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ome | E-Submission | Sitemap | Contact us |  
top_img
Asian J Beauty Cosmetol > Volume 22(2); 2024 > Article
학과만족도를 매개 변인으로 피부미용 관련 전공 대학생의 진로성숙도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요약

목적

본 연구는 피부미용 전공 대학생의 진로 성숙도 영향 요인 및 진로결정 요인을 살펴 봄으로써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학과 만족도를 매개 변인으로 한 진로성숙도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해 국내 피부미용 관련 학과의 발전 방안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방법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참고문헌 고찰과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2021년 9월 동안 전국의 전문대학 피부미용 관련학과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45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회수된 406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크론바흐 알파 값은 0.774에서 0.801이었다. 진로성숙도 요인에서 일관련 요인 9문항, 개인관련 요인 6문항을 선정하였고, 학과 만족도 요인으로 8문항을 선정하였다. 진로 결정 요인으로 6문항을 선정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부미용 전공 학생의 진로성숙도의 일관련 요인에서 직업에 대한 태도, 직무인지, 직업전망, 진로탐색, 정보 탐색 순으로 높게 인지 하고 있었다. 둘째, 학과만족도의 경우 교과만족, 교우관계만족, 교수만족, 시설만족, 행정지원만족의 순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진로 결정의 경우 미래계획, 목표선택, 문제해결 순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결론

교과만족, 교우관계 만족을 통한 학과만족도 향상을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전공 교과목 개발, 지도교수 면담, 산업체와의 긴밀감을 통한 진로 성숙도 및 진로 결정에 도움을 주어 한야다.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efficient operating measures apropos the effects of career decision-making on the professional maturit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skincare by ensuring departmental satisfaction.

Methods

A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and a questionnaire was designed to assess the career decisions and career maturity of college skincare students through the satisfaction of their department. Random sampling was used to select participants in South Korea. A total of 450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in September 2021, and the data obtained from 406 respondents were utilized for the final analyses. Factor evalu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Results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the career decisions and professional maturity of skincare students enrolled in college and work-related factors such as their job attitudes, recognition of duties, job prospects, career exploration, and information search. Personal factors of self-understanding, understanding aptitude, and career planning were also correlated to the career decisions and professional maturity of the study’s respondent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further improve students’ subjective satisfaction and peer relationships to obtain departmental satisfaction. Students must also engage in self-development, interview professors, and become familiar with the industry to enhance their career maturity and career-related decision-making.

中文摘要

目的

通过考察皮肤护理专业大学生的职业成熟度影响因素和职业决策因素来寻求改进措施,并以学科满意度为中介变量分析职业成熟度对职业决策的影响,为韩国护理相关部门的提供发展计划。

方法

为了进行这项研究, 我们回顾了参考文献并制定了一份调查问卷。2021年9月,共向全国专科院校皮肤护理相关专业学生发放问卷450份,回收问卷406份进行分析。Cronbach alpha值范围为0.774至0.801。从职业成熟度因素中,工作相关因素选取了9个问题,个人相关因素选取了6个问题,部门满意度因素选取了8个问题。选择六个问题作为职业决策因素。

结果

首先,皮肤护理专业学生对职业成熟度的工作相关因素认可度较高,依次为:工作态度、工作认可、工作前景、职业探索、信息搜索。其次,就学科满意度而言,被认为较高的顺序是学科满意度、对同事关系的满意度、对教授的满意度、对设施的满意度以及对行政支持的满意度。第三,在职业决策方面,未来规划、目标选择和解决问题的顺序受到高度重视。

