; Adj R2=0.242; F=20.071; p=0.000; Durbin-Watson=2.161.

Table 4.
National image and visit intention
Variable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factor
t p Collinearity statistics
Β St.E. β Tolerance VIF
(a constant) 1.972 0.210 9.369 0.000
Up-to-dateness 0.384 0.061 0.341 6.252 0.000*** 1.000 1.000

R2=0.116; Adj. R2=0.242; F=39.083; p=0.000; Durbin-Watson=2.082.

Table 5.
K-beauty content characteristics and visit intention
Variable Non-standardized coefficient
Standardization factor
t p Collinearity statistics
Β St.E. β Tolerance VIF
(a constant) 0.510 0.276 1.843 0.001
Attractiveness 0.101 0.064 0.090 1.585 0.0114 0.776 1.289
Reliability 0.166 0.066 0.143 2.504 0.013* 0.775 1.291
Expertise 0.241 0.066 0.210 3.669 0.000*** 0.772 1.296
Usefulness 0.154 0.062 0.140 2.480 0.003** 0.789 1.267
Up-to-dateness 0.180 0.066 0.156 2.711 0.021* 0.757 1.322

R2=0.260; Adj R2=0.247; F=20.629; p=0.000; Durbin-Watson=2.116.

References

Bang DY, Park CH. K-beauty recognition and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in the USA: focused on the university of Kentucky. Korean Society of Cosmetics and Cosmetology 10: 263-272. 2020.

Boulding W, Kalra A, Staelin R, Zeithaml VA. A dynamic process model of service quality: from expectations to behavioral inten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0: 7-27. 1993.
crossref pdf
Cha HW, Jung JJ, Lee YN, Jung EJ, Jang SJ, Lee SH, Ham YS. A Study on Korea's National Brand through Big Data Analysis. Korea Press Foundation. Seoul. pp25. 2013.

Chang S, Park SH. The influences of Chinese preferences for Korean wave cultural contents on national image and visiting intention to South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s 32: 211-230. 2017.
crossref
Cho WS, Lee MK, Park EM, Lim JH. Basic research for the design of the K-beauty micro-major curriculum for international students. Cultural Exchang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11: 165-195. 2022.
crossref
Hwang HH, Kim HK.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osmetics content on Chinese SNS: focused on XiaoHongShu.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21: 17-30. 2023.

Jiang S, Choo SW, You HS. A study on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K-culture among Chinese in their 20s and 30s.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Studies 25: 75-84. 2023.
crossref
Kim BS, Lee JM, An S. Effect of online cosmetics information on brand trust and continuous purchasing intentions online.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19: 395-408. 2021.
crossref pdf
Kim DH, Park BJ. The effects of the experience of Korean wave contents on country image, contents satisfaction and loyalty: a focus on the potential consumer of the new Korean wave in Europe.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9: 1871-1894. 2016.
crossref
Kim MS, Cho SW. National images of South Korea held by American students: focusing on university students in Texas.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19: 105-118. 2011.
crossref
Kim PS, Yoon HG, Jang KS. Cultural Content Industry Theory. CommunicationBooks. Seoul. pp39-64. 2016.

Kim SS, Kim MJ. Effect of Hallyu cultural products in Thai society on enhancement of Korean national image and intention to visit.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s 23: 101-125. 2009.

Lee CK, Chung HJ. Estimating the economic impacts of narrow and broad Hallyu tourism.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Studies 22: 1-12. 2020.
crossref
Lee IY, Lee SN. Effects of beauty influencer credibility on perceived risks and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20: 213-225. 2022.
crossref pdf
Lee S, Lee S. The impact of K-beauty search volumes on export and tourism: based on the Google search and YouTube page view. Review of Culture and Economics 20: 119-147. 2017.

Liu MN, Lim KG. Word-of-mouth effect for online sales of K-beauty products: Centered on China SINA Weibo and Meipai.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25: 197-218. 2019.

Oh JY, Lee DH. A proposal for strategic assetization of K-culture content to enhance the National Brand Image.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70: 285-299. 2022.

Park SJ. Expanding and Contesting ‘K’: an analysis of K Discourse of Korean News Reports.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66: 144-186. 2022.
crossref
Shao JH, Lee SK, Cho MR. Analysis of emotional words about Chinese preference for K-beauty: focused on the comments about makeup in little red book (Xiaohongshu).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34: 577-595. 2022.

Shao L, Nam Y. The influence of online influencer, Wanghong characteristic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and oral transmission intention: based on Xiaohongshu, a Chinese overseas direct purchase platform. The Journal of Internet Electronic Commerce Research 21: 1-16. 2021.
crossref
Sheen YS. Effect of cosmetics store relational benefits on affective commitment and long-term relationships.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20: 239-250. 2022.
crossref pdf
Shin JH, Cui RZ. The effect of exposure to Korean wave contents on Chines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products. Journal of Cultural Studies 22: 73-81. 2022.
crossref
Sung HM, Jung JS. Wang Hong and K-beauty industry in the era of personal media. Review of Industry and Management 30: 61-80. 2017.

Sun Y, Ly T P. The influence of word-of-web on customers’ purchasing process: the case of Xiaohongshu. Journal of China Tourism Research 19: 221-244. 2023.
crossref
Tse DK, Gorn G J. An experiment on the salience of country-oforigin in the era of global brands. Journal of International Marketing 1: 57-76. 1993.
crossref pdf
Tian W, Xiao Y, Xu L. What XiaoHongShu users care about: an analysis of online review comments. Advances in Social, Education and Humanities Research 586: 386-391. 2021.
crossref
Venkatesh V, Davis F D.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46: 186-204. 2000.
crossref
Wang L, Lee JH. The effect of K-beauty SNS Influencer on Chinese consumers’ acceptance intention of new products: focused on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ELM).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21: 574-585. 2019.
crossref
Wee HJ, Kim JW. A study on the supporting policies for beauty health industry for convergence job creation in local governments. Social Economy & Policy Studies 9: 173-201. 2019.
crossref
Yao P, Kim JM. Influence that the social commerce Xiaohongshu (The Little Red Book) contents property, site reliability, review producer’s expertise have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78: 242-254. 2022.

TOOLS
PDF Links  PDF Links
PubReader  PubReader
ePub Link  ePub Link
Full text via DOI  Full text via DOI
Download Citation  Download Citation
  E-Mail
  Print
Share:      
METRICS
0
Crossref
332
View
18
Download
Related article
Editorial Office
No. 1505, 1506, 3rd Ace High-End Tower, 145, Gasan digital 1-ro, Geumcheon-gu, Seoul 08506, Korea
TEL: +82-2-6957-8155   FAX: +82-502-770-2278   E-mail: ajbc.edit@e-ajbc.org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Developed in M2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