结论

需要努力通过教科满意度和同事关系满意度来提高学科满意度。它应该通过专业课程的开发、教授的面谈以及与行业的密切联系来帮助职业成熟和职业决策。

Introduction

1. 연구의 필요성

최근 청년 취업난이 심화되고 있으며, 취업과 관련한 현실에 직면하게 되는 대학생들은 대학 졸업 후 취업과 관련되는 스트레스와 불안에 심리적 압박을 느끼고 있다. 또한 취업을 하더라도 성공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 직업 선택과 관련한 다양한 문제를 안고 있다(Lee, 2023). 대학생들은 자신의 전공을 통한 진로를 고려하여 이에 맞는 취업 준비를 하고 있지만 현재의 사회, 경제적 상황으로 인해 취업 준비 기간은 길어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한 취업 불안은 심화되는 양상이다(Cho, 2015). 대학생들은 학교 생활을 통해 자신에 대한 정체감, 직업에 대한 의지, 정보 수집 등을 통해 직업선택 과업을 이루게 된다(Lee & Lee, 2022). 따라서 대학재학 시기의 진로 성숙도는 전 일생을 통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진로 결정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Joo et al., 2015). 진로 성숙도란 진로 선택 과정에 대한 태도와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반응경향성을 의미한다(Seo, 2017). 즉, 진로 선택시 능동적인 생각의 정도, 독립적인 사고, 자신의 전공이나 직업 선택에 대한 준비성, 진로결정에 필요한 사전 이해와 미래에 대한 준비의 정도 등을 의미하기도 한다(Lim et al., 2016). Yoo & Lee (2016)는 진로성숙도란 진로결정 타협수준이라고 하였는데, 이는 전공을 통한 직업 선택후 직업을 바꾸게 되었을 때 자신의 욕구를 현실에 타협할 수 있는 정도라 하였다.
진로결정이란 진로와 관련된 다양한 의사결정 및 성숙도를 통한 진로와 관련된 의지, 실천 등을 수행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Cho & Jeong, 2017). Baek et al. (2019)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확신을 바탕으로 진로와 관련된 다양한 학습, 체험등을 완수하고 자신의 진로 목표를 위한 선택을 하는 신념이라 정의하였다. Joo (2018)는 진로결정이란 진로와 관련된 과업을 시작, 유지하기 위한 역할과 전공지식, 진로성숙도, 진로탐색, 진로선택, 진로의사결정 등의 영역과 관련성이 높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Shin et al. (2019)는 진로성 숙도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여 진로성숙도의 중요성을 검증하였고, 이를 통한 진로 준비 행동을 분석하였다.
학과만족이란 학과의 조직 구성원이라 할 수 있는 학생들이 자신의 학과에 대해 느끼는 긍정적인 감정상태를 의미한다(Yoo & Yang, 2013). Lee et al. (2016)는 학과만족이란 학생들이 자신이 추구하는 진로 및 직업에 대한 사전 기대치와 현재 자신이 평가하고 있는 학과의 기대치의 차이라 하였으며, 학과 만족 수준은 미래진로와 희망 직업을 위한 지원 수준이 높을수록 학과만족은 높아진다고 하였다(Kime t al, 2022).
Shin (2013)은 전공에 대한 만족 수준이 높을수록 학과 만족 수준이 높아진다고 하였으며 Kim & Shin (2012)는 교수 만족, 동료 만족, 교육과정 만족, 교육 행정 서비스 만족, 시설 측면에서 학과 만족을 평가할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피부미용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성숙도, 학과만족도, 진로결정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피부 미용 전공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진작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 진로결정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2. 연구의 목적 및 의의

최근 청년 취업률 감소, 학교와 산업체간의 실무수준 괴리, 전문적인 직업인 양성의 부재 등의 원인으로 대학에서는 산업핵심인력 양성 체제 구축을 통한 교육과정 개발, 학생 진로 상담, 취업지원 서비스 등을 시행하고 있다(Chung et al., 2017). 그러나 사회적인 경기 불황, 청년 취업난의 문제와, 학생 개인의 전공 적성, 흥미 등을 고려하지 않고 대학입시결과에 따른 대학진학을 하고 있어, 입학 이후 갈등 과정을 통한 자퇴, 휴학이 속출하고 있다(So & Park, 2016). 이와 같은 다양한 요인들은 결국 사회적 비용으로 가정, 사회, 국가의 손실을 가져온다. 학과만족은 학생 개개인이 기대하고 있는 직업, 진로에 대한 기준과 비교한, 현재 자신이 소속된 학과의 평가라 할 수 있으므로 학과만족도를 상승시킨다는 것은 학생들의 안정적인 학교생활 뿐만 아니라 진로에 대한 성숙도, 진로결정에도 영향을 미쳐 인생 전반에 걸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Choi et al., 2004). Jin (2013)는 자신의 진로에 대한 흥미와 적성에 기초한 경우 진로성 숙도는 높아지고 이를 통해 자신의 전공을 선택하여 얻어지는 이익을 고려한 진로선택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Han (2017)는 대학에서의 전공의 의미는 학생이 자신이 목표하는 일정 자격 수준에 도달하기 위한 이론적, 경험적, 실제적 교육이라고 하였으며, 이와 관련된 진로 성숙도는 자아탄력성 및 취업 스트레스 감소에 매개한다고 하였다.
So & Park (2016)는 대학생 시기는 학교 교육을 통한 진로결정으로 이행되는 발달적 과정으로 이를 위해서는 합리적 의사결정 능력을 배양할 수 있도록 진로 교육 및 진로지도를 선행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피부미용 전공 대학생의 진로 성숙도 영향 요인 및 진로결정 요인을 살펴 봄으로써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 학과만족도를 매개 변인으로 한 진로성숙도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해 국내 피부미용 관련 학과의 발전 방안과 관련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Methods

1. 연구 대상 선정 및 자료 수집 기간

본 연구를 위한 연구 대상자는 지역별로 선정한 총 9개 전문대학 피부미용 관련학과에 재학중인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하였다. 본 자료는 총 450명을 임의로 표집하여 조사하였으며 421부가 최종적으로 회수되어 93.6%의 회수율을 나타내었으며 이 중 불성실한 15부를 제외하고 총 406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 기간은 2021년 9월 1일부터 9월 25일까지 이었으며, 설문지 작성 요청 전 본 연구자가 직접 연구에 협조하기로 한 피부미용 관련학과 교수를 통해 본 설문에 대한 취지와 작성 요령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후 교수의 설명을 통해 연구의 취지와 작성 요령을 습득한 연구대상자가 직접 작성토록 한 후 회수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2. 조사도구

1) 일반적 특성

본 연구에서는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거주지역, 거주단위, 주관적 경제 상태의 총 4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측정방법은 명목 척도를 사용하였다.

2) 진로성숙도

본 연구에서 독립변수로 사용한 진로성숙도(career maturity)란 학교생활의 연속선상에서 발달 단계에서 수행해야 하는 직업적 발달 과업에 대한 준비도, 진로선택이나 진로계획에 대한 준비도, 직업세계를 충분히 이해한 후에 자신과 통합하고 조정할 수 있는 능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Noh & Choi, 2015). Shim et al. (2017)는 현재의 개인 진로행동을 동일한 연령대의 행동과 비교하였을 때, 동일 연령대보다 높은 수준의 진로행동을 보이면 진로성숙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진로성숙도의 변수는 일 관련 요인으로 직업에 대한 태도, 직무인지, 직업 전망, 정보탐색으로 총 5가지로 정의하였다. 개인 요인으로 진로계획, 적성파악, 자기 이해, 진로 준비의 총 4가지로 정의하였다.
진로성숙도와 관련된 설문지 작성을 위해 Kim & Hwang (2016)Seo (2017)의 연구 모형을 참조하여 연구자가 연구 목적에 맞도록 일부 수정한 문항을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을 통해 신뢰 수준에 있는 문항을 사용하였다. 문항 내용으로는 일 관련 요인의 5개 하위요인(직업에 대한 태도, 직무인지, 직업 전망, 정보탐색)의 총 10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을 통해 총 9개의 문항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개인 요인으로 4개 하위요인(진로계획, 적성파악, 자기 이해, 진로 준비)의 총 8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을 통해 총 6개의 문항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진로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 하도록 구성하였다.

3) 학과만족도

본 연구에서 매개변수로 사용한 학과만족도(satisfaction of department)란 조직구성원인 학생이 자신의 진로 및 직무와 관련하여 느끼는 학과에 대한 긍정적인 감정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Choi & Jeon, 2018). 학과만족 수준은 학생이 설정한 진로, 취업에 대한 기대와 비교하여 현재 소속 학과에 대한 평가 수준을 의미한다(Yoo & Yang, 2013).
본 연구에서 사용한 학과만족도 변수는 교과만족, 교우관계만족, 교수만족, 시설만족, 행정지원만족으로 총 5가지로 정의하였다. 학과만족도와 관련된 설문지 작성을 위해 Lee et al. (2016)Choi et al. (2004)의 연구 모형을 참조하여 연구자가 연구 목적에 맞도록 일부 수정한 문항을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을 통해 신뢰 수준에 있는 문항을 사용하였다. 문항 내용으로는 교과만족, 교우관계만족, 교수만족, 시설만족, 행정지원만족의 총 5개 요인, 10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을 통해 총 8개의 문항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학과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하도록 구성하였다.

4) 진로결정

본 연구에서 종속변수로 채택한 진로결정(career decision)란 자신의 성격, 능력, 흥미, 가치관 등이 어디에 있는가를 정확히 진단하고 이에 맞게 진로를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Cho & Jeong, 2017). Baek et al. (2019)는 진로결정이란 진학, 취업 등 향후 자신의 진로에 대해 확신하는 정도를 의미한다고 하였다. Joo (2018)는 진로결정이란 자신이 종사하고 싶은 분야 및 직장에 대하여 얼마나 구체적으로 고려했는지로 정의되며 구체적으로 진로결정 수준이 높다는 의미는 취업 전 자신이 종사하고자 하는 업종, 기업, 직무까지 결정하였다는 의미라 하였다. 진로결정 설문을 위해 Noh & Choi (2015)의 연구 모형을 참조하여 연구자가 연구 목적에 맞도록 일부 수정한 문항을 신뢰도 및 타당성 분석을 통해 신뢰 수준에 있는 문항을 사용하였다. 문항 내용으로는 3개 하위요인(목표선택, 문제해결, 미래계획)의 총 7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을 통해 총 6개의 문항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였다. 점수가 높을수록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것으로 해석하도록 구성하였다.

3. 분석방법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window 19.0 프로그램(IBM, USA)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일반적 특성은 명목척도를 사용하였고, 진로 성숙도 및 진로결정 문항은 리커트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유효표본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 각 설문항목의 신뢰성과 타당성 검증은 Cronbach’s α와 요인분석, 진로 성숙도와 진로결정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 값을 이용한 구조모형분석을 이용하였다.

Results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본 결과(Table 1) 성별의 경우 여학생이 353명(86.9%), 남학생이 53명(13.1%)를 나타내었다. 거주지역의 경우 경기도가 가장 많아 215명(53.0%), 다음으로 대구와 경상북도 거주자가 85명(20.9%), 대전과 충청도가 75명(18.5%), 부산과 경상남도가 31명(7.6%)로 조사되었다. 거주단위의 경우 중소도시가 가장 많아 237명(58.4%), 다음으로 대도시가 122명(30.0%), 시골이 47명(11.6%) 순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경제상태의 경우 ‘하’가 가장 많아 202명(49.8%)로 조사되었고 다음으로 ‘중’이 170명(41.9%)로 나타났다.

2. 진로성숙도 및 진로결정 요인

1) 진로성숙도, 학과만족도 및 진로결정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진로성숙도, 학과만족도 및 진로결정 요인의 차원을 도출하기 위해 베리맥스 회전법을 통한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성 분석을 위해 각 요인별로 신뢰도 계수(Cronbach’s α)를 계산하였다(Table 2).
각 요인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결과 진로성숙도(Cronbach’s α=0.774), 학과만족도(Cronbach’s α=0.801) 및 진로결정(Cronbach’s α=0.790)로 신뢰할 만한 수준에 있다고 볼 수 있다.

2) 진로성숙도, 학과만족도 및 진로결정 요인들의 기술 통계치

(1) 진로 성숙도 요인 기술 통계치

진로성숙도 요인 기술통계치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일 관련요인에서 직업에 대한 태도(4.574±0.751), 직무인지(4.410±0.801), 직업전망(4.327±0.497), 진로탐색(4.201±0.802), 정보탐색(4.012±0.851)순으로 나타났다. 개인 요인에서는 진로계획(4.270±0.617), 적성파악(4.045±0.691), 자기이해(3.845±0.743), 진로준비(3.501±0.845)순으로 나타났다.

(2) 학과만족도 요인 기술 통계치

학과만족도 요인 기술통계치 결과는 Table 4와 같다. 교과만족(4.201±0.795), 교우관계만족(4.197±0.702), 교수만족(4.027±0.618), 시설만족(3.887±0.536), 행정지원만족(3.514±0.451) 순으로 나타났다.

(3) 진로 결정 요인 기술 통계치

진로결정 요인 기술통계치 결과는 Table 5와 같다. 미래계획(4.209±0.715), 목표선택(3.415±0.559), 문제해결(3.051±0.648) 순으로 나타났다.

3) 진로성숙도, 학과만족도 및 진로결정간의 요인분석

측정변인들이 잠재변인들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측정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진로성숙도, 학과만족도 및 진로결정간의 구조관계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Table 6). 그 결과, χ2/df=495.619/170, RMSEA=0.094, RMR=0.074, GFI=0.829, NFI=0.747, TLI=0.941, CFI=0.922로 나타나 모형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모형의 각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 분석결과 독립변수에서 일 관련 요인 중 진로성숙도→직업에 대한 태도에서 β=0.694로 나타나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진로성숙도→직무인지에서 β=0.685로 나타나 p<0.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진로성숙도→직업 전망에서 β=0.479로 나타나 p<0.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인 관련 요인 중 진로성숙도→자기이해에서 β=0.384로 나타나 p<0.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진로성숙도→적성파악에서 β=0.427로 나타나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진로성숙도→진로계획에서 β=0.517로 나타나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매개변수에서 학과만족도→교과만족에서 β=0.845로 나타나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학과만족도→교우관계만족에서 β=0.760로 나타나 p<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종속변수에서 진로결정→목표선택에서 β=0.850로 나타나 p<0.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진로결정→미래계획에서 β=0.904으로 나타나 p<0.001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 구조모형 분석

(1) 진로성숙도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대상자들을 대상으로 진로성숙도가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Table 7). 각 경로별 회귀 계수를 살펴보면 진로성숙도→진로결정은 β=0.079로 나타나 모두 p<0.05 수준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성숙도에 따라 진로결정 수준이 달라지는 것을 의미하는데, 진로성숙도가의 수준이 증가할수록 진로결정 수준도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2) 학과만족도가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간의 매개역할 분석

연구대상자들의 학과만족도가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모형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Table 8). 각 경로별 회귀계수를 살펴보면 진로성숙도→학과만족은 β=0.487 (p<0.01), 학과만족도→진로결정은 β=0.509 (p<0.001), 진로성숙도→진로결정은 β=0.470 (p<0.01)로 나타나 모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대상자들의 학과만족도가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간의 매개역할을 나타낸다 할 수 있다.

Discussion

본 연구는 피부미용전공 학생의 진로성숙도, 학과만족도, 진로결정의 상관관계를 통해 피부미용 관련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학과만족도를 매개로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피부미용 전공 대학생의 진로성숙도, 학과만족도, 진로결정간의 구조적 관계가 실제로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후, 이들 중 학과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진로결정과 관련된 영향요인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역별로 선정한 총 9개 전문대학 피부미용 관련학과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406명의 설문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자료는 PASW Statistics by SPSS 19.0과 AMOS 19.0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피부미용 전공 학생의 진로성숙도를 진작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 학과만족도 개선을 통해 진로결정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들의 피부미용 전공 학생의 진로성숙도의 일관련 요인에서 직업에 대한 태도, 직무인지, 직업전망, 진로탐색, 정보 탐색 순으로 높게 인지 하고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청소년의 진로경험 및 부모지지가 진로성숙도의 종단변화에 미치는 동시 및 지연효과를 연구한 선행연구(Lim et al., 2016)에서 청소년의 진로 경험을 통한 직무인지, 직업 전망, 진로 탐색은 진로성숙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하여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마이스터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성숙도가 학교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선행연구(Yoo & Lee, 2016)에서 학생들의 직업에 대한 태도, 진로 탐색 및, 정보 탐색을 통한 학업 참여 및 학업 성취 수준은 진로 성숙도와 관련이 있으며, 진로성숙도가 높을수록 학교 부적응 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어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학과만족도의 경우 교과만족, 교우관계만족, 교수만족, 시설만족, 행정지원만족의 순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학생의 학과만족도, 진로성숙도의 차이와 진로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연구한 선행연구(Yoo & Yang, 2013)에서 학과만족도 하위 요인으로 교과만족도, 관계만족도, 일반만족도라고 분석하여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식품 영양학과 학생들의 현장실습 만족도 및 평가도에 관하여 연구한 선행연구(Choi et al., 2004)에서 사회적 지지 구성 요인으로 자아탄력성, 교수지지, 친구 지지는 학과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하여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진로 결정의 경우 미래계획, 목표선택, 문제해결 순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고등학생의 학교 진로교육 상담이 교육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친 효과를 연구한 선행연구(Baek et al., 2019)에서 전공, 직업에 대한 미래계획, 진로의사결정, 진로탐색활동, 목표 선택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고 하여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피부미용 전공 학생의 진로성숙도, 학과만족도 및 진로결정간의 요인 분석 결과 진로 성숙도 요인의 일 관련 요인에서 직업에 대한 태도, 직무인지, 직업 전망은 진로성숙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취업준비생들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전략적 방안을 연구한 선행연구(Shin et al., 2019)에서 취업 준비생들의 희망 진로분야의 직무인지, 사회적, 경재적 직업전망과 관련된 탐색 활동은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며, 진로성숙도는 자신이 취업하고자 하는 분야와 관련되어 제공받는 교육적 요소와 상관 관계가 있다고 하여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고등학생 진로체험과 프로그램 평가가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선행연 (Kim & Hwang, 2016)에서 진로체험을 통한 진로와 관련된 내재화된 가치와 이를 통한 즐거움은 직업에 대한 태도, 직업 전망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진로 성숙도에 정(+)의 상관관계를 갖는다고 하여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진로성숙도 요인의 개인 관련 요인에서 자기이해, 적성파악, 진로 계획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사회적 지지와 진로성숙도의 종단적 변화와 학업 참여 및 학업 성취간의 구조적관계를 검증한 선행연구(Chung et al., 2017)에서 가족, 사회, 친구 및 교사의 지지를 받는 그룹의 경우 자신의 적성파악, 진로계획 관련 진로 성숙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이는 학업 참여 및 학업 성취 수준을 높인다고 하여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중학생의 진로 교육 및 진로체험활동과 진로성숙도 향상 효과를 연구한 선행연구(Shim et al., 2017)에서 진로 교육 및 진로체험활동을 통해 미래 자신의 직업에 대한 탐색, 계획, 자기 이해 수준 증대는 높은 학업 성취로 이어졌다고 하여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학과만족도 요인에서 교과만족, 교우관계만족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미용관련학과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와 학과만족도와의 관계를 연구한 선행연구(Lee et al., 2016)에서 대학생의 자아탄력성, 교과만족도, 입학동기, 교우관계, 건강상태는 학과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여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방사선과 학생들의 학과선택, 임상실습, 학과 교육 과정과 전공 선택 만족도의 융복합형 관련성을 연구한 선행연구(Choi & Jeon, 2018)에서 전반적인 학과만족 요인 중 일반만족, 학과에 대한 지각된 만족 요인 중 인식만족, 교과 및 학과에서 진행되는 전공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 교우 관계에서의 만족이 전공선택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여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진로결정 요인에서 목표선택, 미래계획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항공서비스학과 재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과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선행연구(Joo, 2018)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개인이 진로결정 과업을 시작하고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뿐만 전공, 학문, 직업선택, 목표설정, 진로의사결정, 진로탐색활동 등의 영역에 정(+)의 상관관계가 있다고 주장하여 본 연구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대학생의 긍정적 정서,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결과기대가 진로준비행동 및 진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선행연구(Joo et al., 2015)에서 직업에 대한 긍정적 정서, 사회적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미래계획은 진로와 관련된 태도와 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 뿐 아니라 다른 요인과의 관계를 매개하는 요인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규명하여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진로성숙도가 진로 결정에 미치는 영향 분석 결과 진로성숙도는 진로 결정에 영향을 유의미하게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학생의 진로적응성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선행연구(Cho, 2015)에서 대학생의 내•외적 진로장벽, 진로미적응성은 진로미결정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여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학과만족도가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간의 매개역할 분석결과 진로성숙도는 학과만족도에, 학과만족도는 진로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결론적으로 진로성숙도는 진로결정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여주는 것으로 분석되어 학과만족도가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간의 매개 역할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가정교육과 학생들의 학과만족도와 진로결정 수준을 연구한 선행연구(Shin, 2013)에서 학생들은 학과만족도 수준에 따라 미래 직업에 대한 관심과 여유가 발생되며, 이를 통해 구체적인 진로계획, 진로결정을 하게 된다고 주장하여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대학생의 학과만족도가 직업탐색행동과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선행연구(Han, 2017)에서 학생들의 학과만족도 수준은 직업탐색으로의 진로탐색, 취업 준비 행동의도, 자신에 대한 이해 수준을 향상시키며, 반면 진로스트레스 수준을 감소시킨다고 하여 본 연구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Conclusion

대학생들이 자신이 소속한 학과에 대한 만족 수준이 높다는 의미는 재학 중에 진로성숙도 향상 및 졸업 후 바람직한 진로결정을 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또한 학과만족도 상승은 학교생활과 관련된 전반적인 문제를 예방하고,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진로계획, 직업탐구, 직무 인지를 통한 전공 실력 배양에 중요한 요인이 된다. 따라서 학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교과만족, 교우관계만족이 학과만족도와 상관관계가 높았음을 감안할 때 교육과정 개선을 위해 학생들의 교과목 선호도 조사를 시행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학생들이 이해하기 쉽고, 전공에 적응하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교과목 및 교수 학습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우관계로 인해 학교를 중도 포기하고 전공을 바꾸는 사례가 빈번한 것을 감안하여 교우관계 개선을 위한 또래 멘토링, 집단 상담 등과 같은 다양한 교내 활동이 요구된다.
본 연구를 통해 진로성숙도는 일 관련 요인에서 직업에 대한 태도, 직무인지, 직업 전망에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재 학생들은 수시 전형을 통해 학생부 성적, 정시 전형을 통해 수능 성적만으로 자신의 전공을 선택하는 경향이 높다. 따라서 자신이 선택한 전공 관련 직무, 직업, 직업 전망에 대해 사전 지식이 없는 채로 입학하여 갈등하는 경우가 많음을 감안할 때 1학년 1학기 과정에는 전공 관련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교과목을 편성하며, 지도교수와의 면담, 산업체 인사, 선배 초청등을 통해 전공 관련 직무를 파악할 수 있도록 배려하여야 한다. 개인관련 요인에서 자기이해, 적성파악, 진로계획에서 상관관계가 높았으므로 자신을 이해하고, 적성을 파악하여 진로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학생처에서 진행하는 성격적성검사를 비롯한 다양한 검사 및 해석, 상담을 통해 스스로 진로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진로결정 요인에서 목표선택, 미래계획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학생들이 자신에 대한 이해, 직무이해를 바탕으로 한 뚜렷한 미래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직업캠프, 진로지도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는다. 첫째, 표본의 대표성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 표본으로 선정된 연구대상자는 특정 지역, 특정 대학에 재학 중인 피부미용 관련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임을 감안할 때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생각된다. 둘째, 피부미용 전공 학생의 진로성숙도, 학과만족도, 진로결정과 관련한 요인은 매우 다양할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일부로 한정하였다는 점이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결과가 기존 선행 연구 결과와 동일한 결과이면서도 피부미용 관련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학과만족도를 매개로 진로성숙도와 진로결정과의 관계를 통해 향후 피부미용 전공 학생의 진로성숙도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봄으로써 진로결정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봄은 의의가 있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추후 피부미용 전공 학생의 진로성숙도를 진작시킬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 학생들의 학과만족도 수준 향상을 통해 진로결정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연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NOTES

Author's contribution
MJK designed, analyzed data, and wrote the manuscript.
Author details
Moon-Joo Kim (Professor), Department of Medical Beauty, Ansan University, 155 Ansandaehak-ro, Sangrok-gu, Ansan-si, Gyeonggi-do 426701, Korea.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Provision Variables Frequency (%)
Gender Male 53 (13.1)
Female 353 (86.9)
Residence area Gyeonggi-do 215 (53.0)
Dajeon and Chungchung-do 75 (18.5)
Daegu and Gyeongsangbuk-do 85 (20.9)
Busan and Gyeongsangnam-do 31 (7.6)
Residence unit Big city 122 (30.0)
Medium and small city 237 (58.4)
Country 47 (11.6)
Subjective economic status High 34 (8.4)
Middle 170 (41.9)
Low 202 (49.8)
Table 2.
Reliability analysis and validity analysis on affected factors about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Provision Eigen value Degree of dispersion Cronbach’s α
Career maturity factors 4.552 29.615 0.774
Satisfaction of department 4.201 20.144 0.801
Career decision factors 3.702 17.556 0.790

KMO=0.824; Bartlett gutter certification value X2=1355.201; Total cumulative=780.201%; KMO, Keiser–Meyer–Olkin.

Table 3.
Factor analysis of career maturity
Factor Variables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Kurtosis
Work-related factors Attitude of job 4.574 0.751 -0.321 -0.147
Recognition of duty 4.410 0.801 -0.157 -0.315
Prospect of job 4.327 0.497 -0.154 -0.215
Information search 4.012 0.851 -0.412 -0.412
Career exploration 4.201 0.802 -0.318 -0.112
Personal factors Understanding oneself 3.845 0.743 0.112 0.246
Understanding aptitude 4.045 0.691 0.102 -0.412
Preparation for path 3.501 0.845 0.317 -0.164
Career planning 4.270 0.617 0.227 0.167
Table 4.
Factor analysis of satisfaction of department
Variables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Kurtosis
Satisfaction with curriculum 4.201 0.795 -0.310 -0.154
Satisfaction with professor 4.027 0.618 -0.227 -0.469
Satisfaction with peer 4.197 0.702 -0.240 -0.304
Satisfaction with administrative support 3.514 0.451 0.231 0.114
Satisfaction with facilities 3.887 0.536 0.337 0.497
Table 5.
Factor analysis of career decision
Variables Mean Standard deviation Skewness Kurtosis
Problem solving 3.051 0.648 -0.322 -0.147
Select target 3.415 0.559 -0.249 -0.297
Future plan 4.209 0.715 -0.147 0.139
Table 6.
Analysis result for measurement model
Observe factor←Potential factor β B S.E C.R p SMC
Career maturity (work related factors) Attitude of job←Career maturity 0.694 0.948 0.125 9.617 ** 0.315
Recognition of duty←Career maturity 0.685 0.794 0.179 8.551 * 0.641
Prospect of job←Career maturity 0.479 0.857 0.247 7.619 * 0.519
Information search←Career maturity 0.371 0.447 0.315
Career exploration←Career maturity 0.610 0.519 0.947
Career maturity (personal factors) Understanding oneself←Career maturity 0.384 0.705 0.549 2.997 * 0.814
Understanding aptitude←Career maturity 0.427 0.694 0.497 4.519 ** 0.469
Preparation for path←Career maturity 0.334 0.557 0.514
Career planning←career maturity 0.517 0.449 0.049 5.109 ** 0.449
Satisfaction of department Satisfaction of curriculum←Satisfaction of department 0.845 0.967 0.429 8.164 ** 0.619
Satisfaction of professor←Satisfaction of department 0.510 0.814 0.559
Satisfaction of peer relationship←Satisfaction of department 0.760 0.752 0.785 4.509 ** 0.759
Satisfaction of administrative support←Satisfaction of department 0.519 0.497 0.442
Satisfaction of facilities←Satisfaction of department 0.409 0.519 0.594
Career decision Problem solving←Career decision 0.497 0.864 0.759
Select target←Career decision 0.850 0.754 0.215 8.661 * 0.445
Future plan←Career decision 0.904 0.554 0.667 7.619 *** 0.759

* p<0.05;

** p<0.01;

*** p<0.001;

X2=495.619; df=170; RMSEA=0.094; RMR=0.074; GFI=0.829; NFI=0.747; TLI=0.941; CFI=0.922.

Table 7.
Path coefficient of research model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β B S.E C.R p
Career maturity→Career decision 0.079 0.088 0.097 1.917 *

** p<0.05.

Table 8.
Path coefficient of research model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through satisfaction of department as parameter
β B S.E C.R p
Career maturity → Satisfaction of department 0.487 0.551 0.140 3.105 **
Satisfaction of department → Career decision 0.509 0.427 0.100 3.619 ***
Career maturity→Career decision 0.470 0.379 0.142 4.227 **

** p<0.01;

*** p<0.001.

References

Baek JK, Cho SH, Cheon JH.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career education counseling on career decision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Journal of Naturopathy 8: 11-20. 2019.
crossref
Cho HJ. The effect of career adaptability, mediated by self-efficacy, on career indecision.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8: 59-77. 2015.

Cho YA, Jeong JE. A meta-analysis of undergraduat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30: 129-150. 2017.
crossref
Choi MK, Jeong YS, Hong WJ, Kim SK, Kim DH, Kim AJ, Kang MH, Kim MH. A study on satisfaction and evaluation of students’ spot-practice i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3: 373-380. 2004.
crossref
Choi SW, Jeon MC. The convergence relevance of the department of radiology students’ selection of department, clinical practice, curriculum of department and the selection satisfaction of major.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 121-129. 2018.

Chung YK, Lee JS, Ahn HS. Examining longitudinal changes in social supports and career maturity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academic engagement and achievement.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30: 1-23. 2017.
crossref
Han EJ.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department satisfaction on job search behavior and employment-preparation behavior: center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31: 121-134. 2017.
crossref
Jin YH. A study on the satisfaction level towards choreography related curriculum for the cultivation of choreographers at dance department and on the improvement measures.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ance Science 30: 157-173. 2013.
crossref
Joo SO. The influenc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decision level. Journal of the Aviation Management Society of Korea 16: 53-69. 2018.
crossref
Joo YJ, Ko KI, Jeong YJ. The effects of positive affect, social suppor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utcome expectan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n career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8: 65-83. 2015.

Kim SR, Hwang YJ. The influences of career experiential learning and program evaluation o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9: 167-190. 2016.

Kim SY, Choi US. The effect of vocation experience activities by teacher-centered and student-centered on the career self-efficacy and the career maturity.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7: 71-93. 2014.

Kim SY, Shin HJ. The validity of the consisting factors of students' satisfaction for their department professors' performance and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satisfactions for their department professors' performance and students’ academic.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9: 207-226. 2012.

Kim WB, Park JE, Lim YK, Park EJ.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online lectures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lectur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20: 193-202. 2022.
crossref pdf
Lee ES. Effects of motivation to participate in volunteer activities among cosmetology students on self-fulfillment and persistent participation.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21: 687-698. 2023.
crossref pdf
Lee SH, Jeong GY, Jang YW. A study of relations among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satisfaction of department among college students from cosmetology-related departments.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30: 21-47. 2016.

Lee YJ, Lee SN.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major satisfaction.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20: 73-84. 2022.
crossref pdf
Lim HJ, Han JE, Kim JS, Seon HY. The concurrent and lagged effects of adolescents’ career experiences and parental support on the longitudinal change of career maturity. Korea Journal of Counseling 17: 289-306. 2016.

Noh J, Choi J. A typology of tourism-related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 status: based on the vocational decision status model. Korean Business Education Review 30: 51-74. 2015.

Seo WS. The effects of career development program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career maturity of educatio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23: 187-206. 2017.

Shim JH, Oh JA, Jo OS. Career education &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and career maturity improvement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 Youth Counseling Association 2: 67-92. 2017.

Shin HW.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level of students i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Journal of Home Economics Education Research 25: 55-66. 2013.

Shin JH, Her JI, Jang YC. A study on the strategic method for career maturity of job applicants.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9: 117-144. 2019.

So YJ, Park JS.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job-seeking stress on career maturity in university adjustm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seeking anxiety. Journal of Employment and Career 6: 23-44. 2016.
crossref
Yoo EY, Yang YJ. A study on the difference among college students' department satisfaction and career maturity and the influence on career stres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 557-568. 2013.
crossref
Yoo JM, Lee BW. The effect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with respect to the impact on school maladjustment.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ors 41: 1-23. 2016.
crossref
Editorial Office
No. 1505, 1506, 3rd Ace High-End Tower, 145, Gasan digital 1-ro, Geumcheon-gu, Seoul 08506, Korea
TEL: +82-2-6957-8155   FAX: +82-502-770-2278   E-mail: ajbc.edit@e-ajbc.org
About |  Browse Articles |  Current Issue |  For Authors and Reviewers
Copyright ©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Developed in M2PI